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역사화

        권정임(Kwon Jyoung-Im)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2

        모든 역사화는 신화, 전설, 성서, 역사 등의 소재를 빌어 각국의 역사적 순간들, 혹은 역사의 계기적 순간을 담는다. 러시아 역사화 역시 러시아 역사의 계기적 순간들을 담고 있으며, 그 역사적 순간의 상징적 · 알레고리적 의미를 부각시키거나, 구체적 사건의 사실적 묘사나 지배적 정서의 표현을 지향한다. 18세기 후반 러시아 역사화의 비조인 로센코로부터 시작되어 19세기 말 네스테로프에 이르는 시간 동안의 러시아 역사화는 고전주의, 낭만주의, 사실주의라는 시대를 지배하는 세계관을 통해 다양한 역사적 이데올로기와 지배적인 주인공들의 변천을 보여주었다. 미술아카데미는 특히 러시아 역사화의 성립과 발전 과정에서 주요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그리스적 중세 러시아에서 라틴적 근대 유럽으로 러시아 역사발전의 벡터를 옮기던 시기, 미술아카데미는 문화예술의 정체성과 이데올로기 확립을 주도하였다. 미술아카데미는 회화 장르에서 역사화의 지위를 확고히 하면서, 러시아 제국의 확장과 통합, 번영에 관한 정치적 · 사회적 서사를 역사화의 소재로 선호하였다. 역사화에서 가치의 위계와 정전을 정하는 구성자로서 러시아 제국은 그 이데올로기의 발현체로서 역사화를 십분 활용하였던 것이다. 미술아카데미의 영향력이 쇠퇴해감과 동시에, 러시아 사회에 태동한 새로운 역사이데올로기들은 역사화의 향방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초반 러시아 역사학과 문헌학, 고고학의 발달로 자국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의 정립이 있은 후, 19세기 후반 촉발된 슬라브파와 서구파간의 역사논쟁은 러시아 역사화의 미학적 회고주의와 정치윤리적 진보주의라는 사뭇 다른 경향성을 불러일으켰다. 러시아 역사화의 발전단계에서 역사의 주체, 혹은 역사의 생산자에 대한 인식도 변화를 보였다. 역사의 구성자로서 국가, 제국, 지배자, 영웅 등이 역사화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던 시기가 있었던 반면, 역사의 객체이자 소비자에 머물러 있던 민중들에 대한 복권(復權)이 이루어지던 시기도 도래하였다. 민중에 대한 형상 역시 처음에는 태생적 환난과 역경에 처한 ‘고통의 민중상’을 거쳐, 러시아땅의 웅비와 잠재력, 생명력을 통한 ‘구원의 민중상’으로 완성되어간다.

      • KCI등재

        낭만주의 역사화: 히스토리아(Historia)에서 저널리즘으로의 발전

        김정락(Kim, Jung Rak) 서양미술사학회 2015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43 No.-

        낭만주의의 역사화는 당대의 역사의식을 반영하는 중요한 증거물이다. 낭만주의 역사화는 혁신적 성격 중 하나인 저널리즘적 태도와 요소를 보여준다. 저널리즘적 성향은 역사화의 본질과 기능을 변화시켰던 매우 의미 있는 단초이다. 시기적으로도 낭만주의와 근대적 의미의 저널리즘의 탄생은 일치한다. 저널리즘의 전례 없는 확산은 혁명을 불러왔으며, 예술사조로서 낭만주의의 탄생 또한 저널리즘과의 영향관계 속에서 파악될 수 있다. 당시 상당량의 언론매체들은 정치적인 당파성을 가지고 선동적인 성향을 띠었다. 마라를 포함한 많은 혁명정치인들이 언론매체를 보유하거나 편집인으로써 활동했던 것도 주목할 만한 현상이다. 정치이념의 전파와 더불어 각종 사건·사고들이 날마다 매체를 통해 보도되면서, 한편으로는 정치적인 당위성을 찾기 위해, 다른 한편으로는 집권세력을 비판하기 위한 의도들이 갈등을 일으키면서, 역사는 혼란과 위기를 가중시켜 나갔다. 본 연구는 낭만주의의 역사화의 저널리즘적 성격을 특정하기 위해 사건화라는 개념을 사용하였다. 사건화는 19세기 초반 유럽의 급변한 정치적 상황과 시민의식을 가장 명시적으로 반영하는 근대적인 역사화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자유주의, 애국주의나 민족주의 등 새로운 정치적 이데올로기나 사회이념들이 회화의 내용으로 부각되었으며, 특히 부르주아 계급의 역사적 인식을 재현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나아가 그들이 지닌 정치적 그리고 사회적 맥락에서의 역사관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근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역사화를 통한 과거 역사의 소환은 이전 역사화에 비하여 비판적이며, 사실적인 양상을 띤다고 볼 수 있다. 18세기까지 역사화는 과거를 회상, 기념하거나 기록하고 교화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면, 낭만주의의 사건화는 과거를 통해 현재를 반성하며, 현재와 미래에 대한 발언으로써 새로운 역할을 지니게 되었다. 이렇게 변화된 의식은 역사화를 활용하는 주체의 변화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역사화가가 당대 사회의 권력자들에게 의존하여 제작하는 역사화가 아니라, 사회 혹은 권력에 대항하는 다른 사회적 주체들과의 연관 속에서 역사화를 그려내고 있다는 것도 반증할 수 있다. 변화된 낭만주의의 사건화는 저널리즘적인 성격을 보유하면서 보다 능동적인 정치적인 목적을 지향하였으며, 이는 수동적으로 역사를 사유화한 권력에 대한 저항이면서, 존속하는 역사화들에 대한 대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사건화(Ereignisbild)로서의 신역사화는 언론 보도에 상응하는 조건들을 갖추었다. 이를테면, 6하 원칙에 해당하는 사실관계의 제공으로 신뢰성을 얻는 것은 물론, 이러한 사건, 사고의 전달이 현장성이 강조된 양태를 띠면서, 대중적 선정성 또한 가미되고 있다는 점이다. 대상의 선정에서도 사회적 이슈나 대중적 관심 등에 더욱 치중하는 것도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낭만주의의 역사화는 시사적인 성격을 지닌 근대적인 역사화의 출현과 전개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역사화가 사료나 전설 혹은 신화 등을 통해 얻은 정보를 신비적인 혹은 초월적인 재현으로 전이하는 것에 비하여, 사건화는 저널리즘처럼 당대성이 강조되고, 이로써 시사성과 대중성을 획득했다고 볼 수 있다. 낭만주의 이후의 사건화는 1839년 이후 등장한 사진에 대응하는 사실기록적인 태도와 실천력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19세기 중반부터 등장한 사실주의와 인상주의 회화에서도 지속되었다. 안톤 폰 베르너의 보도적 성격은 물론, 마네의 <막시밀리언 황제의 처형>에서 나타난 사실성은 사건화의 발전양상을 뚜렷하게 반영해주고 있다.

      • KCI등재

        ‘역사화해’란 무엇인가 : 개념과 이론적 고찰

        최성철(Choi, Seong-Cheol) 한국사학사학회 2020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42

        화해란 “싸움하던 것을 멈추고 서로 가지고 있던 안 좋은 감정을 풀어 없앰”을 뜻한다. 화해는 일상생활 외에 법률, 종교, 금융, 회계, 사회학, 정치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그중 특별히 역사 안에서 이루어진, 또는 역사를 매개로 한, 아니면 역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모든 화해를 ‘역사화해’라고 부른다. 역사상 화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부터 현대까지 꾸준히 있었다. 역사화해에 관한 담론 또한 풍부하다. 어떤 학자들은 화해를 공동체의 공존과 공생을 위한 전략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또 다른 학자들은 화해를 ‘법’과 ‘정치적 정의(正義)’의 연장선상에서 정의하기도 한다. 어떤 학자들은 단순히 부담스러운 과거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역사화해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면, 또 다른 학자들은 화해야말로 적대적이었던 두 공동체가 미래를 향해 동반 성장할 수 있는 최고의 수단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역사화해의 종류로는 크게 국내화해와 국제화해가 있다. 국내화해의 대표적 성공사례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진실과 화해 위원회(TRC)’가 있고, 국제화해의 성공사례로는 서독 수상 빌리 브란트가 바르샤바 게토 추모비 앞에서 무릎을 꿇은 사건(Kniefall von Warschau)을 들 수 있다. 최근에는 화해를 두 공동체가 서로 화합 또는 통합하기보다는 서로의 차이와 다름을 인정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역동적이고 복잡하며 장기적인 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역사화해’란 어찌 보면 형용모순이다. 왜냐하면 서로 반목하고 대립과 갈등을 빚었던 어둡고 우울한 역사를 오늘날 해당 국민이 역사교육과 학습을 통해 알아가면 갈수록 화해는 점점 더 불가능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역사화해는 어렵고 힘들며 지난한 과정이다. 요컨대 ‘역사화해’란 과거의 역사보다도 현재, 더 넓게는 현재와 미래를 지향하는 가치개념이자 행위과정이다. Reconciliation means “a situation in which two people or groups of people become friendly again after they have argued.” Reconciliation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daily life, law, religion, finance, accounting, sociology, politics, and biology. ‘Historical reconciliation’ is a generic term for all reconciliations occurred in history, mediated through history, or made through history. Throughout history, reconciliation has always existed for all ages and countries. The discourse on historical reconciliation is also abundant. Some scholars argue that reconcili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strategy for the coexistence of communities. Other scholars define reconciliation as an extension of ‘law’ and ‘political justice.’ Some scholars assert that historical reconciliation is necessary to simply escape from the burdensome past. Other scholars consider reconciliation to be the best way for two hostile communities to work together towards the future. The types of historical reconciliation are largely divided into domestic reconciliation and international reconciliation. One of the most successful examples of domestic reconciliation is South Africa’s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TRC).” A success story of the international reconciliation is the case of West German Chancellor Billy Brandt who knelt in front of the Warsaw ghetto memorial monument(Kniefall von Warschau). In recent years, it has been argued that reconcili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dynamic, complex and long-term process in which two communities recognize their differences and move toward the future rather than harmonizing or uniting with each other. In some ways, ‘historical reconciliation’ is contradictory. This is because reconciliation may become more and more impossible as citizens today learn about the dark and depressing past of antagonism, confrontation, and conflict through history education. As such, reconciliation of history is a hard and difficult process. In short, ‘historical reconciliation’ is a value concept and an action process that aims at the present and the future rather than the past history.

      • KCI등재

        한일 역사화해의 전개 과정 — ‘책임론적 화해’에서 ‘포용론적 화해’로 —

        박홍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20 일본사상 Vol.0 No.39

        1945년 일본의 패전과 한국의 해방 이후, 한일관계는 정치지도자의 결단에 따른 역사화해라는 정치적 행위를 통해 단계적으로 발전해왔고, 앞으로도 또 다른 역사화해를 통해 한일관계는 새로운 단계로 진입할 것이다. 첫 번째 역사화해는 1965년의 청구권협정에 의한 국교정상화였으며, 두 번째 역사화해는 1998년의 김대중-오부치 파트너십 선언이었다. 필자는 전자를 ‘한일화해 1.0’으로 후자를 ‘한일화해 2.0’으로 부르고, 앞으로 있을 세 번째 역사화해를 ‘한일화해 3.0’으로 부를 것이다. 이 글에서는 1945년 해방 이후 오늘날까지 한일 역사화해의 전개 과정을 개괄한다. 특히 단계적 전환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초점을 맞추어, 각 단계의 역사화해를 지탱하는 철학적 기초를 다뤄보려고 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1945년에서 현재까지 한일 역사화해의 철학적 기초가 ‘책임론적 화해’였다는 것이고, 앞으로 한일화해 3.0을 실행하려는 정치지도자에게는 ‘포용론적 화해’라는 새로운 철학적 기초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After the defeat of Japan and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Korea-Japan relations have been gradually developed by the political action of political leaders for historical reconciliation, and Korea and Japan relations will continue to be renewed through another historical reconciliation. The first historical reconciliation was the normaliz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under the Korea-Japan Claims Agreement of 1965, and the second historical reconciliation was the Partnership Declaration of 1998. I call the former “Korea-Japan Reconciliation 1.0”, the latter “Korea-Japan Reconciliation 2.0”, and the third historical reconciliation in the future “Korea-Japan Reconciliation 3.0”. This treatise outlines the process of historical reconcili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its liberation in 1945. Focusing on the time when the gradual transformation took place, I will deal with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that underpin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of each stage. What should be noted here is that from 1945 to the present,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historical reconcili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was “responsible reconciliation,” and political leader to implement Korea-Japan Reconciliation 3.0 in the future is required to have a new philosophical foundation called “inclusive reconciliation.”

      • KCI등재

        역사화해를 위한 조건: 독일-폴란드 역사화해를 중심으로

        이동수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서강인문논총 Vol.0 No.56

        Conditions can be found if analyzing the precess of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between Germany and Poland. First of all, in the spiritual dimension, Germans expressed their sincere apologies to the Polish through self-reflection that is executed from the spirit of Christianity, and were in return forgiven by the Polish who had thought themselves as victims or martyrs. Second, in the political dimension, West Germany since 1970s pursued the reconciliation with Poland under the Ostpolitik policy to improve diplomatic relations with East European states. In addition, the Polish positively responded to the West German foreign policy because they wished West Germany recognized the new Oder-Neisse border line which was formed after the second World War. Third, in the international relation dimension, Poland hoped that West Germany was able to help its economic development and its join to NATO and eventually to EU. This kind of reconciliation, however, cannot be applied as such to the case of the reconcili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the Japanese think they are also the victims of the second World War, and therefore have no need to deeply apologize to the Koreans. In addition, they feel tired for the Koreans in terms of apology. Second, there is no serious national interest between Korea and Japan as much as between West Germany and Poland at that time. Third, while Germany is the best friend for Poland in the international affairs, Japan is not the best friend for Korea. China was the Korea’s best friend in the traditional era, and now the USA is the best alliance for Korea. However,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is needed for the peace and co-prosperity in the East Asia. The process for reconciliation itself will guarantee the safety and co-existence among East Asian states. 독일-폴란드 역사화해 과정을 분석해 보면 몇 가지 역사화해의 조건을 찾을 수 있다. 먼저 정신적 차원에서 독일인들은 자기성찰을 통해 먼저 진정한 사과의 모습을 보였고 폴란드는 이에 용서로 화답했다. 둘째, 정치적 차원에서 당시 서독은 동독을 비롯한 동유럽과의 관계개선을 시도하는 동방정책으로 폴란드와의 화해를 추진했다. 반면 폴란드도 오데르-나이세 신국경선을 서독으로부터 인정받을 필요 때문에 역사화해과정이 가능했다. 셋째, 국제관계적 차원에서 폴란드는 소련 블록 치하의 낙후된 상태에서 벗어나 선진국 독일의 힘을 빌려 경제발전과 NATO에 가입함으로써 실제적인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하지만 독일-폴란드의 역사화해가 한국-일본의 역사화해 과정에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다. 먼저 일본은 자신도 피해자라고 생각함으로써 한국에 진정한 사과를 하지 않는다. 둘째, 독일-폴란드 역사화해처럼 한국과 일본 사이엔 그렇게첨예한 정치적인 국가이익 문제가 걸려 있지 않다. 셋째, 국제관계적 측면에서 폴란드는 독일을 최우선적인 우방으로 삼을 필요가 있었지만, 한국은 미국과 중국 때문에 일본을 최우선적인 우방으로 삼을 필요가 없다. 그러나 한국으로서는 일본과의 역사화해는 꼭 필요하다. 이는 단순히 양국 간의 문제해결을 위해서가 아니라 동아시아라는지역공동체의 긴장완화와 평화공영을 위해서이다.

      • KCI등재

        현대 역사화(歷史畵)에 대한 반성적 고찰

        김재수(Kim, Jae-Soo)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과학연구 Vol.0 No.30

        역사는 과거사(過去事)의 기록이 아니라 당대사(當代事)의 기록이다. 다시 말해 역사는 자기시대를 반영한다. 그래서 역사 속에는 시대의 정신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도, 문화도, 예술도 배여 있게 마련이다. 이것은 미술의 역사에서도 마찬가지다. 미술가는 저마다 다양한 양식으로 시대를 조형화하려 한다. 심지어 의도적으로 시대를 초극하려는 양식일지라도 시대의 산물일 수밖에 없다. 어떤 시대의 초극도 과거와 현재를 그 토대로 하기 때문이다. 미술사학자 쿨터만도 미술의 역사는 시대의 조건에 종속되는 전개과정, 변화하는 인간의 요구에 종속되는 전개과정을 거친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자기시대의 안목으로 과거와 현재를 새롭게 조명하고 발견해온 미술사의 조형화 노력은 동,서양간의 구별이 있을 수 없다. 특히 한국의 현대미술사가 지나온 궤적 또한 그와 다르지 않다. 한국의 20세기는 해방과 한국전쟁이라는 민족사적 혼란과 이후 극심한 이데올로기 대립 속에서 투쟁과 생존을 이어왔다. 그리고 뒤이어 찾아온 ‘세계화’의 파고는 우리에게 보다 넓고 깊은 안목으로 한국의 현대사와 그 속에서 성장해온 현대미술의 모습을 다시 되돌아보는 기회를 제공했다. 거기에는 어느 때보다도 시련과 굴곡이 많았던 우리의 현대사가 조형화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현대미술 속에는 지난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평가가 주류이면서도 그 반대도 적지 않게 눈에 뜨인다. 그만큼 그 시대를 살아간 미술가들도 시대인식을 저마다의 안목으로 조형화하려 했다. 그들은 은연중에도 역사인식을 조형하며 역사화(歷史化)하려 한 것이다. 시대정신에 대하여 잠재된 인식의 조형화마저도 역사화(歷史畵)가 된 것이다. 그 점에서도 지난날의 미술작품들에 대한 평가와 가치를 돌아보고 그 의미를 새롭게 물어야 할 역사적 당위와 의무가 주어진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도 한국 현대사의 예술적 자취로 남아 있는 ‘민족기록화’를 중심으로 그 의미와 한계, 그리고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History is not a record of the events in the past but a record of the events of the time. Thus, it is certain that history is saturated with not only the spirit of the era but also ideology, culture and art. Each of artists, in various forms, is trying to model the era. Even the style intentionally conquers the era, it is bound to be the product of the era. The conquest of any era is certainly based on the past and the present. Udo Kultermann, an art historian, claims the history of art is bound to pass the development process, being subordinate to the conditions of era and the development process, being subordinate to the demands for humans. Like thi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efforts for modeling the history of art in which the past and the present have been newly reflected and discovered. Especially, the course of the art of modern history in Korea is not far from that. South Korea’s 20th-century underwent the chaos in the nation history, such as the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and continued the struggle and survival in a severe ideological conflict since then. And subsequent the wave of ‘globalization’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us to look back the Korea’ modern history and the appearance of modern art which have been growing in the modern history. It is because, our modern history with more trials and ups-and-downs than any other time, has been modeled in there. Inside Korea’s modern art in the past, the negative perception and assesment of the past is the mainstream, yet vice versa also catches our sight not a little. The artists, who lived that era, tried to model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 with their own insight. They, without realizing, tried to model the consciousness of history and historicized that. The modelling of the subconsciousness for the spirit of the time has been historicized. In that respect, too, we are given the needs and the responsibilities for evaluating the artistic works in the past and looking back the value of them, and newly questioning about its significance. Thus, this study, through focusing on ‘National Record Paintings’, which remain as artistic vestiges, aims to detect their limit, significance, and new possibilities.

      • KCI등재

        동북아 역사화해에 대한 인식과 감정 그리고 책임

        허춘훙(和春紅),정둥메이(鄭冬梅)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아시아문화연구 Vol.43 No.-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지 71년이 지났지만 동북아 역사화해를 둘러싸고 복잡하게 얽힌 실타래는 아직 풀리지 않고 있다. 한·중·일 3국의 역사인식은 여전히 마찰과 대립을 이어가고 있다. 역사감정은 공감이 부족하고, 역사책임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은 억울해하고 한국과 중국은 이러한 일본의 태도에 반발하고 있다. 역사인식 문제는 한·중·일 3국을 질곡에 빠뜨리고 화해를 어렵게 만드는 난제이다. 이렇게 한중일 3국이 제2차 세계대전에서 서로 상반되는 기억과 주장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한중일 3국의 역사인식을 둘러싼 마찰은 조율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한중 양국은 2차세계대전의 집단기억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일본의 집단기억의 기저에 깔려 있는 피해 의식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대응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협력한다면 역사화해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3국이 진정한 역사화해를 도모하려면 3국의 역사에 대한 인식과 감정이 일치되고 전쟁 범죄의 책임을 대하는 일본의 자세가 3국 정부와 국민들의 기대심리를 만족시켜야 한다. 3국간 역사화해에 영향을 미치는 관건적인 요소는 과거의 침략과 식민지배 역사 그리고 역사문제에 대한 일본의 인식과 입장에 달려 있다. 역사인식, 역사감정, 역사책임 이 세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중·일 3국이 공동 협력하여 동북아 역사화해 국면을 타개해야 한다. 71 years later, the complexity of Northeast Asian -historical reconciliation has been hardly alleviated. There are significant conflicts and confrontation on historical issues between China, the ROK and Japan. In the area of historical emotion, China, the ROK and Japan are lack of “empathy”. When it comes to the area of historical responsibility, Japan seems “aggrieved”, while China and the ROK is surrounded by a questionable even protest mode.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is still the sticking point of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between China, the ROK and Japan. The complete historical reconciliation between China, the ROK and Japan, depending on the accordance of historical cognition and emotion of the three countries, and on Japan’s performance of historical responsibility, whether meets the psychological expectation of both the governments and nations of the three countries or not. The key elements influencing Northeast Asian historical reconciliation still lie in Japan’s cognition of aggression and colonial rule, as well as Japan’s performance on related issues. According to the central issues of historical cognition, emotion and responsibility, China, the ROK and Japan should promote historical reconciliation from these three aspects, reaching real and complete Northeast Asian historical reconciliation.

      • KCI등재

        화가 니콜라이 레리흐의 역사화: 역사적․정신적 근원, 중세와 모던, 색채와 상징

        권정임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9 슬라브학보 Vol.34 No.3

        This article is devoted to the historical paintings of N. K. Roerich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artist's desire for historical origins and modern approach to Russian history of medieval age. Roerich created a series of historical paintings, dedicated to the beginning of Kievan Rus on the basis of archaeological research and historical imagination. Roerich's family thought that its origin was associated with the legendary founder of the Russian state - Rurik, as a result of which from an early age in the artist's work appeared Varangian theme. The thinker-painter Roerich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estate of his childhood and youth Izvar, with which Roerich's inner connection was not interrupted until the end of his life. Near the estate, he participated in local archaeological excavations of old burial mounds and the experience helped him to engage in professional archaeology and history, with which Roerich has created historical paintings. From Izvara, whose name means in Sanskrit “Lord” or “Supreme” to India - his last place of life, the thinker-mystic Roerich went on the way of searching for the Supreme wisdom and spreading these wisdom as a “messenger” of humanity. Unlike the works of other realistic historical painters, the works of the modernist-Roerich are more decorative, flat, sharp in rhythm, integral in form, luxurious and bold in colors. The historical paintings expressed Roerich's desire to avoid narratives, drama, detailed coverage of events and to illustrate a certain historical moment with the atmosphere of the era and the worldview of history. The color of Roerich goes beyond the usual concepts and acquires symbolic meanings. His bright, sonorous colors not only revive the forgotten old history, but also convey his prophecy and perspective about the future of Russia in a symbolic way. 역사화가 레리흐는 러시아 역사의 근원을 다루면서, 고고학적 연구와 역사적 고증에 기반하여 키예프 루시에 대한 새로운 회화적 시각을 창출해 내었다. 레리흐 가문 자체의 발원이 류리크와 바랴그족과 관련된다는 믿음은 화가 레리흐로 하여금 키예프 루시의 발원을 다루는 역사화를 구상하도록 이끌었다. 바랴그의 러시아 도래를 다룬 그의 역사화는 고고학적․역사적 고증에 기반하고 있는데, 이는 자신의 유년 및 청년시절의 영지 이즈바라의 경험에서 비롯되었다. 이즈바라 영지 근처의 옛 고분들을 발굴하고 탐구하면서 느꼈던 머나먼 과거가 지닌 조화와 아름다움의 감정, 고고학적 자료 등을 화가 레리흐는 자신의 역사화 화폭에 그대로 담아내었다. 또한 이즈바라의 어원처럼 신의 지혜를 찾아 순례하는 구도자의 길을 평생 걸으며, 역사의 근원과 세계문명의 원천들을 탐구해 얻어낸 지혜들을 인류에게 알리는 ‘전령’으로서의 소명도 이 영지의 삶에서 영향 받았다. 슬라브 문화의 원천에 대한 사유가 결국 다양한 문화와 문명권의 근원에 대한 탐구로 이어졌으며, 평생을 역사의 전령, 인류 정신의 전령으로서 자신의 존재론적 사명을 예술적 방법으로 풀어내었다. 러시아 역사의 근원인 키예프 루시를 다루는 역사화를 창출하면서, 화가 레리흐는 기존의 다른 화가들이 키예프 루시를 다루는 방식인 영웅적인 인물과 극적인 사건 중심의 접근법, 서사성과 세밀한 장면 묘사 등에서 탈피하여, 익명화된 인물과 시대 전체의 색채와 사건의 전반적 분위기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그는 최소화한 디테일, 선명한 선과 리듬, 보편적이고 장식적인 형태, 대담하고 화려한 색채, 장식적 스타일, 색채를 통한 상징 등을 통해 망각되거나 저평가된 먼 중세인 키예프 루시의 역사를 자신만의 모던한 화법으로 신선하고 활기차게 부활시켰다. 역사의 근원과 정신의 본질에 대한 평생의 추구를 멈추지 않았던 화가 레리흐는 자신의 모던한 역사화를 통해 러시아의 중세 역사를 소환하고, 다가올 미래의 역사를 예감하였으며, 러시아 국가의 기초와 방향성에 대해 통찰한 역사의 '전령'이었다.

      • KCI등재

        평범한 인물들의 비범한 역사: 포드 매독스 브라운의 맨체스터 시청사 벽화 연구

        이미경(Rhi, Mikyung) 서양미술사학회 2021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4 No.-

        《맨체스터 시청사 벽화》(1879-1893)는 포드 매독스 브라운이 맨체스터시의 역사 테마를 주제로 시청사 내에 제작한 12점의 벽화 연작이다. 맨체스터 시청사 벽화는 산업혁명의 성과와 과학적 진보를 입증하는 사실들로 맨체스터시의 문화, 교육, 정치, 종교, 산업 등을 통해 시의 기원과 역사, 정체성의 형성과정 등을 구체화했다. 본 연구는 맨체스터 시청사 벽화를 영국 역사화의 확장 혹은 재편의 문맥에서 살피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맨체스터 시청사 벽화는 예술가, 주제, 기법에서 통일된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영웅, 역사화, 공공성의 개념에서도 불일치를 보였다. 또한 제작하기 전 모든 주제가 결정된 것이 아니라는 사실은 결론이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맨체스터 시청사 벽화의 결론의 부재 혹은 모순을 의미한다. 맨체스터 시청사 벽화는 지극히 평범한 인물들 때로는 여성, 아동, 노인, 노동자 등 사회적 약자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역사화 전통에서는 주목받지 못하는 인물들로서 극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활력을 불어넣는 기능을 한다. 또한 브라운은 영웅주의 역사화에서는 보이지 않는 위트. 유머 등의 감각과 위대한 업적이 아닌 실수와 실패, 일탈의 순간을 묘사했다. 소외된 군상을 소개하고 등장시킨 브라운의 시도는 19세기에는 낯선 시도지만 20세기에는 새롭게 평가받는 감성이다. 브라운의 벽화는 반영웅주의, 노동자, 계급, 노동, 빈곤 등이 드러나 영웅주의에 기반한 역사화와는 다르게 인식함으로써 그 누구도 시도하지 않은 역사화의 확장을 넘어 재편을 시사한다. Manchester Town Hall Murals, painted by Ford Madox Brown, are a series of 12 panels featuring historical themes of Manchester. These murals convey the pride of Manchester as a pioneer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while illustrating the origin, history, and character that define Manchester in cultural, educational, political, religious, and industrial face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in the context of British historical paintings, which were evolving through expansion and reorganization at the time. Manchester Town Hall Murals do not accord a sense of coherency in subjects and techniques. Nor do they conform to the norms of historical paintings that aggrandize heroic figures and promote public relations goals. The fact that the subjects of the panels had not been decided until the moment of painting indicates how far this work deviated from the past historical paintings. Brown portrayed people of the underclass of the society: women, children, the elderly, and laborers. He instilled the sense of wit, humor, mistakes, failures, and deviant behavior. By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historical paintings laden with anti-heroism and ordinariness, Brown helped historical paintings in Britain to expand scope and reshape future directions.

      • KCI등재

        밧세바 또는 매춘부?: 얀 스테인의 “현대적” 역사화

        김소희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9 미술사와 시각문화 Vol.24 No.-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paintings of seventeenth-century Dutch painter Jan Steen as a crossover that features the characteristics of both history paintings and genre paintings. The Netherlands at the time had built the most advanced art markets in Europe and nurtured professional painters with specialized themes of their own creation. Dutch painters had to survive in highly competitive art markets, so they sought to develop their signature genres in order to secure their own artistic territory. Jan Steen distanced himself from the dominant trend. Steen produced a great number of paintings of different genres. He even mixed heterogeneous genre conventions into one single painting. In an attempt to interpret Steen’s cross-genre works, and their implication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image of Bathsheba which frequently appears in Steen’s paintings. Steen’s Bathsheba can be read as both the Biblical figure and a prostitute in contemporary Dutch society. Steen portrays Bathsheba as a lady in modern garb situated in an interior setting specific to the seventeenth-century Netherlands. Many critics since Steen’s time have dismissed his “modern” history paintings as a laughable case of anachronism. This study, however, reinterprets Steen’s “modern” history paintings as part of the painter’s entrepreneurial strategy that capitalizes on humor to appeal to potential buyers. 본 연구는 17세기 네덜란드 화가 얀 스테인(Jan Steen, 1626-1679)의 회화 중 역사화와 장르화의 장르 구분이 모호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와 관련한 화가의 의도를 살펴본다. 본 연구는 역사화와 장르화의 경계에 선 스테인의 작품들 중 특히 밧세바 도상을 주목하였다. 그 이유는 이 도상 속 재현된 여인이 예수의 조상인 밧세바와 동시대 네덜란드 매춘부의 아슬아슬한 경계선에서 관람자의 시선을 집중시키기 때문이다. 스테인의 회화에서 밧세바는 대부분 17세기 네덜란드 실내 공간을 배경으로 동시대 여인의 복장을 하고 등장한다. 고전주의자이자 미술이론가인 헤라르트 데 라이레세(Gerard de Lairesse, 1641-1711)는 그의 저서 『대 화가전(Groot Schilderboek)』에서 역사화를 화가의 동시대 풍습으로 재현한 경우를 언급하며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주제와 주제를 재현하는 세부의 불일치가 관람자에게 혼란을 야기하여 역사 주제를 동시대 사건으로 잘못 파악하게 한다는 것이 데 라이레세의 설명이다. 미술사학자 마리엣 웨스터만(Mariët Westermann) 은 데 라이레세가 비판한 장르화와 역사화의 경계가 모호한 회화를 “현대적” 역사화로 칭하고 이를 스테인의 작품에 구체적으로 적용하였다. 스테인이 데 라이레세가 동시대 화가들에게 피하라고 권고한 현대적 역사화를 의도적으로 생산했다는 사실은 웨스터만의 연구를 포함하여 많은 연구에서 주장하고 있는 바이다. 본 논문은 스테인이 회화 간 장르의 경계를 모호하게 하여 주제를 현대적으로 전달하고자 한 이유를 화가로서 그의 사업적 전략의 일환으로 설명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