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 『국어』, 『문학』교과서 수록 설화의 여성 형상화 방식과 그 교육의 문제

        황윤정(Yun jeong Hwa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3

        본고에서는 2022 교육과정의 개정을 앞두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 󰡔국어󰡕,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설화 작품에 드러난 여성 형상화 방식 및 그에 대한 교육내용의 현황을 살피는 것으로 설화 교육의 미래 지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의 국면에서 문학 작품과 학습 독자가 마주하는 방식을 고려하여, 수록 제재의 면면을 살펴보는 ‘무엇을’의 층위와 제재의 교육 내용화에 대해 살펴보는 ‘어떻게’의 층위로 나누어 설화의 여성 형상화 방식과 그 교육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무엇을’의 층위에서는 여러 여성 서사의 수록이 눈에 띄며 다양한 특성을 가진 여성의 형상 및 여성 영웅 인물에 대한 주목이 뒤따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떻게’의 층위에서는 여성 인물에 대한 전통적 해석을 변주하여 현재적 관점에서의 해석을 더한 학습활동을 통해 새로운 교육 내용을 완성하는 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설화의 여성 형상화 방식과 그 교육 내용의 문제를 검토한 바, 우선적으로는 문학 제재의 총체성을 구현할 방식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문학 제재의 경우 작품 자체가 가진 가치가 중요한 요소인 까닭에 기존의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에 부합하면서도 작품의 가치를 간과하지 않는 학습 내용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또한 시대의 변화에 따른 특정 개념의 의미역 변화나 소외되었던 여성 인물이 있음을 인식하고, 이것에 현재적인 해석을 더하여 교육의 국면에 반영해 나갈 필요가 있다. 살펴본 바, 교과서에서 다루는 ‘영웅성’ 개념의 의미역에 변화가 있었고, 이에 따라 기존의 건국 남성 영웅 서사가 배치되던 자리에 여성 영웅의 서사가 배치되며, 자연스럽게 달라진 영웅의 자질을 교육 내용으로 제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전문학은 과거의 것이기에 현재의 학습자들에게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겠으나, 그것에 담지된 시대적 인식의 전형을 짚어내고 언어로 드러내는 방식을 통해 현시대의 윤리 의식을 점검하는 ‘윤리적 잣대’로 활용할 수 있음에 대해 제안한 바 있다. Ahead of the revision of the 2022 curriculum, this paper discusses the future direction of folktale education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female imagery methods and educational contents revealed in the folktale included in the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onsidering the way literary works are delivered to the learning reader in the context of education, the method of female imagery in the folktale and the problem of education were reviewed by dividing it into the level of ‘what’ and the level of ‘how’. As a result, several female narratives stand out at the level of ‘what’. Theref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re is attention on female figures and female hero figures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At the level of ‘how’,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new educational contents were completed through learning activities that varied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female figures and added interpretations from the present perspective. In this way, after examining the problem of the folktale s method of female imagery and its educational content, it is necessary to first consider the method of realizing the totality of a literary work. In the case of literary materials, since the value of the work itself is an important factor, it is necessary to provide learning content that meet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xisting literary field and does not overlook the value of the work.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re are changes in specific concepts or alienated female figure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diligently reflect them in the aspect of education by adding a current interpretation to this. As we have seen, there was a change in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heroness’ covered in textbooks, and accordingly, the narrative of the female hero was placed in the place where the male heroic narrative of the founding of the nation was placed.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changed hero s qualities were presented as educational contents. Because classical literature is a thing of the past, it may cause discomfort to current learners. However, it is argued that it can be used as an ethical standard to check the current ethical consciousness through the method of pointing out the typicality of the perception of the times embodied in it and revealing it through language.

      • KCI등재후보

        한말 한국지식인과 양계초의 여성교육론 비교

        김성은 ( Kim Sung Eun ) 한국여성사학회 2014 여성과 역사 Vol.- No.21

        양계초는 여성교육이 여성의 마음의 수양(덕), 정신적 능력(식견, 판단력), 경제적 능력 양성에 다같이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인식했다. 그리고 여성과 남성의 개성과 능력의 가치가 동등하며, 여성에게 기회가 주어진다면 여성도 가정과 사회에서 충분히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여성인식의 바탕위에 그는 여성교육을 주창하며 여성교육을 통해 여성의 지위 향상과 함께 국력도 부강해질 수 있다고 설파했다. 한말 지식인과 개신유학자 역시 제국주의의 팽배와 망국의 위기라는 시대적 상황과 관련하여 사회진화론에 기초한 양계초의 사상에 많은 영감을 받았다. 한말 지식인 역시 문명과 부강, 국권의 회복과 독립을 위해 여성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리고 여성교육실시 함께 여성의 조혼과 내외법의 폐지를 주장했다. 여학교 설립과 여성교육의 활성화는 조혼과 내외법 폐지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기 때문이다. 여성교육을 위해 여학교를 설립하고 교육단체를 조직하여 후원했다. 또한 전기, 소설, 신문, 여성잡지 등을 통해 여성교육을 진작하고, 역사상의 애국적 여성인물을 부각함으로써 애국심을 고취하고자 했다. 결과적으로 한말 지식인들은 여성교육을 통해 애국적 인재를 양성하고 여성의 경제활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실력양성과 국권회복을 염원했음을 알 수 있다. Liang Qichao realized that female education can help improve women`s mind cultivation (virtue), mental ability (insight, judgment), and economic power. He also viewed that the value of personality and ability of men and women are equal, and that women can also fully exercise their ability in family and society if they are given opportunity. Based on these understandings of female, he advocated female education, arguing that female education will advance the status of women and make country rich and powerful. Intellectuals and Neo-Confucianists in the late Joseon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the flood of imperialism and crisis of failure of the nation at the time, were also heavily inspired by Liang`s thoughts based on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lso emphasized the necessity of female education for civilization, wealth and power, regaining national sovereignty, and independence. They argued for implementation of female education, with abolition of early marriage of women and law of avoidance between men and women. It was because establishment of women`s school and stimulation of female education were in a inseparable relation with abolition of those institutions. For female education, they established women`s schools and supported them by organizing education organizations. They tried to boost female education by utilizing biography, novel, newspaper and female journals. They also tried to inspire patriotism by highlighting historical patriotic female figures. In sum,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by raising patriotic persons and facilitating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rough female education, desired developing strength of our nation and regaining of national sovereignty.

      • KCI등재

        여성주의 리더십 교육에 참여한 여대생에 관한 성찰적 탐구

        김혜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feminist leadership education on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by examining the changes in consciousness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eminist leadership education had by reflecting on their own life contexts. Method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female college students who took the liberal arts course ‘Women's Leadership and Self-Management’ at University A using the same group sampling method. Through this research method,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flow and change of consciousness among female students during the learning process, and to discover the pattern of meaning newly formed from the learning experience. Results First, fe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on in feminist leadership education provided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women's issues and women's leadership as a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Second, female college students reflectively reflected on the gender stereotypes inherent in feminism and leadership, which were uncomfortable due to the discriminatory perception of society. Third, female college students dismantled the stereotypes of gender discrimination that had been consciously and sought to transform into feminist leaders along with the practice of feminist leadership in everyday life.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female college students are the agents of social transformation by raising the need to develop a feminist leadership curriculum customized for each major along with a step-by-step feminist leadership curriculum in college education so that female college students can reflect on themselves as leaders who realize feminist values. to create a new leadership paradigm.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여성주의 리더십 교육에 참여한 여대생들이 자신의 삶의 맥락을 성찰하고 이를 통해 나타나는 의식의 변화를탐구하여 여성주의 리더십 교육이 여대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동일집단표집방법으로 A대학의 교양과목 ‘여성리더십과 자기관리’를 수강한 여대생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실시하였다. 본 연구방법을 통해 학습과정에서 일어나는 여학생들의 의식의 흐름과 변화를 이해하고 학습의 경험으로부터 새롭게형성되는 의미의 패턴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과 첫째, 여대생들의 여성주의 리더십 교육 참여는 여성문제와 여성 리더십에 대한 배울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참여동기로 작용했다. 둘째, 여대생들은 사회의 차별적 인식에 의해 불편했던 페미니즘과 리더십에 내재된 성고정관념에 대해 반성적성찰을 하였다. 셋째, 여대생들은 의식화되어 있던 성차별적 고정관념을 해체하고 일상에서의 여성주의 리더십의 실천과 함께 여성주의 리더로의 전환을 모색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여대생들이 여성주의 가치를 실현하는 리더로 성찰할 수 있도록 대학교육에서 단계별 여성주의 리더십교육과정과 함께 전공별 맞춤식 여성주의 리더십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여대생들이 사회 변혁의 주체로 새로운 리더십의 패러다임을 창안해 낼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근대전환기 내방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교육담론과 의미

        최은숙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22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 No.44

        This study examines the discourse and meaning of women’s education in Naebanggasa(Korean traditional poetry by wome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Naebanggasa is a prominent genre since it reveals the changing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women’s educatio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is period in Naebanggasa reflects the struggle to promote women’s education and public understanding of the issue. One of the features of this generational shift is the inclusion of women’s opinions. Regarding ideas on the education of wome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Naebanggasa emphasized literacy to satisfy the demand for self-expression, the role of women’s education as the result of a generational shif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the traditional woman with regard to schooling. Through Naebanggasa, women expressed what education means to them and the role they can play. This not only reaffirmed their identity, but also reconstructed it. Those who enjoyed Naebanggasa also realized the need to promote women’s educatio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hrough education, it appears that women were achieving a new status and establishing their identities. Despite an emphasis on skills such as reading and writing, as well as the practice of female virtue as prescribed in Confucian ideology, women were provided the opportunity to reconstruct their own identity in the changing times through the discourse on education. 본고는 근대전환기 내방가사에 나타난 여성들의 교육담론 양상과 의미를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내방가사는 근대전환기 여성교육에 대한 담론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텍스트이다. 특히 신문·잡지 등의 근대적 매체나 여훈서 등의 전통 교육서와는 별도로 여성 스스로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어 더욱 중요하다. 선행연구에서도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내방가사에 담긴 여성 담론에 대해 살핀 바가 있다. 그러나 여성 담론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어 여성교육에 대한 보다 집중적인 조명은 더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특히 교육에 대한 여성 스스로의 인식과 담론 양상을 주목하였다. 여성들이 생각했던 교육의 내용이란 어떤 것이었는지, 그들이 교육을 통해 얻고자 한 것은 무엇이었는지 내방가사 텍스트를 통해 주로 살폈다. 내방가사에 나타난 근대전환기 여성들의 교육에 대한 담론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글 배우기의 강조와 자기표현의 욕구, 시대변화에 따른 여성교육의 역할 모색, 그리고 학교교육과 이에 대한 구여성의 정체성 확립에 대한 것이다. 여성들은 교육이 자신들에게 어떤 의미이고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 내방가사를 통해 말하고 있으며,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거나 재구성하고 있었다. 대체로 내방가사 향유자들은 근대전환기 새롭게 대두되고 있었던 여성교육의 시대적 요청에 공감하고 있었고, 교육을 통해 자신들의 새로운 위상과 정체성을 확보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비록 그들이 글 배우기나 익히기의 수준, 전통적인 유교이념에 입각한 여덕(女德) 수행에 더욱 비중을 두고 있었다 하더라도, 내방가사 향유를 통해 교육이라는 주제에 대해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자신들의 정체성을 재구성하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국제결혼이주여성과 이주여성노동자의 교육 참여 현실과 평생교육의 방향성 모색

        김진희(Kim Jin-Hee) 한국평생교육학회 2011 평생교육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그동안 평생교육학의 영역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않았던 이주여성의 교육과 평생학습의 문제를 고찰하고, 다문화시대 평생교육이 나아갈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이주여성들의 교육 참여의 현실과 도전이 무엇인지를 분석했고, 둘째, 이주여성들을 위한 평생교육의 역할과 개입은 어떤 방향에서 전개되어야 하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이주결혼여성 3인과 이주여성노동자 3인이 면담자로 참여하는 질적연구방법을 채택하였고, 다양한 심층면담 자료 및 성찰 일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서 다각적인 코딩 분석 작업과 삼각 점증(triangulat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이주여성들의 교육 참여는 가부장적이고 성차별적인 사회적 모순과 구속(교육 외적 문제)과 동화 및 전달 위주의 제한적인 교육내용과 취약한 교육인프라(교육 내적 문제)로 인해 제약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 영역에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이주여성의 평생교육 실천을 위한 4대 과제를 도출했으며, 이들의 자기 변혁과 시민적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새로운 평생교육 기획과 전개 방법론을 구안하였다. The surge of international migration has brought a multi-racial and multi-culturalconfiguration in Korean society. This inevitably calls reshaping a new research flow and practice of lifelong education embracing disadvantaged marginal migrants. In particular this aim of study is to investigate female migrants'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to lead a new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era. To conduct this study, I espoused a qualitative methodolog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marriage-migrant women and three female migrant labours. Different data including participants' self-reflective journals and field notes were analyzed employing coding axis and triangulation. Major findings revealed that female migrants' participation of education opportunity was highly restricted due to male-dominated societal binding and limited educational contents and weak educational infrastructure for female migrants. Thus, this study suggested four pivotal dimensions underlining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to empower underprivileged female migrant in Korea. Lifelong education should lead a new paradigm shift to enhance their participatory citizenship and social inclusion. This study also addresses to broaden education opportunity and local-based civic network for female migrants. Finally study demonstrated that lifelong education could develop a comprehensive learning support system with the ethos of 'learning to live together' and 'cultural diversity' engaging with different migrants and local citizens.

      • KCI등재후보

        여성영웅소설 콘텐츠의 한국 문화 교육 적용 연구

        임현아(Lim, Hyun A),목계연(Mok, Gae Youn) 돈암어문학회 2016 돈암어문학 Vol.29 No.-

        본고는 조선 후기의 여성영웅소설 <정수정전>의 한국어 교육 콘텐츠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정수정전>의 문화 교육적 가치와 스토리텔링의 가능성 및 실제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정수정전>은 기존 조선사회의 여성인 수정이 여성의 전통적 역할을 넘어 남성보다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다는 내용의 여성영웅소설이며 전형적인 영웅소설의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작품은 또한, 여성이 남성을 뛰어 넘을 수 없다는 기존 조선사회의 이념을 극복하고, 여성이 남성을 능가하는 능력을 갖추어 국가의 위기를 구하는 등의 여성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인식을 재설정하고 기존의 전통적 부부관계를 새로이 보여준다. 여성 주인공 ‘수정’은 한국의 유교 이념에서 벗어난 인물로, 주인공을 둘러싼 등장인물들의 관계를 통해 전통적/현대적 여성상과 이념이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을 활용하여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한국 문화 교육 시 한국의 전통적 여성관의 이해 및 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차별에 대해 과거와 현재를 폭 넓게 비교하는 데에 교육 콘텐츠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정수정전>은 여성영웅소설의 다양한 서사전개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은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언어능력을 향상시키고 문화에 대한 비판적 접근과 동시에 여러 토론 거리를 제공하는 등의 다양한 언어교수 활동을 가능케 하는 콘텐츠라고 판단되었다. 특히 해당 주제를 주로 다루는 고급 학습자들에게 주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고전 문학 텍스트를 접할 기회를 제공하며, 소설을 통한 읽기교육 뿐만 아니라 유사한 서사구조로 이야기를 만들고 변형시키는 등 다른 언어 기술 학습으로의 확장을 통해 학습자들이 텍스트를 재생산하고 창의적으로 재해석하는 활동도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고전소설의 풍부한 원형 스토리를 한국어 교육에 맞게 현대화 시켜 교육 콘텐츠화 하는 작업은 한국어 교육 자료를 다양화시키고, 학습자들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좀더 가깝고 다각적으로 접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female hero novel 〈Jeongsujeongjeon〉 published in late Joseon dynasty as Korean education contents. To this end, we look into its culture educational values, application of storytelling and potential education plans. 〈Jeongsujeongjeon〉 has narrative structure as typical female hero novels. Female hero "Sujeong" in the story shows her ability beyond men"s power which was quite unexpected at the time when women could barely have chance to prove their ability because of Confucian idea. She set a new idea of woman and rel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Students are expected to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idea of women, and they can have time to talk and have critical approach to it. Therefore, this novel is quite appropriate for Korean education people who teach Korean culture and have students in advanced level read Korean novels by expanding activities, like resembling its narrative structure and making up stories. Also, making classic stories as useful contents could expand the variety of educational materials. By doing so, good educational cont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absorbing Korean history into Korean education including traditional values, transitions of society and disparity in male and female.

      • 여성영웅소설 교육 방안 연구 -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

        최진경 ( Choi Jin Kyoung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2 한국어와 문화 Vol.31 No.-

        이 연구는 여성영웅소설의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수록 양상을 검토하고, <방한림전>을 중심으로 여성영웅소설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여성영웅소설은 젠더의식 함양과 다양성 수용 등과 관련된 교육적 가치가 있다. 특히 <방한림전>은 여성영웅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으로서, 이와 같은 교육적 가치를 잘 구현할 수 있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현행 교육방향을 함께 고려하여 효과적인 여성영웅소설 교육 방안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여성영웅소설의 교육 흐름 및 현황을 확인하기 위해 여성영웅소설이 처음 교과서에 수록되기 시작한 제7차 교육과정기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기까지의 국어과 교과서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 여성영웅소설 교육이 갖는 몇 가지 방향성과 개선되어야 할 지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 문학의 특질로서 ‘영웅의 일대기 구조’의 교육은 문학사적 지식의 측면이 아닌 서사적 연속성의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둘째, 수록 제재의 다양화라는 추세를 반영하여 다양한 제재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셋째, 학습 활동이 작품을 통해 얻은 지식, 기능, 태도를 학습자의 실제 삶에 적용할 수 있는 과정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방한림전>의 교육적 의미는 크게 두 측면에서 규정된다. 먼저 장르관습의 측면에서 <방한림전>은 여성영웅서사의 탈피 양상을 띤 개성적인 텍스트로서, 학습자의 흥미와 긍정적 인식을 유도하고 창작 맥락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주제 측면에서 <방한림전>은 다양한 삶의 형태를 내포하고 있어 젠더와 소수적 삶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한다는 점에서 사회적 효용을 지닌 작품으로 학습자의 비판적·창의적 사고 유발을 돕는다. 다만 <방한림전>은 장르관습에서 탈피한 변모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영웅소설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위해 <홍계월전>과 <방한림전>을 함께 활용하는 방향으로 학습 과정을 설계하였다. 교수·학습과정은 도입, 이해, 적용, 심화의 네 단계로, ‘작품 감상 → 작품의 서사구조 비교 → 작품의 주제의식 비교 → 토론’활동을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고전에 흥미를 느끼고, 고전을 통해 다양한 가치를 학습하여 실제 사회에서 접하게 될 다양한 문제 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educational methods of female heroic novels focusing on BanghallymJeon. In general, female heroic novels have an educational value related to developing gender consciousness and accepting diversity. In that sense, BanghallymJeon is a representative work of female heroic novels. Therefore, this study design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of female heroic novels focusing on BanghallymJeon. Before mapping out the curriculum, we survey the tendency of female heroic novels education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Korean textbooks from the 7th curriculum, in which female heroic novels were first included in textbooks, to the latest textbooks revised in 2015. First, the biographic narrative structure of hero, a characteristic of Korean literature, needs to be educated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continuity rather than knowledge of literary history. Second, the education of various literary works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iversification of contents in textbooks. Third, this paper point out that learning activities are required to be newly composed as a process that can apply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cquired through the text to the real world. The educational meaning of BanghallymJeon is newly described in two aspects. First, in terms of genre conventions, BanghallymJeon is defined as a unique text since it is a break from the traditional female heroic narratives. Second, in the aspects of the theme, it is explained as a story with a social utility because students can learn the proper perspective of various types of gender and minority from the topic of the story. Especially, BanghallymJeon is a variant form that breaks away from genre conventions, so that learning effect will maximize when an understanding the classical example of female heroic novels is premised. Thus, the learning process was designed to utilize both HonggyewolJeon and BanghallymJe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consists of four stages including introduction, understanding, application, and advancement.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e interested in classic novels and learn various values through classics to foster attitudes that can flexibly cope with various problem situations in our society.

      • KCI등재

        대학졸업 여성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구성요인 도출과 타당성 검증 연구

        이재은,송영수 한국성인교육학회 2016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career education program constructs for the female college graduates based on Delphi method. Delphi method survey was conducted with 20 professional panels from female career education programs. As a result, this study drew out several constructs including six ideals of women, seven educational objectives, and five educational methods. Seven categories of the contents factor were deducted for female college students career education program, which are ‘Self Understanding’, ‘Gender Awareness for Female Career Development Strategy’, ‘Understanding of Job Market and Collecting Information’, ‘Making Career Choice’, ‘Career Plan Design and Action’, ‘Female Empowerment’, and ‘Improving Organizational Adaptation’. 27 sub elements of the categories were also drawn including such as ‘Understanding Female Life Cycle’, ‘Career Design from the Whole Life Perspective’, ‘Understanding of Female Career Barriers’, ‘Exploring the Ways to Overcome the Female Career Barriers’, ‘Establishing Gender Awareness for Positive Self Identity’ and ‘Reasonable Decision Making Abilities’, etc In addition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with 274 female college students to validate the education contents factors from the research. The findings of the study provides practical constructs and objectives for female college student career education programs. 본 연구는 여성 특화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 진로교육 전문가 20명을 전문가 패널로 구성하였으며 총 3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프로그램이 추구해야할 여성상,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여성상, 7개의 교육목표, 5개의 교육방법 그리고 ‘자기이해’, ‘여성 경력개발 위한 젠더의식 강화’, ‘직업세계의 이해 및 정보수집’, ‘진로선택 및 의사결정’, ‘진로계획 설계 및 진로행동 실행’, ‘여성 임파워먼트’, ‘조직생활 적응력 증진’으로 구성된 7개의 상위 내용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별 하위 내용요소로는 ‘여성 생애주기 및 진로발달 이해’, ‘전 생애적 관점의 경력설계’, ‘여성 진로장벽 종류 이해’, ‘여성 진로장벽 극복방법 탐색’, ‘긍정적 자기개념 위한 젠더의식 정립’,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능력 배양’을 포함한 27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한편, 델파이 설문결과로 도출된 가설적 요인구조의 구성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274명의 여대생 및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여성 특화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추구해야할 교육 목표와 함께, 여성상, 내용요소, 교육방법 등 프로그램 구성요소를 도출하고 타당도를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해교육 경험이 자녀 교육에 미치는 영향

        정대용(Jeong, Dae-Yong)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5 특수·영재교육저널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중심으로 그들이 한국에 정착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 중 자녀교육 문제와 관련하여 문해교육이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자녀교육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는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연구 참여자는 동대문구 P교육센터의 문해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 결혼이민자 6명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인 개방형(open-ended question) 질문을 통한 심층 면담과 참여 관찰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 결혼 이민자들의 참여 관찰 및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범주의 틀에 맞추어 직접 해석하거나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문해교육이 그들의 자녀교육에 주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여성 결혼이민자 대상의 문해교육은 한글 교육을 받는 것에만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었다. 이들은 한글 교육을 받음으로써 사회에 참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었다. 그리고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녀들의 공부를 지도할 수 있게 된 연구 참여자도 있었다. 또한 자녀들과 대화 시간이 길어져 자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고 하였다. 문해교육은 자녀의 언어 발달뿐 아니라 심리적인 안정과 긍정적인 관계형성에도 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and meaning of literacy education on the education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children in relation to the issue of children's education, which is one of the various problems these women are faced with while adjusting to their lives in Korea.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ix married female immigrants who were also literacy education participants at P. Education Center in Dongdaemun-gu district, Seoul. Furthermore, the study method involved in-depth interviews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rough open-ended questions which are a form of qualitative research. The materials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ing and in-depth interviewing married female immigrants; those materials were directly interpreted or comparatively analyzed within the categori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the effect of literacy education on married female immigrants is as follows: The effect of literacy education on married female immigrants did not merely involve the development of their Korean language skill. These women also obtained the 'confidence'to believe that they can participate socially as they received literacy education. One of the participants became not only interested in her own child's education, but even capable of teaching the child on her own. Moreover, literacy education helped the women to understand their children better through longer conversations with them. Literacy education played a vital role not only in developing their children's language skill, but also in enhancing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build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구성 방안

        유해준(Hae-jun, Yoo)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0

        여성결혼이민자는 자녀들이 한 사회 내에 정착하고 타문화와 소통하며 시민성을 갖추도록 하는 부모 교육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스스로가 자녀들보다 먼저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그에 따른 능력을 갖추기를 원한다. 이는 사회의 안정성과도 직결된다. 즉,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당사자에 그치는 교육이 아니고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하게 될 다문화 가정 자녀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교육이 되는 것이다. Banks(2007)는 ‘다문화 가정 자녀들의 문화가 학교의 문화와 다르며 사회가 가장 중시하는 주류문화와 다르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적응에 필요한 공간과 시간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 사회에서도 여성결혼이민자들과 그들의 자녀들이 적응에 필요한 공간과 시간을 만들어 주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도 다문화 교육의 일환으로 그들에게 적응에 필요한 공간과 시간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여성결혼이민자들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어느 범위까지의 한국어를 가르칠 것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만큼 그들의 필요를 한국어 교육용 교재 안에서도 담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는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 위해 제공되는 문화 요소와 언어 지식간의 연계 속에서 교육적 효용성을 설정할 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Married female immigrants play the role of parent education so the children can settle within the society, communicate with other cultures, and be equipped with the citizenship. Therefore, married female immigrants desire to procure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multiculture first before their children. This is also directly linked to the social stability.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targeting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does not end with the education for those people but it is an important education that will affect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will grow into a member of the Korean society. Banks (2007) stated that “the culture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nd the culture of the school are different and since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mainstream culture which the society values the most, it is necessary for the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to have time and space to adapt”.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will create the space and time for th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to adapt to the Korean society.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until now on how we will teach Korean to these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to which ex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ether the needs and interests of married female immigrant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contained in the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This study will become a study set with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he linkages between cultural elements and language knowledge provided for them to adapt to the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