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식민주의 역사학 연구 시론

        윤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5

        1961년에 발표된 이기백의 『국사신론』 「서론」은 한국사학계 최초의 본격적인 ‘탈식민주의선언’이었다. 이후 식민사학 극복 논의의 전형적인 방식은, 역사 왜곡의 지표를 설정함으로써 식민사학의 내용을 규정하고, 다시 이를 거울과 같은 방식으로 역으로 투사함으로써 민족주의 역사학을 구성하는 것이었다. 이런 방식의 식민사학 연구를 쇄신ㆍ탈피하기 위해서는 식민주의 역사학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식민사학 극복’을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할 필요가 절실하다. 식민주의 역사학이라는 개념은 식민주의 이데올로기를 기반으로 근대역사학적 인식론과 방법론을 수용한 역사학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주의 역사학은 ‘이중의 굴절’을 통해 형성되었다. 서구의 근대역사학이 일본을 거쳐 한국으로 이입되는 과정은 두 번의 굴절을 거치는 과정이었다. 게다가 이 과정에서 식민주의 역사학은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와 결합하면서, ‘일선동조론’과 ‘만선사관’이라는 두 가지 유형의 논리를 만들어내었다. 한일합병 전후 시기 식민주의 역사학은 제도화의 길을 걷게 되었는데, 여기에 토대를 제공한 것은 제국대학의 3사과 제도 정착이었다. 이후 식민주의 역사학은 일본과 조선 내에서 여러 계열로 나뉘어 체계화되고 확산되는 과정을 밟게 되었다. 일본 내에서는 제국대학 내의 국사, 동양사 연구를 중심으로, 고고학과 사회경제사 연구자들이 가담하여 활기를 띠게 되었다. 반면 조선 내에서는 관방사학과 민간사학으로 나뉘어 식민주의 역사학 연구가 정착ㆍ확산되는 과정을 밟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것은 조선사편수회 계열과 경성제대 계열의 연구자들이었다. 이들은 함께 청구학회를 결성하여 활동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식민주의 역사학 연구의 중심이 되었다. 조선 내의 재야 민간사학도 언론ㆍ출판활동에 종사하던 재조선 일본인들에 의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었으며, 이들은 상당한 대중적 관심을 받고 있었다. 식민주의 역사학의 이데올로기는 식민주의와 근대주의가 결합함으로써 정체성론이라는 전형적인 이론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런 근대주의 이데올로기는 식민지의 근대주의적 개발 이데올로기로 활용될 수 있었다. 다른 한편 식민주의가 국민주의적 통합 이데올로기와 결합하여 타율성과 관련한 다양한 논리적 근거를 생산해내게 되었으나, 조선사의 역사적 소속에서조차 일치된 견해를 끌어내는 데에는 어려움을 겪을 정도였다. 조선사는 일본사의 지방사인가 아니면 중국사의 부속사로서 동양사로 보아야 할 것인가? 식민주의와 결합하여 일찍부터 강력한 이데올로기로 부상했던 제국주의적 이론체계 즉 일선동조론이나 만선사관은 제국주의의 붕괴와 동시에 종말을 고했다. 이제 국민주의와 근대주의가 서서히 종말을 고하는 것처럼 보이는 시대가 되었다. 국민주의와 근대주의가 쇠퇴해가는 시대의 식민주의는 어떻게 될 것인가? 이제 식민주의가 근대역사학과 이별해야 할 시점이 아닐까? The preface to A New Theory of Our Nation written by Ki-baik Lee in 1961 was the first distinct ‘declaration of postcolonialism’ by a Korean historian. Since then, discourses about overcoming Korean colonial history(식민사학) have typically been focused on establishing a set of indicators of historical distortion, defining what constitutes colonial history, and reversing that definition to construct a nationalist history. The concept of th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식민주의 역사학) may be useful in reforming this predominant approach and offering a new perspective on the colonial history of Korea. Th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concerns colonialism as an ideology while also based on the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developments of modern historiography. Th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during the Japanese imperial rule was characterized by a double refraction, due to Western modern historiography first being introduced to Japan before being brought into Korea. Furthermore, in this process, two lines of thought based on the ideology of imperialism were formed: the Japan-Joseon Common Ancestry Theory and the History of Manchuria and Joseon as One. Around the time of the annexation of Korea, th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became increasingly institutionalized, largely based on Imperial University’s division of its history department into three sections: National (Japanese) History, Occidental History and Oriental History. Subsequently, th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within Japan and Korea followed the path of systemization and expansion, with ‘history’ being divided into several categories. In Japan, there was a significant boost in historical research, mostly on national history and oriental history, led by Imperial University, with added participation by archaeologists and social and economic historians. Meanwhile, in Korea, th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was becoming expanded and stabilized at the same time, with a divide between civil history and official history. This development was led by academics affiliated with the Joseo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s well as those affiliated with Keijō Imperial University, who together formed and operated the ‘Cheonggu Academic Association.’ Research on the civil and unofficial history of Korea was also being actively pursued by Japanese academics in Korea who were involved in the press and publications, and their activities were viewed with much interest by the masses. In the historiography of colonialism, colonialism was merged with modernism, giving rise to the theory of stagnation, which became the key idea behind the modern development of the colonized Joseon. On the other hand, colonialism was also combined with the nationalist ideology of unity, providing various logical grounds for heteronomy. However, differences remained as to where Joseon belonged among the many categories of history. Was Joseon history a regional history of Japan or an oriental history attached to China? The imperialist theories that quickly emerged in conjunction with colonialism such as the Japan-Joseon Common Ancestry Theory and the History of Manchuria and Joseon as One signalled the demise and, ultimately, end of imperialism. Now that we've reached an era when nationalism and modernism are seemingly declining, what will happen to colonialism? Isn't it about time that colonialism parted ways with modern historiography?

      • KCI등재

        탈식민주의 생태비평과 라틴아메리카 문학

        신정환(SHIN, Jeong-hwa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2 외국문학연구 Vol.- No.47

        제국주의는 단순히 피식민지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지배에 그치지 않고 문화, 사회, 그리고 환경에 이르는 피식민지 세계의 전반적인 기형화를 야기한다. 이 글은 제국주의가 동반하는 생태계 파괴에 주목하여 탈식민주의와 생태비평의 관계를 천착해 보고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이 라틴아메리카 문학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생태비평은 문학과 물리적 환경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문학 작품을 분석한다. 그런데 서구 중심으로 전개된 근대사에서 정작 가장 많은 침묵을 강요당하고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존재는 바로 자연이며 자연에 대한 통제와 착취는 세계화 시대에 들어와 더욱 가열되고 있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이 탄생하게 된다. 라틴아메리카는 근대가 개막한 이래 제국주의의 폭력을 감내해 왔던 대표적인 지역으로 그 자체가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의 살아있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사회 및 자연 생태계 파괴를 야기한 생태학적 제국주의를 인식하는 작품들이 등장한 것은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이다. 특히 파블로 네루다와 니콜라스 기옌은 식민주의와 환경 파괴가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을 시적으로 형상화하면서 생태문학을 구현한 대표적인 시인이라 할 수 있다. 두 시인은 우선 라틴아메리카의 모든 비극이 유럽의 신대륙 ‘발견’에서 비롯되었다고 인식한다. 이후 아메리카의 자연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과 함께 제국주의 침략자에 맞서 투쟁하지만 끝내 패배하고 기나긴 침묵을 강요당한다. 제2세대 탈식민주의라 할 수 있는 하위주체 연구는 침묵을 강요당한 주변부의 기억을 찾아내고 그 목소리를 대변한다. 그런데 기옌과 네루다는 그 하위주체에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의 사람뿐 아니라 자연을 포함시키고 이들의 잊힌 기억을 살려냄으로써 자연스럽게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의 양상을 보여준다. 이들의 작품에서 주인공이 되는 자연은 인간의 투쟁이 무언의 형태로 새겨진 역사적 기록으로서, 단지 묘사되는 것으로 만족치 않고 이해되기를 바란다. 시인은 이들의 대변인을 자임하면서 무관심과 억압에 의해 묻혀버린 인간과 대지의 역사를 환기해 주는 것이다. The imperialism means not only political, economical and military domination on its colonial territory but also the all-round deformation of the social, cultural and natural environment of colonial world and its people. In regard to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accompanied by imperialism,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give a general survey of the relation between postcolonialism and ecocriticism and to analyze how postcolonial ecocriticism is embodied in Latin American literature. Latin America is, we might say, an emblematic region that has suffered european imperialism, a living text in itself of postcolonial ecocriticism. It was in the middle of twentieth century that Latin American literary works appeared which recognized ecological imperialism. Pablo Neruda and Nicola?s Guille?n are representative poets of ecocritical literature, among others, with the poetic figuration of the system where colonialism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are intermingled. These two poets share the recognition that all the tragedies of Latin America began with its "discovery" by Columbus. Since then, Latin American nature fought with the natives against white invaders but found herself defeated and forced into silence. The Subaltern Theory as postcolonialism of second generation looks for the subaltern memories and speaks for them. Neruda and Guille?n include the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nature among the subaltern beings and try to restore their forgotten memories. The Nature as historical documents carving the human struggle in a tacit form wants not only to be described but also to be understood. These two poets wake us the buried history of men and nature by indifference and suppression and set themselves up as their spokesman. 제국주의는 단순히 피식민지의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 지배에 그치지 않고 문화, 사회, 그리고 환경에 이르는 피식민지 세계의 전반적인 기형화를 야기한다. 이 글은 제국주의가 동반하는 생태계 파괴에 주목하여 탈식민주의와 생태비평의 관계를 천착해 보고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이 라틴아메리카 문학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생태비평은 문학과 물리적 환경 사이의 관계를 다루는 문학 작품을 분석한다. 그런데 서구 중심으로 전개된 근대사에서 정작 가장 많은 침묵을 강요당하고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존재는 바로 자연이며 자연에 대한 통제와 착취는 세계화 시대에 들어와 더욱 가열되고 있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이 탄생하게 된다. 라틴아메리카는 근대가 개막한 이래 제국주의의 폭력을 감내해 왔던 대표적인 지역으로 그 자체가 탈식민주의적 생태비평의 살아있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라틴아메리카의 사회 및 자연 생태계 파괴를 야기한 생태학적 제국주의를 인식하는 작품들이 등장한 것은 20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이다. 특히 파블로 네루다와 니콜라스 기옌은 식민주의와 환경 파괴가 연관되어 있는 시스템을 시적으로 형상화하면서 생태문학을 구현한 대표적인 시인이라 할 수 있다. 두 시인은 우선 라틴아메리카의 모든 비극이 유럽의 신대륙 ‘발견’에서 비롯되었다고 인식한다. 이후 아메리카의 자연은 그곳에 사는 사람들과 함께 제국주의 침략자에 맞서 투쟁하지만 끝내 패배하고 기나긴 침묵을 강요당한다. 제2세대 탈식민주의라 할 수 있는 하위주체 연구는 침묵을 강요당한 주변부의 기억을 찾아내고 그 목소리를 대변한다. 그런데 기옌과 네루다는 그 하위주체에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의 사람뿐 아니라 자연을 포함시키고 이들의 잊힌 기억을 살려냄으로써 자연스럽게 탈식민주의적 생태문학의 양상을 보여준다. 이들의 작품에서 주인공이 되는 자연은 인간의 투쟁이 무언의 형태로 새겨진 역사적 기록으로서, 단지 묘사되는 것으로 만족치 않고 이해되기를 바란다. 시인은 이들의 대변인을 자임하면서 무관심과 억압에 의해 묻혀버린 인간과 대지의 역사를 환기해 주는 것이다. The imperialism means not only political, economical and military domination on its colonial territory but also the all-round deformation of the social, cultural and natural environment of colonial world and its people. In regard to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accompanied by imperialism,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give a general survey of the relation between postcolonialism and ecocriticism and to analyze how postcolonial ecocriticism is embodied in Latin American literature. Latin America is, we might say, an emblematic region that has suffered european imperialism, a living text in itself of postcolonial ecocriticism. It was in the middle of twentieth century that Latin American literary works appeared which recognized ecological imperialism. Pablo Neruda and Nicola?s Guille?n are representative poets of ecocritical literature, among others, with the poetic figuration of the system where colonialism and environmental deterioration are intermingled. These two poets share the recognition that all the tragedies of Latin America began with its "discovery" by Columbus. Since then, Latin American nature fought with the natives against white invaders but found herself defeated and forced into silence. The Subaltern Theory as postcolonialism of second generation looks for the subaltern memories and speaks for them. Neruda and Guille?n include the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nature among the subaltern beings and try to restore their forgotten memories. The Nature as historical documents carving the human struggle in a tacit form wants not only to be described but also to be understood. These two poets wake us the buried history of men and nature by indifference and suppression and set themselves up as their spokesman.

      • KCI등재

        고대사파동과 식민주의, 한국고대사학의 성과와 과제

        이정빈 한국역사교육학회 2020 역사교육연구 Vol.- No.37

        This article aims at considering the achievements and tasks of Korea ancient history for decolonizing drawing a lesson from the so called crisis in the study of Korea ancient history. In two crises in the study of Korea ancient history, chauvinistic pseudo history claimed to support liquidation of colonialist histo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recognition of Korean history in chauvinistic pseudo history originated from the urge to forget the memory of colony and create history, as it did in many independent countries that escaped from the colonies in the late 20th century. chauvinistic pseudo history set the colonialist history as an axis of confrontation, and claimed to be anti colonialism and nationalist history. It also argued that the study of Korean history, which did not match this, was to be forgotten by criticizing it as the result of colonialist history. This was the very attempt to justify the creation of a chauvinistic perception of Korean history. However, the chauvinistic pseudo history was an imitation and appropriation of Pan Asianism of Japanese imperialism, and was a way of thinking and product of imperialism and colonialism. It was a colonialism hidden in anti colonialism. In comparison, the history academia criticized colonialist history in terms of recognition and logic rather than content. The academia particularly focused on the theory of heteronomy, and criticized the geographical determinism that was the premise of the theory. Furthermore, the academia criticized the theory of nationality and racism of colonialist history, taking the nationalism(國粹主義) and imperialism into account which possessed colonialist history.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maintain a critical stance with consciousness of crisis in the crisis in the study of Korea ancient history caused by the nationalist pseudo history of the mid 1970s to 1980s. However, it did not move from anti colonialism to post colonialism because it aimed at pursuing study of the development of national history until the 1990s. Post colonialism has been pursued since the 1990s from the perspective of post modernism. The same is true in the study of Korea ancient histor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various perspectives of the ancient states and societies, races and genders, regions and cultures, human beings and natural and ecological environments more broadly. For the complete escape from colonialism, it is necessary to look from the bottom, not from the top, and to pay attention to the periphery, not only to the center. This article believes that complete escape can be possible after fully dissecting and overthrowing colonialism and that new and diverse historical research is also possible. It may also be a way to prevent the rerun of another crisis in the study of Korea ancient history. 본고에서는 이른바 고대사파동을 거울로 삼아 탈식민을 위한 한국고대사학의 성과와 과제를 생각해 보고자 했다. 두 차례의 고대사파동에서 국수주의적 유사 역사학은 일제시기 식민주의 역사학에 대한 청산을 표방했다. 국수주의적 유사 역사학의 한국사 인식은 20세기 후반 많은 수의 식민지 독립국가에서 그러하였던 것처럼 식민지 기억을 망각하고 역사를 창출하려는 충동에서 비롯되었다. 그들은 식민주의 역사학을 대립 축으로 설정하고, 反식민주의·민족주의 역사학을 표방했다. 그리고 이에 그와 부합하지 않는 한국사 연구를 식민주의 역사학의 소산으로 비난하며 망각하자고 했다. 이로써 국수주의적 한국사 인식의 창출을 정당화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국수주의적 유사 역사학이야말로 일제의 대아시아주의를 모방·전유한 것으로, 제국주의·식민주의의 사유방식이자 그 산물이었다. 반식민주의에 감추어진 식민주의였다. 이와 비교해 역사학계는 식민주의 역사학의 내용보다 인식과 논리의 측면에서 비판하였다. 특히 타율성론에 주목했는데, 그 전제가 된 지리적 결정론을 비판하였다. 나아가 식민주의 역사학을 배태한 국수주의·제국주의를 염두에 두고, 그의 민족성론·인종주의를 비판하였다. 그러므로 1970년대 중반~1980년대의 국수주의적 유사 역사학이 일으킨 고대사파동에서도 위기의식을 갖고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할 수 있었다. 다만 1990년대까지 민족사의 발전을 구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기에 반식민주의에서 탈식민주의로 나아가지 못한 면이 있었다. 1990년대 이후 탈근대주의의 관점에서 탈식민주의가 추구되고 있다. 한국고대사 연구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고대의 국가와 사회, 종족과 성별, 지역과 문화, 인간과 자연·생태환경을 바라보는 여러 시각을 보다 폭넓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 식민주의를 충분히 해부하고 전복해야 그로부터 온전히 벗어날 수 있으며, 그래야 새롭고 다양한 역사상의 모색도 가능하다고 믿는다. 또 다른 고대사파동의 재연을 방지하는 길이기도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식민주의의 근대적 성격

        윤해동(Yun Hae-dong)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아시아문화연구 Vol.22 No.-

        이 글은 전근대 중국 중심의 중화질서로부터 근대 이후 일본 중심의 제국주의 질서로의 이행하는 과정을 대상으로, 동아시아 식민주의의 성격을 살펴본 것이다. 여기서 식민주의는 근대성과 별도의 것 혹은 외부로부터 주어진것이 아니라, 근대를 유지하는 가장 강력한 외부로서 근대가 만들어낸 개념이라고 간주한다. 다시 말하면 식민주의는 근대성의 숨겨진 뒷면을 가리키는 것이다. 동아시아 식민주의는, 중화질서를 규율하던 ‘禮의 질서’로부터 일본의 제국주의의 본질을 이루는 ‘피의 질서’로 이행하였다. 예를 바탕으로 한 조공-책봉질서는 일본을 중심으로 한 제국주의적 국제질서로 이행하였는데, 여기에는 전쟁과 식민지 지배가 동반되었다. 일본 제국주의의 식민주의 이데올로기는 선명한 사명 이데올로기를 갖지 못한 대신에, 동종동문의 슬로건을 내세워 역사적 기원을 소급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일본의 제국주의 지배가 진행됨에 따라, 외부적으로는 동양주의 이데올로기로 그리고 내부적으로는 동일화 이데올로기로 그 모습이 정착 되었다. 또 내부적으로 작동하던 동일화 이데올로기는 ‘민도’를 척도로 삼은 근대화 이데올로기에 의해 조절되고 있었다. 서구 제국주의의 문명화 이데올로기가 일본 제국주의의 특수 이데올로기인 동일화 이데올로기와 혼합된 것이 바로 일본 식민주의의 본질을 이루고 있었다. 그러나 총력전체제가 구축되면서 동일화 이데올로기는 더욱 강화되었고, 동양주의 이데올로기가 인종 전쟁이라는 표상으로 폭발하면서 아시아 침략전쟁은 정당화되었다. 식민주의는 자연스럽게 전후 점령과 냉전에 의해 유지되었다. 제국에서는 총동원체제가 전후 복지국가 모델로 전환하는 토대가 되었다. 이것은 총력전 체제의 제국적 변용을 의미하는 것으로, 근원적인 식민주의 청산이 불가능했다는 점을 상징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 of East Asian colonialism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the Sinocentric order in the premodern period to the Japan-centered imperial order in the modern period. Here, it is emphasized that colonialism is neither a separate entity from modernity nor something from without but a concept made by the modern as its strongest exterior. In other words, colonialism points to the hidden back-side of modernity. The colonialism of East Asia was a transition from the “order of rites” that regulated the Sinocentric order to the “order of blood” that became the essence of Japanese imperialism. As the tributary order based on rites transitioned into the imperial international order centered on Japan, war and colonial domination accompanied. Instead of having a clear ideology of intent, the colonial ideology of Japanese imperialism took on the method of retracing historical origins with the slogan “same race and same culture.” As Japan’s imperial domination developed, this characteristic became the ideology of Asianism on the exterior and the ideology of assimilation in the interior. However, in the formation of the total war system, the assimilation ideology became greatly emphasized, and as the ideology of Asianism erupted into the symbol of race war, the war of aggression in Asia became justified.

      • KCI등재후보

        탈식민주의적 글쓰기- 토니 모리슨의『 타르 베이비』를 중심으로

        조은비(Jo, Eunbi) 한국문화융합학회 2015 문화와 융합 Vol.37 No.1

        본 논문에서는 탈식민주의에 대해서 논하고, 토니 모리슨(Toni Morrison)의 소설 『타르 베이비』(Tar Baby)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관점을 분석하고 탈식민주의 글쓰기에 대해서 논하고자 한다. 탈식민주의는 1980년대부터 논의되어왔으나 아직 “Postcolonialism”이라는 단어에 대한 개념정리도 확실히 정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탈식민은 서구담론에 의해 생긴 이데올로기와 권력에 의해 연구되고 있으므로 비서구 국가에서도 탈식민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상황이다. 사회적인 현상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문학작품을 탈식민주의적 시각으로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도 중요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영문학 작품을 통해 이를 논의하고자 한다. 토니 모리슨은 『타르 베이비』는 과거에 영국의 식민지였음에도 불구하고 독립 후 아프리카인들을 식민노예로 삼은 미국의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모리슨은 식민 현장인 카리브를 작품의 배경으로 삼았고, 서구제국주의의 식민 자본주의적 폭력을 고발하고 흑인신화를 인간을 통해 복원하려 하고 있다. 주인공 son과 Jadine, 섬을 식민화시킨 Valerian의 행동을 통해 서구 사회의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미국 자본주의를 앞세운 신식민주의의 폭력을 노예의 억압받고 훼손된 삶을 살펴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리슨의 작품을 탈식민주의적 관점으로 분석하고, 그녀가 저항적 글쓰기를 통해 미국의 흑인이 겪는 현실적인 상황과 작중 인물들이 식민주의를 거부하는 과정을 어떻게 표현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aimed at discussing Postcolonialism, analyzing the postcolonial perspective shown in Toni Morrison s novel 『Tar Baby』, and discussing postcolonial writing. Postcolonialism has been discussed since the 1980s, but actually, even the concept arrangement of the word Postcolonialism has not been established as yet. Postcolonialism is being discussed through the ideology and power which arose from the Western discourse, so it s more required that even the non-Western countries should do research on Postcolonialism. Not to mention a social phenomenon, it s also important to do analysis of and research on literary works, with which people easily come in contact through postcolonial perspective; thus, this paper is intending to discuss it through English literature works. Toni Morrison s 『Tar Baby』 is the novel which plainly shows the situation in America which made Africans slaves after their independence although America was also British colony in the past. In this novel, Morrison used the colonial site-the Caribbean as the background of the work, denounced the colonial capitalism violence of the western imperialism and tried to restore the colored people s myth through humans. It s possible to look into the Western society s imperialism and colonialism, and neocolonial violence under the pretext of American capitalism, as well as slaves suppressed, damaged life through the main characters-Son and Jadine, and the act of Valerian who colonized the island. This paper is intending to analyze Morrison s novel from the postcolonial perspective, and to look into how the author expresses realistic circumstances suffered by colored people in America, and the process, in which the characters in the story reject colonialism through her resistant writing.

      • KCI등재

        탈식민주의 이론으로 바라보는 기독교 성찬 : 혼종성(Hybridity)과 제 3의 공간(The Third Space)으로 구현하는 프롤렙시스(Prolepsis)

        안덕원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6 복음과 실천신학 Vol.38 No.-

        탈식민주의 이론은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관점에서 문화적인 관계를 연구하고 분석하며 식민지에서 일어나는 정치, 문화, 경제적인 착취와 억압에 대하여 다룬다. 이러한 관점과 방법론은 초대교회의 예전과 삶을 형성한 사회정치적 상황과 환경을 살펴보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탈식민주의 이론을 통해 기독교성찬을 바라보면 성만찬의 개혁적 속성은 물론이고 배려와 포용과 같은 주제들도 효과적으로 발견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성찬의 의미와 참여자들의 자격에 치중되어있는 기존의 성찬연구의 역사와 공헌을 다룬다. 덧붙여 성찬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희생과 죽음에 대한 기념이라는 주제가 지나치게 강조되어 천국에서의 잔치를 미리 맛보고 기대하는 종말론적 속성, 즉 프롤렙시스적 성찬이해가 경시되었음도 지적한다. 필자는 탈식민주의 이론으로 기존의 성찬이해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자 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탈식민주의 이론의 중요한 개념들 중에서 ‘혼종성’과 ‘제 3의 공간’에 대한 소개와 분석을 통해 성찬이 담지하고 있는 종말론적 속성을 논한다. 성찬은 저항과 포용의 공간이다.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참여자들은 성찬이라는 제 3의 공간에서 그들의 사회적 계층을 뛰어넘어 평등한 관계를 갖는다. 이러한 측면에서 성찬은 성숙한 혼종을 통한 화해의 시간이자 공간이 되는 것이다. 세 번째 장은 성찬이 가지고 있는 종말론적 속성을 담고 있다. 성찬은 천국의 잔치를 미리 경험하는 것임과 동시에 바울이 강조 하는 대로 ‘그가 오시기까지“ 계속 실천해야하는 예전이다. 바울은 성찬을 통해 참여자들이 가져야 할 윤리적 의무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살아가는 세상에 대한 기대를 갖게 된다고 강조한다. 이런 측면에서 탈식민주의적 연구를 통해 기독교의 세례와 성찬이 갖는 불가분의 관계가 더 명료해진다. 세례는 성령의 역사를 통해 이항대립이 사라진 제 3의 공간에서의 새로운 세상을 꿈꾸게 해준다. 성찬은 세례를 통해 제 3의 공간으로 들어온 모든 참여자들이 그리스도안에서 천국잔치를 맛보는 새로운 삶의 구체적 실현이다. 네 번째 장은 탈식민주의적 분석이 갖고 있는 의의와 공헌, 그리고 필자의 제언을 담았다. 탈식민주의라는 새로운 안목을 통해 성찬이 성숙한 조화, 정의를 향한 소망, 천국잔치에 대한 기대를 담은 의미 있는 예전임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성찬은 환대와 혼종성, 그리고 천국잔치에의 소망이 선포되고 실현되는 제 3의 공간이다. Postcolonialism understands and analyzes cultural inter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colonialism and imperialism. It deals with the political, cultural and economic exploitation of the colonized. This particular methodology could be applied to examine the socio-political environment that gave shape to the liturgy and life of early Christians. If one carefully studies Holy Communion through a Postcolonial interpretation, one can effectively find inclusiveness and hospitality as well as revolutionary characteristics of Holy Communion. The first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history and contributions of existing academic works which mainly focus on the theological meaning of the eucharist and the exclusiveness of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memorial motive of Holy Communion has been strongly emphasized, so that Prolepsis, the eschatological anticipation and foretaste of the heavenly banquet, is not fully employed in the practice of the sacrament. The writer challenges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eucharist by introducing postcolonial approaches. The second chapter articulates the eschatological nature of the eucharist through an analysis of 'hybridity' and 'the third space,' the core concepts of Postcolonial studies. The eucharist is a place of resistance and inclusiveness. In Christ, the participants become equal regardless of their social status in this 'third space.' In this respect, the eucharist is the moment and place of reconciliation with mutual hybridity. The third part contains the ethical and eschatological characteristics of Holy Communion. Holy Communion is a sacrament for tasting the heavenly banquet in advance, and Paul emphasizes that participants should practice this ritual 'until He comes.' He stresses both the ethical responsibility of the participants and their hope and expectation for the world of a new paradigm through Holy Communion. In this respect,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Initiation and Holy Communion becomes clearer through postcolonial studies. Christian Baptism opens a new door for hybridity and the third space. It is also the starting point for a new world of peace and justice by the work of the Holy Spirit and Holy Communion is the reality of this new life where participants encounter and experience the heavenly banquet in Christ. The fourth part notes the significance and contribution of the understanding from Postcolonialism. Through the lenses of postcolonial analysis, Holy Communion is interpreted as a significant sacrament which advocates mutual harmony, hope for justice, and expectation of the banquet in heaven. This new methodology can be a positive challenging resource for Korean Christianity in terms of theology and the practice of Holy Communion. In conclusion, Holy Communion is the third space where hybridity, hospitality, and prolepsis are proclaimed and accomplished from the perspective of Postcolonialism.

      • KCI등재

        1970년대 오키나와를 통해 본 한국의 포스트 식민주의 - 김정한의 「오키나와에서 온 편지」(1977)를 중심으로 -

        이명원(Lee Myoung-Won)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21 한국문학과 예술 Vol.39 No.-

        이 논문은 김정한의 단편소설 「오키나와에서 온 편지」를 중심으로 1970년대 한국의 포스트 식민주의를 논의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쓰여졌다. 1970년대 중반의 상황에서 오키나와는 일제하의 식민주의와 동시대의 포스트 식민주의를 비추어 볼 수 있는 거울 역할을 했다. 「오키나와에서 온 편지」를 통해서 김정한이 묘사한 한국적 현실의 모순은 무엇이었으며, 한국인과 오키나와인의 만남이 함축하고 있는 쟁점들은 어떤 것이었는가가 이 논문에서 검토된다. 이것을 필자는 식민주의의 역사적·표상적 장소로서의 오키나와에 대한 소설적 서술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통해 밝히고자 했다. 동시에 필자는 오키나와에서 직면하게 된 한국인들의 역사적 기억과 현실적 비극의 함축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했다. 그런 과정에서 가시화되는 한국의 고통스런 현실과 비가시화되는 오키나와의 전후사는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분석했다. 소설가 김정한은 오키나와에서 한국인과 오키나와인을 만나게 함으로써, 식민주의와 포스트 식민주의를 둘러싼 동아시아 민중·시민의 공통의 인식과 실천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텍스트의 분석을 통해서 필자는 동아시아 문학의 정치성과 정체성의 문제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이것의 연장선상에서 한국문학과 오키나와 문학을 비교문학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This paper was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discussing post-colonialism in Korea in the 1970s, focusing on Kim Jeong-han"s short story "Letter from Okinawa". In the mid-1970s, Okinawa served as a mirror of Japanese colonialism and contemporary post-colonialism. What was the contradiction of the Korean reality that Kim Jeong-han described in "Letter from Okinawa" and what issues the meeting between Koreans and Okinawaans implied are examined in this paper. I wanted to reveal this through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fictional description of Okinawa as a historical/representative place. At the same time, I wanted to analyze the historical memories of Koreans faced in Okinawa and the implications of real tragedy. In the process, we analyzed the reality of Korea that is visible and the history of Okinawa that is invisible. Kim Jung-han raised the need for common awareness and practice of East Asian people and citizens surrounding colonialism and post-colonialism by meeting Koreans and Okinawaians in Okinaw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 I confirmed that it was connected to the political and identity issues of East Asian literature, and as an extension of this, I raised the need for a comparative literary review of Korean and Okinawan literature.

      • KCI등재

        학문 담론의 포스트 식민주의적 권력과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의 메타 분석

        윤선희(Sunny Yoon) 한국방송학회 2003 한국방송학보 Vol.17 No.2

        본 연구는 문화연구가 짧은 기간 동안 이루어낸 학문적 성과를 자축하면서도 동시에 문화연구의 미래 발전을 위해 자성적 관점에서 운제점올 중심으로 시행한 메타 분석이다. 미디어 문화연구에 초점을 두었으며, 미디어 연구의 주요 학술지인 『한국언론학보』, 『한국방송확보』, 『언론과사회』에 1998년부터 2002년까지 5년간 출판된 전체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진리를 구가하는 학문적 담론도 사실상 사회 문화 내 만연한 권력의 내부에 속하는 것이며, 현재 한국의 미디어 문화연구가 당연한 권력의 핵심은 세계체제의 변방으로서 세계 학문의 거대한 헤게모니에 부속된 현실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때 작용하는 권력은 과거와 달리 지배자가 현시적으로 군림하면서 지배하는 것이 아니고, 피지배자의 자발적 참여에 의해 이루 어지고 있다. 이러한 미시적이고 내밀한 권력의 작용을 파헤치기 위해 포스트식민주의 이론을 활용하고자 한다.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가 자발적으로 포스트식민주의적 권력을 지지하고 재생산하는 것은 외국 이론의 자기 성찰 없는 학습, 한국적 컨텍스트를 고려하지 않는 외국 이론과 연구 방법의 모방적 재현을 두드러지게 보이고 있는 텍스트 분석의 만연, 실천을 외면한 정치성의 결여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여기서는 서구나 동양, 한국과 같은 이론이 발생한 지리적 배경에 따라 포스트식민주의적 권력이 존재하거나 부재 한다는 입장은 아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외국 이론을 활용했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 성찰적 과정으로 토착화시키지 않고 절대 지식처럼 남의 이론을 단순 소개하는 학문의 풍토나, 외국 이론의 전제나 과정, 발견물과 결론까지 전 과정을 그대로 모방하여 한국의 텍스트와 수용자를 자의적으로 맞추는 분석 양식에 대해 문제제기 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에 담지된 포스트식민주의적 권력이 미시적으로 침투하여 아메바적 자기 재생을 거듭하고 있다고 해도 미래가 암담한 것만은 아니다. 포스트사상의 전제에 의하면, 실상 현실의 문제점 내부에 이미 해결 방법이 도사리고 있는 현실의 양면성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 미디어 문화연구가 현실적 한계 내에 권력의 지지대로 작용하기도 하지만, 포스트식민주의 이론들이 전제하고 있듯이 학문 담론내의 치열한 투쟁을 통한 일상적 노력을 통해 권력은 새로운 방향으로 기틀 잡을 수도 있는 것이다. 한국 문화연구가 포스프식민주의적 권력의 맥을 서서히 끊고 독립적인 학문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한국적 사례에 대한 부단한 연구, 아론에 대한 자기 성찰적 개발 및 적용, 권력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는 구조에 대한 면밀한 연구가 성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의 미디어 문화연구들이 개별 연구로 보면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고, 한 연구가 모든 것을 완벽하게 완수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들 연구들이 축적적으로 모여 현실의 만연한 문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변화의 방향을 끊임없이 추구한다면 한국의 마디어 문화연구의 방향은 밝게 다가올 것이다. 현재 문제가 있다고 하여 존재 자체를 부정하고 한국적 문화이론의 도래를 기대하는 것은 해결점이 될 수 없다. 포스트식민주의적 권력에 저항하기 위해 학문 담론 자체에 참여하기룰 거부하고 기존 학문적 연마를 포기하면서 내생적 이론의 탄생을 기다리기 보다는, 다양한 한국의 사례 연구를 통해 권력의 실체를 축적적으로 드러낸다면, 한국 문화연구의 성숙과 독립도 차츰 다가올 것이다. Korean cultural studies have been developed by drawing strong attention and serious criticism altogether for over a decade. This research attempts to review Korean cultural studies and assess their present and the future. This study views that theories of post-colonialism can provide a useful framework to disclose the complex power relations in academic discourse. Korean cultural studies have formed confused cultural identity in the process of adopting Western theories. I have reviewed the three, most well known Korean journals in the communication field: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KJC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KJB); and Media & Society(MS). For five years, from 1998 to 2002, First, the problem that Korean cultural studies are facing is that they do not look into Korean culture per se. It is not only textual analysis, but also audience studies that show the problem with Western ethnocentrism. Second, a more serious problem that Korean cultural studies pertain is that many researchers simply introduce foreign theories. What is lacking in these studies is self-reflection. Third, related to the problems above, the minor point of Korean cultural studies is that there is no politics, hence no practic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with Korean media cultural studies, first, we have to deal with Korean cases as many as possible despite the problem. Second, in order to overcome post-colonial dominance in academia, Korean cultural studies have to develop theories for their own. Rather than the geographical origin, a more important point is in the fact that whether a theory inspires self-reflection or to view human subjects and society critically. Third, experiencing such pervasive power in society including public, private and academic fields, Korean cultural studies should go back to the structure, and scrutinize the Korean context.

      • KCI등재

        빈곤의 군락과 탈식민주의의 접목

        탁장한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The poverty of Jjokbangchon villages remains extremely poor, despite the long-standing presence of numerous helping hands. This paper explores the theoretical basis for interpreting the Jjokbangchon, a representative space of poverty in modern Korean society, in connection with colonialism. The study attempts to articulate the problem of dense poverty with colonialism by introducing different concepts of internal colonialism, decolonization and decoloniality, ghetto welfare colonialism, Pauper colonialism, and Appalachian colonialism. Putting each concept together, colonialism can be expanded to a concept that occur within a country, proceed irrespective of race, not be solved only by territorial liberation, and appear through the good actions of helping groups. In particular, in that slums are spatially partitioned areas, colonialism has the usefulness to touch territorial (re)production that cannot be explained by class exploitation alone. If the colonized poor can be established as a new black concept, the problem of poverty can be approached as a subtle relationship between the poor and the outsiders surrounding the space, beyond just analyzing individual/social factors. It is hoped that the decolonialism tool can be used as a clear method that penetrates various events that occur in the community of poverty. 쪽방촌은 수많은 돕는 손길들이 오랜 기간 존재해 왔음에도 여전히 극단적으로 열악한 상태로 남아있다. 본 논문은 현대 한국 사회의 대표적인 빈곤의 군락인 쪽방촌을 식민주의와 연결시켜 해석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탐구했다. 연구는 내부식민주의, 탈식민화와 탈식민성, 게토 복지식민주의, 빈민식민주의, 애팔래치아 식민주의의 서로 다른 개념을 소개하며 밀집된 빈곤 문제를 식민주의와 접합하려고 시도한다. 각 개념을 종합하면 식민주의는 일국 내에서도 발생할 수 있고, 인종과 무관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영토적 해방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부분이 있고, 돕는 집단들의 선량한 행위를 통해서도 나타나는 개념으로 확장될 수 있다. 특히 빈민가가 공간적으로 구획된 지역이라는 점에서 식민주의는 계급 착취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한 영토적 (재)생산을 건드릴 수 있는 유용성을 지닌다. 군락화된 빈민을 새로운 흑인 개념으로 정립할 수 있다면 빈곤의 문제는 단지 개인적/사회적 요인을 분석하는 데에서 벗어나, 공간을 둘러싼 외부인과 빈민 사이의 미묘한 관계로 접근될 수 있을 것이다. 탈식민주의 설명방식이 빈곤의 공간에서 발생하는 누적된 불이익을 관통하는 선명한 지평으로서 빈곤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