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호작용 미술치료활동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체 아동의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창숙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7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8 No.1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interactive art therapy on the verbal/non-verbal interactions of multicultural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he research subjects were boys(Grade2 of elementary school) with problems with adapting to school and getting bullied or ignored by peers, because of their difficulties in linguistic expression or behavior caused by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Dividing Marschak's Interaction Scale into verbal interaction and non-verbal interaction, the level of change in interactions between child and teacher was obtained from the teacher in charge. The changes in interactions were observed during the experiment session, and the changes in interactions were examined by using prior/post design through the teacher's report.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sub-factors of interactions such as verbal interactions(Quality of verbalization, tend to accept instruction) and non-verbal interactions(Facial expression/emotion, access/body righting, reactivity, concentration on task) showed positiv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nteractive art therapy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in verbal/non-verbal interactions of multicultural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본 연구는 상호작용 미술치료활동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 2학년 남자아동으로 전반적으로 언어발달지체로 인해 언어표현이나 행동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으므로, 또래 아이들로부터 따돌림과 무시를 당하며, 학교 적응에 어려움이 있는 아동이다. 본 연구에서 측정도구는 Marschak의 상호작용 척도를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관찰 사용하였으며, 담당교사로부터 아동-교사 상호작용의 변화 수준을 살펴보았다. 실험하는 회기동안의 상호작용의 변화되는 추이를 관찰하였으며, 교사의 보고를 통해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여 상호작용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언어적 상호작용(언어화의 질, 지도를 받아들이는 경향)과 비언어적 상호작용(얼굴표정/정서, 접근/신체정향, 반응성, 과제집중)에서 긍정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으며, 상호작용 미술치료활동이 다문화가정 언어발달지체 아동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긍정적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무용동작치료가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배소정 한국무용동작심리치료학회 2020 무용동작심리치료연구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ance/movement therapy on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of autistic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The study targeted a total of 7 people residing at the H Welfare Foundation in U City with autism-pron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which a combination of intellectual and autism spectrum disorders.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4 times, 50 minutes once a week from October 2019 to March 2020. The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in a total of 4 stages: the stage of forming a sense of trust → the stage of the environment to protect and hug → the stage of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to play → the stage of coordination and relationship for social interaction.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in linguistic and non-verbal interactions through social interaction scales (Jung, 1988) the scores of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comparison. In order to see the change of non-verbal interaction through motion observation, Samuel and Chaiklin's motion observation scale (Ryn, 2019), was used. Among the elements of LMA, the images of the body, effort, shape, and space were analyzed, and the movement changes of the subjects were observ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scores of the pre- and post-scale verbal interactions of autistic pat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erformed the dance/ movement therapy program, the scores of the verbal interaction scales were improved.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scores of the non-verbal interactions of the autistic pat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erformed the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the scores of the non-verbal interaction scales were improved. Third, the degree of non-verbal interaction was improved when the movement was observed and analyzed in the video analysis of the autistic-minded with a disability who conducted the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 Summarizing the conclusions, dance/movement therapy influenced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s of the autistic disabilities intellectual disabled.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dance/movement therapy programs for a long period of time, rather than short periods for group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본 연구는 무용동작치료가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적장애와 자폐스펙트럼장애가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자폐성향 지적장애인 총 7명을 대상으로 주 1회 50분씩 총 14회에 걸쳐 신뢰감을 형성하는 단계 → 지켜주고 안아주는 환경의 단계 → 놀이하는 촉진적 환경의 단계 →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조율 및 관계성 단계 총 4단계로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 상호작용 척도(정정순, 1998)와 움직임 관찰을 통한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보기 위해 Samuels & Chaiklin의 동작관찰척도지(류분순, 2019)를 대상자들의 움직임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사전·사후 척도 평균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언어적 상호작용 척도의 점수가 향상되었음이 나타났다. 둘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비언어적 상호작용을 사전·사후 척도 평균점수를 비교해본 결과 비언어적 상호작용 척도의 점수가 향상되었음이 나타났다. 셋째,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한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영상분석에서 움직임을 관찰하여 분석하였을 때, 비언어적 상호작용의 정도가 향상되었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종합하면, 무용동작치료가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언어적·비언어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이 후 자폐성향 지적장애인의 그룹을 대상으로 단기간이 아닌 장기간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면 좋을 것으로 보여지는 바이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증강현실을 활용한 협력적 과학 개념학습에서 나타나는 언어적⋅물리적 상호작용

        신석진,김혜린,노태희,이재원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2

        이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협력적 과학 개념학습에서 나타 나는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물리적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2명이 3개의 소집단을 구성하여 화학 결합 개념 이해를 목표로 개발된 스마트 기기 기반의 증강현실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증강현실 수업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의 수업 과정은 녹음 및 녹화하였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적 상호작용 중 개별 진술 단위에서는 정보 질문과 정보 설명 및 방향 질문과 방향 설명에 관한 진술의 비율이 높았고, 상호작용 단위에서는 교정형 및 누적형 상호작용의 비율이 높았다. 학습 진행에 관한 개별 진술 및 상호작용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물리적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언어적 상호작용 없이 단독으로 이루 어진 경우가 가장 많았다. 학생들이 지식 구성 언어적 상호작용을 하며 물리적 상호작용을 할 때는 가상 객체를 응시하거나 활동지 관련 활동을 하는 비율이 높았던 반면, 물리적 상호작용만 수행하거나 운영 관련 언어적 상호작용을 하며 물리적 상호작용을 할 때는 증강 현실의 마커의 조작과 관련한 다양한 탐색적 활동이 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 교과에서 증강현실을 활용한 협력적 개념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verbal and physical interactions which appeared in collaborative science concept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Twelve 10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fter being organized into three four-member small groups, they participated in augmented reality classes using smart device-based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developed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chemical bonding concept. Their class activities were audio- and video-tape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within individual statement units of verbal interaction, the proportions of information question/explanation and direction question/explanation were found to be high. Within interaction units, the proportions of reformative and cumulative interaction were relatively high. The proportions of progress were also found to be high within both individual statement units and interaction units of verbal interaction. Students’ physical interactions were mainly conducted without meaningful verbal interactions. When their physical interactions were accompanied by knowledge construction-related verbal interactions, the proportions of gazing virtual objects and worksheet-related interactions were high. In contrast, various exploratory activities related to the manipulation of markers mainly appeared when they conducted physical interactions only, or when their physical interactions were accompanied by management-related verbal interactions. On the bases of the results, effective methods for collaborative concept lear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n science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TV 기상캐스터의 언어적․비언어적 요인이 날씨 프로그램의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 :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유미 한국지역언론학회 2018 언론과학연구 Vol.18 No.4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linguistic and nonverbal factors of weather-casters as broadcasters to verify that para-social interaction effects with weather-casters and viewers and whether these para-social interaction factors influence program reliability.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linguistic factors (language expertise, vocabulary presentation, similar language) and the reliability of weather program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at non-verbal factors (body behavior, physical appearance) in weather-cast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ogram reliability.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nguistic and non-verbal factors of the weather-caster and the para-social interaction supported the theory that non-verbal factors had static effects on para-social interaction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para-social interactions for linguistic factors. Finally, para-social interactions have a static effect on program reliability. In particular, nonverbal factors have both direct effects on reliability and indirect effects that are mediated by para-social behavior. However, linguistic factors such as language expertise, vocabulary presentation, and similar language did not have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para-social interactions and reliability. In the end, the nonverbal factors of recent TV weather-casters can be seen as important viewing factors in weather programs, and the fact that they can create para-social interactions through short notice or immersion can have an effect on reliability. On the other hand, linguistic factors, coupled with nonverbal factors, can affect the reliability of the program. 본 연구는 방송진행자로서 기상캐스터의 언어적․비언어적 요인에 주목해 보고 기상캐스터와 시청자들과의 준사회적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는지 그리고 이러한 준사회적 상호작용 요인이 프로그램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언어적 요인(언어전문성, 어휘설명력, 유사언어)과 날씨 프로그램의 신뢰도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상 캐스터의 비언어적 요인(신체행위, 신체외양)은 프로그램 신뢰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상 캐스터의 언어적․비언어적 요인과 준사회적 상호작용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언어적 요인이 준사회적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설은 지지되었지만 언어적 요인의 경우 준사회적 상호작용과의 유의미한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준사회적 상호작용은 프로그램 신뢰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언어적 요인은 신뢰도에 직접효과 뿐만 아니라 준사회작용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모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언어전문성, 어휘설명력, 유사언어 등의 언어적 요인은 준사회적 상호작용과 신뢰도에 직접적인 효과와 간접적인 효과가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최근 TV 기상캐스터의 비언어적 요인은 날씨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시청요인으로 부각될 수 있다는 점과 함께 단시간의 주목도나 몰입을 통해 준사회적 상호작용을 일으켜 신뢰도에 효과를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언어적 요인은 그 자체보다 비언어적 요인과 더해졌을 때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도에 효과를 줄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Thinking Science 활동에서 과제의 개방도와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

        유숙정 ( Sook Jung Yu ),최병순 ( Byung Soon Choi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2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영재학급 학생14명을 대상으로, 과제의 개방도와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라 TS 활동에서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이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과제의 개방도가 낮은 안내형 TS 활동보다는 개방도가 높은 개방형 TS 활동에서 훨씬많은 언어적 상호작용을 보였고,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도 안내형 활동보다는 개방형 활동에서 많았는데, 이런 결과는 언어적 상호작용의 거의 모든 하위 범주에서 나타났다. 또한, 안내형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행동참여를 지시하거나 자기만족을 나타내는 언어사용 빈도가 높은 반면에, 개방형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는 행동참여를 권유하거나 불만을 나타내는 빈도가 높았다.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을 보면,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상호작용의 빈도가 높고, 다양한 유형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상위수준의 상호작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들의 인지 수준과 과제의 개방도는 학생들의 언어적상호작용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 수준이 높은 학생일지라도 안내형 활동에서는 상호작용의 수준이 높지 않았으며, 개방도가 높은 활동이라도 인지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참여도가 낮고 상호작용의 수준도 높지 않았다. 이는 개방가 높은 과제가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여 상위 수준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낼 수 있지만, 그 효과는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따른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과제 활동에서 인지 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고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과제 개방도의 조절과 교수 전략의 개발이 중요한 추후 과제라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verbal interactions presented in TS activities with different tasks` openness levels by the cognitive levels of student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S program to 14 fifth graders in gifted class.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open-type TS activities showed higher percentages of verbal interactions than the guiding-type TS activities showed and that the higher the open level of tasks was, the more high-level verbal interactions occurred. These results were showed in almost all subcomponents of verbal interactions.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ents` cognitive levels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was, higher frequency of interactions, high-level verbal interactions and a variety of verbal interactions occurred. The influence of both cognitive level of students and the task`s openness on verbal interactions among students seemed to be interactive, however. In guiding-type activities, the percentage of high-level verbal interactions was not high although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was high. And students in low level of cognition showed far lower frequency of interactions and their percentage of high-level verbal interactions was low even though the openness of the tasks was high.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t that although open-type activities drew higher level verbal interactions by stimulating students` thought, the effects would be limited owing to their low cognitive level. Based on these findings, an implication was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design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adjust openness level of TS activities to students` cognitive level so as to stimulate the thinking of students in lower cognitive level and to highten their engagement in activities.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활용한 유치원 교사의 교사 유아 상호작용 유형 및 예측요인

        박미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교사의 개인적 요인과 프로 파일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수도권 지역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409명을 대상으로 2024년 1월 10일-1월 31일까지 수행 되었다. 유치원 교사와 유아 상호작용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으로 구분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 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사-유아 상호작용 프로파일 유형을 확 인하고, 교사의 개인적 요인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상호결합 정도에 따라 4개 유형 으로 도출되었다.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모두 매우 낮은 ‘소극적 상호작용형’은 전체 유치원 교사의 5.62%, 전체 적인 상호작용 수준은 낮은 경향을 보이지만 정서적,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언어적 상호작용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언어적 상호 작용형’이 43.03%, 평균 수준의 상호작용을 보이고 있으면서 정서적 상호작용이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보다 다소 높은 ‘정서적 상호작용 중심형’이 26.41%,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모두 높은 ‘적극적 상호작용형’이 24.94%로 분류되었다. 교사의 개인적 요인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잠재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이 교사-유아 상호 작용 잠재프로파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유치원 교사를 단일집단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집단내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다양 한 집단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 개선을 위해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kindergarten teachers with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CI) an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sonal factors and T-CI profiles. Methods The survey fo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10 to January 31, 2024, targeting 409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in the metropolitan area. We composed T-CI of kindergarten teacher into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and analyzed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ir T-CI level. The types of T-CI profiles derived from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ere identified,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factors on the T-CI profile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we classified four T-CI profiles: the ‘passive interaction type’, which had very low levels of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related to T-CI, was 5.62% of all kindergarten teachers, the ‘non-verbal interaction type’, which had relatively low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levels, was 43.03% of all, the ‘affective interaction-centered type’, which had average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26.41% of all, the ‘proactive interaction type’, which had relatively high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24.94% of al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teacher's personal factors on the T-CI profile,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age, education, and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CI profil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various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T-CI within the kindergarten teacher group, rather than considering the kindergarten teacher as the ‘cohort group’ in relation to T-CI. We also suggest that customized approach considering the profi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CI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언어적 상호작용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오숙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언어적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 유아교육 전공 대학생 30명이다.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언어적 상호작용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언어적 상호작용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능력이 증진되어 적절한 발문 및 반응을 하는 경향이 증가되었다. 둘째, 언어적 상호작용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연구결과에 따라 예비교사의 교사교육에 있어서 언어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 및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비언어적 상호작용 특성을 반영한 가정용 소셜로봇 디자인 연구

        이주회,김흥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로봇 상호작용 중 아직 활성화가 되지 않은 비언어적 상호작용 요소들을 중점으로 가정용 소셜로봇 디자인에 대해 탐구하고, 향후 가정용 소셜로봇의 형태 디자인 및 인간-로봇상호작용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로봇 상호작용에 대한문헌조사를 통해 본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탐구할 인간-로봇 교감 요소들의 특성과 유형을 조사하였다. 둘째, 기존 시장에 인간과 기능적인 요소보다 정서적인 교감을 중점으로 개발된 가정용 소셜로봇의 디자인 사례들을 앞서 조사한 인간-로봇 교감 요소들을 토대로 반영 여부를 분석하였다. 셋째, 문헌 및 디자인 사례 고찰을 기반으로 가정용 소셜로봇의 범주 안에서 수동형 로봇, 상호 협력형 로봇, 주도형 로봇 이렇게 세 가지 유형을 선정하였고 포지셔닝 맵을 통해 각 로봇 유형이 시장 내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분석하고 차별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바탕으로 각 로봇 유형에 비언어적 상호작용 요소를적용하여 3종류의 가정용 소셜로봇별 특성과 디자인 방향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소셜로봇 디자인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인간-로봇 상호작용 방식에 따라 가정용 소셜로봇의 비언어적상호작용은 감성기반의 외형에 영향을 미치며, 점차 로봇의 폼펙터를 기술 상용화 중점에서 접근하는것이 아닌 사용자 관점에서 인간-로봇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감성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도출하였다. 이는 기존의 기능 중심의 로봇에서 나타나는 획일화된 폼펙터를 개선하고 점진적으로 다양한 디자인 유형으로 전개하여 인간과 로봇간의 정서적 연결과 유대를 강화할 수 있는 비언어적 상호작용 요소에 대한 지속적 연구로 이어질 수 있다

      • 과학영재 탐구 활동에서 MBTI 성격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에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연구

        유미현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2 과학영재교육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erbal interaction in the science-gifted inquiry activities of small group considering members' MBTI personality type. For this study, 3 science-gifted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in university were participated. Two of them had ENTP personality type and one had INFJ personality type. Each group was consisted of 2 members, the conversation in the group activity for 2 hours was recorded. After transcribing the record, the students' verbal interaction was analyzed into cognitive, affective aspects categories according to analytical framework.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ype of verbal interaction of small group revealed that the cognitive verbal interactions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affective verbal interactions. The pattern in verbal interactions of group 1 consisted of 2 ENTP members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group 2 consisted of ENTP-INFJ members. High-level cognitive interaction, positive interactions was more frequently showed in the small group consisted of ENTP-INFJ students than in ENTP-ENTP group. It suggested that even if the same student,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of quality and content of the interaction varies depending on the personality type of member in the small group.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onversation through inquiry of science-gifted students qualitatively,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verbal interaction was related closely with personality of gifted students in same group. Third, a survey of students' recognition appeared in essay written after small group activities showed that student(A) preferred student(C) as a group member rather than student(B) who was the same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such a recognition of gifted students, for the effective small group activities, it needed to make small group considering the personality of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 탐구 활동에서 MBTI 성격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과학영재 학생 3명이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중학교 남학생 3명으로, ENTP 성격을 가진 학생 2명과 INFJ 성격을 가진 학생 1명이다. 소집단은 2인 1조로 구성되었고, 2시간 동안의 소집단 탐구활동에서 이루어지는 대화는 녹음되었다. 녹음된 내용을 전사한 후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MBTI 성격에 따른 소집단 구성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측면의 상호작용이 정의적 측면의 상호작용보다 보다 빈번하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ENTP로 구성된 모둠 1과 ENTP-INFJ로 이루어진 모둠 2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ENTP-INFJ 소집단에서 상위 수준의 인지적 상호작용, 긍정적 상호작용이 ENTP-ENTP 소집단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동일한 학생이라도 모둠원의 성격 유형에 따라 인지적, 정의적 측면의 상호작용의 질적 수준 및 내용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과학영재 학생의 탐구 활동 시에 이루어진 대화 내용을 통해 언어적 상호작용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대화의 진행 및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에 영재학생의 성격이 깊은 관계를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셋째, 소집단 활동을 마친 후 학생들이 쓴 소감문에 나타난 인식을 조사한 결과 A학생의 경우 같은 성격 유형의 B학생보다는 다른 성격 유형의 C학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영재학생들의 인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소집단 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성격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놀이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영아 놀이 탐색

        유영옥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2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1 No.1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and infant's play at a child care center.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7 infants and 1 class teacher in J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K city. Gangwon Province. This study used ethnographic research methodology for analysis. which included observations of participants playing free selective activities in the morning, 2 or 3 times per week. From June 2010 to October 2010. a total number of 40 sessions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verbal interactions and infant's play can be interpreted as follows: rhythmic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action. which means “I want to continue playing”,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concrete description and explanation. which means “I can play”,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obvious and rigorous attitude. which means “I will play again”,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question and asking. which means “I can play like this”,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permission and praise. which means “I can play alone”, and verbal interaction accompanying direct showing. which means “Let's play together.” Therefore, teachers' direct verbal interactions with infants caused infants to understand and learn their play easily and recognize its value. Infant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sustain and expand their play with a sense of confidence and accomplishment. 본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의 놀이에 나타나는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영아 놀이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강원도 K시의 J어린이집 영아 7명과 그 반의 담임교사 1명이었다.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0년 6월부터 10월까지 총 40회 이루어졌는데, 주로 오전 자유선택활동의 놀이를 주 2~3회 참여 관찰하여 문화기술적인 연구방법에 의해 실행·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놀이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영아 놀이는 행동을 수반한 운율적인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계속 놀이 하고 싶어요, 구체적 묘사와 설명을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나도 놀이 할 수 있어요, 분명하고 엄한 태도를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다시 놀이 해 볼 거야, 질문과 발문을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이렇게도 놀이 할 수 있어요, 인정과 칭찬을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혼자서도 놀이 할 수 있어요, 직접 보여주기를 수반한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우리 함께 놀이 하자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놀이에서의 직접적인 교사-영아간의 다양한 언어적 상호작용은 영아들에게 보다 쉽게 자신의 놀이를 이해하고, 놀이 행동을 배우며 인정받게 하여 놀이에 대한 자신감과 성취감을 갖게 함으로써 영아 놀이를 유지·지속하고 확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