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령, 언어능력 수준 및 과제 유형이 유아의 속임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진희,유연옥 한국인간발달학회 2006 人間發達硏究 Vol.13 No.1

        본 연구는 3,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속임이해능력의 발달을 알아보고, 언어능력 수준과 과제 유형에 따라 속임이해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 3, 4, 5세 유아 각 40명씩 총 120명이 참여하였다. 언어능력 수준은 그림 어휘력 검사와 언어 표현 검사를 실시하여 측정하였고, 속임이해능력은 언어매개 과제와 행동매개 과제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반복측정 삼원변량분석 결과, 유아의 속임이해능력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그리고 과제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행동매개 과제에서 속임이해능력이 언어매개 과제에서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4세에서 언어능력 수준과 과제 유형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언어매개 과제에서는 언어능력 수준 상집단이 하집단보다 속임이해능력 점수가 높았으나, 행동매개 과제에서는 언어능력 수준 간 속임이해능력 점수의 차이가 없었다. 이는 유아들이 언어를 매개체로 한 속임이해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언어능력이 속임이해능력을 증진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속임이해능력을 이해하는데 있어 연령에 따라 언어능력과 과제 유형이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언어·문학 영재성과 국어 능력

        서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ments of giftedness and talent, relating them to the competence and thinking skills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re was a turning point of researching giftedness and talent in Korea after the legislation of the laws of giftedness in 2000. Unfortunately, we can only find just a few research papers and results regarding giftedness in Korean Education so far. F. GagnéG(2004) differentiated giftedness from talent, defining them respectively as natural abilities and developed abilities(or skills) and knowledge in at least one ability domain, to a degree that places an individual at least in the top 10% of his or her age group. The viewpoint of F. Gagnécontributed to the differenti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extending those ranges which were limited to just 1% in the early years of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Renzulli extended the range to almost the upper 50% by defining giftedness as “above the ability.” Even though Gagnéand Renzulli had fine ideas and suggested differentiated models regarding giftedness and talent, those are general models. So their models have limitations when we try to apply them to the area of language and literature. Therefore, I suggested specific elements of giftedness in the language-literature area, in particular Korean language, such as “abilities of processing linguistic code and text, creative language and literature, value judgment, affective thinking abilities.”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intrapersonal domain which make manifest the talent consist of language attitudes and motivations, teaching-learning environment and language experience. These elements play roles as catalysts for talent in specific areas such as academics, arts, press, management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ICT. 우리나라에서 영재교육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며, 더더구나 국어와 관련한 언어·문학 영재교육은 그 역사나 학생 수 등에서도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에는 국가적 투자나 관심의 부족도 있겠지만 그동안 관련 연구 부족도 언급되지 않을 수 없다. 영재성은 재능과 구별된다. 가네(Gagné)는 영재성(giftedness)과 재능(talent)을 각각 선천적 능력과 후천적 숙달성으로 차별화하되, 상위 10% 이내로 특정 영역에서 현저한 능력을 보인다는 점을 공통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는 20세기 초반에 상위 1%로 좁게 잡았던 영재성의 개념이 최근 들어 10%까지, 심지어 렌줄리의 경우는 ‘평균 이상의 능력’으로 정의함으로써, 훨씬 더 상향 조정하고자 하는 관점을 보여준다. 또한 ‘영재’와 ‘재능’에 대한 개념이 구분됨과 동시에 둘 모두가 교육적 관심의 대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가네의 이러한 탁견에도 불구하고 이는 어디까지나 영재성과 재능에 대한 일반 모형에 불과하기 때문에 언어·문학 영재성이나 재능의 논의에 그대로 차용하기에는 많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선천적인 언어·문학 영재성의 하위 요소로 ‘언어 기호 처리 능력, 창의적 언어·문학 능력, 정의적 사고 능력, 가치적 사고 능력’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영재성을 발현시키는 개인 내적 영역의 핵심 특성으로 ‘언어 태도 및 성향’과 ‘언어생활 및 교수·학습 환경’이 촉매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았다. 언어·문학의 영재성은 개인 내적 영역과 환경 영역에 적절하게 노출되었을 때 언어·문학적 재능으로 발현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언어·문학적 재능의 구체적 수행 분야는 학문, 예술, 언론, 경영, 대인관계, 정보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현될 수 있다. 향후 구체적인 판별 도구와 프로그램을 통해 한국 아동들의 언어·문학 영재교육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놀이중심의 집단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황보명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3 동서정신과학 Vol.6 No.2

        본 연구는 놀이중심의 집단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언어장애 아동의 언어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정한 기준에 따라 5명의 언어장애 아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사전 단계, 중재 단계, 사후 단계의 세 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사전 단계에서는 각 연구대상 아동들의 언어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는데, 부모와의 인터뷰 실시, 관찰 실시, 언어샘플 수집 등의 하위 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중재 단계에서는 놀이중심의 집단 언어중재 프로그램을 연구 대상 아동들에게 주 2회기씩, 총 30회기 동안 제공하였다. 사후 단계에서는 사전 단계와 동일한 언어검사 실시 및 언어샘플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언어장애 아동의 물리적 환경 및 교육적 환경을 고려하여 본 연구자가 고안한 언어중재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총 10가지의 놀이 활동을 제시하였는데, 이것을 다시 회기마다 포함되는 공통 활동 2가지와 회기마다 변화되는 활동 8가지로 구분하였다. 회기마다 포함되는 공통 활동으로는 자유놀이와 집단 시간이 있고, 회기마다 변화되는 활동들로는 수수께끼, 움직이기, 만들기/그리고, 운동게임, 역할놀이, 끝말잇기, 요리하기, 보물찾기가 있다. 연구 대상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 결과 의사소통 의도 다양성, 의미관계 다양성, 수용언어능력, 표현언어능력, 문장이해능력, 언어이해·인지능력, 그럼어휘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휘다양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놀이중심의 집단 언어중재 프로그램이 언어장애 아동에게 언어능력 중 화용론 측면과 의미론적 측면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언어능력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The study was aimed at clarifying the effects of a Group Language Intervention in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Five subjects were selected and two speech-language pathologists engaged in the group language intervention. In the groupnal language intervention, activities consisted of group time, playing riddles time, following directions time, drawing time, cooking time, word-chain game time, role-playing time, searching for objects based on directions, and recreation game time. To compare pre-treatment with post-treatment in the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repeated-measures ANOVA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unctional Language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number of communicative intentions of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in the number of communicative intentions. Second, the Functional Language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number of semantic relations of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in the number of semantic relations. Third, the Functional Language Interven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overall language abilities of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in the overall language abilities.

      • KCI등재후보

        언어-문학영재의 시적 언어능력 활성화 방안

        장창영(Jang, Changyoung) 국어문학회 2013 국어문학 Vol.55 No.-

        이 논문은 언어-문학영재의 시적 언어능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언어-문학영재들의 시적 언어능력은 어휘의 선별과 배치, 감수성과 직관력, 상상력과 창의력, 창조성과 실험정신, 형상화와 미적 완성도 등에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 글에서는 이에 착안하여 언어-문학영재들이 지니고 있는 시적 언어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언어-문학영재들은 시적 언어능력을 작품 창작으로 체화하면서 자신의 능력을 재확인하고 이를 형상화하는 과정에서 독자적인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한다. 그러므로 때문에 언어-문학영재들이 시적 언어능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실체를 점검하고 단계화를 통해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1단계에서는 사고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정관념 해체, 장면 전환 대응 훈련, 어휘력 강화훈련을 시도하고자 한다. 2단계에서는 경험과 상상력을 구체화하는 표현력 강화훈련과 시야 확장 훈련을 진행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자아 만족감, 원활한 대인관계 형성, 지속성 강화훈련을 시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언어-문학영재들은 상상력의 무한 확장, 언어 표현력의 확장, 정서적 안정감과 긍정적인 심리 변화, 잠재능력 개발에 따른 자아 성취감 형성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살펴본 시적 언어능력 개발과 관련한 요소들은 언어-문학영재들이 언어를 매개로 하여 자신 및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장치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나아가 시적 언어능력 활성화 방안은 언어-문학영재들에게 그들에게 주어진 기회이자 또 다른 가능성을 만나기 위한 우리의 미래 성장 전략이기도 하다. This paper considers about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application plan of the language-literary genius and this meaning.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of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acts in the sorting of the vocabulary and arrangement, susceptibility and intuition ability, imagination and creativity, creativity and experimenting spirit, and patterning and aesthetical percentage of completion compositively. In this paper, the concrete stratagem developing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which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carry in 5 sides tried to be devised.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have some unique experiences in the process that accumulate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with the creation of works, and reconfirm and materialize their own capab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 process of intensifying the ability through the leveling in order to activate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of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In the first step, the pliability of thought, fixed idea dismantling, and vocabulary intensified training are attempted. In the second step, the power of expression intensified training and view expansion training are progressed to materialize the experience and imagination. In the final step, the euphoria can be promoted at the writing process by implementing the self satisfaction expansion,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relation with a mentor, the psychological balance sense is maintained with the power of expression Through this,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can expect the feeling of self accomplishment formation by the unlimited expansion of the imagination, the expansion of the ability of lingual expression, the emotional sense of stability, the positive psychological change and the latent faculties development, and etc. The elements related to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enlightenment looked into in this paper have the meaning in the point that they are the devices which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can communicate with themselves and world by the medium of the language. In addition to that the poetic linguistic competence activation plan is not only the obligation given to the language-literary geniuses but also our investment to meet the another world.

      • KCI등재

        학습 및 기억과제를 통한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 평가

        홍성미(Sungmi Ho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의 유무를 확인하는데 유용한 평가과제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언어능력과 인지능력(학습능력, 기억능력) 과제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할 때, 모국어와 제 2언어를 모두 평가하는 것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ㆍ경기 지역에 사는 만 5-7세의 이중언어아동 4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과제는 표준화 검사와 함께 부모의 보고, 학습능력 과제(빠른우연학습 과제, 새로운 의존형태소학습 과제), 기억능력 과제(작업기억 과제, 단기기억 과제) 등을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발달지체를 확인하기 위한 과제들로 선정하였다. 두 집단의 언어능력 및 학습능력, 기억능력의 수행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 간 과제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Pearson의 편상관계수(partial correlation)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은 언어능력, 학습능력, 작업 및 단기기억 능력에서 정상언어발달아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나타냈다. 둘째, 정상언어발달 이중언어아동은 언어능력과 작업기억 능력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언어발달지체 이중언어아동은 언어능력과 단기기억능력 과제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중언어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모국어와 제 2언어의 평가를 포함한 언어능력과 함께 학습 및 기억능력 그리고 부모보고에 의한 아동의 언어정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measurement tasks best discriminate bilingual children who have language impairment from typical bilingual ones. Methods: Forty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ho were between 5 to 7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Tasks used in the study were standardized vocabulary tests, the parental report, the tasks of learning ability (Quick Incidental Learning of Words, Novel Bound-Morpheme Generalization), the tasks of memory ability (working memory test, short-term memory test). The study conducted two-way ANOVA to examine the group difference on language ability, learning ability, and memory ability and used partial correlations to analyze the data.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first, bi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were statistically lower on all language tests, learning and memory tasks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econd, typical bilingual childr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ability and working memory ability, yet bilingual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hort-term memory and language ability. Conclusion: Results indicated that it is important to assess both children's mother tongue and the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memory ability, and reports of parents in order to measure the language ability of bilingual children.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for identifying language impairment in bilingual children.

      • KCI등재

        언어 능력과 인지 능력의 상관관계

        하치근 한글학회 2010 한글 Vol.- No.287

        It has been said that humans adjust themselves to their environments by utilizing cognitive abilities that are inherited genetically. In the cognitive processes, there exist assimilation and accommodation: the former leads humans to understand a new stimulus in such a way that it fits into existing schemata and the latter enables humans to change the current schemata in commensurate with an external stimulus. Organization refers to the creation of cognitive structure by the assimilation and accommodation of the existing schemata, while equilibration is the state where assimilation and accommodation are well balanced as a result of organization. The cognitive abilities with the above characteristics develop into a higher concept and interact with linguistic competence.In such interaction lie categorization abilities based on the prototype theory to be equipped with concept or knowledge systems and perspectives that adjust to a focus by revealing salience of a certain experience and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figure and background. Other abilities also interact with linguistic competence. They include the ability to schematize that relates a symbol to a meaning, the ability to grammaticalize that turns into a lexical item into a grammatical one by reflecting our recognition system in the language change, and the ability to compare and a figure of speech that makes commonality stand out in our experience.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보는 관점상의 차이는 다양하다. 언어 상대성 이론이나 행동주의에서는 언어가 사고를 결정한다고 보는 언어 우위론의 입장을 취했다. 그런데 변형문법에서는 언어 능력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보편적인 능력으로 인지 능력과는 별개로 보았고, 인지언어학에서는 인지 능력이 언어 능력을 결정한다고 보는 사고 우위론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요즈음은 인지 능력과 언어 능력은 독립적인 관계가 아니고 상호 작용하되 일정한 시기까지는 인지 능력이 언어 능력을 좌우하다가 그 이후가 되면 언어 능력이 인지 능력을 좌우하게 된다고 보는 관점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인지 능력은 사람이 유전적으로 물려받은 기본적인 능력으로서 이 능력을 활용하여 환경에 적응해 나간다. 인지 과정에는 기존의 도식에 맞도록 새로운 자극을 이해하는 동화와, 외부의 자극에 맞도록 현재의 자극을 변화시켜 나가는 조절 작용이 있다. 기존의 도식에 동화와 조절로 새로운 인지 구조를 생성하는 작용을 구조화라 하고, 구조화하여 동화와 조절이 균형을 이룬 상태를 평형화되었다고 한다. 이와 같은 인지 능력이 상위 개념으로 발전하여 언어 능력과 상관 관계를 맺게 된다. 두 능력이 상호 작용하는 양상에는 개념 체계와 지식 체계를 갖추기 위하여 원형 이론에 바탕을 둔 범주화의 능력과, 어떤 경험에 현저성을 드러내어 초점을 조절하고 모습과 배경의 관계를 조성해 나가는 원근화법이 있다. 그리고 기호와 의미 사이에 관련성을 맺어주는 도상화의 능력과, 언어 변화에 사람의 인식 체계를 반영하여 어휘소가 문법소로 바뀌는 문법화의 능력, 우리의 경험 세계에서 공통성을 걸러내는 비교와 비유의 능력들이 언어 능력과 인지 능력 사이에 상호 작용한다.

      • KCI등재후보

        <교양 언어학> 수업을 위한 융복합 주제 연구 : ‘인간의 언어능력 진화’를 중심으로

        이재성, 장수철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24 대학교양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교양교육과정의 자유학예 영역에 속하는 기초학문 교과목을 대상으로 대학의 융복합 교육이 가능할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해, 자유학예 영역의 인문학 기초학문 교과목인 <언어학>에 자연과학 분야에서 확립된 ‘인간의 언어능력 진화’라는 주제를 접목한 융복합 수업 주제 콘텐츠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수업에서 운영 가능한 융복합 교육 콘텐츠로, 1) 언어소통 능력은 인간만의 전유물인가? 2) 언어능력은 타고나는 것인가? 3) 인간의 언어능력은 계속 작동하는가? 4) 언어는 자연선택 또는 문화선택이 되었는가? 5) 언어는 언제 출현하였는가?의 5가지 주제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이들 콘텐츠는 <언어학>과 <일반생물학>, <진화학> 등의 수업 내용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의 융복합 교육은 교양 교육과정에서 어렵지 않게 운영할 수 있다. 둘째, 교양 교육과정에서 융복합 교육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대학 교양교육 과정이 기초학문 중심으로 편성되어야 한다. 셋째, 기초학문 기반 융복합 교과목 개발은 대학의 교양교육 과정을 체계화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교양 교육의 정상화 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designing a convergence course composed of several basic subjects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To this end, this study assumes the development of a convergence course that combines the theme of ‘evolution of human language ability’ established in the field of biological science with <Introduction to Linguistics>, a basic course in the humanities, and develops convergence educational content that can be operated in this course. Five contents were presented here: 1) Is the ability to communicate verbally exclusive to humans? 2) Is language ability innate? 3) Does human language ability continue to function? 4) Was language a result of natural or cultural selection? 5) When did language emerge?

      • KCI등재

        읽기 능력과 읽기 인지 변인과의 상관

        가경신 ( Kyung Sin Ga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5

        본 연구는 읽기 인지 변인 중 교육적 처치를 통해 변화가 가능하고, 선행 연구 결과 중?고등학생들의 읽기 능력과 상관이 있으며, 양적 접근을 통해 측정이 가능하다고 여겨지는10가지 인지변인과 읽기 능력과의 상관을 밝힌 연구다. 읽기 속도, 오독 정도, 작업 기억 용량, 읽기 초인지 수준, 읽기 전략 사용 능력, 어휘력, 언어 논리력, 언어 추리력, 배경 지식, 일반 지식과 같은 10개의 읽기 인지 변인들이 중?고등학교급과 읽기 수준의 상위와 하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밝혀 읽기 교육과정구성의 기초 자료를 얻는 데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충남의 3개 시와 6개 읍?면에 소재하고 있는 6개 중학교 2학년 남녀 학생 335명과, 6개 고등학교 2학년 남녀 학생 324명 총 659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인지 변인들은 대부분 p<0.05 ~ p<0.1의 범위에서 상호간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평균과 표준편차를 분석한 결과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높았고, 읽기수준 상위 집단이 하위 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중학생은 모든 읽기 인지 변인과 읽기 능력 간의 상관을 보였으며, 고등학생은 읽기 속도 및 오독 정도와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중?고등학생 모두 읽기 능력과 가장 상관을 많이 보인 것은 어휘력이었다. 셋째, 중학생 읽기 수준 상위 집단의 읽기 능력은 읽기 초인지 수준, 어휘력, 언어논리력, 언어 추리력, 기본 지식, 작업 기억 용량 등과 상관을 보였으며, 하위 집단은 읽기속도와만 상관을 보였다. 고등학생 읽기 수준 상위 집단은 읽기 초인지 수준, 어휘력, 언어 논리력, 언어 추리력과 상관을 보였고 하위 집단은 읽기 속도 및 오독 정도와는 부적(否的)상관을 보였다. 중?고등학생 모두 상위 집단의 읽기 능력은 어휘력과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으며, 하위 집단은 읽기 속도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넷째, 읽기 인지 변인의 읽기 능력 예언 정도는 중학생은 약 30.4%, 고등학생은 약 31.4%로 학교 급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중학생은 읽기 속도, 배경 지식, 언어 논리력, 어휘력, 언어 추리력 순으로 읽기 능력에 영향력이 있었고, 고등학생은 기본 지식, 어휘력, 언어 추리력, 작업 기억 용량, 읽기 초인지 수준 순으로 읽기 능력에 영향력이 있었다. 중학생은 읽기 속도가, 고등학생은 기본지식의 예언력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중학생 읽기 수준 상위 집단의 읽기 인지 변인의 읽기 능력 예언 정도는 약24%며, 어휘력과 언어 추리력이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중학생 하위 집단은 약 4%로 읽기 속도만이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에 고등학생 읽기 수준 상위 집단은 약 21%의 예언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읽기 초인지 수준, 작업 기억 용량, 오독 정도, 언어 논리력이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고등학생 하위 집단의 예언력은 약 6%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진 변인은 하나도 없었다. 본 연구는 10개의 읽기 인지 변인과 읽기 능력과의 관계를 종합적이면서도 실증적으로 접근하였으며, 중?고등학교 및 읽기 능력 수준에 따른 차이에 집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들은 학교급에 따른 읽기 교육과정 구성의 위계화를 정하는 준거를 제공하게 될 것이며, 개인차를 고려한 수준별 교육과정 및 교재 구성의 내용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reading cognitive variables, in an educational category, that is controllable and can lead constant change through approaching reading process in a analyzing way, and to get base information about student`s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and development task to compose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verifying how the effectiveness of the variables differ from school level and reading ability. The cognitive variables that influence reading were limited within 10 variables in this research : reading speed, misreading level, working memory, cognitive level, strategy using ability, word power, language logic power, language reasoning power, background knowledge, common knowledge. Also, 5 point cognition survey was proceeded to understand the student`s demand and cogni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written below. First, reading cognitive variables showed meaningful correlation inside the range of p<0.05 - p<0.1, high school student`s average and standard variance of all variables were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also reading high class`s average and standard variance were higher than reading low class.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cognitive variables and reading ability differed from the level of the school.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correlation through all the variables, but high school students didn`t show correlation between reading speed and misreading level.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at reading ability and word power were most highly correlated. Third, reading high class and low class also indicated difference of correlation between reading cognitive variables and reading ability. The middle school reading high class showed correlation with cognition, word power, language logic power, language reasoning power, common knowledge, working memory, however low class showed correlation only with reading speed. The high school reading high class showed correlation with cognition, word power, language logic power, language reasoning power and low class showed revers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speed and misreading level which meant low reading ability if reading was fast and correct. Both middle and high school high class showed most correlation with word power and low class with reading speed. Fourth, the prediction ability of reading cognitive variables differed by the school level. Reading cognitive variables predicted read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30.4% and high school students by 31.4%. Middle school student`s reading speed, background knowledge, reading logical power, word power, reading reasoning power predicted their reading ability and background knowledge, word power, reading reasoning power, working memory, cognition predicted high school student`s (enumerated orderly). Fifth, the predicting ability also differed from reading ability high and low class, middle school high class predicted approximately 24%. Word power and language reasoning power had the most influence. Reading speed was the only variables that predicted middle school low class by 4%. However, high school high class had 21% predicting ability and cognition, working memory, misreading level and language logical power had meaningful influence statistically. And high low class had 6% prediction power but had no influential variables. Through the result of this thesis, we can understand that reading study should be discussed with an integrated point, not only about the independent feature of reading related variables, also the necessity of education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 composition by school level and ability was confirmed. Moreover the importance of reading speed and word power guidance in middle·high school was emerged. And through examining correlation between student cognition test and reading cognitive variables, it was verified that reconsider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reading evaluation is needed.

      • KCI등재

        정상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과 인지 보존능력 간 상관성에 관한 메타분석

        이미숙(Mi-Sook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인지 보존능력(CR)이란 보완적 뇌 연결망을 통해 인지적 수행력을 최적화 또는 극대화시키는 능력이다. CR은 노화에 따른 인지-언어 능력의 저하를 완화 또는 지연시키는 데 기여한다. CR 및 정상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 간 상관성을 체계적으로 살펴본 국내 메타분석 연구는 거의 드문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게재된 국내외 문헌 중 총 32개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상관성을 체계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CR의 유형은 교육수준과 인지자극 활동, 다중언어 사용, 직업 순으로 많았고, 인지-언어의 하위 영역 중에는 기억력, 전반적 인지능력, 언어능력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CR과 인지-언어 능력 간 상관성은 ‘중간’ 정도였으며, 기억력, 언어능력 등이 여러 CR 유형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CR이 정상 노년층의 인지-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증거 기반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Cognitive reserve(CR) is the ability to optimize or maximize performance through complementary brain networks. CR is relevant to normal aging in cognitive-linguistic abilities. There are few domestic systematic reviews or meta-analyses that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multiple CR and cognitive-linguistic domains in healthy older people. This meta-analysis included 32 studies published since 2000. In result, education level topped the list, followed by the occupation, cognitively stimulating activities, and the multilingualism. Most studies were related to memory, global cognition, and language. CR had a modest positive association with cognitive-linguistic performance. Multiple domains including memory and language also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across most measures of CR. This study provides evidence-based information to support cognitive-linguistic ability in normal aging.

      • 일반아동과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상황, 조건 인과관계에 대한 언어이해능력 비교 연구 : comparison study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mild mental retardation

        신종호,이강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2 특수교육 Vol.1 No.1

        아동의 언어이해능력은 학습능력과 직결되며 일반아동뿐만 아니라 경도 정신지체아동에게도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상황관계, 조건관계, 인과관계 언어이해능력의 발달 특징과 수준을 언어능력이 비슷한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는 통합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교 저학년 경도 정신지체아동 50명과 이들과 비슷한 언어능력을 가지고 있는 유치원 일반아동 49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의 언어이해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본 논문의 주저자가 개발한 인지판단 그림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경우 일반아동과 마찬가지로 상황관계 언어이해능력이 조건관계나 인과관계 언어이해능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경우 연령집단별 언어이해능력의 차이가 일반아동 집단과는 달리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상황관계, 조건관계, 인과관계 언어이해능력에 있어 경도 정신지체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낮은 수행수준을 나타내 보였으며, 이들의 수행수준은 일반아동 만4세 집단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이들 연구결과들은 인지적 기초학습능력으로서 언어이해능력을 고려해 경도 정신지체 아동의 성공적인 교육 통합을 계획, 실행하는 데 기초자료로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Linguistic-understanding abilities ar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cognitive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and an influential basis for later school learning.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developmental features of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in linguistic-understanding abilities as compared with those of children who are normally developing with similar linguistics abilitie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specifically examined in the study. First,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differences among different types of linguistic understanding (associative, conditional, and causal relation understandings) were found within each group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Second, it was examined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linguistic-understanding abilitie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d how much the differences were. Fifty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in grades one to four receiving educational services in integrated environm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addition,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ged 4 to 6 were included for comparisons. Participants abilities of linguistic understanding were assessed with the Picture Test of Linguistic Abilities for Young Children developed by the first author of the study.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children revealed the highest performance in the associative relation understanding, the next highest in the conditional relation understanding, and the lowest performance in the causal relational understanding both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linguistic-understanding abilit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performed in all three types of linguistic understanding abilities at similar levels to those of normal children in age 4.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children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seem to have developmental delays in linguistic-understanding abilities by about 4.3 years. In addition, they seem to have mor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conditional and causal relations, as compared with associative, situational rel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e intense programs should be planned and delivered for children with mild disabilities to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of conditional and causal relations in given information. Sugges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facilitating successful educational integration of the mildly mentally retarded through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 abilities as a learning t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