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간의 신화와 철학의 윤리적 정초

        장영란(Young-Ran Chang) 한국현상학회 200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0 No.-

        그리스 신화에 나타나는 시간의 이미지는 철학적 사유의 주요 개념을 형성했다. 그리스의 시간관은 올륌포스 신화와 오르페우스 신화에 따라 두 가지로 구분된다. 올륌포스 신화에서는 주로 선형적 시간관을 드러내는 시간의 물리적 표상의 원천을 찾아볼 수 있다. 그리스인들은 올륌포스의 우주생성신화에서 시간의 척도로 운동과 변화를 인식하게 된 계기를 설명하고, 시간의 기원과 관련된 신화적 사유를 전개하고 있다. 그리스인들은 시간의 척도를 운동과 변화로 삼고 있었다. 시간은 천체의 운동과 변화와 관련하여 지각될 수 있다. 올륌포스종교의 물리적 표상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 개념 속에 구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올륌포스 종교에서는 시간의 경로에 따르는 자연의 변화를 보고 윤리적 계기를 찾아냈다. 그리스인들은 시간의 물리적 표상을 나타내는 천체의 운동과 변화에서 자연의 질서와 법칙을 도출하여 인간 세계의 법과 질서에 유비적으로 연결지었다. 그리하여 인간이 죄를 지어 법과 질서를 깨트리면 천체의 법과 질서에도 영향을 미쳐 조화와 균형이 깨어지게 되어 홍수나 가뭄과 같은 천재지변을 겪게 된다고 생각하였다. 오르페우스 종교의 시간관은 주기적인 순환적 특성을 보이며 신비적 표상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오르페우스교에서 시간은 우주 최초의 신으로 불멸하며 다른 모든 것을 지배하고 모든 것을 알며 자기 충족적이며 무한하고 영원한 생명력의 원천으로 나타난다. 그리스 초기 자연철학자들은 고대인들의 순환적 시간관을 철학적으로 체계화했다. 나아가 고대인들은 최초에 끊임없이 생성 소멸하는 자연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인간의 경우도 자연과 같이 순환한다고 생각했다. 죽음에 이르러 인간의 신체는 소멸할 수밖에 없지만 영혼은 불멸하게 된다. 영혼은 끊임없이 다른 신체들에 들어가 윤회한다. 그러나 인간의 영혼이 불멸할 뿐만 아니라 윤회한다는 사실은 인간에게 삶의 고통에서 벗어나게 하기는커녕 오히려 계속 반복할 수밖에 없다는 두려움을 불러일으켰다. 따라서 영혼의 윤회에서 벗어나 자유로워지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윤리적으로 반성할 계기를 갖게 된다. 플라톤도 영혼 윤회설을 통해 윤리적 주체로서 인간의 선택과 자유의지를 강조하고 도덕적 책임에 대해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영혼이 끊임없는 윤회에서 벗어나기 위해 영원불멸하는 진리를 인식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The greek myth on time have had an influence on it’s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It is divided into the Olympian Myth and Orphic Religion. In olympian myth we may find the source of physical representation displaying the view of the linear time. In the myth of Cosmic Genesis, some greek philosophers had explained the movement and change as the measure of time, and developed mythological thought regarding the origin of time. We has perceived the time through heavenly bodies. The physical representation of time in olympian religion is founded in philosophy of Plato and Aristotle. Futhermore, greeks had founded the origin of ethical thought observing the change of nature in the course of time. They had thought the law of human society by analogy with the law of nature inferring from the movement of celestial objects. If men would be broken the law of nature, then it would be broken the law and regularity of heavenly bodies. So It would effect on them, and might be suffer on the disaster like flood and drought. In orphic religion, the time has characterized by circularity and displayed mystical representation. It is immortal as the first god, rules and knows everything, has self-sufficiency. The pre-socratic philosophers had philosophically made the ancient view of time. Ancient people had thought that the nature comes into being and ceases to exist, so does man. They are circular ceaselessly. The soul of human is immortal and transmigrated. We are seized with anxiety and fear of the reincarnation. The human’ life is full of pains. so we don’t want to repeat this same life. Therefore we want to get out of reincarnation. When we has tried to be free, we begin to reflect on our life and to originate in ethical thought. Plato said that we must try to conceive immortal truth getting out of the wheel of reincarnation.

      • KCI등재

        『禮記』 「月令」의 ‘時間秩序’

        오청식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3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7 No.-

        본 논문은 『예기』 「월령」의 시간질서가 갖는 특징과 철학의의를 중점적으로 논술한 것이다. 이는 천문성상의 전이와 물후기상의 변화를 통해 사시변화를 감지하는 것과, 이에 순응하여 천자의 제사의례 · 일용기거 · 시정명령 및백성의 농업생산 활동을 시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월령」류 문헌은 정치적 필요성과, 당시 유행하던 철학사상과의 융합을 통해, 몇차례의 변화과정을 겪었다. 가령 「요전」과 「칠월」은 「월령」류 문헌의 서술체계에 대한 기본적인 틀을제시하였다. 「하소정」과 「시훈」은 12월이라는 월령체계 아래에서, 정치활동을최초로 기록하였다. 시간질서에는 고대 중국인의 자연변화에 대한 정감(情感) 과, 순천응시하는 이상적인 생활설계가 그려져 있다. 「월령」의 시간질서에는주기성 · 순환성 · 항상성이라는 운행규율상의 특징이 있고, 그것이 갖는 철학의의는 곧 지시(知時)와 순시(順時)는 하나라는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the ‘Order of Time-Flow(時間秩序)’ of 「Yu e -Ling(月令)」. This includes detecting changes in the horoscope through the transition of astronomical constellations and changes in the meteorological climate, and implementing the emperor's ancestral rites, daily utensils, political orders, and the people's agricultural production activities in accordance with them. The 「Yu e -Ling(月令)」 type of literature went through several changes and evolutions through political necessity and fusion with other philosophical ideas. For example, 「Ya o -Dian(堯典)」 and 「Qi-Yu e (七月)」 presented the basic framework for the narrative system of the 「Yu e -Ling(月令)」 type of literature. 「Xia-Xiao-Zheng(夏小正)」 and 「Shi-Xun(時訓)」 were the first to record political activities under the monthly calendar system. The ‘Order of Time-Flow(時間秩序)’ depicts the ancient Chinese people's sentiment toward natural change and the ideal human life that gazes upon adjustment. The ‘Order of Time-Flow(時間秩序)’ of Li-Ji(禮記)「Yu e -Ling(月令)」 has the characteristics of periodicity, circularity, and constancy in terms of operational discipline, and its philosophical significance is the perception of time-flow and adjustment of time-flow.

      • KCI등재

        법질서의 통일성 확보를 위한 야간 옥외집회·시위의 금지시간

        이혜정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홍익법학 Vol.24 No.4

        야간에 옥외집회‧시위를 금지하는 법 조항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린 이후 오랜 시간 입법 공백의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집회의 주최자 및 참여자의 집회의 자유와 일반 시민의 권리 사이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입법이 추진되었다가 무산되는 일이 반복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치적 합의 가능성을 높이는 개정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시간적 제한에 관한 입법기준으로 법질서의 통일성에 주목하여, 법체계 전체적인 관점에서 합의 가능한 입법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24시를 기준으로 야간과 심야를 구분하는 헌법재판소의 판단을 비판하고, 현행법상 야간과 심야의 시간적 기준에 관한 규정들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여 헌법재판소의 판단이 타당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시간적 제한에 관한 입법원칙으로서 법질서의 통일성의 개념과 내용 및 구조를 논의하고, 법질서의 통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옥외집회·시위의 금지시간에 대하여 3단계에 걸쳐 검토한다. There has been a legislative vacuum for a long time since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provision of prohibiting outdoor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the night was unconstitutional. Legislation is repeatedly promoted and failed without reaching a consensus between the freedom of assembly of the organizers and participants and the rights to rest of ordinary citizens. In this situation, it is important to come up with amendment that increase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consensus. This paper focuses on the unity of legal order as a legislative standard for time limit, and derives the legislation that can be agreed up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egal system as a whole. To this end, it first criticizes the Constitutional Court's judgment to distinguish between night and late-night based on 24:00, and analyzes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gulations related to time standards in night and late-night under the current law to confirm whether the Constitutional Court's judgment is valid. It also discusses the concept,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unity of legal order as a legislative principle for time limit and reviews the prohibition time of outdoor assembly and demonstration that can ensure the unity of legal order in three stages.

      • KCI등재후보

        베르그손의 실천으로서의 시간에 대하여

        이선희 서양근대철학회 2020 근대철학 Vol.16 No.-

        베르그손의 고유한 철학을 알리는 진정한 시간으로서의 지속에는 심층에서의 역동적인 힘과 운동의 지평이 함축되어 있다. 이 심층의 지평이 시간적 질서를 자신의 활동의 현상적인 귀결로서 등장시키는 생명의 지평이다. 즉 지속은 정신의시간적 작업을 규제하는 원리인 생명에 따르는 귀결이고, 생명은 시간이 오직 행위의 관점에서만 개방될 수 있는 실천의 지평임을 현시한다. 시간은 필연적인 물질적 운동들의 세계에서 자신을 자유로서 드러내는 생명적 존재자의 존재 방식이자 행위의 방식이 새롭게 등장시킨 비결정성의 시간적 인과의 운동의 지대인 것이다. 이것은 곧 행위가 생명적 개체들이 생명의 운동을 현실화하는 현장이며, 생명의 운동을 수행적인 의무로서 따르는 도덕적 실천의 현장임을 알린다. 따라서 ‘심리[학]적’ 지대로 표현되는 이 시간적 지대에서 행위는 언제나 운동적 실재에 대한 앎을 함축하고 있다. 시간은 의무로서 주어지는 생명과 자유로서 자신을드러내려는 생명적 존재자가 서로의 운동을 통해 공속하고 공존하는 역동적인 도덕적 수행의 지대이다. “Durée”, as a true time to inform Bergson’s unique philosophy, implies a dynamic horizon and power of motion in the depths. This profound horizon is the horizon of life in which the temporal order emerges as a phenomenal result of it’s own activities. In other words, “durée” is the result of life, a principle that regulates the temporal work of the soul, and life reveals that time is the horizon of practice that can be opened only from the point of view of action. Time is a zone of a non-deterministic temporal causal movement in which the method of action and a way of existence of a living being newly appeared, who manifests himself as freedom in the world of material movements as necessity. This shows that action is a field in which vital entities realize the motion of life, and that it is the field of moral practice that follows the motion of life as a performance duty. Hence, in this temporal zone expressed as a “psychological” zone, actions always imply an knowledge of moving reality. Time is a zone of dynamic moral practice in which ‘life beings’ who are trying to reveal themselves as freedom given and ‘life’ given as duty coexist and go together through each other’s movements.

      • KCI등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범죄두려움 변화 연구

        신지희 ( Jihui Shin ),고나영 ( Nayoung Ko ),김은혜 ( Eunhye Kim ),장현석 ( Hyunseok Jang ) 대한범죄학회 2020 한국범죄학 Vol.14 No.3

        최근 개인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낮은 범죄두려움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하나의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지금까지 범죄두려움에 대해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지만 이를 종단적으로 검증한 국내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2년마다 실시된 다섯 번의 전국범죄피해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범죄두려움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변화도 살펴봄으로써 기존 범죄두려움 설명 모델들이 시간이 흐르는 가운데서도 범죄두려움 변화를 잘 설명해 내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T-test 그리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시간이 흐를수록 전 국민의 평균적인 범죄두려움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ANOVA 분석을 통하여 연도별 범죄두려움의 평균이 유의미하게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범죄두려움 평균의 감소 경향은 국내 전체범죄 발생 건수의 감소하는 경향과 유사하게 일치하는 점을 보아, 범죄피해모델이 입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경찰신뢰도모델, 무질서 모델, 범죄피해모델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모델의 가설에 맞게 범죄두려움을 설명해 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범죄두려움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일 때, 경찰신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물리적·사회적 무질서와 범죄피해경험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다만, 취약성모델에서 성별은 모델의 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나, 연령의 경우 모델의 가설과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범죄 두려움에 대한 전망과 정책적 제안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Interes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has recently increased, and a low level of fear of crime is considered a factor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So fa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fear of crime, but it is hard to find a longitudinal study that has examined changes on fear of crime. Therefore, this study looked at the changes in fear of crime over time using five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s conducted every two years from 2008 to 2016. We also checked the changes in factors that affect fear of crime to confirm that existing fear of crime models explain the change in fear of crime even over time. For this purpos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average fear of crime among the Korean tended to decrease over time, and the ANOVA analysis confirmed that the average fear of crime per year differed significantly. This tendency to decrease the fear of crime is consistent with the trend of a similar decrease in the number of crimes committed in Korea, confirming that the crime victimization model is being demonstra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model, disorder model, and crime victimization model explain the fear of crime according to each model hypothesis over time. In other words, when the fear of crime tends to decrease, the confidence in the police tends to increase, and physical and social disorder and crime victimization tend to decrease. In the case of the vulnerability model, gender indicated that it supported the model, but age showed the opposite relationship of the model hypothesi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rospects for future fear of crime and policy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기획> : 공감과 치유의 언어,문학 ; <화사(花史)>, 그 난만(爛漫)과 쇠락(衰落)의 역사

        전성운 ( Sung Woon Chun ) 민족어문학회 2013 어문논집 Vol.- No.69

        이 논문은 <화사>의 작품 세계에 주목한 것이다. <화사>는 화초의 세계를 온전한 역사 기술 방식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런 <화사>는 단순한 문예적 여기(餘技)혹은 희필(.筆)을 목적으로 창작되지 않았으며, 또한 인간 사회를 비판하고 풍자하려 한 것만도 아니다. 이것은 화초의 세계에 부여한 엄격한 시간 질서와 문체적 특징에서 드러난다. 화초 세계의 난만과 쇠락의 여정을 관념적 역사 시간으로 재편하여 간결한 문체로 기술함으로써, 화초의 세계를 무차별적으로 관조(觀照)하려고 했다. 관념적 시간의 질서와 문체로 화초의 역사를 직조한 것이다. 작가는 화초 세계의 역사화를 통해 화초의 세계가 내장한 의미와 가치에 공감하고, 무차별적 심미 경계로 나가려 했다. 화초 세계를 통해 우주적 질서의 관조, 이일분수(理一分殊)의 심미적 체험을 이루고자 한 것이다. 화초의 세계를 관조하고, 인간의 세계와 무차별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우주의 이법(.法)과 변이를 체득하려 했다. This thesis aims to research on the Whasa( 花史) itself, neither about the writer nor the social background etc. It will be focused on the writing method, the plot, and the style of Whasa, especially on the historical writing style and aesthetical intention of Whasa. The Whasa is a history of flowers plotted by human beings, not a real history but a fictitious story. This work was written neither the satire nor criticize on the Middle Ages. Of course, it was not created for his writing. The writer tried to contemplate the world of flowers made by himself. For this, he described the history of flowers like that of human beings. He hoped to sympathize for the world of flowers, and expand it to the infinite boundary of beauty in nature. The writer made up the systematic oder of times in the world of flowers. There were Gapyeong(嘉平), Jongwha(中和), Gamro(甘露), and Duksu(德 水). Each of them consist of 5 or 6 years, and every year are 12 days. And it started from December 1st and ended up August 30th. The order of times was an idealistic change of its history created by writer. He want to constitute the perfect history of flowers from the blooms to the withering of flowers. This was the attempt to experience the ideal world of flowers, and go into the contemplation of cosmic order, that is, the experience of esthetic beauty. He expected to attain the indiscriminate cognitions between human beings and flowers. This means that the writer tried to get the ultimate harmony between human beings and comic principles.

      • KCI등재

        육례절차의 儀器 陳設과 시간 질서

        지현주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9 東洋學 Vol.0 No.74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ons of the ritual tools and Time order in the six-rituals for “Yi Li Shihūnlǐ”. For this Purpose, the study is focused on an imitated point of view, running the sun, the moon, and the stars, the constellations in the “曆象授時圖”. Up to now, even though Shihūnlǐ has been generally interpreted as yinyang theory by “Yi Li interpreter,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astronomical time in the wedding ceremony. And then analyzed a kinds of the ritual tool in the ceremony process. Finally it has been proved what the astronomical time is inherent in wedding ceremony process. There were the two kinds of ceremonies be taken for 賓 after the ‘問名’ among the six-rituals process and the bride after ‘見舅 姑’ ceremony. I was found those ceremonies related to the constellation of the Big Dipper that consists of 魁 belongs to head has 3 stars, 杓 seems to it’s handle has 3stars, and 衡 is located the center of it has a star. The ritual tools are a cup and a spoon at those ceremonies, so the direction of the spoon was applied to each time at which 3 times correspond to 3 parts of the constellation of the Big Dipper. And also two kinds of spoons directions are heading South. It is confirmed to imitate that the view point of the 曆象授時 is not only ritual tool but also who host stands for the northwest. That northwest is imitated the ‘建’ of the Big Dipper, so it makes sure of being a model where is forward 卯 in the middle of the spring as called Jungchun(仲春). The direction of the cup which the helper first put was different each other where were placed first of ‘醴賓’ and ‘醴婦’. After the ceremony was held after each ceremony, it was held at the end of ceremony which the putting the spoon was conducted in relation to ‘衡’ of the Big Dipper. The time used by ‘魁, 杓, 衡’ of the Big Dipper were consistent with the time by used dawn, sunset, and midnight during the day. After completing the ceremony, and it was based on the viewpoint that is located at the 5 points in ‘更點法’(a time scale) that limited the ancient night time. For this reason, the head and handle of the spoon were modeled on the Big Dipper. As a result, the direction of the spoon in the two kinds of ceremonies were mean as a time that mimics dawn, sunset and midnight a day. In sum, the change of each spoon’s ceremonies in the process of 醴禮 was modeled on the ‘魁, 杓, 衡’ of the Big Dipper that directed to a one in the 12 Months at the same time. So the change of each spoon’s direction was based on the direction of the ‘月建’(month determinant) to the 3 times a day whenever the constellation of big Digger was used as ‘建’. 본 연구는 「士昏禮」의 육례절차에서 의기 진설을 시간 질서와의 관련성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曆象授時圖」에서 일월성신의 운행을 본뜬 관점으로 술잔의 角柶 진설 변화를 시간에 따라분석하였다. 본고가 혼례의식에서 천문 시각에 주목한 까닭은 사혼례의 육례절차를 음양론 이전의 역상을 본뜬 관점에서 검토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육경에서 『尙書』의 경전을 보완한 『六經圖』의 「역상수시도」를 통해 일월성신을 관측하여 수시한 시공간적 질서를 분석하였다. 四時의 중월을 기준으로 사방위의 子午卯酉를 정하고, 일월성신이 모두 바른 자리에 위치하는 때는 중춘에 혼효시 남중하는 중성을 관측한 시각으로 파악되었다. 육례절차에서 문명 이후 賓과 ‘見舅姑’ 이후 新婦에게 행해진 두 醴禮는 종합하여 北斗座의 建으로 이용되는시각과 관련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각사의 葉은 북두의 魁에, 각사의 枋은 북두의 杓에, 술잔에 세우는 建柶 는 북두의 衡에 각각 대응되었다. 또한 각사의 앞을 남쪽으로 향한 것은 남중하는 중성을 관측하는 방향을 본뜬 것이었다. 예례에서 찬자가 처음에 두었던 角柶의 방향은 예빈과 예부의 경우가 서로 달랐는데 예빈에서는 각사의 葉 을, 예부에서는 각사의 枋을 먼저 놓고 예례가 시작되었다. 이후 각사로 제사를 지낸 후 술잔 안에 각사를 꽂는 것으로 의식을 마치고 자리에서 일어나는 것은 『사기』 「천관서」에서 북두좌가 사시를 바르게 세운다고 한것과 관련지어 검토되었다. 각사를 북두좌에 배정하니 각사의 葉은 魁에, 그 다음 각사의 枋은 杓에, 마지막으로 각사를 꽂게 하니 북두의 衡에 해당되었다. 혼효 이후 예주로 제사지내고 의식을 완성한 야반은 고대 밤 시간을 한정시킨 更點法에서 일입과 일출의 가운데 위치하는 시점을 본뜬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술잔 위 각사의 엽과 방은 평단과 혼시를, 술잔 안에 각사를 꽂는 것은 형을 건으로 이용한 야반을 본뜬 것이었다. 따라서 각사의 진설 변화는 북두좌의 건이 이용되는 시각에 (하루 동안) 월건이 가리키는 방향을 본뜬 것이었다.

      • 칸트와 화이트헤드의 시간론

        김영진 ( Young Jin Kim ) 한국화이트헤드학회 2006 화이트헤드 연구 Vol.13 No.-

        본 논문은 화이트헤드와 칸트철학에서 시간을 탐구하고자 했다. 이들은 당대의 수학과 과학에 대한 직접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과학과 수학이 보다 진지하게 다뤄져야 한다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왜냐하면 칸트에게 과학은 확실한 지식의 원천이었기 때문이다. 칸트의 물질과 시간은 뉴턴 물리학으로부터 나온 개념들로 기초지워져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우리는 인과적 유효성을 점과 같은 수학적 추상물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다. 적어도 수학적 유물론은 일반적인 의미에서 운동에 대해 어떠한 자리도 제공해 주지 않는다. 따라서 갈리레오-뉴턴 과학의 전통적인 수학적 요소들은 역설적으로 인과성, 운동, 활동의 개념을 설명해 주지 못한다. 유기체의 철학의 기본적인 전제는 세계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화이트헤드는 시간과 공간을 연장적 연속체라는 단어로 대체한다. 그는 물리적 계기들의 최초 연관은 연장적 관계라는 점을 주장한다. 연장적 연속체의 개념은 현실적 존재들의 물리적 상호연관성을 표현한다. 어떤 경우에서든 이러한 결론은 자연스럽게 수학의 의미에 대한 화이트헤드의 분석에서 나온다. 그는 전통적인 우주의 존재자들이 점과 같은 수학적으로 표시된 물리적 대상이지만 점과 사물들은 세계의 변화라는 실재를 충분히 설명해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것들은 정태적이며 한정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점의 전통적인 견해에 대한 화이트헤드의 불만족은 기하학과 위상학에 대한 사유의 결과이다. 점은 복잡하며 변화는 근본적이라는 그의 기초적인 생각은 수학적인 기초에서 나온 것이다. 특히 교차점은 이러한 연결성의 분명한 근거를 제공해준다. 이러한 수학적 경험에 대한 분석에서 나온 화이트헤드의 결론은 기초적인 시간론이 단순 정위가 아닌, 연장적 연결이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time in the philosophy of Whitehead and Kant. Kant and Whitehead the desire to reconcile science with concrete experience. Furthermore, they both begin with a first-hand acquaintance with contemporary mathematics and science, and they give ample evidence of the conviction that science and mathematics must be taken very seriously indeed. For kant, science is the source of certain knowledge. He thus invests the Newtonian physics of his day with an unwarranted authority. In kant`s theory, substance and time is dubiously founded upon notions which stem from Newtonian physics. In this sense, We must find some means to ascribe to mathematical abstractions, such as points, the character of causal efficacy. This means that nature is devoid of causality altogether. At the very least, mathematical materialism has no place for the motion in any ordinary sense of the word. Therefore, the various mathematically governed strands of the Galilean-Newtonian scientistic tradition seems, paradoxically, able to do without the concepts of causality, action and motion. In the theory of organism, the most basic assumption is that the world is process. Whitehead replaced Kant`s phrase ``time and space`` with his own term ``extensive continuum. He maintains that the primary relationship of physical occasions is extensive connection. The concept of the extensive continuum express the physical interconnectedness of the world of actual entities. In any case, this conclusion follows naturally from Whitehead`s analysis of the meaning of mathematics. He knows the entities of the traditional universe are physical objects represented mathematically as points. but Points and things do not take into full account the existence of change in the world. they are static, and disconnected from each other by definition. Whitehead`s dissatisfaction with the accepted fundamental nature of the point is a direct or indirect result of his concentration on projective geometry and topology. His basic thinking, that the point is complex and that the change is fundamental, both stemmed from his mathematical background. Particularly The theory of Interpoints provides a firm basis for this connectedness. The conclusion Whitehead reaches from an analysis of this mathematical experience is that the basic time theory is not simple location, but extensive connection.

      • KCI등재

        근대 이행기 동아시아의 기년법(紀年法)

        김미화 ( Jin Meihua ) 한국사회사학회 2016 사회와 역사 Vol.0 No.110

        특정한 紀元을 기준으로 햇수를 세는 방식을 `紀年(法)`이라고 한다. 오늘날 기년이란 하나의 도구적 장치로만 여겨지지만, 근대 초까지 그것은 정치권력과 이념, 사상, 종교적 믿음과 문화가 뒤얽힌 중요한 상징이었다. 전통적으로 우주질서를 상징하는 `干支`와 왕의 치세를 뜻하는 `年號`를 기년으로 써 온 동아시아는 19세기 말 서구 근대의 도전에 직면해서 시간질서를 새롭게 定位하고자 했다. 그것은 또한 각국이 어떤 근대국가를 설립할 것인가, 무엇을 `민족/국민(nation)` 통합의 구심점으로 삼을 것인가와 직결된 문제였다. 일본은 위로부터의 개혁을 거치면서 `一世一元`의 천황 연호와 함께 `萬世一系`의 천황제의 정통성을 부각시키는 `皇紀`를 도입했다. 중국의 변법 과정에서는 공자나 黃帝를 국민통합의 상징이자 새 기원으로 삼자는 주장도 제기되었으나, 결국청을 무너뜨리고 수립된 중화민국은 혁명과 신생 민주공화국을 기념하는 `民國`기년을 채택했다. 중국과의 사대관계를 청산하고 자주독립을 실현해야 했던 조선은 개항 이후 중국 황제의 연호를 폐지하고 조선왕조 `개국`기년을 채택한 데 이어, 대한제국 선포를 전후해서 `建陽`, `光武`, `隆熙` 등의 독자 연호를 사용했다.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된 뒤로는, 역사와 전통에서 민족통합의 구심점을 찾으려는 세력은 `檀紀`와 `공자`기년 등을 주창했고, 대한민국임시정부는 `民國`기년을 제정했다. 이렇게, 동아시아 전근대의 기년법이 대개 왕정과 결부된 것이라면, 근대 이행기에 시도된 다양한 기년법들은 `민족`의 유구한 역사나 문화, 아니면 혁명과 신생 근대국가의 수립을 상징했던 것이다. 해방 후 대한민국은 `단기`를 공식기년으로 채택했다가 1962년 `서기`로 바꾸었다. 그러나 그때의 서기는 이미 본래의 종교적·문화적 배경에서 벗어난 도구적기호에 불과했다. 국민국가 건설의 뜨거운 시기가 지난 뒤에 남은 것은, 추상화된 세계적 표준이다. The calendar era system (紀年法) brings with it years from a particular epoch (紀元). Today, this system and the epoch may be considered as an instrumental. But for a long time, all major civilizations have their own era systems and epochs, and the epochs have played pivotal symbol roles in the form of political power, ideology, religious beliefs and cultures. Traditionally, in East Asia, methods adopted for counting years were set `Chinese sexagenary cycle (干支)`, which symbolizes the cosmic order, and the `imperial era name (年號)` corresponding with the reign of the incumbent emperor. But faced with the challenges of the Western modernity in the late 19th century, East Asian countries had to establish a new calendar era system. That task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ojects of nation-building or modern state-building. Japan has carried out reforms based on the above, and introduced `Mikado`s era name (元號)` and `Kouki (皇紀)` to highlight the legitimacy of the Mikado system and the permanent succession of Mikado. On the other hand, various political forces that tried to reform China into a nation-state, proposed alternative era systems, with Confucius (孔子) or Yellow Emperor (黃帝) as an new epochal symbol and the symbol of the national unity. At last, however, the Republic of China (中華民國) replaced the Qing Dynasty system in favor of the `Minguo (民國)` as an era name to commemorate the revolution and the new republic. After the `port opening`, to escape from subordination to China and achieve actual independence, Joseon repealed the imperial era name of China and established `Gaeguk (開國)`, commemorating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n King Gojong proclaimed himself an emperor, and established Joseon`s own imperial era name. As you can see here, the calendar eras usually associated with the monarchy in pre-modern East Asia, the calendar eras of which introduced in transition period toward modernity symbolized the long histories and cultures of the nations, or revolu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w modern state. After the liberation, Republic of Korea adopted `Dangi (檀紀)` as an official calendar era, but replaced it with `anno domini` in 1962. However, at that time, anno domini was only accepted as an instrumental sign that is already disembedded from its original religious and cultural context. After the heated effort to form a nation-state building, what remained was an abstract world standard.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