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Different Perspectives of Stress Theory and Its Application for Studying Role Changes in Older Adults

        김미령(Mee ryoung Kim) 한국노년학회 2002 한국노년학 Vol.22 No.2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사회적, 심리적 이론의 차이점을 스트레스 과정론(stress process)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사회적 관점의 스트레스이론과 심리적 관점의 스트레스이론의 대표적인 차이는 스트레스원(stressors)과 스트레스의 매개변수(mediators)다. 사회적 스트레스이론의 대표적인 특성은 사회적인 여러 상황을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또는 스트레스의 매개변수로 본다. 사회적 스트레스이론은 역할변화로 인한 스트레스인 역할긴장에 영향을 주는 상황적인 여러 요건들, 즉 연령, 성별, 사회계층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고 이러한 스트레스를 해소 시켜주는 매개체로 사회적 지지와 극복자원을 중요한 요소로 본다. 반면에 스트레스이론의 심리적 접근은 외부의 상황이 어떠하던지 간에 개인이 외부의 요구를 자신이 갖고있는 자원과 비교하여 어떻게 인지하느냐에 따라서 같은 사건을 놓고도 개인에 따라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심리적 스트레스이론의 중요한 점은 개인의 평가나 감정의 성향인 신념, 태도, 동기 등이나 개인이 상황을 어떻게 인지하고 해석하느냐는 것이다. 이와 같이 심리적 스트레스는 개인의 인지과정이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중요한 매개변수라는 것이다. 학자의 관심영역에 따라서 사용하는 이론이 다양하겠지만 노인의 역할변화(role change)로 인한 역할긴장(role strain)은 사회적 역할과 관련된 사회적 요인에 의한 스트레스다. 인간이 사회환경을 떠나서 존재할 수 없고 이러한 역할긴장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사회적 상황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사회적인 스트레스이론에 근거하여 역할긴장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스트레스의 해소방안을 사용할 때 효과적인 스트레스의 분석과 해소가 가능하리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회적인 스트레스이론과 심리적인 스트레스이론을 상호배타적으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In this paper, two different perspectives of stress theory, specifically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are compared. A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studying older adults' role changes, these perspectives are compar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four domains of the stress process-the background and context of stress; the stressors; the mediators of stress; and the outcomes or manifestations of str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of stress lies in what they regard as sources of stress and mediators of stress. Sociological theoris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social context both as a source and as a mediator of stress. Also, they emphasize role strains as important sources of stress. On the other hand, psychological stress theorists emphasize predispositions as a major factor influencing individuals' cognitive appraisals or how people perceive and interpret a situa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every theory has its limitations, the sociological stress model may be more appropriate for studying the stress of role change in older adults because role strains are directly related to social context. However, the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theories cannot be treated as mutually exclusive.

      • KCI등재

        청소년 태권도선수의 스트레스와 운동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과 자율성 지지의 효과검증

        한용식 ( Han Yong-sik ),양명환 ( Yang Myung-hwan ) 대한무도학회 2018 대한무도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태권도선수의 스트레스와 운동 탈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및 자율성 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자율성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지 여부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1에서는 중학교 태권도선수 248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자율성 지지, 자아탄력성 및 운동 탈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트레스는 운동 탈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스트레스는 자율성 지지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율성 지지는 운동 탈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고, 자아탄력성은 운동 탈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자율성 지지는 스트레스와 운동 탈진의 관계에 부(-)의 간접효과를 유발했으며,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와 운동 탈진의 관계에 부(-)의 간접영향을 미쳤다. 연구 2에서는 고등학교 태권도선수 255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운동 탈진 및 코치의 자율성 지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스트레스는 운동 탈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었고, 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운동 탈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탄력성은 스트레스와 운동 탈진의 관계에서 정(+)의 간접효과를 미쳤다. 넷째, 스트레스와 운동 탈진의 관계를 매개하는 자아탄력성의 조건부 간접효과는 코치의 자율성지지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support and ego-resilience in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athlete burnout among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individual Taekwondo players, and whether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s moderated by the level of autonomy support. In research 1, middle school Taekwondo athletes(n=248) completed stress, autonomy support, ego-resilience and athlete burnout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res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thletic burnout, and stress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autonomy support. Second, stress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ego-resilience, and autonomy support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athlete burnout. Third, ego-resilience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athlete burnout. Fourth, autonomy support had negative indirect effect in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athlete burnout, ego-resilience had negative indirect effect in relations between stress and athlete burnout. In research 2, high school Taekwondo athletes(n=255) completed stress, ego-resilience, athlete burnout and coach’s autonomy suppor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8.0 and PROCESS Macro.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tress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athlete burnout, and stress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ego-resilience. Second, ego-resilience had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athlete burnout. Third, stress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athlete burnout via ego-resilience. Fourth,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ego-elasticity effect on medi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athlete burnout varied by the level of coaches’autonomy support.

      • KCI등재후보

        간호사의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강미정(Mi Jung Kang),하양숙(Yang Sook Hah) 대한스트레스학회 2010 스트레스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성격유형 검사를 통하여 간호사의 성격 유형과 직무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도구는 한국형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 검사도구와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 스트레스 대처방식 측정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총 368부의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program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간호사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살펴보면, 조정자형인 9형이(n=172, 46.7%)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개혁가인 1형(n=61, 16.6%), 조력가인 2형(n=39, 10.6%)순으로 나왔으며 도전자인 8형이(n=9, 2.4%) 가장 적게 나타났다. 대형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이 단순히 환자만을 돌보는 것이 아니라 보호자 및 의사와의 관계, 간호부 내의 상하관계, 타 부서와의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하므로 원만한 인간관계가 요구될 뿐 아니라 중증도가 높은 환자들을 간호하기 때문에 응급 대처 능력이 뛰어나야 하며 고도의 스트레스에 잘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자신을 내세우기 보다는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고 가급적 갈등이나 긴장을 피하고자 노력하는 평화주의자이며 마음이 넓고 인내심이 강한 편인 9형 유형이 많은 것으로 사료된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직무스트레스는 4형이 2.7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7형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나(2.51)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전체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하부영역별로 보면, ‘전문직으로서의 갈등’ 영역과 ‘대인관계갈등’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충성가인 6형을 제외한 모든 유형에서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그 다음 순서대로 문제중심적 대처, 소망적 사고, 정서적 완화 추구의 순서로 대처하였다. 6형의 경우는 사회적 지지 추구 다음으로 소망적 사고, 문제 중심적 대처, 정서적 완화추구를 사용하였다. 하부영역을 살펴보면 ‘정서 완화적 대처’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F=2.81, p=0.00). 본 연구는 간호업무 현장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간호사들의 자기 이해를 통한 원만한 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에니어그램 워크샵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justify the relationship among personality structure and job stress and stress coping skill of nurses at a hospital. Testing tools were Enneagram Korean version, tool of measuring job stress and tool of measuring stress coping skill. This research was carried on the 403 nurses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Hospital located in Seoul, Korea. 368 survey sheets were obtained and analyzed by using SPSS Win 12.0.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 First, in the result of the inventory of the Enneagram personality of nurses, 9th type, The Meditator (n=172, 46.7%) was the largest, and 1st type, The Reformer (n=61, 16.6%) and 2nd type, The Helper (n=9, 2.4%) were next, and the 8th, The Challenger (n=9, 2.4%) was the least. According to enneagram personality, 4th type, The Individualist reported the highest job stress (2.79 point) and 7th type, The Enthusiast reported the lowest job stress (2.51 point). But we foun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Enneagram personality and job stress. In job stress"s subtyp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conflict in roles as specialists" and the "conflic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participant using the "seek social support" as a stress coping skill, the "problem-focused coping" style was the second to come, the "wishful though"t was third, and the "emotion-focused coping" style was the last. 6th type, The Loyalist, was exceptionally using the "seek social support" as a coping skill mostly, but the "wishful thought" was second, and the "problem-focused" and "emotion-focused" was the next. (Korean J Str Res 2010;18:1∼10)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

        이영란,김선희,주민선 한국간호교육학회 2013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19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stress, stress coping, and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Myers-Briggs type indicator(MBTI) personality type in freshmen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 sectional survey an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67 freshmen nursing students by means of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from March 3 to 30, 2012.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on SPSS win 18.0. Results: 16 personality types were all seen in this study participa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stress coping, and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4 functions and 4 temperaments of MBTI. Conclusion: Nursing students show various personality types and we need to understand their diversity and reflect it to a school curriculum o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urther study is requir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self-understanding program on stress management and school adaptation.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MBTI 유형은 16가지 유형 중 한국인의 대표적인 성격유형인 ISTJ가 가장 많았고 전체적으로는 외향형(E)이 내향형(I) 보다 많았다. 연구 대상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6.42점이었고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는 적극적 대처와 소극적 대처에 대한 의존도가 유사하였다. 학교적응은 76.52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서는 연령, 경제상태, 학교생활 만족도,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스트레스 정도,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적응의 차이가 나타났다. MBTI의 4가지 심리기능유형과 4가지 심리기질유형에 따른 스트레스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학교적응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는 일 간호대학 신입생의 자료에 근거한 것이므로 일반화하기 어려우며 향후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한 전국적 단위의 MBTI 성격유형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제언한다.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정도나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교적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정서지능, 우울 등과 같은 변수들을 포함시키지 않았는데 향후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연구가 진행되도록 제언한다. 또한, MBTI 성격유형이 동일하더라도 발현되는 특성이 다양할 수 있으므로 자기이해프로그램을 개발 ․ 운영하고 프로그램시행 전후의 학생 개개인의 스트레스 대처와 학교적응 변화양상을 연구하도록 제언한다.

      • KCI등재후보

        Various Types of Stress Deteriorate Spatial Memory through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in the Hippocampus of Rats

        Jee-Sang Yoon,Hyung-Hwan Baik,Su-Shin Lee,Yu-Mi Heo,Bo-Kyun Kim,Mal-Soon Shin,Sang-Won Lee,Chang-Ju Kim 대한스트레스학회 2011 스트레스硏究 Vol.19 No.3

        스트레스는 항상성과 체내 균형을 교란시키는 물리적, 생리적, 그리고 정신적 변화를 의미한다. 스트레스는 우울증, 뇌졸중, 그리고 알쯔하이머 병 등 여러 뇌 질환을 유발 시키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해마는 스트레스에 민감한 뇌의 부위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속 스트레스, 소음 스트레스, 그리고 추위 스트레스 등 여러 종류의 스트레스가 공간기억과 해마에서의 세포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8-arm maze test, 면역조직화학법, 그리고 웨스턴 블롯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스트레스는 하루 1시간씩 2회, 10일간 적용하였다. 본 실험결과 구속 스트레스, 소음 스트레스, 그리고 추위 스트레스는 공간기억을 감소시켰다. 또한 구속 스트레스, 소음 스트레스, 그리고 추위 스트레스는 해마에서의 신경세포 생성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스트레스의 작용은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와 tyrosine kinase receptor B (TrkB)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일어났다. 본 실험을 통하여 구속 스트레스, 소음 스트레스, 그리고 추위 스트레스 모두 신경세포의 생성을 억제하여 기억력 감퇴를 유발시킴을 알 수 있었다. 이 세가지 스트레스 중 신경세포생성을 억제하고 공간기억력을 감퇴시키는 작용은 구속 스트레스>소음 스트레스>추위 스트레스의 순으로 나타났다. Stress is defined as physical,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modifications that disrupt the homeostasis and internal balance of the body. Stress is closely associated with neuronal changes such as impaired neurogenesis, neuronal atrophy, and neuronal apoptosis in the hippocampu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various types of stress (restraint stress, noise stress, cold stress) on spatial memory, cell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and its receptor tyrosine kinase B (TrkB) in the hippocampus of rats. The rats in the restraint stress group were restrained in a transparent cylinder. The rats in the noise stress group were exposed to a 120 dB supersonic machine sound. The rats in the cold stress group were exposed to a cold chamber at 4˚C. The rats in the control group were left undisturbed. Application of each stress was conducted for 60 min 2 times a day, and continued for 10 days. In the present results, all three types of stress induced spatial memory impairment. All three types of stress suppressed cell proliferation and inhibited expression of BDNF and TrkB in the hippocampus. The strength of the deteriorating and suppressing effects of stresses had the following rank order: restraint stress>noise stress> cold stress. Thus, impairment of spatial memory by stresses may be due to the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through suppressing BDNF expression in the hippocampus. (Korean J Str Res 2011;19:243∼251)

      • KCI등재

        일선경찰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실증분석

        우제태(Woo Je Tae) 한국공안행정학회 2007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16 No.2

        In any organization, there must be troubles between the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because of the gap between the purpose of the organization and the members' desires. The troubles give stresses both to the organization and to the members. Those stresses that the members receive from their work not only injure their health but also cause a great deal of loss such as falling-off in work-satisfaction, lowering of productivity and increase of nonattendance and leaving rate. Stresses, however, do not always make matters worse. Some stresses of appropriate level may result in good results. It becomes very important to manage the stresses that the members experience in their work life. In this thesis, the correlates between the work-stresses and job-satisfaction of the Police are positively analyzed. They are most important factors both for the members and for the whole organization. The sex, age, working place, academic background, period of service and rank are analyzed. The six background variables giv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to the work-stress that i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o the subordinate job-satisfaction. Work-stresses, however, give direct influence to job-satisfaction. An analyzing model was composed and it was examined statistically on the basis of index made of the six variables. Among the six background variables, only the three of sex, age, and serving period gave direct influence to work-stress. The three variables, however, did not have any direct effect on job-satisfaction but had indirect effect on it through the work-stress. Job-satisfaction was affected directly by the work-stress at the size of -0.186. The longer their serving period is and the older they are, the more stress they receive. Policewomen feel more stressful than policemen. These kinds of work-stress reduce their job-satisfaction. The followings are the points that must be considered to relieve the three variables that give direct influence on work-stress and increase job-satisfaction. Firstly, political and systematic concern must be had on policewomen. The police organization that has been run mostly by policemen should be changed to the one of information society so that policewomen reduce their work-stress and increase their job-satisfaction. Secondly, the schemes for the aged members whose serving period is long to reduce their work-stress and increase their job-satisfaction should be laid out.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older they are, the more difficult it is for them to meet the fast changes of the organization environment. The opportunities of learning and training for easy management should be given to the aged members of the police. 이 논문은 조직구성원은 물론 조직 전체의 삶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이 일선경찰조직에서 어떤 관계를 갖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먼저 배경변인으로서 일선경찰의 성별, 나이, 근무처, 학력, 근무기간, 계급이라는 여섯 가지 변인이 독립변인인 직무스트레스와 종속변인인 직무만족에 직접 ·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한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모형을 구성한 다음에 이들 변인들을 조작화한 척도를 사용해 분석모형을 통계적으로 검증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어냈다. 배경변인 가운데 성별(-0.237), 나이(0.351), 근무기간(0.346)이라는 세 가지 변인만이 직무스트레스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그 세 변인도 직무만족에는 직접 영향을 주지 않고 직무스트레스를 통해 간접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0.186의 크기로 직무만족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근무기간이 길면 길수록 직무에 대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나이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리고 남성경찰보다는 여성경찰일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는 다시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일선경찰들이 직무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만큼 직무에 대한 만족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직무스트레스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변인을 완화시켜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무엇보다 먼저 일선 경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는 여성경찰에 대한 정책적 · 제도적 배려가 있어야 한다. 이제까지 업무의 속성상 여성경찰보다는 남성경찰 위주로 운영되던 조직을 정보사회라는 시대 변화에 맞는 조직으로 바꿈으로써 여성경찰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나이가 많고, 근무기간이 긴 경찰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된다. 나이가 많은 경찰일수록 급변하는 조직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하기가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들이 조직 환경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 등의 지원활동을 마련해야 한다.

      • KCI등재

        한국인 성인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생화학적 요인 분석 연구

        이범주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스트레스는 건강에 대한 매우 일반적인 위험요소이며 내분비선 및 면역체계와 연관성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스트레스와 생화학적 요인에 대한 연관성 연구는 일부 진행되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스트레스와 생화학적 인덱 스사이에서의 연관성관련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인구학적 정 보 및 생화학적 인덱스에 대한 연관성을 분석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위험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binary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스트레스군과 정상군을 분석하였다. 남녀 모두에서 나이와 주중 하루평균 수 면시간이 스트레스와 연관성이 매우 높았고, 우울증 점수(Patient Health Questionnaire-9)도 스트레스와 매우 높은 연관성을 보였다. 여성에서는 백혈구 수치가 스트레스와 매우 연관성이 높았고, 남성에서는 적혈구 수치가 스트 레스와 유의성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스트레스 예방 및 국민건강에 기여할 것이다. Stress is a common risk factor for health and is associated with the endocrine gland and immune system.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biochemical factors have been conducted worldwide, but studies on the association have been rare in South Korea. Therefor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stress with demographic information and biochemical factors for domestic adults and derive risk factors for stress. For data analysis, stress and normal groups were analyzed using binary logistic regression. In both men and women, age and average daily sleep time during the weekday were highly associated with stress, and the depression scor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was also highly related with stress. In women, white blood cell level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stress, and in men, red blood cell levels were highly related with stress.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stress and the national health in the future.

      • KCI등재

        서비스노동 유형별 직무스트레스의 발생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이병훈(Byoung-Hoon Lee),이상호(Sang-Ho Lee)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1 産業關係硏究 Vol.21 No.1

        이 연구에서는 일하는 사람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소재 삼아 서비스노동의 특성을 판독하기 위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리 연구에서는 서비스노동의 이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직무스트레스의 인과메커니즘이 상이한 서비스부문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서비스노동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기존 연구에서 주되게 검토되어 온 서비스노동자 개인수준의 직무 요인들(감정노동, 고객 관계, 작업장 사회적 관계, 그리고 직무통제)과 사업체 수준의 서비스노동 유형 범주로 구성된 다층회귀분석모형을 활용하여 직무스트레스의 인과관계를 시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주목할 만한 분석 결과로서 우선 서비스노동자들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해 감정노동와 감정조화, 회사-고객의 이해충돌 및 고객요구 충족, 업무 영향력과 기술활용 능력이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직무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특히 이들 직무변인이 서비스노동의 특성범주 및 업종-직종에 관계없이 일관되게 스트레스의 영향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는바, 서비스부문 전반에 걸쳐 이들 직무변인의 스트레스효과를 이론화할 수 있는 경험적 토대를 마련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가시적인 가치 생산의 유형서비스보다 비가시적인 가치창출의 무형서비스가, 그리고 고객의 물품을 취급-관리하는 대물서비스보다 고객을 직접 상대하는 대인서비스가 직무스트레스를 크게 강화한다는 점이 드러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이질적인 서비스부문별로 노동과정의 특성이 상이한 만큼 직무스트레스 등과 같은 노동자들의 심리적 태도와 행위지향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인과메커니즘 역시 서로 다르다는 점을 확인케 된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를 연구 소재로 활용하여 서비스부문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이라 하더라도 그 직무수행의 세부적 특성에 따라 그들이 경험하는 노동과정이 매우 상이할 수 있고, 그 결과로써 그들의 직무태도와 삶의 질이 크게 다를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of service work by focusing upon job stress of service workers. Our study empirically analyzes how causal mechanism of job stress functions in different service sub-sector, by taking the diversified characteristics of service work into account. In particular, this study applies a multi-level regression model, comprised of job factors at the personal level of service workers, such as emotional labor, customer relations, workplace relations, and job control, and the type of service work at the establishment level. A notable finding is that the significant job factors influencing service workers' job stress are emotional labor, emotional harmony, interest conflicts between employers and customers, satisfaction of customer demand, job control, and technical capability. In light that these job factors are consistently significant regardless of service work types and occupational-sectoral categories, the stress effect of those job factors are re-affirmed across the entire service industry. Another finding is that intangible service work is more stressful than tangible service work, while people-targeted service work is than object-targeted work. This finding demonstrates that causal mechanism of worker attitude, like job stress, differs due to the different nature of labor process across service sub-sectors. Thus, this study, examining different causal mechanism of job stress, concludes that service workers are located under different labor processes across distinct sub-sectors, and, as a consequence, their work attitude and working quality could be different to a certain extent.

      • KCI등재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왕은자,전민아,홍희정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5

        The study synthesiz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selecting 34 articles that verified the effects of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in the domestic workplace.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meta-analysis was used. The investigation of the 212 effect sizes calculated in the study summarizes that the average effect size of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targeting workers is 0.921, which is significantly large. The effect size of stress management program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 way to proceed, and programming structure. When classifying the program into the counseling and the psychoeducational program versus the allopathic approach, the effect size of the allopathic approach was significantly large. Additionally, when the counseling and the psychoeducational program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eoretical approach, the effect size differed significantly.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stressor,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reaction, self-evaluation, and mediation variables showed a large effect size, the attitude toward job showed a medium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at work with regard to the enhancement factors (the coping styles and the resources,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job, self-evaluation) and the diminution factors (stress response, stressor, the negative attitude toward job), the effect size of the enhancement factors is 0.820, and that of the diminution factors is 0.954. Also, to analyze the heterogeneity of effect sizes of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the moderating effect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Meta-ANOVA. The result is meaningful in the fact that it provides informations to develop stress management programs and improve the operation proces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further research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된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한 34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 방법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종합하였다. 논문에서 산출한 212개의 효과크기를 종합한 결과 직장인 대상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는 0.921로 상당히 크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참여자 특성, 프로그램 진행방식 및 프로그램 구성 등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프로그램의 구성논리에서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보다 대증적 접근의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접근에 따라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종속변인인 스트레스원, 생리적 및 심리적 스트레스 반응, 자기평가, 대처방식 및 자원, 매개변인 등에서는 높은 효과크기를 직무관련 태도는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직장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종속변인을 증진요인(대처방식 및 자원, 직무관련 긍정적 태도, 자기평가)과 감소요인(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원, 직무관련 부정적 태도)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증진요인에서의 효과크기는 0.820, 감소요인에서의 효과크기는 0.954로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증진요인과 감소요인에 미치는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분석하기 위해 메타 ANOVA를 활용하여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과정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학업성취도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 : 학업자아개념의 조절효과

        상효경(Xiao Qing Xiang),이용남(Yong 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2 교육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재한 중국유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업자아개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00대학교 중국유학생 221명에게 학업스트레스 척도, 학업자아개념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는데,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상관성이 없었다. 즉, 학업스트레스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학업성취도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적절한 스트레스는 학업성취도와 상관성이 있고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줄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도와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성적스트레스, 시험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 각자의 관계에서 학업성취자아개념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학업성취도와 학업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시험스트레스, 수업스트레스, 공부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업능력자아개념이 조절효과를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Chinese students` academic self-concept i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tress. Two hundred and twenty one Chines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academic Stress Scale and the academic Self-concept Scale Te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er academic self-concept was, th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became. However, there is no linear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tress. Seco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moderating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self-concept on the rel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record stress, examin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and examination stress, lesson stress and study stress were found. Those with high academic self-concept showed lower students` academic stress. This means that in the relation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tress, academic self-concept play an important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