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직업안정성과 위험감수 성향에 따른 소비자 포트폴리오 비교 분석

        김민정,손지연,최현자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07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3 No.2

        외환위기 이후 경쟁이 심화되면서 일자리의 상당수가 비정규직 근로자로 채워지고 있다. 직업안정성의 악화는 소득 안정성의 악화로 이어져 고용지위에 관계없이 모든 임금 근로자의 가계재무관리에 위험요소로 작용한다. 직업안정성은 개인의 장기적․단기적 고용상태에 의한 것으로서 위험감수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불안정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객관적인 직업안정성과 주관적인 위험감수성향에 따라 소비자의 포트폴리오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직업안정성에 따른 소비자의 위험감수 성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직업안정성의 수준과 위험감수성향을 바탕으로 소비자를 네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직업안정성이 높은 집단은 상대적으로 다양한 가계재무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직업안정성이 낮은 집단은 주식․채권․신탁자산의 보유율과 총 자산 대비 비중이 낮았다. 따라서 직업안정성이 낮은 집단의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재무 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소비자 포트폴리오를 분산시켜 가계가 보유한 재무 위험을 경감시키도록 조력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onsumer portfolio features depending on the risk tolerance of wage earners who are threatened by employment stability and to review matters for improvement. Towards this end, how risk tolerance is demonstrated in the two different groups in employment stability level has been investigated, based on the existing theory asserting that optimal risk tolerance becomes lower according to personal employment stability. Moreover, the consumer portfolios of four groups by employment stability level and risk tolerance have been compared in this study. For the classification of employment stability level, whether employment type is a regular job was used as a proxy variable. The responses of questions on risk tolerance included in the 7th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was used for risk toler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atio of those who have an attitude to tolerate risk among the respondents who have higher employment stability level was higher than those who have an attitude to tolerate risk among the respondents who have lower employment stability level. From the results of consumer portfolio comparison, the difference in employment stability level was clearer than the difference in risk tolerance. In addition, the composed items of consumer portfolio held by the group with higher employment stability were more diverse. The group with lower employment stability did not greatly invest in stocks, bonds and trust assets. Above all, the group with lower risk tolerance had higher ratio in mutual aid society assets than other groups. The analytical results in this study may help to improve consumer portfolio, when the results are processed into financial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is delivered to the group with weak employment stability.

      • KCI등재

        유럽연합의 유연안정성 모델과 유럽노총의 전략적 선택

        조돈문 ( Don Moon Cho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5 산업노동연구 Vol.21 No.1

        유럽연합은 논의 및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유연성과 안정성이라는 상반된 노동시장의 과제를 동시에 구현하기 위한 유연안정성 모델을 수립했다. 이 과정에서 자본측은 일관된 지지 입장을 견지했지만, 노동측은 그렇지 못했다. 유럽연합이 유연안정성 모델을 논의·수립하는 과정에서 유럽노총이 어떤 입장을 취했으며, 왜 일관된 입장을 견지하지 못했는지, 왜 찬성 혹은 반대 입장을 선택하게 되었는지를 분석·설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유럽노총은 유연성-안정성 균형의 관점에서 유연안정성 모델의 추진 방식과 내용에 대해 비판했으나, 유럽연합 집행이사회가 유연안정성 모델을 최종 확정하자 비판적 수용의 태도를 보여 주었다. 유연안정성 모델의 내용과 추진 방식은 역학관계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유럽노총이 유연안정성 모델의 향방에 대해 우려했다. 그것은 상대적으로 힘의 우위를 지닌 자본가단체들이 외적 유연성 중심의 노동시장 유연화를 추진하고 있고, 유연성 편향의 집행위원회가 회원국들의 유연안정성 모델의 도입·실행 과정에 개입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유럽노총이 유연안정성 모델을 전면 거부하기 어려운 것은 유연안정성 모델은 유럽연합 집행이사회가 회원국들의 합의 하에 확정했고, 노동시장 효율성과 경제적 성과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다른 대안적 정책 패키지를 제시하여 회원국들의 합의를 도출하기 어려우며, 유럽노총이 반대하더라도 유연안정성 모델의 최종결론이 철회될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딜레마 속에서 유럽노총은 비판적 수용이라는 전략적 선택을 한 것이다. 유럽노총은 유연안정성 모델의 다른 정책요소들은 원칙적으로 지지하면서 고용계약제도에 대해서만 강도 높게 비판했다. 집행위원회와 자본가단체들에 맞서, 유럽노총은 외적 유연성 대신 내적 유연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요구하며, 유럽 노동시장이 유연성을 충분히 지니고 있기 때문에 노동력의 안정성 보장과 비정규직 사용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유연안정성 모델이 경제위기시 외적 유연성을 남발하여 실업을 장기화하고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어렵게 하는 위험성을 지적하며, 유럽노총은 이러한 취약성을 극복하기 위해 내적 유연성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사회적 대화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The European Union has established the flexicurity model to accomplish the contradicting labor market tasks of flexibility and security through the process of discussion and consultation. In this process, the Business Europe maintained its endorsement, while the ETUC did not.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explain what kind of position the ETUC chose, why the ETUC could not maintain a consistent position, why the ETUC did support or oppose it. From the viewpoint of balance between flexibility and security, the ETUC had criticized the European Commission for its biased role in the process of consultation and formulation of the EU’s flexicurity model. The ETUC, however, began to show an attitude of critical acceptance, once the EU finalized its flexicurity model. The ETUC was concerned about the prospect of the flexicurity model which would depend on power dynamics. It is because the capitalist organizations kept trying to take advantage of its powerful position to promote further flexibilization, and the flexibility-biased European Commission would play the role of intervening in the process of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flexicurity model in each EU member state. Nevertheless, it was not a viable option for the ETUC to reject the EU’s flexicurity model in its entirety, because 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established the flexicurity model with the consensus of member states, it could not develope an alternative policy package of feasibility which EU member states were to fully agree, and the EU would not withdraw its final conclusions of the flexicurity model despite the opposition of ETUC or else. Out of this situation of dilemma, the ETUC made a strategic choice which turned out to be the critical acceptance of the EU’s flexicurity model. It is indeed that the ETUC concentrated its criticism on the labor contract system component, while it was, in principle, supporting the other three policy components of the flexicurity model. Urging the EU and its member states to utilize internal flexibility in a proactive manner, in opposition to the capitalist organizations and the European Commission, the ETUC argued that the European labor market equipped with sufficient flexibility should strengthen the security of the labor force further and impose stricter regulations on the misuse and abuse of atypical types of workers. Besides, the ETUC pressed the EU and its member states for the utilization of internal flexibility and activation of social dialogue to overcome the risk of the flexicurity model which might not control the abuse of external flexibility in the midst of economic crisis which were eventually to prolong the unemployment period and keep internal market from recovering.

      • KCI등재

        스웨덴 노동시장의 유연성-안정성 균형 실험: 황금삼각형과 이중보호체계

        조돈문 ( Don Moon Cho ) 한국산업노동학회 2015 산업노동연구 Vol.21 No.2

        유연안정성 모델의 경험적 준거가 되었던 덴마크가 경제위기 속에서 노동시장의 유연성-안정성 균형을 유지하는데 실패했다는 비판이 제기되며, 유연성-안정성 균형의 실천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게 되었다. 이렇게 제3의 사례를 통한 유연안정성 모델의 실천에 대한 경험적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연안정성 정책 요소들의 황금삼각형이 스웨덴에서 유연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구현하고 있는지, 부르주아 정부 출범과 경제위기 발발로 어떤 변화를 겪었으며, 여전히 유연성과 안정성의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스웨덴 노동시장은 높은 유연성과 높은 안정성의 결합이라기보다 높은 고용안정성과 높은 소득안정성을 동시에 보장하고 있다. 이는 전국 수준의 법규정에 의한 보호 층위와 산업ㆍ사업장 수준의 노동조합에 의한 보호 층위로 구성된 이중적 보호체계의 결과이다. 스웨덴의 황금삼각형이 노동자들에게 높은 수준의 고용안정성과 소득안정성을 보장해 주고 있지만 노동력 활용의 유연성을 원천적으로 금지하지는 않는다. 노동조합은 임시직 사용을 중심으로 한 노동력 활용의 유연성을 허용하되 철저하게 규제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으며, 유연성의 부정적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통한 직장보장 방식의 고용안정성과 사적 소득보장제도의 보완을 통한 소득안정성을 보장한다. 황금삼각형 정책요소들 가운데 가장 논란이 많은 것은 실업자 소득보장체계로서 총선시기마다 주요 선거쟁점으로 부각되었다. 논란의 핵심을 구성한 공적 실업자 소득보장제도의 자율적 실업보험제는 2007년 부르주아 정부의 노동시장 개혁 조치로 실업보험 수급요건 강화와 소득대체율 인하 등 큰 변화를 겪었다. 황금삼각형 정책요소들은 2007년 이후 경제위기 속에서도 별다른 변화를 겪지 않았다. 2007년 변화도 스웨덴 모델의 기본원칙이라 할 수 있는 긴축재정정책과 노동우선주의를 벗어나지 않은 것으로서 스웨덴 모델을 훼손하기보다 변화된 외적 여건에 대응한 조정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자율적 실업보험제의 변화에도 단체협약에 기초한 실업자 보상기금제 등 노동조합이 구축한 사적 소득보장제도의 완충역할로 인해 노동자들의 소득안정성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최소화됨으로써 ‘관리된 유연성’과 함께 노동시장의 유연성-안정성 균형은 유지될 수 있었다. The criticism that Denmark, of which the flexicurity model had been an empirical standard, failed to maintain the flexibility-security balance during the financial crisis has cast doubts on the practice of the flexibility-security balance. That’s why we need to conduct empirical studies concerning the practice of flexicurity model with a third case. The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the golden triangle of flexicurity policy factors realizes both flexibility and security at the same time, how the launch of bourgeois government and the outbreak of economic crisis has influenced the golden triangle, and whether the flexibility-security balance is being maintained. The Swedish labor market, rather than being a combination of high flexibility and high security, guarantees high security in both terms of employment and income. Such features are the results of the dual protection system which consists of the protection layer of nation-level legal regulation as well as the protection layer of industry-level labor unions. The Swedish golden triangle, while guaranteeing high employment security and income security for workers, does not outright deny the necessity of flexibility in labor utilization. Labor unions allow yet strictly regulate the flexibility of labor utilization mainly via temporary worker employment. In order to minimize the adverse effects of flexibility, labor unions try to guarantee employment security and income security through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and complementation of private income protection measures. The income protection system for unemployed workers, as most controversial among those three policy factors of the golden triangle, has kept emerging as one of the core campaign issues during recent general election times. The voluntary unemployment insurance policy of the public income protection system for unemployed workers, has undergone major changes such as strengthened eligibility requirements or the reduction of the replacement rate, as part of the 2007 labor market reform. The policy factors of the golden triangle has not changed much since 2007. The 2007 reform, which reinforced the fiscal austerity policy and the labor principle as basic principles of the Swedish model, was rather a process of adjustment in the face of changing external conditions. Moreover, the adverse effects of changes in the voluntary unemployment insurance policy were minimized by the buffering role of the private income protection measures, so that the flexibility-security balance of the labor market along with ‘managed flexibility’ could be maintained.

      • KCI등재

        조세회피가 재무적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김성민(Kim, Seong Min),최해술(Choi, Hae Sool),조정원(Cho, Jeong Weo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4 국제회계연구 Vol.0 No.57

        본 연구는 조세회피와 재무적 안정성 간의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2001년부터 2009년까지 KOSPI에 등록된 비금융업을 대상으로 재무적 안정성를 종속변수로, 조세회피행위를 독립변수로하여 회귀분석하였다. 장기안정성의 대용변수로 자기자본비율 SE를, 단기안정성의 대용변수로 유동비율 CR과 당좌비율 QR을 사용하였다. 또한, 조세회피행위의 대용변수는 Desai and Dhamapala(2006)이 제시한 모형에 의해 측정된 조세회피추정치 BT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서, 조세회피추정치 BT는 장기적 안정성 지표인 자기자본비율 SE와 단기적 안정성 지표인 유동비율 CR 및 당좌비율 QR과 모두 양(+)의 통계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표본을 두 보고이익(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과 추정세무이익)의 차이를 기준으로 4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여 조세회피와 재무적 안정성 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조세회피추정치 BT는 두 보고이익간의 차이가 가장 큰 집단4에서만 장단기 재무적 안정성과 양(+)의 통계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조세회피추정치 BT는 당좌비율 QR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조세회피와 재무적 안정성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재무적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일수록 조세회피행위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무적 안정성이 낮은 기업들이 그렇지 않는 기업에 비해 조세회피의 유인이 큰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선 조세회피의 유인을 기업가치라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재무적 안정성과 관련지어 분석해 보았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으며, 재무적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기업들이 조세회피의 유인이 크다라는 결론을 제시함으로써 과세당국이나 투자자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amine the effect of corporate tax avoidance on financial stability. It is used some financial data of firms listed on KOSPI from 2001 to 2009. The samples contain 1872 firm-years. This paper is measured corporate tax avoidance using the book-tax difference not attributable to total accruals(Desai and Dhamapala 2006). Also, it is used current ratio and quick ratio as a short-term financial stability and ratio of stockholder"s equity to total assets as a long-term financial stability. The empirical results follow as; It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between financial stability and corporate tax avoidance. It h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tax avoidance and long-term and short-term stability. To be accruat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ce between financial stability and corporate tax avoidance appeared only in group which has larger difference between EBIT and inferenced taxable income. But it is not significant not in the other group. This paper is contributed a new point of view that financial stability instead of firm value can effect to corporate tax avoidance behavior. Also, it informs investors to the implication of firm"s tax avoidance.

      • KCI등재

        이동운동기술 수준에 따른 자세안정성의 발달적 변화

        김민주 ( Min Joo Kim ),김선진 ( Seon Jin Kim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이동운동기술 수준에 따라 변화하는 자세조절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제자리 서기와 앞, 뒤, 왼쪽, 오른쪽으로 버티는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의 자세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첫째, 좌우 방향에서의 자세 안정성은 앞으로 버티기를 제외한 모든 과제에서 점핑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전후 방향에서의 자세안정성은 뒤로 버티기와 오른쪽으로 버티기 과제에서만 점핑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점핑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자세안정성이 낮았으며, 호핑, 갤로핑, 스키핑과 같은 응용이동운동기술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이동운동기술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자세안정성은 증가하며, 복잡한 협응구조가 요구되는 응용이동운동기술 간에는 자세안정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근신경학적의 발달 기전에 의한 것으로 이동운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근육 수축의 형태가 보다 정교해지고 효율적으로 변화하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Sundermier et al, 2001; Roncesvalles et al. 2001). 선행연구에 따르면 서기부터 스키핑까지의 발달적 단계에 따른 자세조절의 차이를 압력중심의 이동거리 측면에서 고려한 결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막 걷기 시작한 영아보다 갤로핑과 스키핑집단의 아동이 발생한 압력중심의 이동거리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외부로부터 발생한 요동으로부터 다시 압력중심을 안정화시키는데 걸린 시간도 갤로핑과 스키핑 집단에서 유의하게 줄어들었다. 본 연구에서는 점핑부터 스키핑까지 보다 역동적인 협응패턴이 요구되는 이동운동기술의 발달 수준에 따라 자세안정성 측면에서의 자세조절이 변화하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이동운동기술의 변화에 따른 자세조절의 변화라는 발달적 특징을 지지하나 구체적인 결과는 선행연구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점핑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낮은 자세안정성을 보였다. 과제의 종류와 자세안정성의 방향에 따른 일관적인 결과가 도출되지는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점핑집단이 낮은 자세안정성을 보이는 특징을 보였다. 호핑, 갤로핑, 스키핑 집단은 점핑 기술이 선행되어야 나타나는 복잡한 이동운동기술들이며(Payne & Issacs, 2011; Haubenstracker, 1990), 이동운동기술 수준이 높은 아동일수록 신전근의 토크(extensor torque)를 보다 적절한 타이밍에 적절한 양만큼 발생시킬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정교한 자세조절이 가능하다(Roncesvalles et al, 2001). 호핑은 전신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는 충분한 근력과, 균형, 그리고 리드믹한 움직임을 생성할 수 있는 협응이 요구되는 복잡한 동작으로 (Gabbard, 1996a), 점핑에 비해 한발로 이루어진 좁은 기저면을 지닌다(Haywood & Getchell, 2005). 따라서 점핑이 가능한 아동보다 호핑 등과 같이 복잡한 이동운동기술 수행이 가능한 아동의 자세조절 능력이 보다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점핑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약 12개월 정도 낮은 연령대인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약 1년여의 시간은 근력(Tveter & Holm, 2010)과 주변시(Assaiante & Amblard, 1992), 감각통합(Barela, Jeka, & Clark, 2003; Bair, Kiemel, Jeka, & Clark, 2007) 등과 같이 자세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기관의 성숙 정도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발달적 차이는 과제 전반에 걸쳐서 점핑집단이 자세안정성이 낮은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또한 과제의 특성에 따라 자세안정성의 차이가 전후 또는 좌우 방향에서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 앞으로 버티기 과제에서는 다른 과제와 달리 아무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압력중심의 위치가 이동운동기술에 따라 변화하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해석해볼 수 있다(Sundermier et al., 2001). 발바닥의 압력중심의 위치에 관한 결과에 따르면 점핑, 호핑, 갤로핑, 스키핑집단 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서기, 걷기, 달리기와 같이 발달이 미숙한 집단은 발가락 앞쪽에 압력중심이 쏠려있는 반면에 점핑, 호핑, 갤로핑, 스키핑집단의 압력중심은 발뒤꿈치를 향해 위치하였다. 이는 직립자세를 유지하는 데 보다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Sundermier et al., 2001). 따라서 앞으로 버티는 동작을 할 때, 발뒤꿈치에 있던 압력 중심이 발바닥의 가운데나 발가락 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정도(margin)가 더 미숙한 발달단계의 아동보다 더 많았을 것이다. 직립자세 유지가 이미 충분히 발달된 점핑, 호핑, 갤로핑, 스키핑집단의 아동에게 앞으로 기울이기 과제는 그 차이를 살피기에 충분한 변별력 있는 난이도가 아닌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반면에 왼쪽으로 버티기와 오른쪽으로 버티기에서 좌우방향의 자세안정성은 점핑집단이 가장 낮은 결과가 나타났으나, 전후방향의 자세안정성은 오직 오른쪽으로 버티기에서만 점핑집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피험자는 오른발이 우세한 특징을 지녔으며, 이는 공을 차는 등의 수행을 할 때, 왼발로 전신의 무게를 지탱하고 오른발로 물체를 조작하는 것을 의미한다(Coren, 1993; Peters, 1988). 따라서 발의 우세성(foot dominance)에 의한 현상으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발의 우세성이 있을지라도 한발로 균형을 유지하는 데 있어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Tsai, Wu, & Huang, 2008), 발의 선호도가 수행하고자 하는 과제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Gabbard, 1996b)는 선행연구의 결과로 미루어볼 때, 왼쪽으로 버티기와 오른쪽으로 버티기에 대한 논의는 추후 연구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Postural stability has an important role for developing locomotion skills, especially in child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change of postural stability with respect to locomotor skills. Methods: Thirty-five participants aged between five to seven year-old whom differentiated by pre examination were divided into Jumping, Hopping, Galloping and Skipping group, respectively. They were asked to perform quiet standing and leaning voluntarily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as far as possible on a force plate. A vector of center of pressure was measured to calculate postural stability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Results: Jumping group showed significant low postural stability than the others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Hopping, Galloping, and Skipping group who can perform advanced locomotor skills. Conclusion: Postural stability seems to increase when children acquire advance locomotor skills and this result might reflect nonlinear characteristic of human motor development.

      • KCI등재

        빈곤가구의 경제적 안정성에 관한 연구

        심 영(Young Shim)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2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31 No.-

        빈곤가구의 경제적 안정성 확보는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경제적 적정성 및 경제적 불평등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을 뿐 아니라 이에 대한 연구 또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빈곤가구의 경제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다른 정책에 비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빈곤가구의 경제적 안정성을 파악하고자, 가구유형이 가구의 단기 및 장기 경제적 안정성에 관련이 있는가와 가구유형별 가구의 단기 및 장기 경제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8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 자료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가구유형은 단기 및 장기 경제적 안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보장 체계를 고려하였을 때, 가구유형은 단기 및 장기 경제적 안정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이 없었다. 공공부조는 가구의 단기 및 장기 경제적 안정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사회보험은 단기 및 장기 경제적 안정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단기 및 장기 경제적 안정성에 대한 사회보험의 정적 영향은 가구의 경제적 복지에 미치는 사회보험의 중요한 긍정적 기여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구의 단기 및 장기 경제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사회보험의 보다 더 적극적인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근로빈곤, 비근로빈곤 및 비빈곤 가구 모두에서, 월세의 주거형태는 단기 및 장기 경제적 안정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구의 경제적 안정성 확보를 위한 주택정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In spite of the fact that it is important for poor households to achieve economic stability over time, relatively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ir economic stability, and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it. As a result, policy efforts to promote economic stability have been less frequently pursued than other policy options such as economic adequacy, economic inequalit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conomic stability in poor households. In orde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tested whether household type was related to short-term and long-term economic stabilities of households and what factors affected short-term and long-term economic stabilities of households by household type. The 2008 Welfare Panel Survey (KOWEPS) data was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es.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the household type was related to the short-term and the long-term economic stabilities of households. However, household type was not related to the short-term and long-term economic stabilities of households, when the social security system was controlled for. Public assistance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short-term and the long-term economic stabilities of households, but social insura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short-term and the long-term economic stabilities of households. In particular, the positive relation of social insurance with the short-term and the long-term economic stabilities of households implies that social insurance makes important positive contributions to economic well-being,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 more proactive usage of social insurance not only for the short-term economic stability but also for the long-term economic stability of households. For the working poor, the non-working poor and the non-poor households, monthly rent in housing affected negatively the short-term and long-term economic stabilities. This result may suggest the importance of housing policy for economic stability of households.

      • KCI등재

        고속선 운항 안정성을 위한 수중익 배치 및 종모멘트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박화평,김상현,임근남,Park, Hwa-Pyeong,Kim, Sang-Hyun,Lim, Geun-Nam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수중익 배치와 종모멘트 특성이 전몰형 수중익선의 종방향 운동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Tandem 수중익 모형의 시험을 통하여 고찰한다. 먼저, Canard 날개배치를 가지는 Tandem 수중익 모형을 제작하고 수중익의 양력 및 항력 계측 실험을 수행하여 양력 및 항력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종방향 운동의 초기 안정성과 자기 안정성을 가지는 Tandem 수중익 모형의 날개 배치를 결정하였다. Tandem 수중익 모형의 종안정성 시험에서는 선수 및 선미 수중익의 종방향 간격 변화와 종모멘트의 자기안정성 변화에 따른 Pitch 및 Heave 운동 특성, 익주 상태의 종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Canard 날개배치를 가지는 Tandem 수중익 모형을 제작하고 수중익의 양력 및 항력 계측 실험을 수행하여 양력 및 항력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종방향 운동의 초기 안정성과 자기 안정성을 가지는 Tandem 수중익 모형의 날개 배치를 결정하였다. Tandem 수중익 모형의 종안정성 시험에서는 선수 및 선미 수중익의 종방향 간격 변화와 종모멘트의 자기안정성 변화에 따른 Pitch 및 Heave 운동 특성, 익주 상태의 종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수행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의 다음과 같다. 종 모멘트 자기 안정성이 클수록 주어진 고정 pitch 각에서 pitch운동에 대한 자기안정성이 높다. 다음 종모멘트 자기 안정성이 클수록, pitch각도 변화에 따른 pitch운동 및 heave운동의 변동 폭이 상대적으로 작으며 종방향 안정성이 우수하다. 마지막으로 종모멘트 자기안정성이 클수록, 수중익 양력이 동일한 경우, Tandem 수중익의 안정적인 익주를 위해서는 충분한 종모멘트의 자기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을 시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we have discussed about the effect of hydrofoil arrangement and longitudinal moment characteristic on longitudinal motion stability of fully-submerged hydrofoil by the experiment of tandem hydrofoil model. First of all, tandem hydrofoil model that has canard wing arrangement has been made and characteristics of lift force and drag force by performing the lift force and drag force measuring experiment has also been estimated. Besides, tandem hydrofoil model's wing arrangement which has the initial stability and self stability of longitudinal motion has also been determined. In longitudinal stability experiment of tandem hydrofoil model, the motion characteristic of pitch and heave and the longitudinal stability of foil borne condition by variation of self stability of longitudinal moment and longitudinal distance are estimated. The result from the experiment and it's important conclusion can be described as below; Increase the self stability for longitudinal moment, the higher self stability for pitch motions in a constant pitch angles. By increasing the self stability for longitudinal moment, the range of fluctuation of pitch motion and heave motion for pitch angle also will change relatively small and longitudinal stability is excellent. Lastly, when the lift force of hydrofoil is remain constants, we can conclude that securing the enough self stability for longitudinal moment is essential for stable foil borne condition of tandem hydrofoil.

      • KCI등재

        기업의 재무적 안정성이 고용과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김성환(Kim, Sunghwan),김종운(Kim, Jong-Woon) 한국산업경영학회 2013 경영연구 Vol.28 No.4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 등을 거치면서, 기업이 재무환경 변화에 따라 고용정책에 있어 재무적 요소를 기본적으로 의사결정에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최근의 추세를 반영하여, 기업의 고용과 고용안정성에 있어서, 기업의 부채비율 등 재무비율이나, 소유구조 등 재무적 안정성을 중심으로 고용창출과 고용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005, 2007, 2009년도 사업체패널조사(WPS: Workplace Panel Survey)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에서는 기업이 부채 레버리지 수준이나 부실 가능성 보다는 직접적인 노사간 고용안정 계약이 고용증대나 고용안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2) 기업규모가 큰 기업, 존속기간이 긴 기업, 수익성이 높은 기업이 고용증대나 고용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3) 최대주주의 지배력이 강한 기업일수록 고용안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반면, 개인회사 등 사기업적 특성이 고용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4) 여성인력채용은 고용 창출에 도움이 되지만 고용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연구와 달리 기업의 고유한 재무적 안정성이나, 경영의사 구조, 직원구성 등이 고용창출이나 고용안정성을 제고시키거나 악화시키는 요인을 찾아 낸 점이 기존 연구와 차별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가능성이나 안정성이 고용안정성 증진에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부실 등 재무적 안정성이 취약한 기업이나 직원을 자주 해고하는 기업에 대하여는 노사간 고용안정계약 등 보다 직접적인 수단을 이용하여 고용창출과 고용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firm specific factors like governance, ownership structure and financial performances and status of the firms in Korea, the most dominant major channel of employment and the primary sources of job instability and insecurity for the employees on job creation and job stability. This approach compared to other previous studies in this field incorporates many different disciplines regarding employment like economics, management(HRM), accounting, finance, etc. From these study we try to find out factors affecting quality markets in Korea, using the three bi-annual panel survey database (Year 2005, Year 2007, Year 2009) of Korea Labor Institute. From the panel regression, we find that in Korea financial leverage and default risks of firms do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job creation and job stability in the corporate side, that firm sizes, firm ages and profitability measured by ROA of firm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job stability of employees, that higher shareholdings of the primary owner also affects positively on job stability of employees, and that the fact that firms are privately owned by corporations or individuals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negative effects on job stability of employees. However, female employment affect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job creation, but negatively on job stability. The test results might suggest that firms make employment decision and HRM plans incorporating their constraints in resources, financial and/or non-financial, and thus, the government, or policymakers in the control tower for the national economy should study ways to improve the baseline factors of the firms for higher employment rate and enhanced job stability to achieve a sustainable and extensive welfare society for the public.

      • KCI등재

        골프 스윙 시 스윙팬(공기저항 훈련 클럽)이 동적 자세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조준행,권승민 한국골프학회 2018 골프연구 Vol.12 No.1

        [목적] 본 연구는 드라이버와 스윙 팬을 이용한 풀 스윙 시 동적 자세 안정성의 변화와 안정성의 기전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골프 프로 11명이 드라이버 샷과 스윙 팬 샷을 각각 4회를 실시하였으며, 8대의 적외선 카메라와 2대의 지면반력기를 통해 각 스윙 간 전-후 안정성, 내-외 안정성, 수직 안정성과 동적 자세 안 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안정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스윙 팬을 사용할 경우 좌측 VSI와 DPSI는 감소하였으 나, 우측 APSI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성의 비중을 살펴본 결과 스윙 팬을 사용할 경우 우측 %APSI와 좌 측 %APSI는 증가한 반면, 좌측 %VSI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윙팬을 사용할 경우 스윙 시 자세 안정 성에 변화가 나타났고 특히 좌우 다리 모두에서 전-후 안정성이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윙 팬이 스윙 동작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 판단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of dynamic postural stability index and the change of mechanism of stability index at time of full swing using a driver and swing fan. [Methodology] 11 professional golfers conducted four times each of driver shot and swing fan shot. Eight infrared cameras and two force platforms asse sse d APSI (Anterior-posterior stability index), MSI (Medial-lateral stability index), VSI (Vertical stability index), DPSI (Dynamic postural stability index). [Result] As a result of examining stability index, the study found the decrease of left VSI and DPSI, and the increase of right APSI when using a swing fan. Whil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stability index, right %APSI and left %APSI increased whereas left %VSI decreased when using a swing fan. [Conclusion] At time of swing using a swing fan, there was change of postural stability index and particularly APSI on both right and left legs deteriorated. This means a swing fan might have an impact on the motion of swing.

      • KCI등재

        합의제 정치연합 동학: 유연안정성 정책조정

        선학태 ( Hak-tae Sun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0 韓國 政治 硏究 Vol.29 No.1

        덴마크·오스트리아·아일랜드 노동시장 유연안정성 정책조합은 합의제 정치연합 패턴에 따라 다른 양태로 조정되었다. 덴마크 모델은 고유연성-고안정성 균형조합, 오스트리아 모델은 중유연성-중안정성 균형조합, 아일랜드 모델은 고유연성-저안정성 불균형 조합(부등가 조정)으로 나타났다. 유연안정성 정책조정의 차별성은 국내 정치적 변수에 비롯된다. 덴마크·오스트리아는 좌우 초블록연정-사회적 대화 연동이 유연성-안정성 균형적 정책조합으로의 재편을 견인했다. 다만 양국 유연성-안정성 정책조정의 차별성이 존재한 이유는 정당정치의 정책선호와 지형에 연유한다. 즉 덴마크의 고유연성-고안정성 정책조합은 노동시장의 아웃사이더를 포용하는 관대한 사회보장에 우호적인 사민당과 노동유연성을 선호하는 우파블록이 거의 균등한 정치력을 보이며 순환적으로 정권을 교체하는 정치지형의 반영인 반면, 오스트리아의 중유연성-중안정성 정책조합은 사민당의 아웃사이더에 대한 포용적인 사회보호 정책과 계급교차 연합적 성격을 갖는 기민당의 인사이더 사회보험과 친기업적 노동유연성 정책을 등가적으로 조정한 대연정의 아웃풋이다. 아일랜드의 고유연성-저안정성 정책조합은, 아웃사이더의 보호에 인색한 우파블록 우위에 있었고, 경제위기 국면에서 노사정 간 유연성과 안정성을 등가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사회적 대화가 중단되는 합의제 정치지형의 산물이다. 연구결과의 이론적 경험적 함의는 첫째, 초블록 연정과 사회적 대화가 맞물리는 합의제 정치연합은 균형적 유연성-안정성 정책패키지를 창출할 수 있다. 둘째, 문재인 소수정부 하에서 한국형 합의제 정치연합의 유연안정성 정책동학 모형을 설계하는 데 영감을 준다. The policy coordination modes of flexicurity in three countries’ labor markets have shown the divergences. The Danish model has attained a high level of labor market flexibility due to its low level of employment protection legislation, and has provided substantial income and employment security due to a relatively generous benefit system and active labor market policies. The Irish model has been presumed to be strong in terms of flexibility due to low employment protection, but weaker in terms of income and employment security due to the weakness of ALMPs and lower levels of income and employment protection. The Austrian model has performed a meso-levels of flexibility and security in its labor market. These divergencies are derived from the different patterns of three countries’ consensual political coalitions. The analysis outcomes provide us with political economical implications that the consensual political coalitions linking cross-bloc coalitions to social dialogues could create a balanced policy regimes between flexibility and security, and contribute to designing a policy dynamics model of flexicurity in the Korean labor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