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학대 사망사건에 대한 공적 진상조사의 필요성 및 법제화 방안에 대한 검토

        소라미(So, Ra Mi) 사회복지법제학회 2021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2 No.2

        천안사건, 양천사건과 같이 최근 발생한 아동학대 사망사건은 가정 내에서 학대가 발생하였다는 점과 이전에 아동학대 신고가 접수되어 아동학대 대응시스템이 개입되어 있었던 상황에서 발생한 사고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존재한다. 적시에 적절한 개입과 지원이 이루어졌다면 아동이 사망하는 결과를 예방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현행 아동학대 대응 시스템의 한계가 드러나는 사건들이었다. 2013년 울산 아동학대 사망사건을 계기로 2014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제정된 이래 수차례 아동학대 대응 법제도가 정비되었으나 중대한 아동학대 사망사건이 지속하여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현재까지 아동사망사건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 확보조차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아동학대 사망사건에 대한 공적 조사를 진행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부재한 실정이다. 해외 사례를 살펴보면 영국과 미국의 경우 중대한 아동학대 사망사건을 계기로 범 부처 차원의 진상조사를 실시한 바 있으며, 이러한 전방위적인 진상조사를 계기로 아동학대 대응 체계를 포함하여 아동보호 체계 전반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에 나선 바 있다. 이러한 종합적인 진상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학대 사망사건에 대하여 발생 원인과 대응과정을 검토할 수 있는 상설 기구도 설치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천안사건이나 양천사건과 같은 안타까운 사건이 재발되지 않도록 아동학대 사망사건에 대한 진상조사를 위한 법적 근거를 도입할 필요가 있겠다. 이를 위하여 현재 국회에 발의되어 있는 관련 법안을 검토하고, 관련 법적 쟁점의 검토를 통하여 아동학대 사망사건에 대한 진상조사 기구 법제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 child abuse deaths such as the Cheon-an and Yang-cheon cases have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 abuse occurred at home and that the child abuse response system was intervened after a previous child abuse report was received. These cases reveale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child abuse response system in that the death of children could have been prevented if timely and appropriate intervention and support were provid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in 2014 resulting from a case of the death of child abuse in Ul-san in 2013, the legal system to respond to child abuse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s, but serious child abuse deaths continue to occur. However, in Korea, there is no official statistics on child death cases so far, and there is no legal procedure to conduct a public fact-finding into child abuse deaths. Looking at overseas cases, in the case of the United Kingdom and the United States, a cross-ministerial fact-finding was conducted in the wake of a serious child abuse death case. After that, comprehensive reforms in child abuse response system as well as child protection policy were follow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comprehensive fact-finding, a permanent organization was also established to review the causes and response process for child abuse deaths. Therefore, in Korea,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legal basis for fact-finding investigations into serious child abuse and death cases so that unfortunate incidents such as the Cheon-an and Yang-cheon incidents do not recur. To this end, I intend to review the related bills currently being proposed in the National Assembly and suggest a direction for legislating the fact-finding body for serious child abuse and death cases through review of related legal issues.

      • KCI등재

        아동학대의 형사정책적 대응

        곽병선(Kwack Byong-Sun) 한국법학회 2008 법학연구 Vol.31 No.-

        형법상 학대죄에 대한 특별구성요건으로서 아동복지법에 아동학대행위를 규정하고 있다. 아동복지법은 피학대아동에 대한 일정한 보호조치를 규정하고 있고, 학대행위자에 대하여 친권제한이나 징역이나 벌금과 같은 형사제재를 규정하고 있다.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아동학대행위의 재범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동보호전문기관만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없다. 형사사법기관과 행정기관 그리고 관련 전문기관들의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개입을 통해서만 예방과 재범방지가 가능하다. 아동학대행위자에 처우도 단순한 형벌만 가지고는 근원적인 성행의 교정이나 재범 방지가 어렵다. 학대행위자의 80%이상이 부모라는 점에서 처벌로 가정을 해체시키기 보다는 다양한 형태의 보호처분이 규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가폭법을 준용하는 방안보다는 가칭 ‘아동학대 방지 및 처벌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여기에 아동학대에 대한 형사절차의 특례와 보호절차 그리고 보호처분의 내용을 직접 규정하여야 한다. The child abuse is a physical, emotional, sexual violence and abandonment, neglect which the protector do harm to the children health and welfare. In Korea, the law which punish the child abuse is The Child Welfare Law. This law rules four types in the children abuse. That is, ⅰ) physical abuse ⅱ) emotional abuse ⅲ) sexual abuse ⅳ) abandonment and neglect. This children abuse is punished respectively with imprisonment under 5 years or fine below fifteen million won. There are the National Center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NCPCA) in the whole country. NCPCA has been investigated the case of children abuse from 2001 to 2007. As a result of 2007, 81.7% of the children abuser are their parents, only 5.7% have been charged to the police. To prevent child abuse and a second offence, law machineries, administrative organs and related agencies have to interfere an organics systematically, the treatment of child abuse owing to only the penalty can't prevent a second offence, in order to these purpose, it is made a new special law, The Special Law of Child Abuse Prevention and Punishment. In this law, have to be regulated a various protection disposal and a special criminal procedure.

      • KCI등재

        보육교육기관에서의 아동학대 법제도 개선을 위한 탐색적 연구

        이윤진(Lee Yoonjin) 사회복지법제학회 2019 사회복지법제연구 Vol.10 No.1

        기존 아동학대에 대한 법제도 관점에서의 연구는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대’ 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이에 보육교육기관에 재원 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대라는 개념은 포괄적인 아동 학대의 범주에 속하여 사회적 이슈가 발생할 때마다 단기적인 미봉책으로 정책이 실행된 감이 없지 않다. 더욱이 보육교육기관에서의 아동학대는 아동에 대한 보호 뿐 아니라 교직원의 인권 보장이 병행되어야 할 법적 과제를 가진다 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하여 간과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현행 법제도가 이에 대하여 어떠한 예방 및 사후 관리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 보육교직원의 학대 방지 의무와 사후 보호조치는 어떻게 마련되어 있는지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관련 주요 법률은 아동복지법과 영유아보육법, 유아교육법 등이고 학대 처리와 관련한 일반적 절차를 비롯한 형사상 절차 등은 아동학대처벌특례법에 마련하고 있다. 분석 결과, 해당 법률에 학대 발생 시 기관에서의 사전 대응 및 사후 처리 절차에 대하여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며 법률이 아닌 매뉴얼이나 지침에 의하여 실제적으로 해결하고 있어 아동학대 처리 절차에 있어 아동과 교직원 모두에게 상당한 혼선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이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The study on the legal system of existing child abuse focused mainly on abuse targeting children . The concept of abuse for children in childcare centers is a comprehensive category of child abuse, which means that whenever a social issue arises, the policy is implemented as a short-lived measure. Furthermore, it is true that child abuse in childcare centers is a legal issue that not only protects children but also guarantees human rights of childcare workers. This study focuses on what kind of preventive and post - management system the current legislative system has, and how the duty to prevent child abuse and post - The related laws include the Child Welfare Act, the Infant Child Care Ac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 and the criminal procedures including general procedures related to the abuse procedur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does not prescribe precisely the precautionary and post-processing procedures in case of abuse in the applicable law.

      • KCI등재

        아동학대 관련 그림책에 나타난 학대유형과 피해아동의 특성

        이은영,전유영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ype of abu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abused child in picture book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using these books as an instructional media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ild abuse. For this study, fifteen picture books on child abuses published in Korea were selected and analyzed each texts and illustrations according to five types of abuse, including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sexual abuse, neglect, and co-occurrence abuse as well as characteristics of abused child based on criteria which was shown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2018). As a result, the type of child abuse represented in picture books are sexual abuse most, followed by emotional abuse, physical abuse, neglect, and co-occurrence abuse. Next, the characteristic of the abused child in picture books about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sexual abuse, and co-occurrence abuse was mainly shown fear・scare. And then depress・sadness were highly represented in picture book about neglect. This study has implications of selecting and using picture books for prevention, early intervention, and treatment of abused child or publishing picture books about child abuse later. 아동학대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교수매체로서 그림책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에 나타난 학대유형과 피해아동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출판된 아동학대 관련 그림책 15편을 선정하였고, 신체학대, 정서학대, 성학대, 방임, 중복학대의 학대유형과 보건복지부・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18)이 제시한 피해아동의 특성을 준거로 글과 그림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림책이 다루고 있는 아동학대 유형은 성학대가 가장 많았고, 정서학대, 신체학대, 방임, 중복학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신체학대, 정서학대, 성학대, 중복학대 관련 그림책에서 나타난 피해아동의 특성은 두려움・공포가 가장 많았다. 그리고 방임을 다룬 그림책에서는 우울・슬픔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아동학대 교육을 위해 그림책을 활용하고, 아동학대 그림책을 기획, 출판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아동 출연 유튜브에 나타난 아동학대 현황

        강희주,정익중 한국아동권리학회 2020 아동과 권리 Vol.24 No.4

        Objectives: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hild abuse on YouTube to provide basic data on policy development to prevent child abuse on YouTube. Methods:. From July to December 2019, we monitored 4,690 videos on 40 channels of YouTube videos with children appearing for six months. Results: First, the child abuse rate that occurs on YouTube, which is open to everyone, is 3.24%, confirming that our society has a very low awareness of child abuse. Second,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by type of child abuse, neglect (42.3%), emotional abuse (34.38%), and physical abuse (23.34‰) occurred in this order. On YouTube, which is open to everyone, it turns out that neglect and emotional abuse by child abuse are more common than outright physical abus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 abuse tendency of the video and the number of views corresponding to the main income indicator, multiple abuses judged to have a high tendency to child abuse were found to have fewer views compared to single abuse. Contrary to popular expectations, it was found that sensational content and views with a high tendency to abuse children were not related. Conclusions: The study discussed the need for public intervention in child abuse on YouTube, suggesting the need to improve public education and awareness of YouTube child abuse and to review the concept of child abuse occurring both inside and outside YouTube.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출연하는 유튜브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 현황을 분석하여 유튜브 내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정책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2019년 7월부터 12월까지 6개월 동안 아동이 출연하는 유튜브 동영상 40개 채널 4,690개 동영상을 모니터링 하였다. 결과: 첫째, 모두에게 공개되는 형태의 유튜브에서 발생하는 아동학대율은 3.24‰로 우리 사회가 아동학대에 대해 매우 낮은 인식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아동학대 유형별 내용분석 결과 방임(42.3%), 정서적 학대(34.38%), 신체적 학대(23.34%) 순으로 발생하여 공개된 형태의 유튜브에서는 노골적인 신체적 학대보다는 학대 여부에 대한 판단이 모호한 방임과 정서적 학대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영상의 아동학대 경향성과 주요 수익지표에 해당하는 조회 수와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아동학대 경향성이 높다고 판단한 중복학대는 단일학대와 비교했을 때 조회수가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예상과 달리 아동학대 경향성이 높은 선정적인 내용과 조회 수는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튜브 아동학대에 대한 교육 및 인식개선, 유튜브 내·외부에서 일어나는 아동학대 개념에 대한 재고찰의 필요성을 제언하면서 유튜브 속에서 벌어지고 있는 아동학대에 대한 공적 개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아동권리보호를 위한 아동학대 관련 판례분석

        박연주(Park, Yeonju) 한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권리보호를 위한 아동학대 관련 판례를 분석하는 것이다. 법에서 ‘아동학대’라 칭하여 판례가 나오기 위해서는 처벌 근거인 ‘아동 학대처벌’ 관련법이 있어야 하는데, 기본법인 아동 복지법에서의 ‘아동학대’개념만 있어 처벌을 위한 직접적 판시로는 친권상실관련 ‘아동학대’ 판례와 형 사범죄, 민사범죄, 특례법 판시만 내려지고 있어 ‘아동 학대범죄 처벌에 관한 특례법’이 절실하였다(작 년 12월 23일 아동학대범죄처벌에 관한 특례법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재판상 아동학대라 판시하지는 않았으나, 아동학대로 볼 수 있는 2000-2013년 판례를 묶어 판례분석을 하 였다. 본 연구에서는 각 판례들을 사실관계에 따른 분석, 판시내용에 따른 분석을 함에 대법원판례, 대법원에 올라간 판시를 제외한 하급심종결판례를 구분하면서 민사상 합의된 건은 제외하고 불법행위 로 성립, 형사사건화 되지 않고 민사사건으로 종결된 민사상판례분석, 형사상판례분석, 친권상실(아동 학대와 관련하여)판례구분, 그 밖의 특례법상의 판례를 구분하여 도식화 진단하여 각 판례의 시사점을 통해 현 법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입법 상 보완과제를 제시하면서 아동학대범죄 처벌에 관한 특례법상의 보완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cedents related with child abuse for protec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 There should be the law related with 'punishment for child abuse,' which is the grounds of punishment, to make a precedent in the law punishing for 'child abuse,' but there is the concept only for 'child abuse' in the Child Welfare Law, the fundamental law; therefore, for a direct judgment for punishment, only precedents of 'child abuse' related with loss of parental rights and judgements for criminal cases, civil cases and laws covering special cases have been made. For that reason, 'the special law related with punishment for child abuse cases' is desperately required (On last December 23, 2013, the special law related with punishment for child abuse cases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Hence, precedent analysis had performed by grouping precedent from 2000 to 2013 which were not judged as child abuse in trial but can be regarded as child abuse. When analyzing each precedent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analysis and judgment by fact relevance in this study, problems which the current legislative system has were deducted through an implication of each case by diagnosing using diagraming after classifying lower instance terminated cases, which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 and judgments sent to the Supreme Court were excluded, while excluding cases settled in the civil level and classifying analysis of civil case precedents which did not become a criminal case and completed as a civil case, analysis of criminal case precedents, classification of precedents of loss of the parental rights (regarding child abuse) and precedents of any other special laws. And compensatory tasks for special laws regarding punishment of child abuse were presented while suggesting compensatory tasks for the legislation regarding deducted problems.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학대 인식 및 신고 의식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지역아동센터를 중심으로

        유태완,박용운,김경미 한국교정복지학회 2016 교정복지연구 Vol.- No.45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아동학대 인식 및 신고 의식을 파악하여 이를 고양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지역아동센터에서의 피학대 아동의 조기 발견율을 향상시키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지역아동센터의 센터장 및 생활복지사 113명을 대상으로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및 아동학대 의심사례 발생 시 신고의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아동학대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5점 만점에 4.03으로 조사되었으며, 학대 종류별 인식정도는 방임, 성적학대, 신체적학대, 정서적학대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아동학대 관련규정에 대한 이해 정도는 5점 만점에 3.85로 보통 이상의 이해 정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센터장이 생활복지사에 비해 규정이해 정도가 높았고,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아동학대 신고의식에 대한 조사결과는 신고에 대한 기대감도 가지고 있으나, 신고에 따른 부담감도 같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basis to build up workers' perception and intention of report awareness toward child abuse at local child care centers; this ultimately aims at increasing early detection of child abuse at local child care centers. For thi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13 workers including executive directors and social workers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 of child abuse as well as their intention of report awareness toward child abuse.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s that the overall perception of child abuse scored 4.03 on five-point scale and among 4 abusing types, child neglect, sexual abuse, physical abuse and emotional abuse stand in the order of score. Moreover,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gulations on child abuse scored 3.85 on five-point scale, which is moderately higher than average. I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regulation, the executive directors scored higher than the workers and the older, the higher. In addition, in terms of their attitude toward child abuse reporting, most of the respondents had not only the expectation after reporting but also psychological burdens about reporting itself.

      • KCI등재

        아동학대 사안에서의 경찰의 개입범위와 한계에 관한 소고

        김혁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외법논집 Vol.42 No.1

        A child must be respected as a subject of fundamental rights, not the property of parents, as well as must be protected so that he can grow into a healthy person. Child abuse is an act that tramples the rights and dignity of a child. Under this recognition, the Child Welfare Act provides various 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the protection of the victimized children.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Child Abuse Crimes also stipulates procedures for punishing actors and for rescuing victims through judicial intervention in child abuse crimes. The majority of child abuse occurs in the home, and reporting and intervention of child abuse is primarily carried out by child protection agencies and police. In particular, the police are actively involved in a wide range of areas, from prevention of child abuse, to on-the-spot response and follow-up measures. However, due to problems in the legal system, it is difficult to enforce their authority properly, and the police themselves have over-extended their duties and have failed to respond child abuse cases effectively. In order to effectively cope with child abu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arrange contents that are scattered in various laws. In addition, with an integrated approach through institutional collaboration, the police should concentrate on initial response and child abuse crime investigation rather than welfare support for children. 아동은 부모의 소유물이 아닌 기본권의 주체로서 존중받아야 함과 동시에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 도록 보호받아야 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아동학대는 아동의 권리와 존엄성을 짓밟는 행위로서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인식하에, 아동복지법은 아동학대의 예방 및 피해아동의 보호를 위한 각종 조치를 마련하고 있고, 아동학대처벌법은 아동학대범죄에 대한 사법적 개입을 통해 행위자를 처벌하 고 피해아동을 구조하기 위한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아동학대의 대부분은 부모에 의해 가정 내에서 발생하고 있고, 아동학대에 대한 신고 및 개입은 주 로 아동보호전문기관과 경찰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경찰은 아동학대의 예방 및 현장출동, 사후조치 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데, 법체계의 비일관성, 현장출동 및 출입조사과정의 문제점 등으로 효과적인 법집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기관간의 협력을 통한 업무의 한계설정이 제대 로 되어 있지 않아 아동학대에 있어서의 기관의 성격과 전문성을 간과한 채 경찰 스스로 자신의 임무 와 역할을 지나치게 확장하고 있다. 아동학대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아동복지법, 아동학대처벌법, 청소년보호법, 가정폭 력처벌법, 가정폭력방지법 등 각종 법률에 산재, 중복 규정되어 있는 내용을 정비하고, 법집행의 실효 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함과 동시에, 기관간 협업을 통한 통합적 접근을 염두에 두고 경찰은 그러한 협의체 속에서 초기 대응과 아동학대범죄수사에 전념하고, 자치단체와 아동보호전문기관이 피 해아동에 대한 보호 및 가족관계의 회복을 위한 각종 지원 업무를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후보

        피학대아동의 인권보호를 위한 법정책의 개선방안

        김태은(Kim Tae Eun) 한국국가법학회 2016 국가법연구 Vol.12 No.2

        아동은 성인에 비해 다소 불완전한 인격체로서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이 미흡한 존재로 요보호자로 인식하여, 국가와 보호자에게는 최소한의 침해적 요소에 대해서도 보호해 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아동은 그 의무로 인하여 부모의 보호를 받는 과정에서 자유권이 제한받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아동인권에 대한 논의는 아동이 갖는 인간으로서의 동등한 권리 주체라는 점, 미성숙에 따른 보호대상이라는 점 또한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아동학대의 경우 가정 내에서 발생하는 특징으로 인해 사회적으로 외면당해 온 것이 사실이었고, 최근 일련의 아동 학대 및 이에 따른 사망사건 뉴스가 잇따라 보도되며 여론을 들끓게 하였다. 가벼운 처벌에 대해 분노하면서도, 이 모두가 제대로 된 규제가 부재함에 따른 결과라는 것을 인정하고, 2014년 9월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이 제정되면서 아동학대범의 처벌 기준에 대한 법 제도가 이미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정서적 학대나 방임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으며, 실제 신고를 하는 비율이 현저히 낮다는 사실과 신고 후 처리과정 또한 체계적이지 않고 턱없이 부족한 현황이라는 것이 드러나고야 말았다. 여전히 아동학대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으로 아동학대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되는 바, 특히 아동학대특례법에 규정된 아동학대 개념의 추상성으로 처벌대상 범죄를 명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어렵다는 비판이 제기됨에 따라 아동학대범죄의 개념의 명확성을 바탕으로 한 개정이 필요하다. 또한 피학대아동이 학대로부터 받은 정서적인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 전문적인 상담과 체계적인 치료가 필요한 바, 전문성을 갖춘 안정적인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며, 무엇보다도 아동인권이 기본이 되어 학대아동에 대한 보호정책이 올바르게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Children are obliged to give protection because it is also the subject of parenting and self defense skills are insufficient protection as an immature person than countries with adult guardian for at least elements of the infringement. However, the child can only be a constraint in the Human Rights subject to guardianship and protection of parents relations. So it can be said that the discussion on children's rights is more important than what is balanced as the protected nature of the human being as equal rights and immature nature of the subject adequately with the child. But it was a relevant fact on the outer surface due to the social characteristics that occur in the home if the child abuse, child abuse and a series of recent incidents of death after another, and this news was ablaze in accordance with public opinion. While still a rage against the light punishment, admitted that all of the members as a result of regulation properly. September 2014 With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child abuse a crime, but the legal system to punish offenders standards of child abuse has already been implemented, there is no mention of emotional abuse or neglect. After all proportion to the actual report is actually significantly lower and post-processing report also revealed that does not need a systematic fell markedly deficient status. Because child abuse is still occurring the establishment of measures to prevent child abuse in a more fundamental it is require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learly amend the concept of child abuse offenses as raised criticism that it is difficult to clearly judge the crimes punishable by abstraction of the concept of child abuse, child abuse stipulated in a special law. In addition to professional counseling and therapy to heal the mental wounds received from abused child abuse needs, it is a professional organization with expertise to expand it must be built a stable infrastructure. Above all, the children's rights protection is a basic policy on child abuse should be carried out correctly.

      • 우리나라 아동학대예방사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이종화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7 임상사회사업연구 Vol.4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학대예방사업의 현황 전반과 서비스지원체계의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검토해 보고 학대아동의 예방과 보호를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았으며, 효과적인 발전방안으로는 첫째, 현재의 서비스체계를 토대로 보다 바람직한 학대아동을 위한 복지정책 및 복지실천방향을 개선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먼저, 전문상담원의 조사권부여와, 학대행위자인 부모의 친권 일시정지 및 제한, 학대행위자 치료 상담에 강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관련법규의 개정과 아동학대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활동과 아동학대 예방교육을 통해 아동학대에 대한 대국민 인식전환이 필요하다.둘째, 학대행위 발생 후 개입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아동발달에 치명적인 치명적 손상을 입히는 학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사업을 활성화 하는 것도 무엇보다 중요하며, 사례관리의 질적 수준이 제고되고 재학대 예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하며, 학대 행위자에 대한 상담 및 치료서비스 강화해야 하겠다. 셋째, 아동보호는 결국 가정과 지역사회의 보호가 가장 효과적이기 때문에 지역 내 전문기관과 사법기관, 보건의료기관, 교육기관 등 치료와 예방을 위한 지원체계 구축이 강화되어야겠다. 또한 민간 사회복지기관과 사회복지사들은 아동학대 문제를 다룰 때는 핵심적인 전문집단으로 일할 수 있는 전문성과 훈련 체계를 갖추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아동학대에 전문적 지식을 활용하여 적절한 상담과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의 자원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피해자에게 연결하며, 필요한 사회적 서비스를 창출하는데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가족의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도록 개입, 치료하여야 할 것이며 무엇보다도 학대가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차원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전환시키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학대아동의 보호와 예방을 위한 아동보호체계의 성숙과 발전을 위한 대안의 가능성은 정부의 인적?재정적 지원 수준이 아동보호체계의 제 기능을 담보할 수 있는 수준까지 높아져야 만이 가능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current conditions of child abuse prevention efforts and problems with service support system from various viewpoints and sought plans aimed at preventing child abuse and protecting the victims of the abuse. First, based on the current service system, efforts need to be made to improve welfare policies and practices for children victimize by the abuse. As mentioned above, people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of child abuse through followings: granting a specialized child abuse counselor a right to investigate, temporary suspension and limitation of parental rights of child abuser, the parent. the revision of child abuse related law, a consistent campaign against child abuse and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Second, although intervention is needed after child abuse, aggressive prevention efforts should be made in the first place to protect children against abuse that inflicts a fatal blow to their development. To this end, case management quality improvemen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various programs, and the enhancement of counseling and therapy services for abusers should be accomplished.Third in the end, children can be most effectively protected by the family and the community. Therefore, the community needs to enhance the building of a specialized child abuse institution, a judiciary agency, a healthy care agency, an education institution and other support systems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the treatment of abusers. Also, handling with child abuse issues, private social welfare agencies and welfare workers should have expertise and training system to work as core expert groups. Using specialized knowledge on child abuse, they should provide appropriate counseling and therapy services, connect with victims through information on community resources and work aggressively to create social services.Therefore, while making a family maintain its functions as much as possible, social workers should intervene in child abuse and treatment of victims and abusers. Above all, they need to develop precautionary programs to prevent child abuse.Consequently, the child protection system to prevent child abuse can be developed and matured only when a government’s human and financial support increases to guarantee the appropriate functions of th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