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포츠진로상담사 양성교육과정 설계방안

        김우석,유정애,차윤석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19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7 No.2

        Recently, much attention on sport career education is rapidly growing in our society. Thus, govermental and societal supports can not be delayed toward the school entrance and the job seeking in sports for student-athletes as well as non-student athletes. In fact, several ago even if various efforts in the national level have been made on the program development and the policy establishment in career education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the outcome in sport career is not big. No professional human resource in sport area has been not educating, whereas professional human resource like a career-counselling teacher in general education career has been systematically educated. Thu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sport career counsellor who would professionally perform career education and counselling in sport area. For this, data collection were made by various document analysis related to career counselling, interviewing survey with 10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10 career-counselling teachers, and professional meeting with 6 experts. First, six occupational competencies in 4 domains of sport career counselling have been addressed. After a field testing, 9 courses for educating sport career counsellor have been selected. Finally, it was suggested the certification courses for sport career counsellor in this paper. Further, the findings in this paper would be used a evidence of policy and program development in sport career education for non-student athletes and student athletes in Korea. 최근 스포츠분야의 진로교육에 관한 국가사회적 관심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일반 학생뿐만 아 니라 학생 선수(또는 운동중단 선수출신 포함)의 스포츠분야 진로진학 및 취업에 관한 국가사회적 지원은 더 이 상 미룰 수 없게 되었다. 몇 년 전부터 정부차원에서 초·중·고등학생 및 대학생 대상의 진로교육정책 및 진로교 육 프로그램 개발 등의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왔으나, 스포츠분야의 성과는 미진한 편이다. 이는 일반진로의 경 우 진로진학상담교사와 같은 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체계적으로 진로교육을 시행해 오는 반면, 스포츠진로분야에 서는 전문 인력이 양성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분야의 진로교육 및 상담을 전문적으로 진행할 스포츠진로상담사 양성 교육과정을 설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진 로진학상담관련된 다양한 문헌조사, 체육교사 10명과 진로진학상담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한 면담조사 및 6명의 전문가협의회 운을 시행하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진로상담사 4개 역에서 6개 직무역량을 도출하 고, 현장교사들의 검증을 거친 후 스포츠진로상담사의 양성 교과목 9개를 선정하다. 이를 바탕으로 스포츠 진로상담사 자격연수과정을 설계하여 제시하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스포츠진로상담사 양성교육과정은 우리 나라 일반학생과 학생선수의 스포츠진로교육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에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 인식을 통한 대학 진로교육의 방향 탐색

        박정준(JeongJun Park),홍애령(AeRyung Ho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6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3 No.3

        본 연구는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 지식, 진로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에 관한 인식을 바탕으로 체육계열 대학 진로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적 사례선택을 통해 선정된 체육계열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 9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참여자 검토, 동료 간 협의, 연구자의 성찰을 통해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진로 지식 측면에서 먼저 진로 · 직업 분야에 대한 지식은 소속 대학, 전공학과에 따라 매우 한정적인 경향을 보여주었다. 체육계열 대학생들의 진로 준비 방법에 대한 지식은 대학 내 교과활동, 비교과활동, 개인적 부가활동으로 구분되었다. 체육계열 진로 · 직업 전망에 대한 지식은 체육계열 진로 준비 방법에 따라 대조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계열 진로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체육계열 직업에 대한 개인의 적성, 가족의 지원, 대학 교수의 상담과 조력, 특성화된 전공 교과 수업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계열 대학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문제점은 전공 교과과정에서의 진로교육의 미비, 비교과활동에서의 진로교육의 전공 특수성 및 다양성 부족, 체육계열 교수 및 지도자의 진로교육 관심 부족, 체육 진로 및 취업관련 실습환경 부족, 학생의 진로 개척 인식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체육계열 대학 진로교육의 방향으로 체육계열 진로 방향과 범위의 확장, 체계적인 체육 진로교육과정의 개발, 현장 연계 진로체험 및 채용 연계과정의 도입, 체육계열 진로정보 구축 및 서비스 지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directions of career education in sports-related universities, by grasping knowledge on career path perceived by sports-related university students, factors affecting preparation, and problems of university career education programs.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ing with nine research participants from sports-related universities, chosen through ideal case selection. The study endeavored to obtain research integrity through member-checking, peer consultation, and self-reflection. As research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knowledge on career perceived by sports-related university students showed a very limited tendency depending on the universities, and departments of major they belong to. In addition, knowledge on the methods of career preparation for sports-related university students were mainly in the form of curricular activitie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other personal activities. Knowledge on prospects of sports-related career profession showed contrasting viewpoints depending on their sports-related career preparation methods. Second, factors that affect sports-related career preparation ar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 the suitability of sports-related profession, support from family, university professors" consulting, and specialized major courses. Third, problems of sports-related university career education programs were pointed out, with items including, absence of career education as major courses, insufficiency in major specialty and variety of career education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lack of understanding from professors and leaders, shortage in career or employment-related practice environments, and deficiency in students’ awareness. Based on such findings, expansion of direction and scope of sports-related career, development of systematic career education program, introduction of field-connected work experience or employment-linked process, building sports-related career information and service support, were proposed.

      • KCI등재

        스포츠 재활 교육이 심리적 반발을 통해 진로 및 취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

        송기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2

        한국의 교육 생태계로 인해 성적에 따라 스포츠 재활 전공에 진학한 학생들이 학과에 적응하고, 진로를 찾고, 취업 의지를 갖도록 동기 부여 등 새로운 균형을 모색해야 하는 중대한 시점이나 관련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재활 교육이 심리적 반발을 통해 진로 및 취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으로 스포츠 재활을 전공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2023년 12월 11일부터 12월 28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212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첫째, 스포츠 재활 교육자의 지식이 자발적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재활 교육자의 역량이 자발적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재활 교육자의 역량이 비자발적 심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발적 심리가 진로 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자발적 심리가 취업 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반대로 비자발적 심리가 취업 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심리적 반발을 통해 진로 및 취업 의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공 교육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the educational ecosystem in South Korea, there is a significant need to explore a new balance for students who pursue sports rehabilitation education based on their academic performance, in order to help them adapt to their majors, find career paths, and foster motivation for employment. There is a lack of related research in this crucial ph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the impact of sports rehabilitation education on career aspirations and employment motivation through psychological reaction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conducting an online survey from December 11th to December 28th, 2023,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undergoing sports rehabilitation education, with a final collection of 212 survey responses used for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firstly, that the knowledge of sports rehabilitation educators has a positive influence on voluntary psychology. Secondly, the competence of sports rehabilitation educators has a positive impact on voluntary psychology. Thirdly, the attitude of sports rehabilitation educators negatively affects involuntary psychology. Fourthly, voluntary psychology positively influences career aspirations. Finally, voluntary psychology positively influences employment motivation, while conversely, involuntary psychology negatively affects employment motivation. Thes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ports rehabilitation education that influences career paths and employment motivation through psychological reactions.

      • KCI등재

        체육계열 진로 연구동향 분석

        최윤소 ( Yoonso Choi ),이예슬 ( Ye-seul Lee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1

        본 연구는 체육계열 진로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체육계열 진로에 관한 논의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제언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토픽모델링 분석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체육’과 ‘진로‘를 키워드로 하여 체육진로에 관한 논의가 시작 된 1967년 이후 모든 학술연구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육과 진로를 키워드로 적용한 결과 총 7가지의 상위범주(양적연구, 운동선수 진로, 청소년 진로교육, 교육과정, 진로지원 정책, 진로준비를 위한 활동, 진로역량)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주로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접근이 진로연구에서 다수 이루어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체육계열의 특수성에 따라 ’운동선수‘들의 은퇴 후 진로선택에 대한 스트레스 등이 반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진로교육과 교육과정 그리고 진로지원 정책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청년 실업률 해소를 위해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움직임이 반영된 것으로 보여진다. 다음으로 나타난 진로준비를 위한 활동 및 진로역량 범주는 체육계열 학과 학생들의 진로 선택에 대한 인식부재와 경험 부족으로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선택을 위한 다양한 기회의 제공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ways in which discussions on career in the area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should be discussed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of career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To achieve the purpose, topic modeling analysis was utilized as a research method with two main key-words ‘Physical Education and Sports’ and ‘Career’ since the discussions on career in PE and sports areas in 1967.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a total of 7 categories as follow: 1) quantitative research, 2) careers on athletes, 3) career education for juvenile, curriculum, policies on career support, activities for preparing career, and career competency. First of all, there have been many quantitative research(surveys and experiments) on career in the field of PE and sports. The result of this study also reflected negative issues in choosing career of athletes after their retirement. In addition, career issues such as career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policies have been continuously supported in the government level. Lastly, the last two categories(activities for preparing career and career competency) have shown that more research on the absence of awareness and its competency of career in order to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PE and sport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레저스포츠전공의 교육서비스품질, 전공만족도, 전공적합성,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김창희,김정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1

        본 연구는 레저스포츠산업 분야 직업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특성화고등학교의 레저스포츠 및 스포츠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서비스품질이 전공 만족도, 전공 적합성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내현재 특성화고등학교의 레저스포츠 학과군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후 최종 분석에는 총 295명의 재학생이 응답한 설문자료를 활용하였다. 최종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조모형(Structural model)을 설정하였고, 검증과정에 대한 분석은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설정된 모형이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적합성 지수는 TLI, CFI, SRMR, RMSEA 지수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기초분석 및 신뢰도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첫째, 교육 서비스품질의교육과정이 전공 적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의 전공실습은 전공만족도와 전공적합성에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서비스품질의 교육시설은 전공 만족도와 전공적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만족도는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공적합도는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on the major satisfaction, major suit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tudents specializing in leisure sports and sports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to propose ways to vitalize vocational education in the leisure sports industry.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students in the leisure sports department at a specialized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after selecting them as its subjects and sampling them in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student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 in the self-administration method, and the respondents of 295 students in total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Before the survey, the investigator visited each school, met the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leisure sports department, gave them full explanations about the goal and expected effects of the present study, and received consent for the survey from them. The study set a structural model to analyze the final data and tested the research hypotheses in the process. This testing process was analyzed with the Amos 25.0 program. Such fitness indexes as TLI, CFI, SRMR, and RMSEA were used to assess whether the model was fit or not. The basic and reliability analysis of the subjects was carried out with the SPSS 29.0 program. In the study, all the hypotheses were test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α= .05. The study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1) The curriculum under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had significant effects on major suitability. 2) Practical training for the major under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had impacts on major satisfaction and suitability. 3) Educational facilities under the quality of educational service had influences on major satisfaction and suitability. 4) Major satisfaction had an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5) Major suitability had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KCI등재

        환경 변화에 따른 스포츠 관련 전공의 진로 교육 내실화 방안

        구강본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4

        이 연구는 취업시장의 환경 변화를 예측하여 스포츠 관련 전공 학생들의 진로 교육 내실화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15년 이상의 학생 상담 경력이 있는 대학교수와 지도자 10명으로 선정하였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문제를 구성하여사전 질문지를 통해 FGI 인터뷰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1차 대면 FGI와 2차 비대면 FGI을 실시하였고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결과를 토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시장의 환경 변화에 대한 거시적 대응이 필요하다. 취업시장의 변화에 따른 교육환경의 개선과 스포츠 시장의 근원적 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진로 선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생들이진로 불안을 경험하지 않도록 대학과 학과 차원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하며 프로그램의 개선과 진로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담론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 진로 교육의 내실화를 위해 진로 취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과(비교과)를 체계적으로 학생들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전문교재의 개발과 전문 강사의 육성을 병행할 때 진로 교육이 정착할 수 있다. 넷째, 진로 교육 내실화를 위해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취업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지역 정주형 취업에 관심이 필요하다. 지역인재의 지역 정주를 통한 지역과 지역기업의 성장은 상호작용을 통해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였다. 향후 정량적 통계 부분과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 설계가 병행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thods that enhance career education for sports related majors by predicting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job market. A total of 10 faculty members and coaches who have more than 15 years of student counseling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FGI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through preliminary questionnaire. In-person FGI interviews were conducted followed by remote FGI interviews. A constant comparison method was employ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macro response is needed for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job market. Specifically, it may be require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 fundamental sport market to expand students’ career options. Second, the college and department level approaches should be emphasized to reduce students’ anxiety regarding their future career. Specifically, it was necessary to have discourses that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career related program improvement as well as career education. Third,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programs must be developed to reinforce college career education, and provide curriculum (non-curriculum) to students systemically. A career education can be establish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books along with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instructors. Fourth, it was necessary to build a network with the local community to enhance career education. In order to resolve employment imbalances and overcome regional crises, interest in regional residential employment will be needed. In addi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local companies and the students with local talent will be able to create maximum effect of the region and local companies’ growth. Looking ahead,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providing specific solutions using quantitative methods is warranted.

      • KCI등재

        중등학교 학생선수의 진로결정유형 및 진로결정수준 분석

        이연규(Lee, Yun-Kyu),유정애(You, Jeong-Ae),이현석(Lee, Hyun-Suk)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7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4 No.1

        학생선수들은 자신의 운동경험을 살려 다양한 소질과 적성을 조기에 발견함으로써 학생 스스로 진로를 계발하여 결정할 수 있는 환경에 놓여 있지 못하다. 또한 일반학생의 진로설계 및 진로교육관련 연구들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반면, 학생선수에 관한 진로교육에 필요한 기초연구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선수의 진로설계 준비와 진로결정에 가장 중요한 시기인 중 · 고등학교 학생선수의 진로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그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인천 및 경기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 · 고등학교 운동부에 재학 중인 학생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유층집락 무선 표집법을 사용하여 표집하였고,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48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향자(1992)가 진로결정유형과 진로결정수준 설문지를 각각 번안한 것을 토대로, 중․고등학교 학생선수에게 적합한 형태로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버전을 이용하여 다원변량 분산분석(n-way ANOVA), 다변량 분산분석(MANOVA), 그리고 다중회기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유형 중 직관적 유형은 고등학교 보다 중학교 학생선수에게 더욱 많이 나타났으며, 합리적 유형과 직관적 유형의 경우는 개인종목에 참여하는 학생선수가 단체종목에 참여하는 학생선수에게 많이 나타났다. 둘째, 학생선수의 진로결정 수준은 비인기 종목보다 인기종목의 학생선수에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 · 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의 합리적 유형과 직관적 유형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졌고, 반대로 의존적 유형은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decision type and career decision level on the secondary school athletes. 480 student-athletes are collected using th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from chosen athletes population attending at the secondary school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questionnaires for the career decision type and career decision level are used to collect data, in which the questionnaires had been modified in Korean by Go (1992). The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is study for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re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n-way ANOVA, M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analyses of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obtained: Firstly,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in career decision type among the secondary athletes in the demographical factors. Secondly, there is a little difference in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the demographical factors. Lastly, career decision type for the secondary athletes affects the career decision level.

      • KCI등재

        2022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의 쟁점과 과제에 관한 시론적 탐색

        조용,홍후조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이 연구는 최근 발표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 사항(2021.11.24)이 중학교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비추어 초래할 문제와 쟁점을 살펴보고 나아가 개선 과제를 탐색하여 그 대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주요 사항의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2015 교육과정 운영 경험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이해하였다. 개정 발표에 따르면, 중학교교육과정은 총론적으로 디지털 기초소양과 정보교육 확대, 자유학기와 진로연계학기의 연결,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의 축소, 연 68시간의 학교자율시간 확보와 학교선택과목 개설 확대 등에서 특징을 드러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학교 현장 운영 경험을 반영하는 것이 또 다른 시행착오를 줄일 것으로 본다. 결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디지털이 기초소양이라면 이에 맞게 정보 과목의 부족한 시수로부터 같은 교과(군)에 속한 과학, 기술 과목이 정보교육의 역할을 분담하여 이공계 교과목에 정보 교육내용을 다수 포함하고, 기술과 가정 교과 분리하여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인공지능, 메이커 등 IT 융합 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코로나와 겹쳐 학력저하 등을 초래하는 1학년의 자유학기(학년)제를 아예 폐지하고 실질적인 진로지도가 교과 안(속)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3학년 2학기에 진로연계교육를 제대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활동을 포함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의 체육형 클럽활동 등을 여러 곳에 분산하기보다 ‘체육’과 속에 모두 통합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학년당 68시간으로 확보한 학교자율시간의 사용을 활용하여 모든 교과에 적용하기로 한 민주시민교육, 생태전환교육, 노동인권교육이 강제적 주입이나 교화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보이텔스바흐 협약에 맞게 정치시민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유념할 필요가 있다. 결론 따라서 중학교 교육과정 총론 개정은 학교급 목표, 인간상, 핵심역량 등의 중복을 대폭 줄이고, 학교자율시간을 적극 이용해서급락한 기본학력을 끌어올리며, 사실과 과학적 내용을 중심으로 하되, 굳이 논쟁적인 내용은 보이텔스바흐 협약을 도입하여 세뇌와주입을 피하며, 현장의 운영 경험과 지혜를 반영하면 더 나은 개정이 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대한체육회 ‘찾아가는 운동부 진로교육’ 사업에 관한 사례연구

        하희문,이병구 한국체육학회 2022 한국체육학회지 Vol.61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한체육회 ‘찾아가는 운동부 진로교육’ 사업의 교육 수혜자인 학생선수들이 교육을 통해 얻은 변화와 효과들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프로그램 내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사례들을 살펴보는데 있다. 교육적 현상들을 조사·분석하고자 실증적 연구법인 사례연구(Case study)를 적용하여 분석했다. 그리고 해당 교육을 2번 이상 이수한 자들로 총 14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했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 수혜자인 학생선수들은 맞춤형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진학과 진로 측면 모두 결정 과정에서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둘째, 업데이트가 안 된 교육내용과 맥이 끊기는 진행 및 운영방식은 결국 연구참여자의 집중 및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검증된 교육의 효과성을 제외하고 정부기관의 무분별한 중복된 진로교육 사업은 결국 학생들에게 피로감 및 흥미를 저하시켜 사업의 목표와 방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기술적인 문제와 강사의 교재 위주의 일방향적인 수업운영방식은 흐름이 끊기는 효과를 초래해 결국 대한체육회 내부적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대학탁구선수의 진로선택과 대학탁구의 경쟁력강화를 위한 질적 연구 - 2021청두 세계대학경기대회에 참여한 대학대표팀을 대상으로

        이지형,원세림 한국문화융합학회 2024 문화와 융합 Vol.46 No.-

        본 연구는 탁구종목을 중심으로 국제적 수준에서 경쟁력 저하의 원인을 파악하고, 현재 대학탁구의 문제점과 원인,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청두 세계대학경기대회에 국가대표자격으로 참석한 대표선수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그들의 대학입학과정과 대학에서의 선수활동, 세계대학경기대회에서의 경험에 대해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주요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프로로의 진출을 희망했지만, 기량미달 등의 사유로 대학에 진학할 수밖에 없었다. 둘째, 대학 선수로 활동하며 소외된 감정을 느꼈으며, 환경적 요인에 의해 선수로서의 정체성이 희미해졌다. 셋째, 차선책으로 대학에 진학했지만 대학 생활을 통해 선수로서의 기량을 발전시켰다. 넷째, 대학탁구의 경쟁력을 강화와 독자적 시스템 구축으로 진로진출 시 대학선택을 배제하는 현재의 기형적 구조를 타개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causes of the decline in competitiveness at the international level, the current problems of university table tennis, and ways to improve competitiveness, focusing on the sport of table tennis. To this end, 10 representative players who attended the 2021 Chengdu World University Game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the study and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experiences at their universities and competitions. Key findings include First, the participants had hoped to go pro, but were forced to go to college due to inadequate skills. Second, they felt marginalized as college athletes, and their identity as athletes was blurred by environmental factors. Third, they went to college as the next best option, but they developed their skills as players through college life.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college table tennis and establish an independent system to include college as a career o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