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경험 탐색

        최이수 ( Choi Yi-soo ),권경숙 ( Kwon Kyung-soo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원장을 대상으로 민간과 가정어린이집 원장의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을 결정하게 된 동기는 무엇이며 국공립어린이집 전환과정과 이후 어린이집을 운영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는 국공립전환 경험이 있는 어린이집 원장 10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에서 2020년 2월까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국공립어린이집 전환을 결정하게 된 원장의 전환 동기는 기존 민간ㆍ가정어린이집 운영유지의 어려움, 국공립어린이집에 대한 사회적 기대로 나타났다. 둘째, 국공립어린이집 전환 전ㆍ후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어려움은 초임 국공립 원장의 운영관리에 대한 어려움, 국공립어린이집 체계에 대한 적응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질 높은 국공립어린이집 운영과 국공립전환 정책의 바람직한 정착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tivation behind the decision of the director of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regarding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conversion from private.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to the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was observed, and also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running the daycare centers afterward.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etween October 2019 and February 2020 with 10 headmasters of daycare centers with experience in national and public conversion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ifficulty of maintaining existing private and family daycare centers, anxiety about changing childcare policies, and expectations for the status of state-run daycare centers were the motivation of the director in deciding for the conversion. Second,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director of a daycare center concerning the transition to a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center were expressed as the difficulty of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as the first director of a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center, and the difficulty of adjustment to the national or public childcare center system.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higher-quality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the desirable settlement of national and public transition policies, by examining the motive behind the decision of the headmasters of daycare centers to convert to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operating daycare centers afterward.

      • KCI등재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어린이 치사상 가중처벌의 문제점

        김선광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法學論文集 Vol.46 No.2

        2019년 9월 11일 故김민식 군의 사망사건을 계기로 제정된 이른바 ‘민식이법’이란 어린이보호구역에서 어린이 교통안전을 위한 시설이나 교통단속용 장비의 설치 의무에 관한 내용 등의 ‘도로교통법 제12조 제4항 및 제5항’의 규정과 어린이보호구역에서의 어린이교통사고에 대하여 가해자를 ‘가중처벌’하는 내용의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13’의 규정을 말한다. 이 법은 당시 만 7세 어린이의 교통사고 사망사건이 전(全) 국민적인 공분을 일으켰고, 정치권의 관심까지 집중되면서 사건발생 3개월 만에 국회본회의를 통과하였다. 특히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13’은 어린이 보호구역에서 어린이 교통사고에 대하여 가중처벌하는 규정인데, 여기서 몇 가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첫째, 법정형의 문제이다. 이 법은 “어린이를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에는 무기 또는 3년 이상의 징역(제1호), 상해에 이르게 한 경우에는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상 3천만원 이하의 벌금(제2호)에 처한다.”고 규정되어 있는데, 과실범임에도 불구하고 법정형이 다른 고의범과 비교하여도 상당히 높은 중형주의로 입법되어 있다. 둘째는, 사망사고의 경우에 벌금형의 규정이 없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비록 어린이가 사망하는 사고일지라도, 운전자의 경미한 과실이나 어린이 피해자의 과실이 더 큰 경우에도 일률적으로 3년 이상의 징역을 선고해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셋째는, 과실범에 대하여 가중처벌 하는 문제가 있다. 과실범은 주의의무위반이 있을 때 처벌되는 것으로, 고의범에 비하여 형벌이 비교적 낮게 규정되어 있다. 그리고 처벌규정이 존재할 때에만 예외적으로 처벌이 가능한 것이다. 고의범에 비하여 비난의 정도가 그만큼 낮기 때문인데, 이러한 과실범에 대하여 가중처벌을 하는 것이 합당한가 하는 의문이 든다. 그리고 넷째, 이와 같이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13’은 과실범에 대한 가중처벌 및 과도한 법정형으로 인해 다른 형사범죄와의 형벌체계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는 헌법상 평등의 원칙, 과잉입법금지 및 책임과 형벌간의 비례의 원칙에 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다섯째, 신중한 입법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정된 법률의 경우에 실제 선고형이 기존의 법률규정에 의한 처벌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1항’에 의한 처벌과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13’에 의한 처벌을 비교하여 보면, 치상사건의 경우에 법정형의 규정이 금고에서 징역형으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면 여전히 ‘6개월-8개월’의 같은 형량이 선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치사사건의 경우에는 기존에는 금고 6월에서 10월과 집행유예가 선고되었음에 반하여, 법정형 때문에 불가피하게 하한인 징역 3년을 선고하면서 결과적으로는 동일하게 집행유예를 선고하였다. 아무리 어린이의 사망사고라고 하여도 과실범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강력범죄에 상응하는 무기나 징역 3년을 훨씬 초과하는 중형을 선고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13’의 가중처벌의 입법취지는 무의미해진다. 이는 필요시 ‘5년 이하의 금고’를 규정한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1항’으로도 가능한 처벌이다. 기존의 교통사고처리 ... The so-called 'Min-sik Law' was enacted in the wake of the death of the late Kim Min-sik on September 11, 2019, and refers to the provisions of Article 12 (4) and Article 12 (5) of the "Road Traffic Act" specifying the obligation to install facilities for children's traffic safety or equipment for traffic control in the child protection zone and the provisions of Article 5-13 of the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of Specific Crimes, etc.", which stipulates ‘aggravated punishment’ of the perpetrators for traffic accidents that victimize children in child protection zones. At that time, the traffic accident that resulted in the death of a 7-year-old child brought about the public outrage all across the country, and in turn, with the attention of politicians, the law passed the plenary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hree months after the incident. In particular, regarding Article 5-13 of the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of Specific Crimes, etc.", which is a regulation that imposes aggravated punishment on traffic accidents that victimize children in child protection zones, a few questions are being raised. First, there is the issue of statutory punishment. This law stipulates "a person who causes injury or death of a child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life or not less than 3 years (No. 1) in case of causing death of a child; and imprisonment for not less than 1 year and not more than 15 years, or a fine of not less than 5 million won and not more than 30 million won in case of causing injury of a child (subparagraph 2).", which is a considerably higher statutory punishment for the crime, even though the crime is caused by a negligence which is not intentional, compared to that of other intentional offenders. Second, there is no provision for fines in the case of a death accident. Accordingly, the problem is that an imprisonment sentence of more than three years must be uniformly imposed if a child dies in an accident, even if the driver's negligence is minor or the child victim's negligence is greater. The third problem is about the aggravated punishment for negligent offenders. A negligent offense is punishable when there is a breach of the duty of care and the punishment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intentional offender. And it is possible to exceptionally punish only when there is a penalty rule. This is because the degree of accusation is that low compared to the intentional offender. In this context, the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impose aggravated punishment on such negligent offenders. Fourth, as such, in Article 5-13 of the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of Specific Crimes, etc.", there is a problem with other criminal offenses in the punishment system, which is against the principle of equality in the Constitution, prohibition of excessive legislation,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between responsibility and punishment. Fifth, in the case of laws enacted without a careful legislative process, the actual sentencing is often not different from punishment under existing legal regulations. When comparing the punishment under Article 3 (1) of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raffic Accident Handling" and the punishment under Article 5-13 of the "Act on the Aggravated Punishment of Specific Crimes, etc.", it can be seen that the same sentence of '6 months to 8 months' is still being sentenced only with the exception that the fact that the provisions of the statutory punishment in the case of personal injury are changed from confinement to the prison sentence. And in the case of a death accident, while confinement from 6 to 10 months and probation has been sentenced previously, the statutory sentence under the law should inevitably be a lower limit of three years' imprisonment and the same probation as well. This is because even if it is a death accident of a child, a life sentence equivalent to a violent crime or a severe sentence tha...

      • KCI등재

        어린이 철학교육에서 문학작품의 활용 - 트리갭의 샘물을 중심으로 한 ‘죽음’ 이해

        박연숙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9 리터러시 연구 Vol.10 No.4

        The idea of teaching philosophy to children became a much more systematic process in the 1970s, largely as a result of American philosopher Matthew Lipman and his program developed at the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Philosophy for Children (IAPC). Lipman’s ‘philosophy for children’ consisted of methodically developing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upon age and differing stages of learning, upon which training programs for the curriculum’s instructors would be developed. Such a process has, over the years, become most successfully disseminated on a worldwide scale, as the program is made available in no less than 40 different languages. On the other hand, some critics such as Gareth Matthews have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Lipman’s IAPC-developed curriculum and its standardized manuals, suggesting an alternative of teaching philosophy to children by utilizing ‘dialogue’ as the centerpiece, without regard to the IAPC curriculum. Matthews’ approach was thus termed ‘philosophy with children.’ In response, Lipman belittled ‘philosophy with children’ as a small offshoot of his own ‘philosophy for children.’ He added that the process of conducting dialogue with a child based on his/her own philosophical ideation, without regard to a systematic curriculum, may fulfill the purpose of encouraging children to become philosophers but would not be effective as a means for a philosophy education program. Examination into the actual curriculum developed by Lipman reveals that it takes the form of literary novels, yet there has often been criticism that his philosophical novels lack literary value. Further, because they were devised to improve a specific aspect of a child’s thinking skills, they ended up limited in appeal which, in turn, does not peak the interest of children. Lipman, however, did not see these qualities as a problem, stating that his philosophical novels had a clear educational purpose of stimulating philosophical debate, which is more befitting to the overall goal of philosophical education than known literary works which contain within neither philosophical queries nor any models of inquisitive thinking. As a result, Lipman was against the utilization of literature in philosophy education for children. The current paper strongly recommends the utilization of literature in the education of philosophy for children. There are plenty of literary works, especially those considered classics, that deal with metaphysical themes of time, space, or identity, encapsulating ideas, such as logical themes related to searching for meaning or nonformal logic or ethics- related themes that deal with moral choices and judgment of actions. The current paper will lay out a teaching plan for instructors of philosophy for children that utilizes the classic novel Tuck Everlasting, specifically as a tool for teaching the difficult philosophical concept of ‘death’ to young children. The paper will then attempt to show that Lipman’s ‘philosophy for children’ and Matthews’ ‘philosophy with children’ can be mutually reinforcing for each other as opposed to being offshoots or in competition with each other. 어린이 철학교육은 1970년 미국의 철학자 매튜 리프만(Matthew Lipman)이 주축이 되어 IAPC(Institute for Advancement of Philosophy for Children) 프로그램을 설립하며 체계화되었다. 리프만의 ‘어린이를 위한 철학(Philosophy for Children)’은 연령별 단계별 철학교재를 개발하여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구축하고 이를 실행할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현재 40여개 언어로 번역하여 세계적으로 널리 보급하는 성과를 누리고 있다. 한편 리프만의 IAPC 프로그램에서 개발한 교재와 정형화된 메뉴얼에 한계를 느낀 개리스 매슈스(Gareth Matthews) 등은 IAPC 프로그램 교재와 상관없이 어린이와의 대화를 중심으로 진행하는 철학교육을 제안하며 ‘어린이와 함께 하는 철학(Philosophy with Children)’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대해 리프만은 ‘어린이와 함께 하는 철학’은 ‘어린이를 위한 철학’의 ‘작은 파생(small offshoot)’이라며 폄하하고 체계화된 교재 없이 어린이가 제시하는 철학적 발상을 두고 대화를 이어나가는 것은 어린이를 어린 철학자로 개발시키는 데 목적이 있을 뿐, 철학교육프로그램으로서는 효과적이지 않다고 보았다. 리프만이 창작한 교재 역시 소설의 형식이지만 그의 철학소설들은 문학성이 떨어지고 특정 사고력 향상을 목적으로 고안된 탓에 이야기가 제한적이고, 아이들의 흥미를 끌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자주 지적되었다. 하지만 리프만은 이를 단점으로 보지 않았다. 그것들은 오히려 철학 토론을 자극하기 위한 명확한 교육적 목적을 가지고 있어, 철학적 질문들을 포함하지도 않고, 탐구적 사고자로서의 모델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학작품보다는 철학교육에 더 적합하다는 입장이다. 이런 이유로 리프만은 어린이 철학교육을 할 때 문학작품을 활용하는 것에 반대한다. 본고에서는 철학교육에 문학작품을 적극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고전에 해당하는 문학작품은 대체로 시간이나 공간, 인간의 정체성과 같은 형이상학적 주제를 다루며, 의미 해석과 비형식적 추론과 관련된 논리적 주제, 도덕적 판단과 행위의 옳음과 관련된 윤리적 주제 등을 함축하고 있다. 예시로 『트리갭의 샘물』을 중심으로 ‘죽음’이라는 철학적 주제를 철학수업에 활용한 교안을 제시하며, ‘어린이와 함께 하는 철학’과 ‘어린이를 위한 철학’이 파생관계나 경쟁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 관계임을 입증한다.

      • KCI등재

        중국 어린이 박물관 시각 디자인 커뮤니케이션의 관람객 경험에 관한 연구

        Qiyi Deng,Min Lee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9

        어린이들이 박물관 관람을 통해 문화를 알아가며 교육을 받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아래 어린이 박물관의 시각적 디자인 특성 분석을 통한 시각 정보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 제고 및 커뮤니케이션 효과 향상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어린이 박물관 교육 활동은 박물관의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 박물관의 시각 디자인을 검토하고, 중국 어린이 박물관 교육에 대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시각 디자인 프로젝트 연구를 통해 중국 어린이 박물관의 실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근거로 현재 중국 어린이 박물관의 시각 디자인에 대한 문제를 파악하고, 개인 인터뷰, 설문 조사 등을 통해 얻은 실질적인 정보를 가시화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이 박물관 시각 디자인의 특성 문제와 원인을 규명하고, 연구 과정 중 시각장 영역, 커뮤니케이션 모드, 정보의 시각화 처리 방법을 사용하여 나타난 문제의 개선책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시각 디자인 구성에 대하여 설문 응답자의 체험 및 검증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개선책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향후 어린이 박물관은 디지털 미디어와 과학 기술 발전의 영향으로 실제와 가상이 결합한 커뮤니케이션의 형태와 함께, 교육 활동, 문화 생산, 커뮤니케이션과 체험을 통해 도시문화 시스템과 대중 사회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형태로 발전할 전망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 박물관을 대상으로 시각 디자인 특성을 연구하고, 경로와 범위를 확인하여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다양한 전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내 어린이 박물관의 시스템적인 시각 구축 형태의 기조를 박물관 문화 전승에 발맞춰 교육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It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for children to sense cultures and receive education through museum visits. Against thi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analyze how visual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useums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visual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enhance communication effectiveness. Children's museum educational activities are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of museum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visual design of children's museums and provide research directions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s museums in China. First, we analyze the practice of Chinese children's museums through visual design project research. Based on this, we identified the current problems of visual design in Chinese children's museums, visualized the practical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personal interviews and surveys, and analyzed the data. Through this, we identified the problems and causes of the characteristics of visual design in children's museums, and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blems that emerg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using the visual field area, communication mode,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ing method. Finally, the analysis was improved based on the survey respondents' experience and verification of the visual design composition. In the future, under the influence of digital media a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s, children's museums will develop into a form of real and virtual defective communication, as well as a form of participation in urban cultural systems and mass social networks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cultural production, communication and experience.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visual design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museums, identify the path and scop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various exhibitions integrating digital technology. In addition, the systematic form of visual construction in children's museums in China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in line with the transmission of museum culture.

      • KCI등재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대한 원장과 교사의 인식

        배경희(Bae, Kyeounghee),구수연(Gu, Suyeon)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대하여 원장과 교사의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G지역에서 열린어린이집으로 선정된 국공립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의 원장과 교사 각 2명씩 총 12명이다. 연구를 위하여 각 참여자당 2회에 걸쳐 면담을 하였으며, 추가사항을 전화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열린어린이집 운영에 있어 개방성과 참여성, 지속가능성, 일상성, 다양성의 측면에서 변화를 경험하였다. 특히 초기에는 개방성과 참여성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가능성, 일상성, 다양성의 측면에 노력을 기울였다. 둘째, 열린어린이집 운영을 통해 열린어린이집은 개방과 신뢰를 통한 보육전문기관이라는 인식의 변화가 있었다. 셋째, 더 나은 열린어린이집 운영을 위해 서류의 간소화, 열린어린이집 운영과 관련된 교사교육, 부모역할에 대한 교육, 재정적 지원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적인 부모교육과 체계적인 교사교육으로 열린어린이집의 방향설정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the directors and teachers in operating an open childcare center, and to determine ways to improve the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 people, two teachers and two directors each from national and public childcare centers, private childcare centers, and family childcare centers which were selected as open childcare centers in G city. Each participant for the study was interviewed twice, and additional matters were investigated by phon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open childcare center operation experienced changes in terms of openness, participation, sustainability, daily routine, and diversity. In particular, efforts were made initially on openness and participation, and over time on aspects of sustainability, routine and diversity. Second, while operating the open childcare centers, they found the identity of the open childcare center. Third, there was a necessity for better management for the open childcare centers that included the need to simplify documents to provide educ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open childcare centers to the educators and to provide education on the parents’ role, and for financial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it can serve as basic data for preparing policy support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open childcare centers by preparing professional parental education programs and systematic teacher education programs as well.

      • KCI등재

        국내 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 제공 현황 분석

        정종기(Jung, Jong-Kee)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9 No.-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어린이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전국 19개 광역시·도 83개의 어린이도서관과 어린이서비스를 제공하는 745개 공공도서관이다. 우리나라 어린이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의 현황과 이용실태에대한자료를수집하기위해한국도서관통계시스템과유선전화설문조사를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어린이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 가운데 어린이도서관 83개관 중 78개관(94%)이 지방자치단체, 1개관이 교육청 소속이고, 사립 어린이도서관이 4개관이다. 둘째, 어린이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도서관은 745개관으로 이 중 498개관(67%)은 지방자치단체, 231개관(31%)은 교육청소속, 16개관(2%)은 사립 공공도서관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린이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인쇄자료 연간 평균 증가율은 10.5%였으며 공공도서관의 성인자료 증가율 9.4%보다 높은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린이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 가운데 어린이도서관 등록회원의연간평균방문횟수와자료실이용횟수는17.7회, 14.2회로월12회어린이도서관을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공공도서관의 성인용 자료 대 아동용 자료의 구성 비율은 70.6% 대 29.4%로 나타났다. 여섯째, 어린이도서관의 1관당 봉사지역의 평균 봉사대상 아동의 수는 약 5만명 정도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urrent status and usage of children library, and to propose how to cultivate the services of children library. The object of this survey is 828 children libraries which are composed of 83 children exclusive libraries and 745 public libraries. This study used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 System and the statistic resources from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1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these; 1) The average increasing rate of children pressed resources per a year is 10.5%, proved to be higher than 9.4% of adults resources in public library. 2) The numbers of average children library visit & usage per a year for the registered members are 17.7 and 14.2. 3) The rate between adults resources and children resources in public libraries is 70.6% vs 29.4%. 4)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in service area per a children exclusive library is about 50 thousand.

      • KCI등재

        어린이를 위한 창작 판소리의 현황과 특징

        진은진 판소리학회 2008 판소리연구 Vol.25 No.-

        This paper research on newly Pansori for children that is producted active recently. The Juvenile Pansori slog it's way after the <Toki and Gobugi 토끼와 거북이>, <Hanim Dalim 햇님, 달님> that is the first Juvenile Pansori. There is many work such as <Jaminegol 재미네골><guazaga 과자가><gangagiddong 강아지똥>. Most works came from traditional tales, children's books and animation. And several works was not in reworking what others had done, but in creating original works. The former has narrative but the latter has not. And they are all teaching a person a lesson, but the former lesser degree. Juvenile Pansori was intended to a lesson and narrative. So there's almost no humor and no tragic. And It has its own special expressions for juvenile. It is very important to product Juvenile Pansori which has with brilliant artistry, is simple. Because, the probability is that children who heard this Juvenile Pansori became a the leader of newly Pansori. 이 논문은 최근 창작 판소리의 중요한 변화 중 하나인 어린이를 위한 창작 판소리를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어린이를 위한 창작 판소리는 2002년 제2회 또랑광대콘테스트에서 소개된 <토끼와 거북이>, <햇님 달님>이 최초의 작품으로 이후 창작 판소리를 작업을 진행하는 이들 사이에서 꾸준한 창작이 이루어졌다. <재미네골><과자가><동희의 판소리 여행기><아기공룡 둘리><강아지똥><나라 구한 방귀 며느리> 등 다수의 작품이 창작되면서 ‘아해소리’, ‘아이소리’, ‘동화 판소리’, ‘아동판소리’, ‘동가(童歌)’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 따라서 어린이를 위한 판소리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를 위해서는 우선 어린이를 위한 판소리의 용어와 범위가 우선 문제가 되겠는데 이 논문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작품으로 창작된 것이 분명한 작품에 한하여 ‘어린이 판소리’라고 규정하고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 어린이 판소리는 설화나 동화, 만화 영화 등 기존의 서사를 각색하는 방식과 새로이 창작을 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 서사를 강점으로 가지고 있으나 새로이 창작을 한 작품들의 경우에는 이야기성이 약하여 의도성이 너무 뚜렷하게 드러난다는 한계를 지닌다. 특히 어린이 판소리에서는 지나친 교훈이 특징 중 하나인데 서사가 약한 경우에는 이러한 주제의식이 더욱 두드러졌고 그렇지 않으면 지나치게 흥미 위주의 작품이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어린이 판소리는 서사 자체의 전달이나 교훈 전달에 너무 치중하다보니 골계미나 비장미 등 미학적인 안배보다는 목적성을 너무 강하게 드러내게 되는데, 이는 구연동화처럼 어린이를 의식한 독특한 표현들에서도 잘 나타난다. 어린이 판소리는 이제 단순한 실험을 넘어서고 있어 음악 쪽뿐만 아니라 문학 쪽에서의 관심과 참여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명창들의 참여도 더욱 활발해져야 하겠거니와 사설 창작에 있어 어린이 문학을 담당하는 작가와 편집자, 비평가들의 관심과 역할도 증대되어 음악성과 예술성을 고루 갖춘, 수준 높으면서도 쉬운 소리를 만들어야 한다. 이 판소리를 들은 어린이들이 바로 다음 세대 판소리의 주역으로 성장할 것이며, 그것은 곧 미래의 판소리의 향방을 결정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어린이집 선정에 대한 영아 어머니의 경험

        백정언(Jung Un Back),최난영(Choi Nan Young),권경숙(Kwon Kyung Sook),김기영(Kim Gi You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영아 어머니들이 어린이집에 가지는 기대는 어떠하며, 어린이집 선정 방법과 기준 및 선정 과정에서 느끼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분석함으로써 영아 어머니들이 어린이집 선정의 지침과 기준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P시에서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의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어머니들은 어린이집이 제 2의 가정이 되기를 바랐으며 영아의 사회성 증진의 장 및 어머니의 재충전을 돕는 피난처의 역할이 되기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 어머니는 어린이집 선정 시 지역적으로 가까운 위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양한 정보 수집 방법을 통해 결정하며, 좋은 인성을 지닌 어린이집 교직원을 보고 선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어린이집 선정 시 어려움으로는 부족한 자리와 어린이집에 대한 불충분한 정보, 좋은 어린이집 기준에 대한 모호성을 경험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support infant’s mother how the expectation of infant mothers for the day care center and what the difficulties they have are in the way, criteria and process of selection. The results of the in - depth interviews of 10 infant s mothers who were in the daycare centers in P city of Gyeonggi - do were as follows. First, infants mothers wanted daycare centers to become second homes, and they expected them to play a role in promoting the social skills of infants and as shelters to help their mothers recharge. Second, infant mothers prefered location close to their homes when selecting a daycare center, decided through various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s, and that they feel good emotions in the good personality of the teachers of daycare centers. Third, the difficulty in choosing a daycare center was experiencing a lack of space, inadequate information on daycare centers, and ambiguity about good daycare standards.

      • KCI등재

        ‘어린이의 역사’에 기반한 초등학교 역사교수요목 구성방안

        손주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3 사회과교육연구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concept and nature of ‘history of children’ and to develop a elementary school history syllabus based on ‘history of children’. The most desirable way to describe children in the past is to reconstruct their lives through their voices. Even if we use sources written by adult, we need to draw children as historical actors or find meaning for children from their perspective by engaging with empathic inference. The proposed syllabus for elementary school history based on children's history includes five themes: 1) History that matters to children: birth, 2) Children as historical actors: resistance, 3) Impact on children: move, 4) Meaning of children's public sphere: adaptation, and 5) Meaning of children's private sphere: free, each of which is based on historical facts or topics from different ages. The proposed syllabus includes a discussion of how historical facts, even those that are already well known, should be taught for restoring children's agency.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의 역사(history of children)’의 개념과 성격을 정리하고, ‘어린이의 역사’를 학습 내용으로 하는 초등학교 역사교수요목의 구성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과거의 어린이를 복원하는 가장 바람직한 모습은 어린이의 목소리로 그들의 삶을 복원하는 것이다. 성인에 의해 기록된 자료를 활용하더라도 공감적 추론을 통해 주체적 행위자로서 어린이를 그리거나 어린이의 관점에서 어린이에게 갖는 의미를 찾아야 한다. ‘어린이 역사’에 기반한 초등학교 역사교수요목은 1) 어린이에게 중요한 역사: 탄생, 2) 역사적 행위의 주체로서 어린이: 저항, 3) 어린이에게 미친 영향: 이동, 4) 어린이의 공적 영역의 의미: 적응, 5) 어린이의 사적 영역의 의미: 해방의 5개 주제이며, 각각의 주제는 시대별, 또는 여러 시대에 걸친 역사적 사실이나 토픽을 내용요소로 한다. 제안된 교수요목에는 기존에 잘 알려진 역사적 사실이라도, 어린이의 주체성 회복이라는 관점에서 해당 사실을 ‘어떻게 학습해야 하는지’의 논의를 포함한다.

      • KCI등재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기반한 어린이제품 사용에 따른 중대사고 발생 요인별 영향 연구

        윤필준,김기태 표준인증안전학회 2023 표준인증안전학회지 Vol.13 No.3

        한국 전체 안전사고의 20% 이상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어린이 관련 안전사고에는 어린이제품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가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어린이제품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 유형이나 요인 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대사고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여 어린이제품 연령 분류에 따라 어린이 전 연령, 영아(0~12개월), 유아(12~36개월), 어린이(36개월~13세)로 나눠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 동안 발생한 어린이제품에 의한 어린이 상해 데이터 22,200건을 표본으로 연령, 성별, 연도, 인증정보, 장소, 계절, 행동 등 7개의 사고 요인을 분석하였다. Logistic regression 분석 결과, 전 연령에서는 중대사고 발생 시 장소, 연도, 성별을 제외한 연령, 인증정보, 행동, 계절에서 중대사고 발생의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연령 분류에 따른 영아, 유아, 어린이 등 3개 모델에서는 영아는 행동만이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으며, 유아와 어린이에서는 장소, 인증정보, 행동, 계절 등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다수의 사고 요인에서 발견된 중대사고 연관성은 어린이제품 사고 발생 시 중대사고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고 요인을 확인하는데 logisitic regression 분석이 유용한 모델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중대사고 예방을 위한 어린이 제품 사용 주의사항 표시, 예방 교육, 리스크평가 등 어린이 제품 안전 사용에 관련된 여러 정책을 결정함에 있어 과학적인 기본 통계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hild safety remains a paramount concern, constituting 20% of all safety incidents. Notably, accidents linked to children's product usage constitute a significant subset of these occurrences. However, comprehensive research elucidating the specific typologies and determinants of safety accidents originating from the utilization of children's products is deficient. In this study, we categorized children of various age groups infants (0 to 12 months), toddlers (12 months to 36 months), and children (36 months to 13 years) according to age-appropriate product classifications. We procured and analyzed a dataset encompassing 22,200 instances of child injuries attributable to children's products over a span of five years until 2022. The analysis scrutinized seven key accident factors, namely age, gender, year, certification status, location, season, and behavior.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nveiled several noteworthy findings. Across all age model, age, certification information, behavior, and seas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correlating with severe accidents, whereas place, year, and gender exhibited no such significance. Within the baby(~12month) model, solely behavior emerged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Meanwhile, among infant(12~36month) and children(36month~13age), factors such as location, certification information, behavior, and season demonstrat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accident factors, it was confirmed that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a useful model for identifying the causes of serious accidents related to children's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policies to improve the safety of children's product use. These policies include designing product usage precautions to prevent serious accidents, promoting prevention education, and comprehensive risk assessment.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a scientific basis for various policies and initiatives for the safety of children's product 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