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3세기 후반 신미제국의 서진 교섭과 장화(張華)

        이정빈 동북아역사재단 2022 東北亞歷史論叢 Vol.- No.77

        This article aims to consider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Mahan(馬韓) Shinmijeguk(新彌諸國) and Xi-Jin(西晉) in the late 3rd century. Thus, this article examines the international situation before and after negotiations, and examines the perception and negotiation attitude toward Shinmijeguk of Zhang Hua(張華), who was in charge of negotiations in Xi-Jin. According to the Annals(帝紀) of Book of Jin(『晉書』), negotiations with Shinmijeguk conducted in September 282. The direct negotiating window was Daebanggun(帶方郡), which was directed by Zhang Hua, area commander(都督) of Youzhou(幽州). He was appointed in January 282 and served until the early 280s. At the time of his appointment, Youzhou and the surrounding area were at war with Murong-Xianbei(慕容鮮卑). In March 282, he defeated the Murong-Xianbei forces and reaffirmed the military superiority of Xi-Jin. The negotiations with Shinmijeguk, which were concluded at this time, were symbol of overcoming crisis and stability of Xi-Jin. Therefore, it was evaluated as his representative achievement. Zhang Hua was from Youzhou and had a high academic reputation. His writings, known as Bowuzhi(『博物志』), and Weilue(『魏略』)·Sanguozhi(『三國志』)compiled during the Xi-Jin period, reflect his historical perception which recognizes Mahan as the successor to Gija(箕子). Thus, negotiations with Shinmijeguk made it possible to propagate as if restored Chinese civilization expanded through Gija. This is the reason why Xi-Jin court, including Zhang Hua,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negotiation. Growing up in Youzhou, Zhang Hua was familiar with surrounding situation and different people, and showed a tolerant attitude toward neighboring states and different people, as seen in his embracement of Murong-Xianbei that had been subdued. He is believed to have had the same attitude toward Baekje and Mahan. He pursued stability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rough negotiations and trade. Xianyu Si(鮮于嗣), who recommended Zhang Hua in Youzhou, also served as the Taesu(太守) of Nangnanggun(樂浪郡) and established friendly relations with Samhan(諸韓國) through negotiations and trade, and it is considered that this experience of him influenced Zhang Hua to some extent. Moreover, Xi-Jin in 282, right after overcoming the crisis, needed stability. This article interpreted that Shinmijeguk promoted negotiations in response to Zhang Hua’s tolerant attitude. The studies so far have generally regarded Baekje as alienated from the negotiations between the Shinmijeguk and Xi-Jin. They regarded that Shinmijeguk was trying to escape from Baekje’s control or to keep Baekje in check. However, Zhang Hua pursued stability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rough tolerant attitude toward neighboring states, which shows that he has no intention to exclude Baekje. The breakaway of Baekje was not what he was pursuing either. This article considers the negotiations between Shinmijeguk and Xi-Jin in 282 as one of the cases that achieved stability, albeit temporarily,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East Asia. 이 글의 목적은 3세기 후반 마한 신미제국과 서진의 교섭 배경과 의미를 생각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교섭을 전후한 국제정세를 살펴보고, 서진에서 교섭을 총괄하였던 장화(張華)의 신미제국 인식과 교섭 태도를 검토하였다. 『진서』 제기를 통해 보건대 신미제국의 교섭은 282년 9월의 사실이었다. 직접적인 교섭 창구는 대방군이었는데 이는 유주도독 장화가 총괄하였다. 그는 282년 1월 부임해 285년대 초까지 재직하였는데, 부임을 전후해 유주와 그 일대는 모용선비와 전쟁 중이었다. 282년 3월 장화는 모용선비 세력을 제압하였고 서진의 군사적 우위를 재확인하였다. 이러한 때 성사된 신미제국의 교섭은 서진의 위기 극복과 안정을 알리는 상징과 같았다. 그러므로 신미제국의 교섭은 장화의 대표적인 업적으로 평가받았다. 장화는 유주 출신으로 학문적 명망이 높았다. 그의 저술로 알려진 『박물지』나 서진대에 편찬된 『위략』·『삼국지』는 장화의 역사 인식을 반영하는데, 이를 보면 마한은 기자(箕子)를 계승한 나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신미제국의 교섭은 기자를 통해 확대된 중화문명을 회복한 것처럼 선전할 수 있었다. 장화는 물론 서진의 조정에서 신미제국의 교섭을 중시한 까닭이었다. 장화는 유주에서 성장한 만큼 주변 정세와 이종족에 익숙하였고, 무력으로 제압한 모용선비를 포용한 데서 드러나듯 주변국과 이종족에 포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백제와 마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교섭과 교역을 통한 국제정세의 안정을 추구하였다고 생각한다. 유주에서 장화를 천거하였던 선우사(鮮于嗣)도 일찍이 낙랑군 태수로 재직하며 교섭과 교역을 통해 제한국(諸韓國)과 우호관계를 수립하였는데, 이러한 선우사의 경험도 장화에게 일정한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더욱이 282년의 시점에서 서진은 위기를 극복한 직후였기에 안정이 절실하였다. 신미제국은 이러한 장화의 포용적인 태도에 호응하여 교섭을 추진하였던 것으로 이해한다. 이제까지 신미제국과 서진의 교섭에서 백제는 소외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신미제국이 백제의 통제에서 이탈하고자 하였다고 보거나, 백제를 견제하고자 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런데 장화가 주변국에 포용적인 태도를 취하며 국제정세의 안정을 추구하였다고 보면, 백제를 배척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 백제의 이탈 역시 바라지 않았을 것이다. 이 점에서 신미제국과 서진이 교섭한 데에는 백제의 양해가 있었고, 백제 또한 서진으로부터 반대급부를 얻었을 가능성이 고려된다. 282년 신미제국과 서진의 교섭은 비록 일시적이나마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안정이 구현되었던 사례의 하나로 이해된다.

      • KCI등재

        Creating P’yŏngyang’s Legitimacy: North Korea's Excav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Tomb of King Tongmyŏng

        이정빈,김인욱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24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9 No.2

        This paper traces the trajectory of North Korea’s historiography on ancient history, examining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surrounding the excavation (1974) and renovation (1993) of the Tomb of King Tongmyŏng. The 1974 excavation was a political project aimed at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ancient history centered on Koguryŏ, an ancient kingdom whose capital was in P’yŏngyang along the Daedong River. The 1972 constitution, which established P’yŏngyang as the capital and proclaimed the Juche ideology, was a driving force behind this project. Over time, the P’yŏngyang-centric viewpoint on ancient history grew stronger, culminating in the excavation and renovation projects in the early 1990s of the tombs of Tan’gun, Tongmyŏng, and Wang Kŏn. The assertion that the legitimacy of Korean history is rooted in P’yŏngyang was used to justify North Korea’s own legitimacy, a concept this paper refers to as the "Principle of P’yŏngyang Legitimacy." In this context, the projects involving the tombs of Tan’gun and Wang Kŏn should be understood as extensions of the renovation of the Tomb of King Tongmyŏng, which had been underway since the late 1980s. In other words, the series of excavations and renovations of the tombs of the founding kings in the early 1990s originated from the Tomb of King Tongmyŏng, which, in turn, inspired the emergence of the "Principle of P’yŏngyang Legitimacy." This legitimacy is constructed as a linear genealogy belonging to a single subject, which is endowed with a legitimate self-identity, while entities outside this narrative are systematically excluded. The evolution and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P’yŏngyang Legitimacy" serve as a caution against the politicization of history in South Korea’s historical research programs.

      • KCI등재

        6~7세기 고구려의 욕살과 군사 운용

        이정빈 고구려발해학회 2022 고구려발해연구 Vol.72 No.-

        고구려의 褥薩은 6~7세기의 관명으로 왕도 5부와 諸大城의 장관이었다. 본고에서는 각종 문헌과 묘지에보이는 욕살의 사례를 검토해 그의 군사적 성격을 확인하고 운용의 방식과 의미를 고찰하였다. 왕도 5부의 욕살은 5부병의 지휘관이었다. 5부병은 상비군으로, 전시의 경우 예비군을 동원해 야전군을 편성하였는데, 5부욕살은 그 지휘관으로 선임되기도 하였다. 645년 주필산 전투에서 一軍의 장군으로 출전한 고연수ㆍ고혜진이그의 한 사례였다. 제대성의 욕살 역시 지방 상비군의 지휘관으로, 전시의 경우 일대 諸城ㆍ諸部落의 군사권을 부여받았다. 일정 지역의 軍政大權을 관장한 것이다. 욕살은 동시기 신라의 軍主ㆍ백제의 方領ㆍ당의 都督 ㆍ돌궐의 샤드 등과 비교된다. 특히 백제의 방령이 주목된다. 고구려의 왕도 5부와 제대성은 백제의 5부ㆍ5방과 상통하였다. 왕도의 5부병이 공통되었고, 제대성의 욕살과 5방의 방령이 유사하였는데, 욕살과 방령은 모두 최고위 귀족이 임명되었다. 제대성의 욕살과 5방의 방령은 왕도의 5부 장관과 동급으로, 비단 장관만 아니라 무관ㆍ군사조직이 동일한 체계였다. 군사 운용과 전시에 대비한 평시의 군제였고, 군제에 기초한 지방제도의 운용이었다. 이와 같은 군사체제ㆍ지방제도 운용의 중심에는 상비군이 있었는데, 상비군은 이를 유지하기 위한 부세제도ㆍ관료제도를 수반하였다. 중앙집권적 국가체제 정비와 궤를 같이 하였던 것이다. 6~7세기고구려의 욕살은 중앙집권적 국가체제 정비에 기능하였고, 그와 같은 추이를 반영한다고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