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교사의 쓰기 지도 인식 및 쓰기 지도 유형별 활용 빈도 검사 도구 타당화 연구

        박찬흥 ( Chan Heung Park ),박영민 ( Young Min Park ) 한국작문학회 2013 작문연구 Vol.0 No.17

        본고에서는 교사의 쓰기 지도에 대한 인식과 쓰기 지도 유형에 따른 빈도를 확인하도록 개발된 검사도구가 우리나라에서도 타당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외에서 개발된 쓰기 지도 인식 및 쓰기 지도 유형별 활용 빈도 검사 도구를 우리나라 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타당성을 검증한 결과, 쓰기 지도 인식 검사 도구는 3개의 문항을 제외했을 경우 선행 연구에서 설정하고 있는 쓰기 지도 인식의 하위 요인인 정확한 쓰기, 현시적 지도, 자연적 쓰기를 적절하게 구별해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쓰기 지도 유형에 따른 빈도 검사 도구에서 설정하고 있는 하위 요인인 과정 중심 쓰기 지도, 협동적 쓰기 지도, 문법 요소 지도, 철자 쓰기 지도를 타당하게 구별해낸다고 보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검사 도구 개발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상황을 면밀히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alidity of writing insturction theorectical orientation test and writing instruction type test about Korean language teachers. These test tools are developed U.S. originally, but didn`t confirm appropriate whether or not in Korea. As a result, writing instruction theoretical orientation test was appropriate when removed 3 items and accurately distinguished sub-factors of writing instruction theoretical orientation. Sub-factors were correct writing, explicit instruction, natural learning. The case of writing instruction type test, the test tool is not valid in Korea. Sub-factors of writing instruction type didn`t distinguished clearly. in previous study.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writing instruction type test should consider carefully about Korean education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국어교사의 쓰기 지도 효능감과 쓰기 지도 빈도의 관계 연구

        조성만 ( Sung Man Cho ) 한국작문학회 2012 작문연구 Vol.0 No.15

        이 연구는 국어교사의 쓰기 지도 효능감과 쓰기 지도 빈도를 살펴보고, 이들 두 변인 간의 관계를 고찰함과 아울러 각 변인의 경력별, 성별, 학교급별 차이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K도 중학교 6곳과 고등학교 4곳의 총 57명의 국어교사를 대상으로 국어교사의 쓰기지도 효능감과 쓰기 지도 빈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국어교사의 쓰기 지도 효능감은 척도 평균인 3.50을 약간 선회하는 수준이었지만 쓰기 지도 빈도에 있어서는 척도 평균에 미치지못하는 수준을 보이고 있어 중등학교 현장에서 쓰기 지도가 부실한 상황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두 변인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국어교사의 쓰기 지도 효능감과 쓰기 지도 빈도는 .505의 상관을 보였다. 경력에 있어 10년 미만의 국어교사들은 두 변인간의 유기적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10년 이상의 국어교사들은 .669의 상관을 보였다. 성별에 있어 남교사는 .509, 여교사는 .505의 상관을 보였으며, 학교급에 있어서도 중학교는 .621, 고등학교는 .421의 상관을 보여 두 변인 사이에 유기적 관련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각 변인의 경력별, 성별, 학교급별 차이를 탐색한 결과 경력과 성별에서는 두 변인 모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학교급에 따른 차이 분석에 있어 쓰기 지도 효능감은 차이가 없는 반면, 쓰기 지도 빈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글의 분석 결과를 통해 국어교사의 쓰기 지도 효능감과 쓰기 지도빈도 간에는 유기적 관련성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두 변인의 수준이 척도 평균을 약간 선회하거나 이에 미치지 못하는 것은 문제로 지적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사이의 유기적 관련성을 고려하여, 두변인 사이의 순환적 상승효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국어교사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sense of writing instruction efficacy and the use frequency of writing instruction, which Korean language teachers have. and then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nd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terms of career, sex and level of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this researcher surveyed 57 Korean language teachers at 6 middle schools and 4 high schools in K province in order to gather data related to Korean language teachers` sense of writing instruction efficacy and use frequency of writing instruction. The analysis result indicated that the averag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nse of writing instruction efficacy and use frequency of writing instruction was a little beyond or at 3.00 scale average. A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it was found to be .505 correlation. With respect to career,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less than 10 year experience had no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whereas those with more than 10 year experience showed .669 correlation. With respect to sex, male teachers had .509 correlation, and female teachers had .505 correlation. Regarding level of school, middle schools showed .621 correlation, and high schools showed .421 correlation, which means that there was highly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terms of career, sex, and level of school,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areer and sex between the two variables. But,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level of school reveal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ense of writing instruction efficacy, but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se frequency of writing instruction. The analysis result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as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teachers` sense of writing instruction efficacy and the use frequency of writing instruction. But, that the two variables remained at scale average can be pointed out as a problem.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strive to draw a circular increase effect of the two variables in consideration of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 중학교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영어 쓰기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교육문화연구

        금선경 ( Keum Sun-k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7 교육문화연구 Vol.13 No.1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라는 영어 교육의 목적달성을 위해서는 언어의 네 가지 기능 즉,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기능을 고루 개발시켜주어야 하며, 특히 네 가지 기능 중 통합된 과정이라 할 수 있는 쓰기 교육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하지만 학생들은 영어 학습에서 4 기능 중 쓰기 영역에 가장 적은 관심을 두고 있다. EFL상황에서 일상생활에서 활용되는 경우를 많이 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학생들이 영어로 어떻게 써야하는지를 모르기 때문에 쓰기에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학생들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적절한 지도 방법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영어의 문법적 능력이 부족한 중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쓰기 지도 방법을 알아보기 위해서, 두 가지의 쓰기 지도 접근법을 각각 두 학급에 적용하여 쓰기 지도를 한 후 학생들의 반응과 쓰기 능력을 점검하여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첫째, 우리나라 학생들은 수업 중 이루어진 쓰기 지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이는 학생들이 영어 쓰기에 대해 관심이 있으며 학교 영어 수업시간에 쓰기 지도가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두 가지의 쓰기 지도법 모두 학생들의 쓰기 능력 향상을 가져왔고, 과정 중심 쓰기 지도 후의 결과가 결과 중심 쓰기 지도 후의 결과 보다 조금 높게 나왔다. 따라서 우리나라 학교 영어수업에서 쓰기 지도는 학생들의 부족한 문법적 능력을 보충해 줄 수 있는 결과 중심 지도와 과정 중심의 혼합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학생들의 기본적인 문장 쓰기부터 문단으로 이루어진 글쓰기까지 결과 중심과 과정 중심이 혼합된 방식으로 쓰기 지도가 이루어진다면 학생들의 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영어 교육 현장의 교사들의 효과적인 쓰기 지도를 위한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겠다. The goal of Korean English education is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To accomplish this goal, teachers should develop students' four skills: reading, listening, speaking, and writing. Especially learning to write in English should be more focused since writing is a multidimensional process. However, Korean EFL students are less aware of the importance of writing compared to that of other skills. In EFL context they have few opportunities to write something in English in real life. Moreover, they don't know much about how to write in English.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ive way of teaching English writing to improve writing abi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o find out the effective method on English writ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two approaches to writing were chosen to teach English writing to them. In one class, students practiced writing with process-centered writing activities and in the other class, writing with product-centered writing activities for about five weeks. Thereafter, students' reactions to each writing approach were examined and their improvement for English writing was investigat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ll students thought about both writing methods in positive ways while writing English in class. 2. In the test of English writing skill, both writing method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writing skills. Especially, the students who did process-centered writing activities had an higher achievement than the students who did product-centered writing activities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3. It was shown that the effective way to teach English writ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a mixture of these two methods in the EFL context. A mixture of product-oriented writing and process-oriented writing will help students improve their writing skills which include not only basic sentential composition skills but also essay composition skills. Therefore, Korean English teachers need to make efforts to teach English writing effectively.

      • KCI등재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과 연계한 영어 쓰기 수업모형 개발

        배주경,송민영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쓰기 지도 경험이 부족한 교사도 쉽고 효과적으로 쓰기 지도를 할 수 있는 쓰기 수업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하는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NEAT) 2, 3급 쓰기 영역과 연계하여 정규 수업 시간에 교과서를 지도하면서 영어 쓰기 지도를 할 수 있도록 NEAT 쓰기 문항 유형별로 쓰기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우선 NEAT 쓰기 문항 유형별로 주요 특징과 수업에서 지도할 때 유의점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NEAT 쓰기 문항 유형별로 8개씩, 총 48개의 수업지도안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수업지도안은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실제수업에 적용하여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 여부를 점검하고 교사 및 학생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업지도안을 수정하여 완성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48개의 수업지도안을 쓰기 전 활동, 쓰기 활동, 쓰기 후 활동 등 3단계로 나누어 주요 특징을 분석하여 일상생활에 관한 글쓰기, 자기 의견 쓰기, 상황에 맞는 짧은 글쓰기, 그림의 세부 묘사 완성하기, 편지 쓰기, 그림 묘사하기 및 추론하여 글쓰기 등 6개 쓰기 문항유형별로 하나의 수업모형을 도출하였다. 각 모형별로 수업 목표와 주요 학습 활동을 먼저 간략하게 제시하였고, 쓰기 전 활동, 쓰기 활동, 쓰기 후 활동 등 3단계로 구성하였으며, 우리나라 고등학교 영어 수업에 적용하기 적합하도록 소집단 협동학습과 과정 중심 쓰기 지도 방법을 적용하였다. 무엇보다도 각 단계는 문항 유형에 따라 10분∼20분 정도씩 배정하여 고등학교의 1차시 수업 이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structional models of teaching English writing in order to help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teach English writing more easily and effectively in their regular class. To develop the instructional models, this study linked to the writing section of the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which i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he developmental process was as follows: First, six test items of the writing section of the NEAT were analyzed. Second, a prototype of lesson plan was developed by a specialist of teaching English writing. Third, lesson plans for teaching writing tailored to each writing test item of the NEAT were developed by six experienced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Fourth, the lesson plans were implemented in high school classrooms from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in order to gauge the suitability of the lesson plans and to gather feedback from teachers and students. Finally, the lesson plans were analyzed and six instructional models of teaching writing were developed. The study introduced the six models of teaching writing and suggested ways of providing practical help to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with limited experience in teaching writing.

      • KCI등재후보

        ‌교양영어 교육의 보조프로그램 효과 연구

        김재경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5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Back-Up Programs such as Speaking Laboratory (Speaking Lab) and Writing Laboratory (Writing Lab) on college students' pronunciation and their writing. The participants of Speaking Lab were 140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n English class and they were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The participants of Writing Lab were 59 university students were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according to different settings as well. A pretest was given in Week 2, and the treatments lasted for 7 weeks from Week 2 through Week 8. A posttest was administered in Week 8 to assess the learners’ speaking and writing progress. For pronunciation, the mean number of Experim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For writing, the mean numbers of Experi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in the areas of T-unit and holistic assessment. However, the results of the posttest showed that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ontrol Group and Experiment Group in all dimensions of speaking and writing. The analyse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s revealed that the treatment groups which used the speaking and writing labs perceived Back-Up programs as helpful and effective ways for enhancing their speaking and writing ability. In conclusion, it may be inferred that the Back-Up Program enhances learners’ performance in pronunciation, T-unit, and holistic assessment. 이 연구의 목적은 교양영어의 말하기와 쓰기의 수업 효과를 높이기 위해 수업을 보조하는 보조프로그램인 말하기와 쓰기 지도실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말하기 지도실 활용 실험반과 교재 활용 통제반 140명 그리고 쓰기 지도실 활용 실험반과 교재 활용 통제반 59명을 대상으로 보조프로그램을 활용하게 하고 지도실 활용 집단과 지도실을 활용하지 않은 집단 간의 향상도 차이가 있는지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말하기에서는 말하기 지도실 활용 실험반과 교재 활용 통제반 모두에서 사후 발음의 평균이 모두 향상되었으나 말하기 지도실을 활용한 집단이 약 2배로 월등히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쓰기에서는 쓰기 지도실 활용 실험반과 교재 활용 통제반 모두에서 T-unit의 평균이 모두 향상되었지만 두 집단 중 쓰기 지도실을 활용한 집단의 평균이 크게 향상됨을 보였다. 또한 쓰기에서는 총괄 점수 평균이 두 집단 모두 향상되었지만 두 집단 중 쓰기 지도실을 활용한 집단이 평균점수 향상이 컸다. 그러나 말하기와 쓰기 지도실 활용 집단 공히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의 향상을 가져오지 못했다. 설문과 개별 인터뷰를 통해 알아 본 말하기 지도실과 쓰기 지도실에 대한 인식을 알아 보았다. 지도실에 대한 장단점이 모두 있었으나 장점에 대한 의견이 많아 보조프로그램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아울러 더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 영어 쓰기 지도의 미래 방향

        김태은 ( Kim Tae-eu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8 외국어교육연구 Vol.32 No.3

        쓰기는 손, 눈, 두뇌를 동시에 사용하는 독특하고도 다차원적인 학습 양식으로 언어 학습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많은 학자들이 주장해왔다(Boyle & Peregoy, 1990; Emig, 1977; Harklau, 2002; Widdowson, 1978). 언어 학습에 있어 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본 논문은 영어 쓰기 지도와 관련한 이론적 배경을 다양한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효과적인 영어 쓰기 지도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쓰기 교육의 이론적 내용으로, 쓰기 지도의 구성 요소, 즉 쓰기 과정에서 필요한 필수적인 지식과 기술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책임의 점진적 이양 모델에 기반하여 모델 쓰기, 공유 쓰기, 유도쓰기, 독립 쓰기로 전개하는 쓰기 지도의 방법을 소개하였다. 또한 3차원적(단어, 문장, 글 수준) 접근으로서의 쓰기 교수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미국 초등학교에서 활용하는 교수-학습 자료를 탐색하고, 특히 쓰기 지도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선정하여 쓰기 지도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As writing has been advocated as a unique, multi-representational mode of learning during which a hand, eyes, and brain are used simultaneously, writing plays a pivotal role of learning a language (Boyle & Peregoy, 1990; Emig, 1977; Harklau, 2002; Widdowson, 1978). Calling for more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writing in language learning, this article aims to revisit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garding teaching English writing from a range of perspectives. The critical elements in teaching writing, that is, the essential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needed during the act of writing, were discussed. In addition, ways of teaching writing based on the gradual release of responsibility model, including modeled writing, shared writing, guided writing, and independent writing, and teaching writing as a three-dimensional practice were thoroughly discussed. Along with the discussion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eaching writing, this article ultimately recommends the future direction in teaching writing. Lastly, it proposes strategies for teaching writing by using teaching materials being used in elementary schools in America.

      • 쓰기 부진아의 특성에 따른 쓰기 지도 방안

        임다은,이경화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2 초등교과교육연구 Vol.36 No.-

        이 연구는 쓰기 부진아를 지도하기 위해 학생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 지도 방법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쓰기 부진아의 특성을 고려한 쓰기 지도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있다. 쓰기 부진아는 쓰기 기능에 문제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개인적, 사회적인 요인들로 인해 쓰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교사는 쓰기 부진아가 쓰기를 수행하는 동안 나타나는 여러 특성들을 파악하여 학생 개인에 맞춰진 지도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쓰기의 범주를 쓰기 과정의 범주와 정의적인 측면의 범주로 나누어 쓰기 부진아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범주에서 나타나는 쓰기 부진아의 특성을 고려한 지도 방안을 제안하여 학교 현장에서 쓰기 부진아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 KCI등재

        쓰기 부진 텍스트의 유형에 따른 지도 프로그램 설계 연구

        이수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3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2 No.-

        본고에서는 효과적 쓰기 부진 지도를 위해, 쓰기 부진 텍스트의 유형을 바탕으로 지도 프로그램 설계 방안을 연구하였다. 쓰기 부진 텍스트를 크게 총체적 부진과 부분적 부진 유형으로 나눌 때, 총체적 부진에는 기초부터 단계적인 접근이필요하고, 부분적 부진에는 부진 요인을 분석하여 특정 영역이나 갈래를 우선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다양한 유형과 수준의 쓰기 부진을 지원해주는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거시적 구성과 미시적 구성 방안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거시적 측면에서는 쓰기 능력의 특정 영역을 집중적으로 지도하는 단원은 분리되어있으면서, 위계화된 단원을 통합적으로도 가르칠 수 있는 ‘분리-통합형’ 프로그램이 되도록 해야한다. 단원을 단계화하는 기준으로는 쓰기 단위, 쓰기 과정, 쓰기의 갈래 등이 있다. 또한 지도 프로그램의 특징과 지향성을 결정해야 하는데, 지도 프로그램에대한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기 위해 매력적인 언어 교재를 포함해야 한다. 미시적 측면에서는 쓰기 부진의 유형에 따라 원인을 진단하고 이에 맞는 처방을 해 주는 ‘진단-처방형’ 프로그램이 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유형별 지도자료의 구성 요소를 ‘지도 프로그램 단계와 지도 요소’, ‘유형의 특성’, ‘예시글 분석’, ‘지도 절차 및 방법’, ‘활동지’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s aim is suggesting method of writing underachievers' teaching program desisn based by typology of writing inadequate texts. We need to approach step by step about entirely inadequate text and focus particular area or genre about partial inadequate text. We need to considerate macroscopic aspect and microscopic aspect of program design simultaneously. In macroscopic aspect, I suggested 'separation-integration'program that have separated and hierachy units. We can considerate writing unit,progress, genre as standard of unit's level. In microscopic aspect, I suggested 'diagnosis-prescription' program about writing underachievers cause. Indivisual teaching material can be constructed like this: program level, typology's character, example text's analysis, teaching step and method, worksheet.

      • 전기문 쓰기의 지도 요소 연구

        박미정 ( Mee Jeong Park ) 한국작문학회 2006 작문연구 Vol.0 No.2

        전통적으로 국어교과의 전기문 교육은 인성 교육과 역사인식교육의 측면에서 그 교육적 의의를 찾아왔다. 그러나 국어교육의 본질적인 면에서 전기문의 텍스트로서의 성격을 밝히고,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각 영역에서 교육적 의미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쓰기 교육의 영역에서 전기문 교육의 지도요소를 밝히고자 하였다. 전기문 쓰기는 사실적 글쓰기에서 허구적 글쓰기로 나아가는 중간 단계의 문학적 체험을 할 수 있는 장르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또한 생활속에서 친밀하고 호감을 주는 인물을 대상으로 자료조사를 한 뒤 이를 바탕으로 쓰는 글이므로 학생들의 쓰기 태도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기문의 성격은 반 데이크의 거시구조와 초구조를 이용해서 설명문, 소설과의 비교를 통하여 규명될 수 있다. 전기문은 이야기-사실-에피소드의 구조를 가지며 글 전체의 교훈이 직접적인 비평 단락으로 드러나거나 사실에서 출발한 내용 요소들 뒤에 이루어지는 평가 문장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보인다. 전기문의 지도 요소는 텍스트 내적인 지도 요소와 텍스트 외적인 지도 요소로 나누어서 살펴볼 수 있다. 텍스트 내적인 지도 요소는 내용지도요소, 구조 지도요소, 표현 지도요소로 나누어진다. 내용 지도 요소는 각 내용 요소의 의미와 역할, 선택기준, 포함되어야 할 교훈성을 말한다. 구조 지도 요소는 전기문의 외적 구조를 알려주고 선택한 내용 요소를 가장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구조를 선택하여 표현하도록 하는 것이다. 표현 지도 요소는 구체적인 단락 쓰기를 지도하는 것을 말한다. 텍스트 외적인 지도 요소는 전기문을 쓰는 과정에 대한 절차적 지도 요소를 말한다. 전기문 쓰기의 절차를 지도하고 각 절차의 유의점을 지도 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전기문의 지도절차는 텍스트 내적인 지도 요소를 고려하여 지도해야 한다. 본고는 전기문이 가지고 있는 성격을 바탕으로 텍스트 내적, 외적 지도 요소를 밝혀 전기문 쓰기 교육에서 무엇을 지도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안내하고자 했다. The educational meaning of teaching biographical literature in Korean Language subject matter has been traditionally looked for from the viewpoints of character education and education for historical perspective. However,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biographical literature as a text in fundamental respec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earch for its educational meanings from each domain of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Thus, this study purposed to clarify factors in teaching how to write biographical literature from the domain of writing education. Writing biographical literature has a meaning as a genre which enables students to experience a middle step of literature between writing facts and writing fiction. In addition, since it is written based on survey of characters who are familiar and amiable in life, this writing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writing attitudes. Characteristics of biographical literature can be examined through comparison with explanations and novels using Macroscopic structure (Makrostruktur) and Super-structure(Superstruktur) of Van Dijk. Biographical literature has the structure of stories-facts-episodes and its lesson is indicated in a direct critical paragraph or in sentences for assessment after contents factors beginning from facts. Factors of teaching how to write biographical literature can be divided into an internal factor of text and its external one. The internal factor of text is sorted out a teaching factor in contents, that in structure, and that in expression. The teaching factor in contents includes meanings and roles of each content, selection criteria, lessons subject to be implicated. The teaching factor in structure is to tell an external structure of biographical literature and select and express a structure which would be the most effective for expressing the selected contents factor. The teaching factor in expression includes teaching how to write concrete paragraphs. The external teaching factor of text means procedural teaching factors in the process of writing biographical literature. That is, it includes teaching the procedure of writing biographical literature and attention of each procedure. At that time, teaching the procedure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the internal teaching factors of tex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iographical literature, this study intended to guide what to teach in education for writing biographical literature concretely by clarify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teaching factors of 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