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다중시민성 수준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현재균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2 사회과교육 Vol.61 No.4

        This study analyzed latent classes according to the level of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of adolescents and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them. More specifically, focusing on criticism of existing homomorphic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e world culture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of heterogeneously classified potential classes in the population to find ways for individualized citizenship education for teenagers. To this en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9th year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2020, third year of high school).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composed of personal citizenship, social citizenship, spatial citizenship, and temporal citizenship was classified into a high individual-high social citizenship group (upper group, 40.2%), a high sociallow spatial citizenship group (middle group, 49.7%), and a low individual-low spatial citizenship group (lower group, 10.1%). Second, the level of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of adolescents was classified into three classes. In common, spatial citizenship and temporal citizenship had very low levels. Third, in terms of individual factors, the value of student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the upper group, whereas it was negatively significant in the lower group, indicating that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aspect of student participatio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upper group. Fourth, the higher the self-understanding of career paths, the more positively it worked on the formation of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of the upper group.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ty recognized by the teache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upper group and that how the teacher was recognized in the community with a relationship was a significant factor. Through these results, individualized and practical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education according to the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level of youth is required and awareness of multidimensional citizenship to understand others and the environment in a different time and place is necessary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ddition,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citizenship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career education is needed. Moreover, teachers should establish an organic educational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community. 본 연구는 청소년의 다중시민성(multidimensional citizenship) 수준에 따른 잠재계층을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계 문화 관점(world culture perspective)에 바탕을 둔 기존의 동형화된 시민교육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모집단 내 이질적으로 분류된 잠재계층의 요인을 분석하여청소년들의 개별화된 시민교육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GEPS) 2020년 9차년도(고등학교 3학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시민성·사회적 시민성·공간적 시민성·현재적 시민성으로 구성된 다중시민성은 ‘높은 개인-높은 사회적 시민성 집단(상위 집단, 40.2%)’, ‘높은 사회-낮은 공간적 시민성 집단(중위 집단, 49.7%)’, ‘낮은 개인-낮은 공간적 시민성 집단(하위 집단, 10.1%)’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청소년들의 다중시민성 수준은 3가지 계층으로 분류되었으나 공통적으로 공간적 시민성과 현재적 시민성이 매우 낮았다. 셋째, 개인 요인에 있어 학생 참여에 대한 가치는 상위 집단에서 정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지만, 하위 집단에는 부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학생 참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상위 집단에 소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에 대한 자기 이해가 높을수록상위 집단의 다중시민성 형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다섯째, 교사가 인식하는 지역사회와의 관계가 상위집단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가 어떻게 지역사회를 인식하고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가가 유의미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청소년의 다중시민성 수준에 따른 개별화되고 실질적인학생 참여 중심의 다중시민성 교육이 요구되며, 다른 시공간에 존재하는 타인과 환경을 이해하는 다중시민성에 대한 자각이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조건임을 명시하였다. 또한, 진로교육과 연계한 시민성교육의 학제적 접근과 교사들이 지역사회와 유기적인 교육 협력의 관계를 맺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시민성 관점에서 본 자원활동

        이선미(Seon-Mi Lee) 한국NGO학회 2016 NGO연구 Vol.11 No.1

        The dualism between altruistic volunteering and citizen participation based on ideal of citizenship rights begins to dissol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value of volunteering from the perspective of citizenship theory and to classify diverse volunteer activities according to its function in enhancing the citizenship. At first, based on the conceptual assumption that citizenship includes both citizenship rights and civility (or civic virtue), it is argued for the careful balance between universal citizenship rights and civility in Korean context where the importance of civility for realizing inclusive citizenship had been somewhat neglected: fostering civility must be a part of realizing citizenship rights. It needs, however, a critical approach on the widely accepted usage of civility among Koreans, in order to avoid the risk of misuse: the word has often been used in terms of national ethics for the authoritarian governments to mobilize the people toward its one single goal of development. Therefore, it should be noted three things: at first, fostering civility must be balanced with the concern in rights of individuals; at second, “the public sphere” or the political sphere is not the only field in which citizenship with self-esteem and self-fulfillment can be trained and enhanced. But it must expand to include every part of life, which needs to rethink the traditional approach to private-public divide. At last, civility should not appeal to member s sense of belonging based on homogeneity. Next, the author explores the distinction between “Dutiful Citizenship(DC) and “Actualizing Citizenship(AC)” suggested by Bennett. While DC is characterized by the sense of belonging and commitment to a political community which determines moral virtue of the citizens in a territorial boundary, new media and globalization triggered a new type of citizenship which features interactive and expressive participation and flexible identity (re)constructed with the everyday experiences of transgression across borders. Eventually, the author classifies diverse volunteering with 2 dimensions: kinds of citizenship in DC and AC which corresponds to demand-oriented approach and supply-oriented approach respectively in the voluntary sector theory; expressive-instrumental rationale. Emerging new patters of volunteering such as volunteering in social enterprise, pro bono volunteering, and episodic volunteering, volunteering in “community building project” and apartment volunteer team a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Actualizing Citizenship. 선한 사람의 자원봉사활동과 보편적 권리 의식에 기반을 둔 시민참여라는 기존의 이분법이 급속히 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자원활동의 의의를 시민성 이론의 관점에서 정립하고, 시민성 강화를 위한 기능을 중심으로 다양한 자원활동을 유형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시티즌십(citizenship)’ 개념이 시민권과 시민성을 포괄한다는 것에서 출발하여, 한국적 상황에서 보편적 권리로서 시민권과 시민에게 요구되는 바람직한 덕목으로서 시민성 사이에 균형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단, 애국주의적 전체주의로 빠질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시민성에 대한 강조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필요로 한다. 첫째, 개인의 권리 인식과의 균형이 중요하다. 둘째, 자긍심과 자기충족감을 가지고 시민성을 발현하는 것이 정치적 영역 혹은 공적인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일상생활 전반으로 확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민성은 동질성에 기초한 소속감에 호소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베넷의 “의무적 시민성(DC)”과 “실현적 시민성(AC)”의 구분을 소개하 면서, 새로운 미디어 환경의 확산, 글로벌라이제이션의 진전 등의 결과로 등장하는 새로운 유형의 시민, 즉 상호적이며 표현적인 참여와, 경계 이동의 일상문화적 경험을 통해 재구성되는 유연한 정체성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시민에 부합하는 새로운 시민성 요구를 제안한다. 자원활동의 유형 구분과 관련하여, 의무적 시민성에 기초한 자원활동이 수요중심적 접근이라고 한다면, 실현적 시민성을 지향하는 자원활동은 공급중심적 접근에 해당한다. 자원활동에 대한 공급중심적 접근으로서 사회적 기업, 재능기부형 자원활동, 일화적 자원활동(episodic volunteering), 마을만들기 및 아파트봉사단 등을 예로 들고, 이를 실현적 시민성의 관점에서 해석한다.

      • KCI등재

        세계시민성 관념과 지구적 시민성의 가능성

        변종헌 ( Jong Heon Byeo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6 윤리교육연구 Vol.0 No.10

        정보화와 세계화가 가속화되고 인류가 직면한 지구촌 문제가 많아지면서 개별 국가의 경계를 넘어 전 지구적 수준에서 상호 의존과 협력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국민 국가의 전통적 위상과 국가시민성의 관념에도 변화를 초래하였고, 세계 시민과 세계시민성에 대한 관심을 새롭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21세기의 시민성은 국가시민성의 주장과 세계시민성의 요구를 다함께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특정 지역과 개별 국가의 특수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새로운 시민성은 서구 중심의 세계주의나 하나의 주권을 지닌 세계 공동체에 기초한 세계시민성의 관념보다는 개별 국가의 가치와 존재를 인정하는 가운데 지구적 의식과 책임감을 강조하는 이른바 지구적 시민성의 비전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지구적 시민성의 관념은 깊은 시민성을 추구하고 국가간 시민성에 주목하는 가운데 그 실현 가능성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깊은 시민성은 자아, 타자, 그리고 세계의 상호 연계성과 상호 의존성을 깨닫고 행위하는 정치적인 삶의 모습 속에서 표현된다. 또한 지구적 시민성의 관념은 개별 국가내의 시민 사회와 이들 사이의 국제적 연대를 통해 국가간 공공 영역과 국가간 시민성이 확장될 때 성취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생태적 다중시민성에 기반한 초등사회과 교실수업 설계

        심광택(Kwangtaek S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6 사회과교육 Vol.55 No.1

        본 연구에서는 생태적 다중시민성에 기반하여 국가시민성, 세계시민성,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논의하고, 개발한 수업모형에 초등사회 5-1 학습내용을 적용하여 교재분석 및 수업안을 예시하였다. 첫째, 국가시민성, 세계시민성과 의사소통에 관해 논의한 결과, 네트워크시대의 국가시민성으로서 개인정체성은 지역사회-경제-생태 영역에서 민족과 국경을 넘어 이웃의 안녕과 행복을 담보하려는 세계시민적 정체성으로 발전할 수 있다. 교육내용으로서 공감하는 시민, 비판적 시민, 생태적 시민과 관련된 지식이해, 기능, 가치태도 영역을 선정하고, 교육방법으로서 비지배자유 보장을 위한 토론, 관용과 비판적 사고, 비교와 논쟁을 권장할 수 있다. 둘째, 지속가능한 발전과 사회참여숙의에 관해 논의한 결과, 교육내용으로서 통치체제는 투기성 금융활동을 규제하고, 의료와 교육을 가치재로 인정하며, 가계와 기업은 지속가능한 경제활동을 추구하고,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시민 간 연대하여 환경정의와 사회적 형평성을 실천해야 할 것이다. 교육방법으로서 학습자는 파리협정관련 백캐스팅 전략과 지구촌 사회의 정치, 경제, 사회, 환경 간 시스템적 사고에 토대하여 풀뿌리 민주공동체 간 상호연대를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다. 셋째, 생태적 다중시민성에 기반한 국가시민성, 세계시민성, 지속가능발전 교육을 위한 사회과 교실수업은 학문적 접근이 아니라, 생태적 다중시민성을 지향하는 학습내용을 중심으로 일상생활에서 학습자의 비판적 시민성과 관련하여 비교와 비판→ 토론→ 공감→ 계획과 실천 순으로 설계할 수 있다. An instructional model for nation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was developed. Four lesson plans in the elementary 5thgrade social studies were suggested to show the practice of the instructional model. Three outcomes are reported. First, identity as a citizen of a nation, global citizenship, communications are interrelated. National citizenship and communications in the network society can result in a stronger vision of one’s global citizenship. This is especially the case when the wellbeing and happiness of people in neighboring countries who live across the national boundary are viewed within the domain of community- economy- ecology. Each prepares citizens through knowledge and skills that enable them to empathize, criticize constructively, and live together sustainably. The educational methods recommended to attain global citizenship perspectives are critical thinking, comparative studies, and teaching controversial issues. Those methods tend to result in a commitment to guarantee of non-domination freedom and tolerance of others. Second, discussions regarding sustainable development focused largely on deliberative engagement as a teaching method. Issues discussed were: speculative banking and its regulation; medical treatment and education as value goods; the steps necessary for households and businesses to attain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al justice and social equity. The educational methods recommended to live together sustainably are planning and practice for grassroots democratic communities’ solidarity by applying back-casting strategy and systematic thinking. Thirdly, social studies classrooms intent on to enhance nation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and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a five step task. They, should emphasize comparison and critique→ discussion→ empathy→planning and lastly the engagement of learners in content critical to ecological multiple citizenship.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글로벌 시민성 유형 분석

        이은경(李恩京),오민아(吳玟雅),김태준(金泰俊)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3

        글로벌 시민성은 세계시민으로서 갖는 의식과 태도이며, 21세기 글로벌 사회를 살아갈 청소년들에게는 전세계적 네트워킹과 국내 다문화 사회 적응을 위해 필수적인 역량이다. 본 연구는 글로벌 시민성 유형을 제시하고, 그 유형들이 다른 시민성 요소 및 청소년 개인들의 배경요인들과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글로벌 시민성은 네 가지 영역(이민자에 대한 태도, 국가 및 역사 의식, 국제 관계 이해, 성인지)에서 측정되었으며, 전국 16개 시도의 초·중·고등학생 6,637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하여, 7개의 한국 청소년 글로벌 시민성 유형이 도출되었다. 글로벌 시민성 유형 7가지는 각각의 특징에 기반하여 글로벌리더형, 반성인지형, 소외형, 부정적 이민태도형, 비국가주의형, 성인지형, 비관용형으로 명명되었다. 개인 및 공동체 시민성과 관련하여, 이상적인 글로벌 시민성 유형으로 구분되는 글로벌리더형에서는 개인 및 공동체 시민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유형으로 구분되는 소외형에서는 개인 및 공동체 시민성이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글로벌 시민성의 유형별 특징에 따라 개인 및 공동체 시민성 영역별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개인의 배경변인 중에는 성별, 학교급간, 생활만족여부에 따라 유형별 차이가 나타났다. 남녀 성별의 차이는 주로 글로벌 시민성 중 성인지 영역수준에 따라 나타났으며, 학교급에 따라서는 학교급이 낮을 때보다는 학교급이 높아짐에 따라 부정적(소외형, 부정적 이민태도형, 비국가주의형) 유형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적인 유형에서 생활에 만족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으며, 부정적인 유형에서는 그 반대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글로벌 시민성의 유형과 다른 변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 기반하여, 개인의 배경 정보에 따라 개별화된 글로벌 시민성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으며 학교급간에 따른 글로벌 시민성 교육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Global citizenship is a person"s consciousness and attitude as a global citizen. In the 21st century, global citizenship is an essential competency for Korean youth liv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and in the period of global network.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provide global citizenship types of Korean youth from primary school level to high school level,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community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type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gender, school level, residence area, life satisfaction) and global citizenship types. Global citizenship consists of attitude to immigrants, country and history perception,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relations, gender sensitivity. 6,637 Korean youth from 16 cities and provinces participated in the survey. Using cluster analysis, seven types of global citizenship were presented; global leader, anti-gender, outsider, anti-immigrant, anti-state, gender-awareness, and pessimist. The ideal type, global leader presented higher individual and community citizenship, but the negative type, outsider showed lower individual and community citizenship.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citizenship types were analyzed by the sub-factors of individual and community citizenship. Among four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three variables(gender, school level, and life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global citizenship types. The effect of gender was mostly based on the gender sensitivity among four global citizenship factors. The negative types(outsider, anti-immigrant, and anti-state) of global citizenship dramatically increased their portion as the schools moved up to higher levels. The positive types had a tendency to be satisfied with their lives, but the negative types were the opposite. Based on the output of the study, individualiz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supposed and the implication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school levels were discussed.

      • KCI등재

        새로운 시민성의 공간 등장

        조철기(Cho, Chul-K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3

        근대 이후 국민국가의 출현으로 국가 시민성이 강조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최근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경계화된 영역을 통해 담보되고 공고히 되는 국가 시민성의 영향력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세계화는 한 국가의 시 민들로 하여금 밖으로는 지구촌 사회에 걸맞는 글로벌 시민성을, 안으로는 다문화 사회에 적합한 문화적 시민성을 요 구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시민성에 대한 지리적 초점이 정치적 영역에서 점차 사회적‧문화적 영역으로 이동・확장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개인의 일상적인 측면 역시 강조되면서, 시민성은 서구적 관점에서 표준화된 개인에서 젠더, 연령, 계층, 민족 등의 사회적 차이에 근거한 비서구적 관점, 즉 미시적인 일상적 공간에서의 포섭과 배제로 확장되고 있다. 이처럼 개인의 충성과 의무를 강조하는 국가 시민성 일변도에서 벗어나 개인의 권리와 차이를 강조하는 문화적 시민성과 일상적 시민성이라는 새로운 시민성의 공간이 도래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한 국가가 공통 적인 국가 시민성을 구축해야 하는 과제와 함께, 개인 또는 시민의 다양성 역시 인정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하고 있음 을 말해 준다. National citizenship has been empathized by nation-state since modern times. But with recent wave of globalization, the force of national citizenship is gradually reducing. Globalization requires citizens of global citizenship needed in the global village on the one hand, and of cultural citizenship suited in multicultural society on the other hand. The trend shows that the geographical focus of citizenship is shifted or expanded from the political domain to the social and cultural domain. Moreover, with concerns of personal everyday life citizenship is extended from standard personality by Western view to inclusion and exclusion in micro everyday space, non-Western view based on social difference of gender, class, ethnicity etc. New spaces of citizenship, cultural citizenship and everyday citizenship which empathizes personal right and difference is emerging instead of national citizenship based on personal allegiance and duty of the state. This means that the state has not only a task of establishment of common national citizenship, but also a challenge to recognize of diversity of citizens.

      • KCI등재

        사법작용에 관한 시민성 분석 - 중학교 「사회」와 고등학교 「정치와 법」 교과서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이채영 ( Chaeyoung Lee ),박성혁 ( Park Sung-hyuk ) 한국법교육학회 2020 법교육연구 Vol.15 No.3

        다른 국가권력 작용과의 관계에서 요구되는 시민성에 비해, 사법작용과의 관계에서 요구되는 시민성은 그동안 명시적으로 논의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사법작용에 관한 시민성이 무엇인지, 사법작용에 관한 시민성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어떻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탐색하였다. 헌법을 분석한 결과, 사법작용의 주체의 위치에서는 국민주권의 원리를 바탕으로 사법작용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감시·비판하고, 이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며 참여하는 시민성이 요구된다. 객체의 위치에서는 사법작용과의 관계에서 보장되는 권리를 알고 이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행사하는 시민성이 요구된다. 한편, 오늘날의 사법제도는 국민참여재판제도 등을 바탕으로 사법작용의 주체로서의 시민성을 강조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법의 수요자로서 능동적으로 이를 활용하는 시민성을 요구하고 있었다. 그러나 시민성 교육을 행하는 중학교 「사회」와 고등학교 「정치와 법」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시의적절성 측면에서 오늘날 강조하고 있는 주체로서의 시민성 내용을 충분하게 다루고 있지 못했다. 사법작용 역시 참여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충분히 인지하지 못한 채 교과서 서술이 이루어지다 보니, 정치 과정에 대한 설명을 하는 데 있어서 사법작용을 배제하고 서술하는 등 정확성 측면에서 어긋난 서술도 있었다. 그리고 사법작용에 관한 주체로서의 시민성과 객체로서의 시민성을 양성하는 데에 효과적이지 못한 구성을 취하고 있었다. 이에 기존에 간과되었던 사법작용에 관한 시민성 내용을 염두에 두고, 이를 강조하는 교과서 서술 및 이를 바탕으로 한 시민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Compared to the citizenship required in relation to other state power functions, the content of citizenship required in relation to the judicial action has not been explicitly discussed so far.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what citizenship is in relation to judicial action, how citizenship education about judicial action is conducted, and how it is desirable to do 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stitution, the position of the subject of judicial action requires citizenship to have interest in judicial ac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national sovereignty, monitor and criticize it, express opinions and participate in it. In the position of an object, citizenship is required to know the rights guaranteed in relation to judicial action, and to actively pursue and exercise them. On the other hand, today's judicial system not only emphasizes citizenship as a subject of judicial action based on the public participatory trial system, but also requires citizenship to actively utilize it as a demander of judicial justice. Howeve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books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and high school 「Politics & Law」 that provide citizenship education, the content of citizenship as a subject emphasized today in terms of timeliness was not sufficiently covered. As textbook descriptions were made without sufficiently recognizing that judicial action is also an object of participation, there were some inconsistent descriptions in terms of accuracy, such as overlooking judicial action in explaining the political process. And it was not effective in fostering citizenship as a subject and citizenship as an object of judicial 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contents of citizenship regarding the judicial action that were previously overlooked, emphasize them in school textbooks, and provide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hem.

      • KCI등재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비판적 탐색 : 시민성의 계승과 디지털의 확장

        안정임,박은희 서강대학교 미디어융합연구소 2022 언론문화연구 Vol.33 No.-

        In this study, we intend to critically examine the discussion of digital citizenship, which has been receiving significant attention lately. To this en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citizenship and digital citizenship, four points of difference and legacy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1) implementation from citizenship as the rights of citizen to citizenship as an integrated concept including rights, values and norms, 2)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traditional citizenship to digital citizenship, expansion of the citizen’s scope from selective citizens to all citizens, 3) expansion of the sphere of citizenship to include globalization and virtualization, 4) deepening of digital competencies required of citizens due to digital technolog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econdly, issues that are overlooked in the current discussion of digital citizenship were reviewed in order to expand into a realistic and sustainable discourse for the future. Specifically, we critically explored issues such as 1) the confusion of definitions of digital citizenship, 2) the trap of protectionism and solutionism, 3) too much responsibility imposed on individuals, 4) digital citizenship and the digital divide, 5) concerns about “education” of digital citizenship.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 research, and policy on digital citizenship was presented as a common task. 본 연구에서는 최근 크게 주목받고 있는 디지털 시민성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해보고자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는 전통적시민성과 디지털 시민성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차별점과 계승점을 분석하고, 둘째는 현재의 디지털 시민성 논의에서 간과되고 있는 문제들을검토하고 향후 현실적이고 지속가능한 담론으로 확장하기 위해 짚어보아야 할 쟁점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전통적 시민성에서부터 디지털 시민성으로 이행되는 과정에서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첫째, ‘시민권’에서 ‘시민성’으로 개념이 확장되고 있음을 확인했고, 둘째, 누가 시민인가 하는 점에서 선별적 시민에서 모두가시민이라는 시민 범위의 확대, 셋째, 세계화, 가상화까지 포함하는 시민성 적용 공간의 확장, 넷째, 디지털 미디어로 인해 소통방식의 획기적 변화를 차별점으로 드러냈다. 두 번째 디지털 시민성 논의에서 깊어야 할 쟁점으로, 1) 디지털 시민성 개념과 정의의 난맥상, 2) 보호주의와 만능주의의 함정, 3) 개인에게 부과되는 무한책임, 4) 디지털 시민성과 디지털 격차, 5) 디지털 시민성 ‘교육’의 고민 등의 문제들을 비판적으로 탐색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디지털 시민성에 대한 교육과 연구, 정책의 방향성을 공동 과제로 제시했다.

      • KCI등재

        다문화사회와 지구,지방적 시민성

        최병두(Byung Doo Choi) 한국지역지리학회 201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7 No.2

        다문화사회로의 전환은 국민국가에 근거한 국가적 시민성의 개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민성에 관한 논의를 요구하고 있다. 시민성은 개인이나 공동체 간의 관련성으로 정의되며, 또한 정체성의 개념과 상호 관련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뿐만 아니라 시민성의 개념에는 다양한 공간적 요소들, 즉 위치/이동, 장소 및 공적/사적 공간, 경계/영토, 흐름/네트워크, 층위/규모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지방적, 국가적, 지구적 층위의 다규모성을 내재하고 있다. 다문화사회로 전환하고 있는 일본에서도 시민성에 관한 논의가 새롭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외국인 이주자의 국가-영토적 시민성을 철저히 통제하고자 하는 중앙정부와는 달리, 지역사회 생활공간에서 이들의 복지서비스 지원과 권리 보장을 담당하는 지방정부와 지역사회단체들의 역할을 강조하기 위하여 국지적 시민성의 개념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개념은 국지적 시민성을 실질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국가적 형식적 시민성 및 지구적 보편적 시민성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문제의 해소를 위해, 지방적, 국가적, 지구적 시민성이 상호관련적으로 연계된 다규모적 지구·지방적 시민성의 개념을 제시한다. 지구·지방적 시민성의 개념은 학문적으로 보편성과 특수성을 변증법적으로 포용하는 세계시민주의의 새로운 견해를 가능하게 하며, 또한 현실적으로 일본의 다문화공생 정책과 담론 그리고 국지적 시민성에 관한 논의에 내재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될 수 있다. Transformation towards multicultural society requires discussion on new concepts of citizenship which would overcome some limits of national citizenship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nation-state. Citizenship can be defined as a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their community, and conceptualized in a relation with identity. Citizenship also includes its spatial elements such as site and movement, place and public/private space, boundary and territory, flow and network, level and scale, etc. and in particular implies a multi-scalability of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 A new discussion on citizenship has emerged in Japan in shift to multicultural society, especially focusing on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and grassroots social movements to support and ensure welfare services to and human rights of foreign immigrants in local communities, hence develops a concept of local citizenship. This concept seems to be highly significant for both foreign immigrants and Japanese dwellers for multicultural coexistence, but raises serious problems of separating local citizenship from formal national citizenship and from universal global citizenship. In order to resolve these problems, a new multiscalar concept of glocal citizenship which links interrelationally local, national and global citizenship. The concept of glocal citizenship is suggested to lead academically a new version of cosmopolitanism which embraces the universal and the particular in a dialectic manner, and to give strategically an alternative to multicultural coexistence policy and discourse and local citizenship discussion in Japan.

      • KCI등재

        지구적 시민성과 초등 도덕교육의 과제

        변종헌 ( Jong Heon Byeo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8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개별국가에 기초한 국가시민성의 변화가 불가피해지고 있다. 인류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 간 상호의존과 공동노력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지역적 경계를 넘어서는 새로운 시민성 관념이 요청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세계시민성 관념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동시에 그 한계 내지 문제점 또한 노정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세계시민성과 구분해서 지구적 시민성 개념을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도덕과 교육은 국가시민성과 지구적 시민성의 조화를 하나의 목표로 하고 있다. 초등학교 도덕과의 경우에도 나라·민족·지구 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지구적 시민성의 함양과 관련된 내용요소들을 다룰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초등학교 도덕과의 내용체계를 분석한 결과, 국가시민성과 세계시민성의 관계, 나아가 세계시민성을 대신할 수 있는 지구적 시민성의 의미와 내용에 대한 원론적이고 기본적인 접근과 이해가 부족하다. 따라서 초등학교 도덕과의 세계시민교육은 지구촌 인류와 모든 개별국가들이 상호의존하고 협력해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고, 이를 토대로 지구적 의식과 책임감을 지닌 시민으로서의 삶의 자세를 자극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idea of world citizenship that assumes a world state with one sovereignty, and suggest the notion of global citizenship instead. The notion of global citizenship can promote global awareness and the recognition of the significance of mutual cooperation beyond particular national interests. In terms of global perspectives, moral education has to be strengthening the significance of global citizenship. Howeve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has turned out to be a failure. In this ve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has to try to make student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global understanding and responsi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