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상활용 회기에서의 내담자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오현수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심상활용 회기에서의 내담자 변화 과정과 변화 경험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된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담자들이 심각한 감정 표현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회기에 메타포 심상을 활용하여 그 감정을 자각하고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내담자 변화를 이끌어낸 5개의 사례를 수집하여 다중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내담자들은 심상활용 회기에서 자신의 두려운 정서에 머물러 그 정서를 주관적 심상으로 상징화하였고, 그 심상을 오감각으로 구체화함으로써 정서가 활성화되었다. 또한 심상 접촉의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상담자의 지지와 협력으로 심상에 접촉함으로써 심상 변형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심상변형을 통해 그동안 두려워했던 감정의 감소와 긍정적 감정의 발생이 일어났고, 그 감정에 대한 통제감을 획득하거나 현실에 대한 객관적 인식 및 진정한 자기의 확인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두려운 정서에 압도되는 내담자들에게 그 두려움에 안전하게 접촉할 수 있도록 돕는 심상의 은유적 기능과 내담자 변화를 위한 심상 활용의 가능성 및 유용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case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and implication on the process of using the imagery in the counseling scene and the process of changing clients through the imagery therapy. In this study, five ca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multiple case study method. The cases were the ones that led to the change of the client by using the metaphor image in the session that the client showed the difficulty of serious emotional expression, and by making the emotions aware and contacted. In the image utilization session, the clients stayed in their fearful emotions and symbolized the emotions as images and activated fearful emotions by embodying images in five senses. They also achieved image transformation by contacting the image with the support and cooperation of a counselor in spite of the fear of image contact. This study showed that the clients experienced a decrease of fearful emotions and the generation of positive emotions through image transformation, gained control of emotions, and had an objective recognition of reality and a real self-confirmation experienc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e metaphorical function of the image helping the clients overwhelmed by the fearful emotions contact their fearful emotions safely and the possibility and usefulness of image application for client change.

      • KCI등재

        마음으로 입는 상복 -심상(心喪)의 개념과 애도의 자격

        이수유 한국역사민속학회 2023 역사민속학 Vol.- No.65

        본 연구는 심상(心喪)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의 전통 상례에서 의례와 감정이 맺는 관계의 일면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고인과의 관계에 따른 애도 자격의 제한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기반을 모색한다. 심상은 상복을 입지 않으면서도 상중과 같이 처신하는 행위를 뜻하는 것으로, 오복제도(五服制度) 안에서 상례의 변통을 가능하게 한 개념이다. 본 연구는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의 저작을 중심으로 심상 개념에 대한 정의 및 주요 유형들을 살펴보고, 심상인(心喪人)이라는 용어를 통해 심상이 단지 개인적 혹은 감정적 차원의 실천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공인되고 제도화된 애도의 자격을 부여하는 것이었음을 고찰한다. 이로써 본 연구는 사회적 관계의 지형이 변화하고 상례 기간과 상중의 처신에 대한 보편화된 논의가 부재하는 현재의 맥락에서 심상이라는 전통 상례의 고유한 개념이 새롭게 해석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rituals and emotions in traditional Korean funerals, focusing on the concept of simsang (心喪), and seeks a foundation for critically discussing the limitations of mourning qualifications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Simsang refers to the act of behaving like a mourner without wearing mourning clothes, allowing modifications within the five-class mourning costume system. This study analyzes the definition and main types of simsang based on the writings of Sagye Kim Jangsaeng. It also examines the term simsangin (心喪人) to show that simsang was not merely indicating a personal or emotional level, but also granting socially recognized and institutionalized qualifications of mourning. This study thus proposes that simsang, the unique concept of traditional funeral rites, can be newly interpreted in the current context where the topography of social relationships is changing and there is no generalized discussion on the period of funerals or conduct in mourning.

      • KCI등재

        음악심상기법을 이용한 애착트라우마 내담자의 회복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김영숙,정현주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0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is a case study that analyzes the treatment of a woman in her 30s who has recovered from attachment trauma using Guided Imagery and Music (G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covery process by focusing on two research questions: the therapeutic role of GIM techniques and when and how the three levels of GIM were used in the patient’s recovery process. As a result, first, GIM helped build a stable foundation by restoring a healthy attachment relationship and was used as a means to access the core memories of trauma, providing an opportunity to explore and witness the wounded inner world. In addition, it played a therapeutic role in achieving inner growth through the process of reorganizing traumatic events and integrating them with their current lives to understand and accept themselves. Second, GIM was applied by varying the level of the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client's internal readiness and purpose. Supportive music and imagery were mainly used in the early stages to confirm safety and internal resources and were used for client stabilization at all stages when necessary. Re-educative music and imagery were mainly used at the stage of working at the core of the trauma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help self-understanding and self-acceptance through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raumatic experiences. Re-constructive music and imagery are used in the post- traumatic growth stage to understand the traumatic memory in context and to achieve the unity of life through the experience of being free from the traumatic memory and reconstructing the perception of self. 본 연구는 음악심상기법을 이용하여 애착트라우마에서의 회복을 경험한 30대 여성의 치료 사례를 분석한 사례 연구이다. 연구 목적은 음악심상기법의 치료적 역할은 어떠한 지, 음악과 심상의 세 가지 수준은 내담자의 회복의 과정에서 언제, 어떻게 활용되었는지의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애착트라우마를 경험한 한 개인이 음악심상기법을 통해 이룩한 회복의 과정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첫째, 음악심상기법은 건강한 애착 관계를 회복하여 안정된 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돕고, 트라우마의 핵심 기억에 접근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 상처받은 내면을 탐색하고 목격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트라우마 사건을 재구성하고 이를 현재 자신의 삶과 통합하여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 내적 성장을 이루는 치료적 역할을 담당하였다. 둘째, 음악심상기법은 내담자의 내적 준비도와 목적에 따라 그 적용 수준을 달리하여 적용 되었다. 지지적인 수준의 음악과 심상은 안전함과 내적 자원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기 단계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며 필요할 경우 모든 단계에서 내담자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되었다. 재교육적 수준의 음악과 심상은 트라우마의 핵심에서 작업하기 단계에서 주로 사용되어 내담자의 외상 경험과 대면하고, 외상 경험을 맥락적으로 이해하여 자기 이해와 자기 수용을 돕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재구성적 수준의 음악과 심상은 외상 후 성장의 단계에서 사용되어 외상의 기억을 맥락적으로 이해하고 외상의 기억에서 자유로워지는 경험을 통해 삶의 통합을 이루고 자기에 대한 인식을 재구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 KCI등재

        심상치료 프로그램이 알코올중독 환자의 금주가능성, 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

        이혜경 ( Hae Kyung Lee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00 정신간호학회지 Vol.9 No.3

        본 연구는 개인 심상치료가 알코올중독 환자의 금주가능성, 불안,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여 재활 및 재발 예방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기간은 1998년 11월 30일부터 99년 8월 2일까지이며 연구대상은 T시에 소재하는 T정신병원에 입원중인 알코올중독환자로서 실험군 24명, 대조군 36명, 총 60명이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사용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이론적 개념틀은 심상치료의 치료이론으로서 심층심리학적 정신역동이론에 근거하였다. 자료분석은 SAS+/PC로 전산처리하였으며 χ2-test, t- test로 동질성 검정을 하였고, ANCOVA로 가설검정을 하였다. 심상치료 회기별 심상현상의 특징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기질불안의 평균점수는 48.47이었고 상태 불안의 평균점수는 45.40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우울의 평균점수는 20.63으로서 정상집단의 우울정도 13.01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3) 심상치료 프로그램을 경험한 알코올중독 환자와 경험하지 않은 환자간의 금주가능성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심상치료 프로그램을 경험한 알코올중독 환자는 경험하지 않은 환자보다 기질불안정도가 더 높았다. 5) 심상치료 프로그램을 경험한 알코올중독 환자와 경험하지 않은 환자간에 상태불안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6) 심상치료 프로그램을 경험한 알코올중독 환자와 경험하지 않은 환자간에 우울정도는 차이가 없었다. 7) 심상치료 초기 과정동안 심상현상 특징은 한가지 주제에 직면하지 못하고 구조적으로 산만하고 진정한 느낌을 인지하지 못하였으나 회기가 진행되면서 한가지 주제에 집중하고 자신의 진솔한 느낌을 체험하며 슬픔, 분노, 증오 등 강렬한 정서체험을 하고 술이 통제되지 않는 진정한 이유를 점차 인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 심상체험 치료방법을 외래환자에게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 심상치료의 회기를 늘려서 총 20회이상이 되도록 하여 치료효과를 검증해 볼 것을 제안한다. · 대상을 달리한 반복연구를 통해서 개인 심상치료가 전문적인 간호중재 영역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imago psychotherapy on Abstinence Likelihood Inventory, Anxiety and Depression of alcoholics who are hospitalized. The period of this research was from November 30, 1998 to August 2, 1999. The subjects were male alcoholics who were hospitalized and those who were appropriate to the standard of this study in T mental hospital located in Taegu City. There were 60 subjects : 24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6 in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non-synchronized design and 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psychodynamic theor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by the researcher who leads imago psychotherapy, and the program consisted of six sessions, 90 minutes per session,twice a week.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hi - square test, paired t-test, ANCOVA with SAS program and the analysis of image process was don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1. Mean score of trait anxiety was 48.47 and mean score of state anxiety was 45.40.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very high with 20.63 compared with degree of depression (13.01) in normal group.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abstinence likelihood inventory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but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rait anxiety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Trait anxiety score showed increa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decreases in control group.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state anxiety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depression scor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differences of the existing research result. It is a novel attempt to try individual imago psychotherapy with alcoholics. In the beginning of imago psychotheraphy, distinctive feature of image is that patients could not concentrate on one theme, were not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did not have pure feeling. But as time passed by, patients could concentrate on one theme and experience his candid anger, sorrow, anxiety, and feeling. Patients would gradually realized the real causes of why he could not control himself. I would like to make following suggestions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mago psychotherapy should be applied to outpatients too. The number of the session of imago psychotherapy should be at least 20, and then the effect of the therapy can be verifed. With repeated studies with different subjects, individual imago psychotherapy should be a professional nursing intervention area.

      • KCI등재

        고전(古典) 상학(相學)의 현대적 의미 적용 - 심상(心相)을 중심으로 -

        윤영채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4 한국종교 Vol.57 No.-

        ‘심상(心相)’이란 중국에서 유래되어 불교나 도가와 같은 동양의 종교 및 철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로 사람사이 마음과 감정의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동양 상학(相學)에서는 내면세계인 심상이 바탕이 되어 외형의 얼굴과 신체적 표상이 된다고 보았다. 심상은 인간의 마음속에 자리한 생각이나 느낌 등으로 미래의 변화를 유도하며, 심상을 보는 것은 사람의 생각을 읽어내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 상학의 관점에서 외형화에 치중하여 좋은 상으로 동일시하려는 세태를 우려하여 고전 상학의 한 영역인 심상에 대한 관점으로 특히 ‘덕(德)’ 또는 ‘덕성(德性)’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상학과 동양고전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심상의 핵심 개념인 덕에 대한 비유를 통하여 현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상학의 본질이 외형적 표상에 얽매이기보다는 심상의 영역에서 특히 덕상(德相)을 갖추도록 상학이 함축하고 있는 심상의 철학적 사유에 대한 가치를 고찰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 사회전반으로 도덕적 수양과 윤리적 교화를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교육 · 사회 · 문화 전반에 걸쳐 도덕성과 배려를 미덕으로 하는 인간상을 확립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캠페인을 일으켜 활용하도록 해야 한다. 구성원들 사이에서 덕의 실현에 있어서는 선행을 유도하여 사회적인 미담(美談)으로 확장시켜 정의롭고 아름다운 사회가 되도록 방향전환이 필요하다. 매스컴에서도 물질만능시대 외형적인 삶의 지향보다는 내적으로 덕을 겸비한 사람들의 삶을 조명하는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구성하여 우리 사회의 사람들이 심상의 아름다운 가치를 인정하는 사회풍조를 조성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바람직한 심상을 가진 인간상을 고전 상학에서 제시한 철학적 사유인 ‘덕’의 개념으로 풀어보았다. 고전 관상학에 함축된 덕의 가치를 고찰함으로써 현 시대에 맞게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Image aspect' is a phrase used in various Oriental religions or philosophies including Buddhism and Taoism coming from China, which means interaction between the mind and emotions of people. To see someone’s image aspect is identical to reading their mind.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virtue’ or ‘virtue aspect’ from the perspective of image aspect in relation to classic physiognomy, in order to educate people who are inclined to see things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physiognomy. Ultimately, the nature of image aspect can be found in ‘virtue’ to make social communication possible, and a reasonable human image could be completed with ‘virtue’ or the ‘virtue aspect’. The nature of physiognomy is not limited to one’s outward appearance, but incorporates the virtue aspect in the range of the image aspect in order to share the philosophical values of the image aspect that physiognomy implies. To this end, continuous efforts for the moral training and ethical education of our society are necessary. This study translated human aspect with reasonable image as a concept of virtue that is a philosophical cause coming from classic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a value of the cause implicated on the classics in order to use it in the present.

      • KCI등재

        心相으로서의 書에 관한 연구

        曺玟煥 한국서예학회 2012 서예학연구 Vol.21 No.1

        畵是通過造形的形態、詩是通過感性的詩語表達自己的心的. 一點上作比較的話不書是要通過極有 限製的點,劃以及字, 來把自己的心表現出來的. 因此我們可以說書就是次元更高的藝術. 如此書雖屬小道而包含深奧的思惟的技藝. 但,如果沒有什麽意識和感動, 只寫字是決不能成書的. 要有內包自然的天機造化的活著的劃的話, 運筆雖很重要, 基本上更需要做到天地自然的造化和道理的心得,心悟. 筆者在本篇論文主要對於爲什麽把書看做藝術的觀點, 與心聯系而論, 尤其注目於明代項穆以儒家的思惟上所論的以心相爲主的書. 在傳統上對書的理解雖有以法象爲主的書, 以形學爲主的書, 以心畵爲主的書. 把書揚雄看爲是心畵, 項穆看爲是傳心, 郝經看爲是心法, 劉熙載認爲心學, 都是由於書是表現心的藝術之觀點而出來的. 在此寫志, 傳心總是與作家心裏感到的是什麽, 自己想的哪一種美意識是最理想的, 以及他的志向是什麽等有關. 倂且這些思惟中共通地潛在著書如其人的思惟. 在這兒 進一步我們需要注目郝經所說的“有諸內者, 必形諸外也”之語. 這裏也有一種心身一元論的思惟, 因爲儒家特別強調這一點. 許多書理論家們從 心身一元的思惟出發, 把書與心畵,心學,心法,心相等相聯關來理解, 而且可以說這種理解很分明的說出書爲什么是藝術之點. 另外如此把書看做心畵,心學,心法,心相等的裏面倂含有㊀個劃不是單純的線, 而是反映人的人品,人格,學識之劃的書如其人的思惟. 在書如其人的思惟中特別強調人品, 也是因爲人品有可以爲名品的條件的關系. 同樣的寫書的時候, 講究應該以什麽樣的心也是因爲與作品品格的古下有關聯. 若將心相, 心畵的次元的書, 以儒家的觀點來說的話, 儒家特別重視其心具體地的表現於作品時的政教的·倫理的 效用性與公共性, 所以非常強調心性陶冶,養心爲己之學的次元上. 換言之, 可以說是他們展開了一種倫理決定論的書論,人格決定論的書論. 與心相聯且被理解的書就是人間的精神意氣蓄積的純粹表意形式, 也就是高次元的心相之藝術. 東洋 藝術家들은 形而上學的 側面에서는 天地自然의 造化, 理 或은 一陰一陽하는 道를 스승으로 삼고 그것을 表現하고자 하며, 心性論的 側面에서는 그것을 心得하고 心悟한 以後 技巧를 통해 具體的 形狀으로 표현하고자 한다. 여기서 동양의 文人士大夫들에 의해 詩•書•畵•樂 등이 窮極的으로 藝術로 이해되는 것은 바로 後者에 있다. 詩•書•畵•樂의 東洋藝術은 本質的으로 心을 뿌리로 삼기 때문에 흔히 寫心의 예술, 寫意의 예술, 心象 혹은 心相의 藝術이라고 한다. 書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로서 주목할 만한 것은 心畵, 心法, 傳心, 心象, 心相, 心學 등과 같이 心과 관련지어 말해지는 차원의 書이다. 이것은 인간의 精神意氣가 쌓인 純粹表意形式으로서 서를 규정하는 것으로, 사실 書를 예술적 차원에서 규정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점에 있다. 書를 揚雄이 心畵로, 項穆이 ‘傳心’으로, 郝經이 ‘心法’으로, 劉熙載가 ‘心學’으로 본 것에는 모두 서가 심을 표현하는 예술이란 점이 담겨 있다. 여기서‘뜻을 쓴다는 것’, ‘마음을 표현한다’는 것은 결국 작가가 마음속으로 무엇을 아름답게 느꼈는지, 어떤 미의식을 이상적으로 생각하는지, 더 나아가 사는 삶은 무엇을 지향하고 있는지 등과 관련이 있다. 아울러 이들의 사유에는 공통적으로 書如其人적 사유가 깔려 있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아가 특히 郝經이 “有諸內者, 必形諸外也”라고 한 것에 주목하자. 이것에는 일종의 心身一元論적 사유도 깔려 있는데, 유가는 특히 이런 점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書는 小道에 속하지만 深奧한 사유를 담고 있는 技藝로서, 의식과 느낌 없이 글자만 쓴다고 書가 되는 것이 아니다. 自然의 天機造化를 담은 活物로서의 劃이 되려면 運筆도 중요하지만, 기본적으로 천지자연의 조화와 理를 바로 心得하고 心悟해야 한다. 본고는 왜 書를 藝術로 볼 수 있는가 하는 점을 心과 관련지어 논하되, 특히 明代 項穆이 書法雅言에서 논한儒家적 사유에서 논한 心相으로서의 서에 주목하였다.

      • 심상훈련이 야구송구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을 중심으로

        추건이(Gunyi Choo),김무영(Mooyoung Kim)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4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6 No.-

        본 연구는 심상훈련이 야구송구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야구선수 경험이 없는 대학재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심상훈련 및 기술훈련 집단 8명, 심상훈련 집단 8명, 기술훈련 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분하였다. 각 집단은 8주간의 실험처치 후, 2주, 4주, 6주, 8주차에 각 집단별 야구송구 정확도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실험 실시 2주후, 심상훈련 및 기술훈련 집단, 통제 집단, 심상훈련 집단, 기술훈련 집단의 순으로 송 구 정확도 향상이 있었다. 2) 실험 실시 4주후, 심상훈련 및 기술훈련 집단, 통제 집단, 심상훈련 집단, 기술훈련 집단의 순으로 송구 정확도 향상이 있었다. 3) 실험 실시 6주후, 심상훈련 및 기술훈련 집단, 기술훈련 집단, 심상훈련 집단, 동제 집단의 순으로 송구 정확도 향상이 있었다. 4) 실험 실시 8주후, 심상훈련 및 기술훈련 집단, 기술훈련 집단, 심상훈련 집단, 동제 집단의 순으로 송구 정확도 향상이 있었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상훈련과 기술훈련을 병행한 집단이 실험기간 동안 지속적인 송구능력의 향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심상훈련, 혹은 기술 훈련만 실시하는 것 보다는 심상훈련과 기술훈련을 병행 하는 것이 송구 정확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To Determine the effect of imagery training on the accuracy of throwing baseball,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for eight weeks to 32 male volunteers who had no experience of baseball player. For the experiment, individuals were divided into groups for the imagery training(n=8), the imagery and technical training(n=8), the technical training(n=8) and the control group (n=8). each group was prepared for the experiment; measurements of changing before the experiment and two, four, six, eight weeks after the experiment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imagery and technical training, control, imagery training, and technical training group in order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between 4.0 and 4.3 degree two weeks after the experiment. 2) The imagery and technical training, control, imagery training, and technical training group in order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four weeks after experiment. 3) The imagery and technical training, technical training, imagery training, and control group in order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six weeks after experiment. 4) Likewise, The imagery and technical training, technical training, imagery training, and control group in order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eight weeks after experiment. As shown in the above, the existing studies are supported arguing that the combination of imagery and technical training is expected to produce better physical learning effects, and the imagery training alone produce little effects.

      • KCI등재

        창의적 사고 과정에서 통찰 문제의 검토를 통한 심상적 사고 고찰

        김보섭 ( Kim Bo Sub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본 연구는 이미지가 개입하는 사고 과정으로서 심상적 사고를 제안하고 이를 통찰 문제에 대입하여 창의적 사고 과정에서의 심상적 사고 과정의 특징과 역할을 고찰하고자 한다. 심상적 사고는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논리적, 언어적 사고와 대비하여 도약적, 통합적 사고의 특징을 가지며 창의적 결과물은 이러한 사고 과정의 순환을 통해 생성된다. 본 논의는 창의성을 바라보는 여러 논쟁적 입장을 분석하고 심상적 사고를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논리와 비논리적 사고의 대립을 매개하는 핵심적 개념으로 제시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와 심상에 대한 철학적, 심리학적, 뇌과학의 연구 맥락의 검토를 통해 심상적 사고의 근본적 특성을 감각-운동적 성격으로 규정하고 심상적 사고의 특징과 분류를 시도하였으며 심상의 총칭적 성격에 대해 논의한다. 심상적 사고는 인간 신체의 근본적 운동 성격에 따라 전체적, 동적, 유추적 성격, 그리고 총체적 성격을 가지며 이러한 심상의 근본적 성격으로 인해 이질적인 것을 연결하는 비약적 연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심상적 사고가 발현되는 통합적인 능력으로서 통찰의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논의한다. 통찰은 창의적 연합이 일어나는 순간으로서 연구되어 왔으며 창의 과정에서 핵심적 활동으로 이해되어 왔다. 대표적인 통찰의 연구 주제인 쾰러의 침팬지 문제와 던커의 촛불 문제를 분석하여 심상적 사고가 통찰 문제와 창의적 문제 해결에 어떻게 개입하고 작용하는지 해석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통찰이 심상의 전체적 사고 특성으로 자유롭고 비약을 일으키며 이질적인 것들을 연합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하며, 결론적으로 심상적 사고가 분석적 사고와 통찰적 사고의 이분법을 매개하는 창의적 사고 과정의 핵심 개념임을 주장한다. Imagery thinking is defined as the thinking process that image intervened, which is essential to the proces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s integrative and leaping thinking over compared to logical and linguistic thinking. This study proposes the concept of integrated creativity as imagery thinking which intermediated the conflict beyond a logic and illogic dichotomous views in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This study defines that the nature of imagery thinking is sensory motor nature based on philosophical, psychological and neuroscience studies, and tries to characterize and classify imagery thinking. Imagery thinking is characterized as holistic, dynamic, analogical nature on sensory motor schema. Therefore human being’s the creativity of imagery thinking has fundamental characters can make a free leap and join up with disparate things. Through this theoretical consideration, this study focuses insight problem which representative capacity imagery thinking comes out through reviewing of previous experimental studies. This study analyzed how imagery thinking works in insight problem solving process through analyzing Kohler’s and Dunker’s on representative insight problem. The insight has been studied as a creative moment occurring these associations, which is based on imagery’s ability freely linked with different things. Conclusively, those findings will serve integrated comprehension by the medium of sensory motor imagery thinking which escapes from dichotomous of analysis and insight in the creative queries.

      • KCI등재

        심상 재각본(imagery rescripting) 기법의 치료적 적용 및 연구 동향

        이정민 한국상담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2 No.3

        This study reviews the therapeutic mechanisms, applications and studies of imagery rescripting (IR) therapy. IR is a treatment that can be used effectively to deal with traumatic and intrusive images. IR treatment promotes the modification of the imagery while exposed to the traumatic imagery, which can control emotions and change maladaptive beliefs. This has been found to be possible through the mechanisms of emo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through the use of images, evaluation of unconditioned stimulus (trauma experience), and modification of cognitive schema. IR has been mainly applied to the treatment of PTSD, but has been applied to deal with intrusive images in various disorders. Using images can be creatively applied and can reduce the pain of interventions through rescripting phases. Therefore, developing and applying IR according to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may be a useful tool for dealing with traumatic imagery. And this article also suggests future researches on IR intervention. 본 연구는 외상으로 인한 침투적 심상의 처리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심상 재각본(imagery rescripting; IR) 기법의 치료적 메커니즘과 적용 및 연구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심상 재각본은 외상적인 심상에 노출한 상태에서 심상의 내용을 수정하는 과정을 통해 정서적인 조절과 부적응적인 신념을 변화시킬 수 있게 한다. 이는 심상의 활용을 통한 정서적 정보 처리, 교정적 심상의 구성을 통한 무조건 자극(외상 경험) 평가 및 인지 도식의 수정이라는 기제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IR은 PTSD의 치료에 주로 적용해 왔으나, 사회불안, 악몽, 우울장애, 성격장애 등 여러 장애에서 침투적 심상을 처리하기 위해 적용해 왔으며, 그 효과를 밝히는 연구가 다수 이루어져 왔다. IR은 심상을 활용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적용이 가능하고, 재각본 단계를 통해 개입의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R을 장애 특성에 따라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은, 심리치료에서 핵심적인 외상 심상을 다루는데 있어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또한, 향후 IR 연구에 있어 IR을 활용한 치료적 개입의 근거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치료 효과 및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회불안이 높은 대학생들의 불안과 사후반추사고에 자기심상 조작이 미치는 영향

        전운,박기환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3 인지행동치료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이 높은 대학생들에게서 자기심상이 사후반추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과 사회불안이 낮은 집단에 속하는 64명의 대학생을 선발하여 부정적 심상조작과 긍정적 심상조작 중 한 가지 조건에 무선 할당하였으며, 심상을 떠올리고 유지하도록 유발한 후 발표 수행을 시켰다. 실험 과정에서 상태불안(STAI-S), 사후반추사고(PERS)를 측정했고, 발표 일주일 후에도 동일한 측정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사회불안이 높을수록 더 높은 불안 및 더 부정적인 사후반추사고를 보였으며, 이는 발표 일주일 후에도 유지되었다.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과 사회불안이 낮은 집단 모두 발표 직후에는 긍정적 심상조건보다 부정적 심상조건에서 더 높은 상태불안이 나타났으나, 발표 일주일 후에는 그러한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에서 상태불안 및 사후반추에 미치는 부정적 심상조작의 효과는 발표 일주일 후까지 유지되진 않았다. 사회불안이 낮은 집단에서 부정적 심상조작을 받은 경우에서도 유사하게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으나, 발표 일주일 후 부정반추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결과의 의의 및 사회불안의 인지행동치료에 주는 시사점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lf image that affects post-event rumination in social anxious college students. High and low socially anxious college students(N=64) were randomly assigned to hold either a negative or positive self-image prior to giving a speech. Participants completed State-Anxiety Inventory(STAI-S) and Post-Event Rumination Scale(PERS) immediately after speech followed by imagery manipulation. And this whole questionnaire were repeated after a week. The result showed that as the participants had higher level of social anxiety, they had higher level of anxiety, and negative post- rumination. And this result lasted a week. Both groups of high and low level of social anxiety with negative image before speec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STAI-S than those who had positive image, but this result didn't last a week. The effect of negative self image that affects STAI-S and PERS in the group of high level of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for both when tested right after speech and a week later. And the effect of negative images in the group of low level of social anxiety was not significant too, but negative post rumination increased after a week of the spee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