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과 영화에 재현된 영국의 인도 식민 지배 - E. M. 포스터의 소설 『인도로 가는 길』과 동명의 영화를 중심으로 -

        노진서(Rho, Jin Seo)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6 No.-

        이 논문의 목적은 소설 『인도로 가는 길』과 영화 <인도로 가는 길>에 재현된 영국의 인도 식민 지배와 그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살펴보고 나아가 소설과 영화를 역사교육에 활용함에 있어서 문제점을 고찰해 보려는 것이다. 소설 『인도로 가는 길』의 작가 E. M. 포스터는 작품 속에서 영국 사람과 인도 사람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인도 사람이 영국 왕의 신민이 될 수 없으며, 또한 인도와 영국이 하나의 국가가 될 수 없다고 하였다. 이것은 소설의 마무리 부분에서 ‘아니야, 아직은 아니야’라는 표현으로 압축되어 있다. 이는 영국인들의 제국주의 이데올로기, 즉 오리엔탈리즘에서 비롯된 차별과 멸시에 대한 인도 사람들의 항변이라고 할 수 있다. 포스터가 이 소설을 집필하던 시기에 인도인들과 영국인들 사이의 대립은 소설 속에 드러난 것보다 훨씬 더 심했을 것이다. 따라서 두 민족과 국가 사이에 격화되고 있었던 대립 관계를 개인 간의 친교 관계로 미화시켜 다룬 내용은 역사적 사실을 왜곡시키기에 충분하다. 그뿐만 아니라 포스터는 인도를 식민 통치하는 영국인 관리들의 사고와 언행에 대하여 비판을 가하지만, 한편으로는 인도의 문화가 미개하다는 식으로 묘사함으로써 영국인들이 주장하는 제국주의 이데올로기를 합리화한다. 또한, 원작 소설을 토대로 만든 영화 <인도로 가는 길> 역시 감독인 데이비드 린에 의해 각색되면서 역사적 사실이 다르게 표현되어 있다. 즉, 영국 제국은 선하고 문명화된 세계로, 인도는 악하고 야만적인 세계로 재현되어 있어서 영국과 인도가 다르다는 단순한 사실이 편견으로 바뀌어 각인된다. 따라서 영국이 인도를 지배하여 문명화시키는 것이 당연하며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이데올로기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말하자면, 소설과 영화가 제국주의의 의도를 뒷받침해 주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영국 민족의 우월성은 도덕성을 갖추게 되고 그것을 근거로 영국은 식민 지배의 당위성을 획득하게 된다. 이렇듯 소설과 영화는 작가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독자나 관객들에게 왜곡된 역사적 사실을 전달할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는 소설이나 또 이미지를 통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영화는 역사적 사실을 알려 주는 효과적인 수단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대로, 소설가나 영화감독은 역사 전문가가 아니므로 소설과 영화에서 다룬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신뢰성을 담보할 수는 없다. 그러므로 역사교육 현장에서는 교육 효과를 위하여 소설이나 영화를 활용할 수는 있으나, 역사적 사실의 확인과 비교를 포함한 효과적 활용방안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facts about British colonial rule in India reproduced in the novel A Passage to India and the movie A Passage to India, and further seek ways to utilize novels and films for history education. E. M. Foster, author of the novel A Passage to India, said in the work that, because British and Indians are different, Indians cannot become subjects of the British king, nor can India and England become one nation. This can be said to be a protest of the Indians against the discrimination and contempt stemming from the British imperialist ideology, that is, Orientalism. At the time Foster was writing this novel,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Indians and the British must have been far more intense than was revealed in the novel. Therefore, the historical fact is highly likely to be distorted by beautifying the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that was intensifying between the two peoples and the state into a reduced personal friendship relationship. Not only that, Foster criticizes the thoughts, words and actions of British officials who colonized India, but on the other hand, it rationalizes the imperial ideology of the British by portraying Indians living in a savage culture. In addition, the film A Passage to India, which was made based on the original novel, was also adapted by director David Lin, and historical facts are expressed differently. In other words, the British Empire is represented as a good and civilized world, and India as an evil and barbaric world. Thus, it creates an ideology that it is natural for Britain to dominate and civilize India. As such, novels and films may deliver distorted historical facts to readers or audiences depending on the intentions of the writer or producer. Nevertheless, novels that arouse interest through storytelling or films that convey messages through images are very effective means to inform historical facts.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since novelists and film directors are not historical experts, they cannot guarantee the reliability of historical facts covered in novels and fil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novels or movies for educational effect 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but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on effective utilization methods including confirmation and comparison of historical facts will continue.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에 구현된 가상세계로서의 역사

        이지영 ( Yi¸ Jiyoung ) 한국고소설학회 2020 古小說 硏究 Vol.50 No.-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은 중국의 역사적 과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작품에 따라 역사적 사건이 소설의 서사와 긴밀히 연관되는 경우부터 소설의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거의 무관한 경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지만, 서사의 중심이 역사적 사건보다는 집안 구성원간의 갈등에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보인다. 또한 한글장편소설이 수용한 '역사'는 연의소설 등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서와는 그 의미가 다르다. 한글장편소설의 주향유층은 역사서가 아닌 연의소설을 통해서 역사를 학습했기에, 한문 식자층과는 역사 인식이 달랐다. 이들은 연의소설에 서술된 허구를 역사적 사실과 구별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역사적 사건보다는 등장인물 간의 갈등에 더 관심을 보인다. 한글장편소설 향유층에게 '역사'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펼칠 수 있는 허구적 공간으로 존재했다. 이 점에서 역사적 과거를 배경으로 한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은 오늘날 픽션 사극과 상응한다.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에서 '역사'를 통해서 구축된 가상세계(fictional world)는 가문을 중심으로 한 인물구도와 함께 연작과 파생작 등 새로운 이야기를 생성하는 장이었다. The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of Joseon set in Chinese historical past. The way of fictionalizing history varies depending on the work. There are some novels in which historical ev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narrative of the novel, while in many novels historical event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narrative of the novels. But in common these novels focus on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meaning of histor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history book. Readers of the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who learned history through historical novels, had a different understanding on history from the intellectuals. They did not distinguish historical facts from fictional narrative and more were interested in the conflict of characters than in historical events. To readers of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history was a fictional world in which interesting stories unfolded. In this regard,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of Joseon correspond to the fictional historical dramas of today. The historical fictional world of Joseon's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was a space in which new story like derivative novels and series novels is created.

      • KCI등재

        역사적 공백을 서사화하는 소설의 방식 -세종 시대를 배경으로 한 팩션을 중심으로-

        김영성 ( Young Sung Kim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연구 Vol.41 No.3

        최근 유행하고 있는 팩션은, 다양한 서술 방식을 동원하여 기록된 역사와 기록되지 않은 역사 사이의 공백을 서사화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역사학의 관점을 승계한다. 이러한 팩션의 유행을 계기로 해서 세종이라는 역사적 고유명사는 다시 소설의 전면에 부각할 수 있었다. 팩션의 관점에 따르면, 박종화의 역사소설 『세종대왕』을 통해 공식화된 가장 이상적인 "군왕"인 세종과 그가 통치했던 시대 역시 역사 서술의 허구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추리소설의 서사전략을 차용하여 대중적 흡인력을 확보한 『뿌리 깊은 나무』와 『훈민정음의 비밀』은 세종과 관련된 역사적 공백을 서사화하기 위해 역사적 가정을 입안한다는 점에서 동일한 특성을 보여준다. 궁궐 안에서 벌어진 연쇄살인사건의 범인을 밝히는 탐정의 조사를 통해 훈민정음 창제 과정에 얽힌 비밀이 서술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동일한 역사적 공백을 서사화하는 과정에 투사된 작가의 욕망이라는 측면에서 두 작품은 확연하게 구분된다. 두 작품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작가의 욕망은 표면적으로는 민족주의라는 거대담론에 귀속된다. 그러나 『뿌리 깊은 나무』의 경우, 민족주의적 관점에서 민족적 영웅인 세종에게 가장 순결한 이미지를 부여하고자 하는 작가적 욕망이 우선한다. 이로 인해 작가 이정명은 역사적 가정이 아닌 공상을 통해 세종에게 거짓된 이미지를 덧씌운다. 따라서 『뿌리 깊은 나무』은 민족주의를 옹호하기 위해 역사적 사실을 조작했다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다. 이러한 비판은 팩션의 장르적 기원인 새로운 역사학이나 미시사적 관점을 상기시킨다는 점에서 그 자체로 문제적이다. 장르적 정체성을 담보하는 가능성의 역사를 충실히 재현할 수 있는 팩션은 역사적 공백의 서사화를 통해 그 어떤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들도 거대담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사실을 폭로할 수 있어야 한다. 『훈민정음의 비밀』이 민족주의 담론의 발현이라는 근원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역사적 인물과의 대화가 가능한 공간으로 독자들을 인도할 수 있었던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공식적인 역사 기록에서 삭제된 인물들의 삶을 충실히 재현함으로써 역설적으로 세종이 민족적 영웅이기에 앞서 한 시대의 담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던 역사적 인물이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사화된 세종과 그의 시대에 대한 역사적 공백을 읽으면서, 독자들은 민족적 영웅인 세종조차 가부장적 질서와 지배 권력의 담론을 보여주었던 인물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이러한 깨달음을 통해, 독자들은 자신들이 소망했던 세종과의 대화적 욕망을 충족할 수가 있게 된다. 역사적 공백을 서사화하는 팩션의 서술 방식이 역사적 공상이나 상상이 아닌 새로운 역사학이 제시한 역사적 추론에 근거해야 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faction based on the period of King Sejong, and to discuss the narrative methods of filling in historical gaps. Faction, a genre that has become very popular recently, uses various narration techniques to merge written history with unwritten history to fill in historical gaps. This genre succeeds the current viewpoint in the field of history. However, factions are criticized because writers deliberately twist historical facts to make their stories appealing. The name Sejong then has been the focus of many novels due to the rise of fac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factions set in the background of the period of King Sejong, we find that the ideal "King" Sejong and the period of his rule can not be free from the inevitable twisting of history by the writers. The novels Tree with Deep Roots and The Secret of Hunminjeongeum are similar, since they both changed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 of detective novels. Both works are set in the palace where a series of murders take place. Both works have an investigator who sets out to find the suspect responsible for the murders. However, during their investigations, they come across intimate secrets regarding the creation of Hunminjeongeum, the first written Korean language which is believed to be invented by King Sejong. However, in the process of filling in historical gaps with narratives, the two works are noticeably different in terms of the writers` desires. On the surface, the two works are similar in that the writers` desires reveal a nationalist discourse, Therefore, the two works can not be immune from criticism since they both twisted historical facts to defend nationalist desires,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sity of such criticisms between the two works, The desire of the author of Trees with Deep Roots was to give King Sejong, a national hero, a pure image, which was influenced by his nationalist beliefs, Because of this, the twisting of historical facts by the author arise frequently in the novel. On the other hand, the author of The Secret of Hunminjeongeum does not intentionally twist or distort historical facts. Rather, this writer creates characters that have not been recorded in history to fill in missing gaps. Readers then, get a sense that King Sejong was not the pure, ideal king that Trees with Deep Roots makes him out to be, but rather a sexist, authoritarian figure. Factions that can give readers such revelations are what readers really want.

      • KCI등재

        훈민정음 창제를 배경으로 한 역사추리소설 연구

        김효진(Kim, Hyo-jin)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8 No.-

        본고는 역사추리소설 『뿌리 깊은 나무』와 『훈민정음의 비밀』의 추리서사를 분석하고 두 소설에 드러난 지배이데올로기와 숨겨진 대중의 욕망을 고찰하였다. 두 소설은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공백의 역사’를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복원하여 숨겨진 역사를 드러내고자 한 역사추리소설이다. 『뿌리 깊은 나무』는 훈민정음이 반포되기 전 7일 동안 벌어지는 집현전 학자들의 연쇄살인사건을 다룬다. 이 소설 전반부는 범죄의 서사가 생략되고 그 공백을 재현하기 위한 조사의 서사가 전경화된 미스터리 소설의 구조를 따르지만 중반부 이후에는 탐정이 범죄의 서사에 참여하고 희생자가 중심이 되는 서스펜스 소설로 변모한다. 이는 알려지지 않은 훈민정음 창제까지의 역사적 공백의 시간을 복원하여 창제 과정의 긴박함을 보여주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추리서사는 독자들이 긴장감을 갖고 더욱 사건에 몰입하게 한다. 『훈민정음의 비밀』은 미스터리 소설과 범죄소설의 특성을 잘 결합한 소설이다. 이 소설은 폐위된 세자빈 봉씨에 얽힌 역사적 비밀을 쫓으면서 훈민정음의 확산을 막으려는 기득권 세력과, 왕권을 노리는 정치적 음모를 밝혀 기록되지 않은 역사의 공백을 그리고자 했다. 독특한 서간체 소설 형식은 각 인물들의 내밀한 생각과 욕망을 드러나게 하여 독자들이 수많은 인물들의 생각을 직접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독자들이 탐정보다 더 우위에 있는 구조로 독자들이 더욱 능동적으로 각 사건에 참여하도록 하여 능동적 독서를 유도한다, 역사추리소설에서 탐정과 범인의 대립 구조는 선악의 대립 구조로 치환된다. 이는 탐정의 승리, 곧 선의 승리를 보여줌으로 지배 이데올로기에 순응한다. 두 소설은 모두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그것을 확산시키려는 세종이 선, 기득권을 지키고 권력을 빼앗길 원하는 반대 세력이 악이 되는 구조로 이는 모두 민족주의 거대담론으로 귀결된다. 그러나 세종을 완벽한 영웅이 아닌 고난과 갈등 속에서 역사적 사명을 수행하는 인간적인 지도자로 그려냄으로 이전의 세종과는 변별성을 보인다. 또 이름 없는 민중들을 소설의 전면에 내세움으로 역사의 주변자가 아니라 역사를 이끌어가는 주체가 되고 싶은 대중의 욕망을 간접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한편으로는 지배계층의 거대담론에 억눌려 있는 여인들의 삶에 관심과 연민을 드러낸다.

      • KCI등재

        한국에서의 중국소설 연구(1)

        조관희 한국중국소설학회 2002 中國小說論叢 Vol.15 No.-

        This thesis is written as one of the master plans which overview the accomplishments of Chinese narrative in Korea. Seo Kyung-ho is a outstanding scholar who studied Shan-hai Jing and the theory of Chinese narrative. He's been interested in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hinese narrative. According to him, Zhi-guai and Chuan-qi can not be seen as a novel in its own meaning, but as a kind of 'novelistic possibility'. His arguments is based on the belief we should see the Chinese narratives from the modern or contemporary perspectives. But I think that he ignored the historical relativities of the study of Chinese narrative. He was stuck into the contemporary values, so could not see the narratives in the pre-modern stage as itself. Cheong Jae-seo is one of his opponents, has been against Seo's assumption. Cheon's main theory is based on the denial of cultural imperialism which divided all the paradigms of Chinese studies into 'Impact-Response' model. He thought Seo's assumption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at. At this point, I really feel so sorry for their argumentation not being developed into a proper one.

      • KCI등재

        낙선재본 고전소설에 나타난 허구적 이야기세계의 서사전통

        이지영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 장서각 Vol.- No.49

        This study focuses on the historical figures in Nakseonjae Korean novels. Historical figures are portrayed within the fictional world as a possible world for the real historical world. The real historical world is constructed based on the author’s knowledge of history, and the fictional world exists independently as a possible world of the actual world. However, since the fictional world is a possible world of the actual world, it is not entirely detached from it, and multiple fictional world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round the actual world. The connection between the actual world and the fictional world makes it possible for the shadow of the actual world to be present in the fictional world, creating a sense of reality for the reader. Moreover, the fictional world imitates the narrative style of history to create the reality effect, making itself a perfect story world. Some of the novels of Nakseonjae depict alternative lives of historical figures in the fictional world, representing the author’s critical perception of real life through the fictional worl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Nakseonjae Korean novels correspond to those of historical dramas today. Therefore, we can understand the narrative traditions of fusion/fictional historical dramas. 이 글은 낙선재본 고전소설이 허구적 이야기세계를 형성하는 과정을 가능세계 이론을 통해서 설명하였다. 낙선재본 소설의 허구적 이야기세계는 작자의 역사지식에 의해 구성된 역사적 실제세계의 가능세계가 소설에서 구현된 것이다. 동일한 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라도 서사의 내용은 각기 다른데, 실제세계를 둘러싼 가능세계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허구적 이야기세계는 실제세계의 가능세계이기 에, 실제세계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면서도 실제세계 주위에 존재하면서 다른 허구적 세계와 연결된다. 그렇기에 독자들은 서로 다른 이야기세계에 등장하는 역사적 인물 을 동일하다고 인식하게 된다. 허구적 세계는 역사의 서술방식을 모방하여 실제세계 처럼 보이도록 꾸민다. 이러한 ‘사실효과’로 인해 독자는 이야기세계 안에서 허구적 서사를 ‘사실인 것처럼’ 수용하여 이야기에 몰입하게 된다. 낙선재본 소설은 역사적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면서 허구적 세계를 통해서 역사적 인물의 대체적 삶을 제시하기 도 하는데, 현실에 대한 작자의 비판인식과 욕망이 허구적 세계를 통해서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낙선재본 소설의 서사적 특징은 오늘날 사극드라마와도 상응하는 서사적 전통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1910년대 잡지에 나타난 장르분화와 언어의식 : 역사,허구의 분리와 근대 소설의 재현 관념을 중심으로

        송은영 ( Eun Young Song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0 石堂論叢 Vol.0 No.48

        한국 근대 문학을 탄생시킨 ‘문학’과 ‘소설’ 개념의 번역은 ‘비교’와 ‘대조’의 방법론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광수, 김동인, 염상섭 등 근대 소설을 한국 문학사에 안착시킨 소설가들이 수행한 이 작업은, ‘이야기/소설’의 대립과 ‘역사/소설’의 비교라는 이중적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이광수, 김동인, 염상섭이 근대 이전의 “이야기”들과 차별화시킨 근대 소설의 특성은, 당대 현실의 사상, 감정, 생활에서 제재와 내용을 찾아야 한다는 현실적 ‘대상’의 측면과 그것이 생생한 사실처럼 느껴지도록 재현해야 한다는 사실적 ‘방식’의 측면을 모두 포함했다. 문학에서 현실 반영의 기능과 양식을 중시하는 것은 오늘날 잘 인식되지 않지만 실상 완전히 새로운 발상이었다. 근대 초기 소설가들은 소설이 재현해야 하는 대상을 과거의 ‘역사’에서 유래한 ‘사실’이란 동일한 언어로 사고했지만, 그들이 생각한 ‘사실’이란 근대 초기에 새롭게 구성된 개념으로서 인생의 참된 진상과 진리라는 새로운 인식론적 실재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여기에는 개인의 내면적 능력과 주관성, 개성에 대한 옹호와 신뢰가 깔려 있다. 허구란 참된 사실을 재현하기 위해 예술가의 주관적 능력과 독창적 시각에 의해서만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소설을 이해하고 인식하기 위한 두 방향의 실천에서 공통된 대상은 바로 ‘역사’였으며, 이는 ‘사실’ 개념의 중층화를 꾀한 메타언어적 의식의 소산이었다. 소설과 함께 사실효과와 사실적 재현양식이 정착되면서, 소설은 당대 사회의 삶과 현실을 바라보고 구성하는 인식론적 틀이자 개인과 민족이라는 근대적 정체성을 주조하는 양식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It was through the methodology of comparison and contradiction that concepts translations of ``literature`` and ``novel`` gave birth to Korean modern literature. This process was performed by the early novelists such as Lee Kwang-soo, Kim Dong-in, Yeom Sang-sub and was accomplished by their dual comparisons of ``iyaki/novel`` and ``history/fiction``. They differentiat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novel with pre-modern narrative style, ``iyaki``. That included both the objects of seeking for literary contents in comtemporary reality and the ways of representing them like vivid facts. They drew such a word of ``fact`` from history for expressing a new literary truth that they could think about the dual concept of ``fact`` and the new epistemological reality of true life. Their idea which was owed to words of ``fact`` and ``history`` stemmed from meta-lingual consciousness. Therefore novel became a realistic representation style and became a epistemological frame of looking social reality.

      • KCI등재

        1910년대 잡지에 나타난 장르분화와 언어의식 - 역사·허구의 분리와 근대 소설의 재현 관념을 중심으로

        송은영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0 石堂論叢 Vol.0 No.48

        It was through the methodology of comparison and contradiction that concepts translations of ‘literature’ and ‘novel’ gave birth to Korean modern literature. This process was performed by the early novelists such as Lee Kwang-soo, Kim Dong-in, Yeom Sang-sub and was accomplished by their dual comparisons of ‘iyaki/novel’ and ‘history/fiction’. They differentiated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novel with pre-modern narrative style, ‘iyaki’. That included both the objects of seeking for literary contents in comtemporary reality and the ways of representing them like vivid facts. They drew such a word of ‘fact’ from history for expressing a new literary truth that they could think about the dual concept of ‘fact’ and the new epistemological reality of true life. Their idea which was owed to words of ‘fact’ and ‘history’ stemmed from meta-lingual consciousness. Therefore novel became a realistic representation style and became a epistemological frame of looking social reality. 한국 근대 문학을 탄생시킨 ‘문학’과 ‘소설’ 개념의 번역은 ‘비교’와 ‘대조’의 방법론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광수, 김동인, 염상섭 등 근대 소설을 한국 문학사에 안착시킨 소설가들이 수행한 이 작업은, ‘이야기/소설’의 대립과 ‘역사/소설’의 비교라는 이중적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이광수, 김동인, 염상섭이 근대 이전의 “이야기”들과 차별화시킨 근대 소설의 특성은, 당대 현실의 사상, 감정, 생활에서 제재와 내용을 찾아야 한다는 현실적 ‘대상’의 측면과 그것이 생생한 사실처럼 느껴지도록 재현해야 한다는 사실적 ‘방식’의 측면을 모두 포함했다. 문학에서 현실 반영의 기능과 양식을 중시하는 것은 오늘날 잘 인식되지 않지만 실상 완전히 새로운 발상이었다. 근대 초기 소설가들은 소설이 재현해야 하는 대상을 과거의 ‘역사’에서 유래한 ‘사실’이란 동일한 언어로 사고했지만, 그들이 생각한 ‘사실’이란 근대 초기에 새롭게 구성된 개념으로서 인생의 참된 진상과 진리라는 새로운 인식론적 실재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여기에는 개인의 내면적 능력과 주관성, 개성에 대한 옹호와 신뢰가 깔려 있다. 허구란 참된 사실을 재현하기 위해 예술가의 주관적 능력과 독창적 시각에 의해서만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소설을 이해하고 인식하기 위한 두 방향의 실천에서 공통된 대상은 바로 ‘역사’였으며, 이는 ‘사실’ 개념의 중층화를 꾀한 메타언어적 의식의 소산이었다. 소설과 함께 사실효과와 사실적 재현양식이 정착되면서, 소설은 당대 사회의 삶과 현실을 바라보고 구성하는 인식론적 틀이자 개인과 민족이라는 근대적 정체성을 주조하는 양식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 KCI등재

        단형서사장르와 고소설, 이분법을 넘어서

        이강옥 ( Lee Kang-ok ) 한국고소설학회 2017 古小說 硏究 Vol.44 No.-

        ‘신화의 시대’, ‘전설의 시대’, ‘소설의 시대’라고 시대를 구획하고 그 역사적 전개를 설명하는 것은 문학사의 지배적 경향을 지칭해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지만, 한 시대에서 다음 시대로 전환되는 식으로 만 설명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전이 전으로 존재하는 시대, 전에서 소설로 이동한 경향이 더 강한 시대, 전이 소설화된 시대 등을 단선적으로 구획하기도 어렵다. 여러 단형서사 장르는 매 시기 다양한 사람들의 서사욕망에 부응하여 존재했다. 형성과정, 세계관, 진실성에 대한 신뢰 등의 결합 양상을 통해 보았듯, 각 시대의 향유층은 다양한 서사 형식들을 요구해왔다. 여러 단형서사 장르들은 그에 잘 부응하여 제 노릇을 다해왔다. 소설도 그 중 하나로 인정될 만하고, 어떤 시기에는 지배적 역할을 했다고 인정한다. 그러나 다른 단형서사 장르들이 소설의 출현으로 제 노릇을 끝냈거나 시효를 다한 것은 아니다. 서사적으로 길고 복잡한 것에 대한 집착이 짧고 단순한 것에 대한 학문적 폭력을 불러온 것은 아닌가 반성이 필요하다. 신화, 전설, 민담, 전, 일화, 필기, 패설 등에 대한 연구의 집적은 단형서사 장르들 고유의 존재 양상을 독자적으로 살필 수 있을 단계에 이르게 했다. 잡록집이나 야담집에 실린 작품들이 다양한 장르적 속성을 지니며 아직도 그 체계를 온전하게 설명할 수 있는 틀이 마련되지 않았기에 단형서사 장르론은 계속되어야 한다. 그것들을 더욱 세밀하게 규정하고 설명할 할 수 있도록 하위 유형을 나누는 일도 수행해야 할 것이다. 우리 서사문학사에 고유한 질서와 원리를 부여함으로써 보편적 장르 이론으로 나아갈 길을 모색한다는 의의도 가진다. 그런 독자적 존재를 인정한 뒤 그것들과 소설의 관계를 따져보아야 한다. Divid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literature into 'the age of myth,' 'the age of legend,' 'the age of novel' is a meaningful way of foregrounding the dominant literary tendency of the time. However, Explaining the literary development as turning from one era to another ensues quite a significant logical gap. It is hard to make a linear classification among the age that biography existed as biography itself, the age that biography showed a strong impetus to become novel, the age that biography developed into novel. Several short narrative genres has reflected various groups' desire for story. Novel deserves to be recognized as one of them and has played the central role at a certain era. The emergence of novel does not necessarily lead to the termination of the short narrative genres. Accumulation of research on myth, legend, folktale, biography, anecdote, Pilgi(筆記), and Paeseol(稗說) helps understand uniqu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hort narrative genres. In order to make more detailed classification and explanation, it is imperative to continue studying and dividing into the sub genres of the short narratives. Establishing the distinct order and principle of the narrative literature is a preceding step toward finding a universal genre theor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ovel and the short narrative genres would lead to a meaningful result only after the acknowledgment of each short narrative as an individual genre.

      • KCI등재

        현대 소설사 서술방법에 대한 반성과 모색

        유철상(Yoo Cheol-sang) 한국근대문학회 2010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1 No.1

        최근 현대 문학사 연구는 전반적으로 침체의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러한 침체의 원인에 대한 진지한 검토는 도리어 현대 소설사가 새로운 변모를 시도하고 나아가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이글의 취지이다. 과거의 문학사나 소설사 서술에 대해 철저히 반성하고 아울러 새로운 서술방식을 모색해 볼 때, 과감한 가치체계의 수정에 바탕을 둔 진정한 문학사적 재평가가 시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서술된 현대 문학사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문학사가 시대구분의 관점이나 연구방법을 사회사나 문화사 등 일반 역사에 크게 의지하였다는 점에 있다. 소설사 역시 그간 함몰되었던 역사적 객관주의나 비문학적인 연대기적 질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소설 작품의 문학 내재성과 미학성에 대한 인식이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었다. 기존 문학사가 보여준 또 다른 문제점은 문학사 서술과정 자체가 지닌 전체주의적 사고에서 연유한다. 하나의 시대에 그 시대를 대표하는 하나의 정신과 문학을 담는다는 문학사의 이성중심적 사고방식과 서술체계야말로 결국은 문학사를 쇠퇴의 길로 들어서게 만드는 근본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가치체계화를 통해 작품의 개별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여기에 전체의 역사적인 질서를 부여할 때 비로소 정당한 소설사 서술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보았다. 문학사의 본령이 문학적 진술방식과 담화방식을 연구하는 것에 있다고 한다면, 소설 장르의 규범이나 기준, 관습 등의 변화과정을 추적하는 장르사로서의 소설사가 제대로 기술될 때 비로소 문학사의 진정한 서술방향이 잘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the descriptive method of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novel and its problems. So far the study of modern literary history has been on the decline. Most serious problems involved in the written and published literary history are the borrowing of the research method and viewpoint of periodization that applied generally in social and cultural history. For the extrication from this historical objectivism or heteronomy, it must be emphasized that literary history is focused on the changes of narrative and description way according to the times. Other problems that Korean modern novel history has shown are totalitarian standpoint that a period has a representative spirit and work. This logocentrism that led the literary history astray should be eliminated through the systematization of value. Evaluating the works in literary history gives total system the oder and hierarchy without impairing the individuality of the special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