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에 구현된 가상세계로서의 역사

        이지영 ( Yi¸ Jiyoung ) 한국고소설학회 2020 古小說 硏究 Vol.50 No.-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은 중국의 역사적 과거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작품에 따라 역사적 사건이 소설의 서사와 긴밀히 연관되는 경우부터 소설의 내용이 역사적 사실과 거의 무관한 경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지만, 서사의 중심이 역사적 사건보다는 집안 구성원간의 갈등에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보인다. 또한 한글장편소설이 수용한 '역사'는 연의소설 등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서와는 그 의미가 다르다. 한글장편소설의 주향유층은 역사서가 아닌 연의소설을 통해서 역사를 학습했기에, 한문 식자층과는 역사 인식이 달랐다. 이들은 연의소설에 서술된 허구를 역사적 사실과 구별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역사적 사건보다는 등장인물 간의 갈등에 더 관심을 보인다. 한글장편소설 향유층에게 '역사'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펼칠 수 있는 허구적 공간으로 존재했다. 이 점에서 역사적 과거를 배경으로 한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은 오늘날 픽션 사극과 상응한다. 조선시대 한글장편소설에서 '역사'를 통해서 구축된 가상세계(fictional world)는 가문을 중심으로 한 인물구도와 함께 연작과 파생작 등 새로운 이야기를 생성하는 장이었다. The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of Joseon set in Chinese historical past. The way of fictionalizing history varies depending on the work. There are some novels in which historical even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narrative of the novel, while in many novels historical events have nothing to do with the narrative of the novels. But in common these novels focus on conflicts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meaning of history is different from that of a history book. Readers of the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who learned history through historical novels, had a different understanding on history from the intellectuals. They did not distinguish historical facts from fictional narrative and more were interested in the conflict of characters than in historical events. To readers of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history was a fictional world in which interesting stories unfolded. In this regard,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of Joseon correspond to the fictional historical dramas of today. The historical fictional world of Joseon's full-length novels in Hangeul was a space in which new story like derivative novels and series novels is created.

      • KCI등재

        연민과 공감의 서사로 본 심청전

        이지영 ( Yi Jiyoung ) 한국고전문학회 2017 古典文學硏究 Vol.52 No.-

        이 논문은 그동안 효를 중심으로 해석되었던 심청전을 연민의 서사로 읽고자 하였다. 우선 송만재의 <관우희>와 신위의 <鳳山?子荊釵記>에 관한 기록을 통해 심청전이 가난하고 눈먼 아비에 대한 연민의 서사로 존재했을 가능성을 찾았다. 다음으로 심봉사와 심청의 삶이 어떻게 연민의 감성으로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폈다. 심봉사의 젖동냥과 심청의 동냥 대목은 궁핍하게 살아가는 절망적 상황에서도 서로 의지하는 부녀의 가족애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자면 심봉사의 시주약속은 눈을 떠서 이런 상황에서 벗어나려는 소망으로 해석되며, 심청의 매신도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선택이 된다. 이들의 절망적 상황에 공감할 때 심청전은 연민의 서사로 수용될 수 있다. 심청전에서는 특히 이웃의 존재가 부각되는데, 이는 텍스트 밖 독자들의 연민이 텍스트 내 이웃의 연민으로 전환되어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심청전의 ‘눈먼 아비’는 당시 보편적으로 존재하였던 ‘무력한 가장’에 대한 은유라고 볼 수 있다. 18세기 후반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自賣文記는 굶주림에 자식을 팔기도 한 무력한 가장들을 기록하고 있다. 독자(청자)들은 이런 현실 에서 가장의 무력함을 어쩔 수 없는 일로 받아들였기에 심봉사에게 연민을 느꼈을 것이다. This study is for the reading Simcheongjeon as the narrative of compassion. In Simcheong’s life mother’s death resulted in crisis of viability of Simcheongand her father, Blind Sim. Blind Sim was blind so he could not breed his daughter alone. But he begged neighbor women’s milk door to door. After Simcheong had grown up, she begged neighbor for her father. Their life was so miserable, but they showed family affection. Then crisis happened when Blind Sim promised monk of the temple Mongunsa to oblate 300 whole bag of rice. To get the amount of rice Simcheong could not help selling by herself for offering to sea-god, because Sincheong believed in a miracle from the oblation and it was the only hope for escape from miserable reality. Her decision resulted from despair and hope both. In Simcheongjeon, the neighbors who felt compassion on Sim’s and helped them. They reflected the readers who felt compassion too. I think the reason why Simcheongjeon had been read as the narrative of compassion is the compassion on the blind father. The blind father is not just handicapped father, but is the metaphor of the incapable father. Behind the matter is the harshinps of reality in late Choseon. The lower class actually sold their children during famine for some rice. so the reader whould feel compassion for the Sim’s miserable life and the tragedy. They would shed a tear not for the Simcheong's filial piety, but for their poor life.

      • 『춘향전, 역사학자의 해석과 토론』에 대한 서평

        이지영(Yi, jiyoung)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2020 東亞文化 Vol.58 No.-

        저자(오수창 교수)는 춘향전에 대한 기존 연구가 문학작품을 통해 이념을 확인하기 위한 노력이었다고 비판하면서, ‘삶의 현장’ 안에서 춘향전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도에서 춘향의 신분 및 신관 사또와의 대결을 법적·제도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춘향전을 ‘기생 춘향이 자신의 사랑을 지키기 위해서 목숨을 걸고 저항한 이야기’로 해석하였다. 또 이러한 주제가 가장 잘 표현된 이본으로는 완판 84장본을 들었다. 이러한 저자의 해석은 춘향전에 반영된 역사적 현실로서의 ‘민중의 저항’을 생생하게 드러내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춘향전이 통속 소설로 인기를 누린 것은 ‘민중의 저항’만으로 설명하기 힘들며, 향유층의 욕망과 감성을 고려하여 텍스트를 당대 문화적 맥락에서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춘향전은 적층문학으로 존재하면서 다양한 이본을 생성하였고 춘향전의 주제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춘향전 연구도 춘향전의 다양성과 개방성을 규명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rofessor Oh Su-chang criticized the previous research on Chunhyangjeon as an effort to confirm its ideology. So he tried to analyze Chunhyangjeon in the ‘place of Life’ and studied Chunhyang’s status and resistance to the new government-satto in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Through this process, Chunhyangjeon is interpreted as a story of Gisaeng Chunhyang’s desperate resistance to protect her love and 84-page text published in Jeonju evaluated as the best example of Chunhyang’s resistance. This is an attempt to show ‘people’s resistance’ as a historical reality more richly and vividly. However, it is hard to explain the popularity of Chunhyangjeon in the aspect of ‘people’s resistance,’ and for the study of the text in the cultural context of that time, consideration of the desires and emotion of the public is needed. In addition, Chunhyangjeon has been an oral literature for a long time, producing various versions. In the meantime, the subject have been changed in various directions. Therefore, the study of Chunhyangjeon should also b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identifying its diversity and openness in the cultural context.

      •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능동적 추적 시스템의 다중 객체 지원 기법

        이신영(Shinyoung Yi),이지영(Jiyoung Yi),차호정(Hojung Cha)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2D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초음파 기반 위치 인식 기술은 저비용 및 정확성을 장점으로 갖는, 잘 알려진 실내 위치 인식 기술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4 라디오 기반의 능동적 추적 시스템에서 다중 이동 객체의 위치 인식을 지원하는 추적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능동적 추적 시스템에서의 다중 객체 위치 인식 기술 개발상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저비용의 Adaptive Beaconing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한 추적 시스템을 구현한 후, 실제 건물 내부에 배포하여 실험함으로써 다중 객체 위치 추적을 위한 알고리즘의 이론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 KCI등재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에서 나타난 초등학생들의 발화 유형 분석

        차경환(Cha, Kyung-Whan),이지영(Yi, Jiyoung)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018 초등영어교육 Vol.24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ays in which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t involved with classroom discourse in terms of voluntariness and the types of their utterance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o pursue the goal, this study investigates an English classroom with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 how often the students attempted to initiate communication in classroom discourse, (b) what types of utterances were produced in teacher-initiated discourse and student-initiated discourse.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class of twelve 4 th graders taught by their English teacher was regularly observed and recorded by the researchers on their parents’ consent. The data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Ratner’s (2002) meaning unit. Findings include (a) only 38% of their English speaking was initiated voluntarily, (b) their voluntary speaking, however, showed a much wider range of communicative functions than their speaking created for the teacher-initiated discourse, and (c) the voluntarily initiated discourse helped them to actively get involved in and manage their academic and social events as well as express their feelings. Such voluntary speaking, however, was not fully appreciated as the teacher did not provide enough feedback on both form and meaning. Consequently, their voluntary speaking was not developed into an expanded discussion.

      • KCI등재

        미세플라스틱의 저감 및 관리를 위한 입법적 연구

        유다원 ( Dawon Yu ),방제성 ( Jeseong Bang ),이지영 ( Jiyoung Yi ),한주예 ( Juye Han ),윤혜선 ( Hye-sun Yoon ) 한국환경법학회 2022 環境法 硏究 Vol.44 No.1

        최근 들어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환경 및 인체에 끼치는 영향이 여러 연구 결과를 통해 가시화되면서, 국가적 대응책을 요구하는 우리 국민의 목소리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EU를 중심으로 해외 주요 국가들이 미세플라스틱을 국제환경정치의 현안에 놓고 규제를 강화하려는 기조를 보이는 등 전 세계적으로 미세플라스틱 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입법적 노력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EU는 미세플라스틱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시도하고 있으며, 2022년 3월에는 UN이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한 플라스틱에 관한 국제협약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동향을 살피건대, 미세플라스틱을 규제하기 위한 국내외적 대응의 필요성과 국제협력이 더욱 강조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분위기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현행 법체계는 미세플라스틱 오염 대처에 실효적이지 못하다. 무엇보다 「화학제품안전법」이나 「화장품법」 등 미세플라스틱이 문제된다고 알려진 일부 영역에서 고시를 통해 미세플라스틱을 산발적으로 규제하고 있어서 규제의 통일성이나 일관성이 부족하고, 1차 미세플라스틱 중에서도 극히 일부만이 규율되어 규제 범위가 협소하다. 또한, 법제화의 방식이 지나치게 행위규제 중심적이기 때문에 규제의 실효성도 의심된다. 본고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을 통합적이고 실효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입법적 방안을 마련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에 본고는 먼저 미세플라스틱의 개념과 유형, 배출 현황 및 환경·인체에의 영향을 개관하여 미세플라스틱 오염 문제의 심각성을 검토하고, 미세플라스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국내의 법제적 접근 방안을 살펴 그 의의와 한계를 조명하였다. 나아가 유럽연합의 입법례와 정책을 중심으로 미세플라스틱 문제에 관한 해외의 법적 조치를 검토하고 법제도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미세플라스틱 저감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을 제안하였다. Recently, as negative influences of microplastic pollution have been scientifically verified, the public have called for the government to arrange countermeasures. Furthermore, legislative efforts to mitigate microplastic pollution are being observed around the world with foreign countries, especially the EU membership, trying to place it on pending issue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politics and to tighten regulations. In particular, the EU intends to arrange legislation focused solely on microplastics, and the UN, in March 2022, announced its plan for an international agreement on plastic and microplastics. Taking these into consideration,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respond to microplastic pollution is expected to be further emphasized. Despite this encouraging atmosphere, Korea's current legal system is not effective in dealing with microplastic pollution. Above all, the relevant regulations lack consistency and unity because they are sporadically legislated in a few areas where microplastics are known to be problematic. At the same time, their effectiveness is also suspected because only a few of the primary microplastics are regulated and the method of legislation is too much centered to regulation on conduct. This paper aims to solve this crux of our current legal system and come up with legislative measures to effectively regulate microplastics in an integrated and comprehensive manner. Therefore, this paper first outlines the seriousness of microplastics pollution by reviewing the concept and type of microplastics, current status of its emission, and its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human body, and then the examination on domestic legislative approaches follows. Furthermore, focusing on legislation and policies of the European Union, overseas legal measures to cope with the microplastic pollution are reviewed,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are drawn from them. Finally, based on the studies above, a bill for reduction and management of microplastics is proposed.

      • 페미니즘 연극에서 창작자들이 사유해야 할 지점들에 대한 고찰

        이지영 ( Yi¸ Ji Yo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1 한국어와 문화 Vol.29 No.-

        국내 연극계는 서지현 검사의 미투(#Me Too) 이후로 페미니즘 관점을 적극 수용하는 페미니즘 계열의 공연들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특히, 2010년대 후반부터 국내 페미니즘 공연들은 여성과 소수자들의 드러나지 않았던 목소리와 그동안 묵과했던 사회구조적 문제점들을 전면에 내세우며 자성의 시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여성 창작자들이 주목받는 부차적인 효과 역시 견인하고 있다. 관객들도 이제는 젠더-프리(Gender-free) 캐스팅이나 젠더-밴딩 (Gender-bending, 성별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드는 것) 캐스팅을 유쾌한 전복으로 받아들이는 등 짧은 사이에 변화되고 성숙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필자는 페미니즘 계열의 공연들이 더 안정적으로 국내 공연계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창작자들이 고민해야 할 지점과 논의 되어야 하는 지점들이 있다고 보았다. 본고에서는 페미니즘 공연의 창작자들이 사유하고 경계해야 할 지점들을 크게 세 가지로 압축해 보았다. 첫 번째는 공연을 통해 여성 또는 소수자들의 다양한 정체성과 교차성 (intersectionality)을 입체적으로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기존 접근법의 답습이 아닌 새로운 접근 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페미니즘 공연의 주제나 소재가 실존 인물이나 사건을 바탕으로 하는 경우에 다른 공연들과 달리 조심스러운 접근법이 필요한데 이 경우, 페미니스트 페다고지 (Feminist Pedagogy) 전략들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고 보았다. 두 번째는 성별 이분법에 저항하는 공연의 전략과 표현들이 상투적이거나 단순하면 그것은 오히려 기존의 젠더 고정관념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창작자들이 인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성성과 남성성을 단순 도치시키는 방법, 성별의 고착화 된 특성을 희화화해서 웃음을 유발하는 표현방식들은 자칫하다가 기존의 성별 고정관념을 더 강화시킬 수 있으니 경계해야 할 것이다. 세 번째는 위의 페미니즘 접근법과 성별 이분법에 저항하는 다양한 전략을 찾기 위해서는 창작자 모두가 수평적 관계에서 협업하며 다양한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는 공동창작의 방식이 가장 유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고는 국내 페미니즘 공연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화 되고 새로운 지평을 열어가기 위해 창작 주체들이 고민해야 할 지점들을 짚어봄으로써 페미니즘 공연의 발전에 아주 작은 기여를 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In the domestic theater community, a performance in which feminist perspectives are actively embraced is sprouting like a fashion, after the #Me Too declaration by prosecutor Seo Ji-Hyun. In particular, since the late 2010s, feminist performances in Korea have uncovered hidden voices of women and minorities, and social structural problems that have been overlooked so far were brought to the fore. This provides a time for self-reflection and at the same time unexpectedly brings female creators to the spotlight. The theater community is showing a changed and mature attitude in a very short time; for example, it accepts gender-free casting or gender banding (which obscures the gender distinction) casting as a pleasant turnaround. However, it seems that in order for feminist performances to more stably settle in the domestic performance community, there are things that the creators must consider and discuss. In this paper, three major points are summarized that the creators of feminist performances should consider and be warned against. The first is that in order to three-dimensionally restore the various identities and intersectionalities of women or minorities through performances, a new approach is needed, instead of repeating the existing approach. In particular, when the subject or subject matter in feminist performances is based on real people or events, unlike in other performances, a careful approach is needed. In this case, it seems that the answer can be found in the feminist pedagogical strategy. Second, If the strategies and expressions used in the performances that defy gender dichotomy are clichéd or simple, they can reinforce the existing gender stereotypes, which creators should recognize. Since methods of simply switching between femininity and masculinity, and expressions that mock the stereotyped characteristics of gender to induce laughter may backfire, reinforcing existing gender stereotypes, to which the creators should pay attention. Third, we need to find a variety of approaches about the above feminist approach and how to defy gender dichotomy. To that end, the co-creation method, in which all creators collaborate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and present various approaches, seems to be the most useful. This paper explored the points that the creators should consider in order to stabilize domestic feminist performances and open up new horizons. Thus, I believe this exploration can make a very smal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feminist performances.

      • KCI등재

        20세기 초 미주 한인 소설 <부도>에 대한 고찰

        이지영 ( Yi¸ Ji-yo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9 No.-

        <부도>는 1세대 미주 한인 전낙청이 한글로 쓴 미발표 장편소설이다. 19세기 말 평안도 정주를 배경으로 한 부도와 외대의 사랑이야기가 중심으로, 부도와 외대가 서로를 점차 사랑하게 되는 과정과 외대가 다른 남성과 혼인한 이후에도 지속되는 이들의 사랑을 섬세하고 그리고 있다. 외대의 혼인 이후 부도는 외대 외에도 수무·우목·기화 등 다른 기혼여성들과도 동시에 교제하는데, 외대가 병으로 죽고 청일전쟁이 일어나자 부도와 여성들은 칠학산에 모여 음주가무를 즐기다 홀연 사라진다. <부도>에는 <구운몽>·<앵앵전>·<홍루몽>을 읽었던 작자의 독서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여러 여성과 한 남성의 사랑은 <구운몽>의 영향이라고 할 수 있으나 사랑이 혼인으로 이어지지 않고 여성 주인공이 비극적으로 죽는 결말은 <앵앵전>과 <홍루몽>의 영향으로 보인다. 또한 전낙청은 자신의 젊은 시절 고향에 대한 기억을 소설에 수용하고 있다. 즉, 자신과 출생연도가 비슷한 주인공 부도를 통해 자신이 기억하는 고향 정주의 풍경과 사람들의 삶을 세밀하게 그린다. 그러나 부도의 뛰어난 상업수완이나 여러 여성들과의 파격적인 사랑은 작자의 경험이 아닌 허구이다. 전낙청은 고된 노동에 시달리는 이민자로 살면서 현실에서 이루지 못한 욕망을 소설적 허구를 통해 성취했던 것이다. Budo is the full-length novel written in Korean by Nak chung Thun (1876-1953), the first generation Korean American. Budo is a love story of hero Budo and heroin Oe-dae, depicting delicately how they fall in love. Budo and Oe-dae could not get married because of both parents’s opposition, nevertheless they continue their love. In addition, Budo gets in love with other married women besides Oe-dae, so the women who all are married with other man, shares love of Budo. At last Oe-dae died. And Budo and other women disappear and remain stones. Budo appears to have been influenced by pre-modern fictions such as The Cloud Dream of the Nine, Romance of the Western Chamber and Dream of the Red Chamber. The love of a man and a plural woman was taken from The Cloud Dream of the Nine while the tragic ending of love was from Romance of the Western Chamber and Dream of the Red Chamber. Thun created a new form of love from such traditional novels. In writing Budo, Thun recall his memories in his hometown, Chŏngju, P’yŏngan-do. Through his memory, Thun describes the scenery of his hometown in the late 19th century. But Budo is not his autobiography. The hero is fictionalized as the character of extraordinary ability in love and business. After immigration, Thun suffered from poverty and racism, and his wife died in tragic. Because of this situation, for Thun writing a novel was a fictitious achievement of frustrated desi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