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스키리조트 인식 연구

        이재문(LeeJae-moon),이정학(LeeJeoung-hak),김민준(KimMin-jun) 한국체육학회 2017 한국체육학회지 Vol.56 No.4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스키리조트 방문객들의 스키리조트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네이버(naver)와 다음(daum)에서 제공하는 블로그를 분석채널로 선정하였으며, 빅데이터 자료검색을 위한 키워드는‘스키리조트‘를 주제어로 상위 6개의 스키리조트를 추출하였다. 자료 분석 기간은 2014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2년간의 기간으로 한정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위해서 소셜 메트릭스 프로그램인 텍스톰(Textom)을 통해 빈도 및메트릭스 데이터를 추출하였고, Ucinet6를 사용하여 단어들 간 연결 구조와 연결정도 중심성을 분석하여 관계의 정도를계량화 하였다. 시각화를 위해 Ucinet6의 넷드로(NetDraw)기능을 이용하여 키워드와 관련된 단어들 사이의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또한 유사성을 가진 단어들이 형성하는 군집을 도출하기 위해 CONCOR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행’, ‘가족’, ‘맛집’ 등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다양한 키워드가 추출되었고, 이를 통해 각 스키리조트에 대한 소비자들의인식과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연결정도 중심섬 분석결과 키워드 공출현 빈도분석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이면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CONCOR분석 결과 대그룹 19개, 소그룹 8개 총 27개의 그룹이 생성되었고, 특히가장 많이 형성된 그룹으로는 동행인(가족, 친구), 숙박, 여행, 맛집으로 나타나면서 각 스키리조트마다의 개성을 확인 할수 있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awareness of ski resort visitors by using big data of social media. To do this, blogs supplied by Naver and Daum were selected as analysis channels and top 6 ski resorts were extracted as through big data analysis with a keyword of ‘ski resort’ for data research. The period of data analysis was limited for 2 years from January 1, 2014 to December 31, 2015. For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frequency and matrix data were extracted through a social matrix program of Textom. by using Ucinet6, the link structure between words was identified and the centrality of connectivity degree was analyzed to quantify the degree of relationship. NetDraw function of Ucinet6 was used to visualize the network between words related to the keyword. In addition, CONCOR analysis was performed to derive clusters formed by words with similarity.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various keywords recognized by consumers such as 'travel', 'family', and ‘restaurant' were extracted, which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consumers' perceptions and trends in each ski resort. Second, the analysis of the centrality of connectivity degree showed no big difference from the similar result of the frequency analysis. Third,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totally 27 groups of 19 big groups and 8 small groups were formed. In particular, it was revealed that groups of companions(family, friends), accommodation, travel, and restaurant were most frequently formed among them and characteristics of each ski resort was identified.

      • KCI등재

        대학생의 스키용품 구매 시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박우제(Park, Wooje),진대근(Jin, Daegeun),조송현(Cho, Songhyun)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21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대학생의 스키용품 구매 시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성취도 분석을 통해 개선이 필요한 항목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향후 스키용품 관련업체들의 효율적 마케팅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대학스키연맹 소속 33개 대학의 스키부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표집방법은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총 319명을 표집하였다. 이 중 불성실한 응답으로 판단되는 30명의 자료를 제외한 289명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계수 산출, 대응표본 t -test, IPA를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절차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키용품 구매 시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 순위를 분석한 결과, ‘안정성’, ‘기술구사 용이성’, ‘편안함’, ‘무게’, ‘가격대비 가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성취도는 ‘수입 브랜드’, ‘브랜드 인지도’, ‘안전성’, ‘고급 브랜드’, ‘대회협찬 브랜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키용품 구매 시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성취도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디자인 요인의 ‘모양’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가격, 기능, 디자인 요인의 모든 문항은 중요도보다 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요인의 모든 문항은 중요도보다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키용품 구매 시 선택속성에 대한 IPA 결과, Ⅰ사분면은 ‘편안함’, ‘소재 구성요소’, ‘안정성’ 등 8개 문항이 포함되었으며, Ⅱ사분면에는 ‘A/S 용이성’, ‘A/S 무상 여부’, ‘A/S 전문성’ 등 7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Ⅲ사분면에는 ‘A/S 접근성’, ‘A/S 기간’ 등 2개 문항이 포함되었으며, Ⅳ 사분면에는 ‘고급 브랜드’, ‘유행 브랜드’, ‘수입 브랜드’ 등 5개 문항이 포함되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establish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for ski product-related companies in the future by prioritizing items that need improvement through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ection attributes in ski product purchase. For this purpose, the members of the ski club of 33 universities belonging to the Korea University Ski Federation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a total of 319 people were sele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s. Among them, 289 data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excluding those of 30 people who were judged to have been unfaithful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s to analyz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calculation, paired sample t -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findings show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 ranking of selection properties when purchasing ski goods, it was found that ‘stability,’ ‘easy to use technology,’ ‘comfortable,’ ‘weight’ and ‘value-to-value’ followed by ‘import brand,’ ‘brand awareness,’ ‘safety,’ ‘high-end brand’ and ‘competition sponsorship brand.’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achievement of the optional property when purchasing ski produc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questions except the ‘look’ of design factors. Third, In the Ⅰ quadrant, eight items were included, including ‘comfort,’ ‘material composition,’ and ‘stability,’ In the Ⅱ quadrant, seven items were included, including ‘A/S service ease of use,’ ‘A/S professionalism,’ ‘low price.’ In the Ⅲ quadrant, two items were included, including ‘A/S service accessibility,’ ‘A/S service period,’ In the Ⅳ quadrant, five items were included, including ‘luxury brand,’ ‘trendy brand,’ ‘imported brand.’

      • KCI등재

        Meta - Analysis를 통한 스키 리조트의 서비스품질 연구의 효과 크기분석

        최용성 ( Yongsung Choi ),김현덕 ( Hyunduck Ki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5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0 No.5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스키리조트 서비스품질 연구의 하위 요인과 만족, 재방문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스키리조트 서비스 품질 하위요인과 지각된 요인간의 만족, 재방문의 상관관계 수치가 적용된 랜덤효과를 분석 하였으며, 구체적인 자료처리에는 메타분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인 Comprehensive Meta Analysis Version2(CMA)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키 리조트에서 서비스 품질 연구들에 보고된 서비스 품질 요인들이 만족 효과 크기(95% CI [0.37, 0.48] ES=.0.427) 및 재방문 효과 크기(95% CI [0.37, 0.48] ES=.0.412)는 전반적으로 큰 수준이었으며 만족 및 재방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둘째, 스키 리조트에서 서비스 품질 하위요인과 만족의 효과 크기는 신뢰성(95% CI [0.27, 0.58] ES=.436)이 가장 큰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유형성, 보장성, 공감성, 반응성의 순서로 분석 되었다. 셋째, 스키 리조트에서 서비스 품질 하위요인과 재방문의 효과 크기는 반응성(95% CI [0.14, 0.73] ES=.0.487)이 가장 큰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유형성, 보장성, 신뢰성, 공감성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at ski resorts and their effects on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through meta-analysis methodology utilizing the Comprehensive Meta Analysis Version 2(CMA) software package to process the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rvice quality factor overall had a high effect level an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95% CI [0.37, 0.48] ES=.0.427) and repeat visits 95% CI [0.37, 0.48] ES=.0.412). Second, in terms of the effect size by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on satisfaction, the sub-factor of reliability was highest (95% CI [0.27, 0.58] ES=.436), followed by tangibility, assurance, empathy, and responsiveness. Third, in terms of the effect size regarding the sub-factors of service quality on repeat visits, the sub-factor of responsiveness was highest (95% CI [0.14, 0.73] ES=.0.487), followed by tangibility, assurance, reliability, and empathy.

      • KCI등재

        인문사회 :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스키리조트 선택요인 분석

        황선환 ( Sun Hwan Hwang ),원도연 ( Do Yeon Won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8 체육과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스키에 대한 전문화 수준이 스키장 선택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7년 서울·경기 지역의 6개 대학교에서 교양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258부의 유효한 설문지가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이중 223명이 스키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방법으로는 컨조인트 분석, 군집분석, t-검정이 이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키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이 스키리조트를 선택할 때 설질 상태(32.58%)를 가장 중요한 선택요인으로 고려하고 있고, 그 다음으로 리프트 대기시간(18.31%), 이동시간(16.79%), 1인당 비용(16.71%), 슬로프 숫자(15.60%)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낮은 집단의 중요도는 설질 상태, 비용, 리프트 대기시간, 이동시간, 슬로프 숫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높은 집단은 설질 상태, 리프트 대기시간, 이동시간, 슬로프 숫자, 비용 순으로 중요도를 나타냈다. 셋째,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른 스키리조트 선택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1인당 비용 요인은 p<.01 수준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비용을 더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질 상태 요인은 p<.01 수준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설질 상태를 더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슬로프 숫자, 이동시간, 리프트 대기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 set of five ski destination attributes to college skiers and snowboarders of differing recreation specialization level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58 college students taking elective courses at six universities in Seoul- Kyungki. Participants were queried to establish their specialization level in skiing or snowboarding and then asked to evaluate 12 hypothetical ski resort scenarios to implicitly express their choice preferences. The overall results of the aggregated conjoint analysis revealed that snow quality was the most important choice factor (32.58%), followed by lift wait time (18.31%), travel hour (16.79%), daily expense (16.71%), and the number of ski lifts (15.60%).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ki/snowboard specialization on these choice factors, three groups were formed based on ski/snowboard experience (non-skier group) and cluster analysis (less and more specialized groups). The sub-group level conjoi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all factors largely depended on recreation specialization. The subsequent t-test foun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among the two specialization groups in terms of `snow quality` and `daily expense`.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wider application of conjoint analysis and recreation specialization can help ski destination managers better understand their sport consumer preferences and behaviors.

      • KCI등재

        스포츠지도자의 국제화 방안 연구: 스키지도자 직무 분석을 중심으로

        유호,김지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7

        The principal aim of this investigation is to provide the importance, frequency, and weight of importance of the main tasks that address globalization. To effectively do so, Kim and Yoo (2015)'s job analysis results were integrated within a questionnaire and had forty-nine ski instructors respond to two aspects: importance and the frequency of tasks. It was evident from the responses that ski instructors placed prioritization on the idea of self-development, skill improvement, and specialized knowledge. However, areas of globalization such as getting international license related to ski,’ ‘refresher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sharing information with foreign skiers,’ and ‘understanding international ski matches' have shown a low ranking in all of the factors regarding importance, frequency, and the weight of importance. Therefore, from these results, it was evident that the adoption of globalization is not effective. As a method of preventing such lack of efficiency and progression, the jobs pertaining to ski instructors could address the need of responding to the societal changes and requirements. 본 연구에서는 영어교육을 염두에 두고 직무분석을 수행한 김지은과 유호(2015)에서 도출된 임무와 과업에 대하여, 이들의 연구와는 달리 영어교육 측면 뿐 아니라 전반적인 관점에서, 특히 국제화 부분에서 스키지도자들을 대상으로 검증하고, 중요도와 빈도, 중요지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49명의 스키 지도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의 중요도와 빈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중요지수를 계산하였다. 주요 결과를 분석해 보면, 최근의 스키지도자들은 기술의 지도 뿐 만 아니라 기술향상이나 스키전문지식 학습 등의 자기계발 임무에 대하여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도 국제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국제 스키관련 자격증 취득,’ ‘외국에서의 교육,’ ‘외국인 스키어지도자와 정보교류,’ ‘국제 스키경기 이해’의 중요도와 빈도, 중요지수는 비교적 낮았고 이는 아직도 직무의 국제화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따라서 스키의 국제화를 위해서는 스키지도자들의 직무도 시대의 요구와 변화에 따른 수정보완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스키와 스노보드 이용 고객의 스키장 이용 행태 기반 세분화

        김영두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7

        스키장은 스키 이용 고객뿐 아니라 스노보드 이용 고객이 함께 활동을 하는 장소이다. 스키어와 스노보더는 스키장을 이용한다는 공통점이 있는 반면 활동 측면에서는 서로 다른 행태를 보이기도 한다. 따라서 스키장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함께 이용하는 스키어와 스노보더에게 최적화된 스키장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스키어와 스노보더의 스키장 이용 행태를 함께 고려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스키어와 스노보더의 이용 행태를 스키장을 중심으로 함께 고려하여 살펴본 연구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스키어와 스노보더가 스키장을 함께 이용할 때 이들의 스키장 시설 이용 최적화를 도모하고자 스키와 스노보드 이용 행태를 기반으로 한 스키장 이용자 세분화를 시도해 보았으며, 스키어, 스노보더 그리고 스키와 스노보드를 함께 즐기는 고객 간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키와 스노보드를 중심으로 고객을 세분화해 본 결과 세분 집단은 3개 집단, 즉 스키 위주의 이용자 집단, 스노우보드 위주의 이용자 집단, 스키와 스노우보드 함께 이용하는 집단으로 세분화가 되었다. 둘째, 세분화 집단 간에는 스키장 규모 및 시설, 슬로프 및 리프트 이용, 스키 대여 및 리프트 이용 가격에 대한 지각에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각 세분화 집단 간에는 연령, 월 소득, 혼인 여부 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에서 발견된 사항이 스키장 경영에 시사하는 바를 기술해 놓았다. The ski center is a place where not only skiers but also snowboarders do activities. While skiers and snowboarders have in common that they use ski center, but they show different behaviors in terms of activities. Therefore, in order to provide an optimized ski center experience for skiers and snowboarders who share a limited space (ski center), the behavior of skiers and snowboarders must be considered together. However, there seems to be few existing studies that have considered both skiers and snowboarders’ activities of ski center. This study attemped to segment ski center users based on the behavior of skiers and snowboarders using the ski center in order to optimize the use of the ski center by skiers and snowboarder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kiers, snowboarders, and customers who enjoy skiing and snowboarding tog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ttempting customer segmentation by considering skiers and snowboarders together, it was clustered into three groups; ski-oriented user group, snowboard-oriented user group and ski and snowboard user group.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clustered groups in perceptions of the size and facilities of the ski center, the use of slopes and lifts, and the price of ski/snowboard rentals and lif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age, monthly income, and marital status among clustered groups. The findings have described the implications for ski center management.

      • KCI등재

        Kinematic Analysis of Skiing with Different 2 Type of Ski Simulator

        이효택,노효련,허보섭,김용재 한국사회체육학회 201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8

        본 연구는 두 가지 시뮬레이터에서 스키 동작 시 스키어의 하지 관절각 변화와 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시뮬레이터에서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자세를 유지하며, 관절의 가동범위와 주동근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한스키지도자협회 지도자 자격을 소지하고 있는 남성 8명으로 선정하였다. 각 구간별 스키 동작의 소요시간, 하지관절각의 변화, 근활성도를 산출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시뮬레이터에서의 스키 동작 시 스키어스에지에 비해 오랜 시간 스키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를 나타냈다. 둘째, 하지 관절각을 살펴보면, 최초 준비자세 E1, 좌측 최대구간 E2 그리고 우측 최대구간 E4에서 유의한 차를 보였으며, 스키어스에지 보다 프로시뮬레이터에서 더 큰 변화폭을 보였다. 셋째, 하지 근활성도의 경우 프로시뮬레이터에서 대퇴직근(p< .001), 대퇴이두근(p< .001), 전경골근(p<. 05), 및 비복근(p< .001)로 %MVIC 값이 높게 나타났다. 대다수의 피험자들이 프로시뮬레이터에서의 스키 동작 시 더 큰 %MVIC 값을 유지하며 동작을 반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키시뮬레이터에서의 스키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양발의 스키 수행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최대한 굴곡 시킨 후 빠르게 신전시키는 능력이 요구된다. 하지만 스키기술 수준에 따라 개별성의 차이가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에서는 숙련자의 경우 프로시뮬레이터, 비숙련자의 경우 스키어스에지의 운동 수행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 본 연구와 관련하여 부상 예방을 위한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 및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동작을 가져갈 수 있기 위한 부가적인 조절장치의 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Kinematic Analysis of Skiing with Different 2 Type of Ski Simulator

        Lee, Hyo-Taek(이효택),Roh, Hyo-Lyun(노효련),Heo, Bo-Seob(허보섭),Kim, Yong-Jae(김용재) 한국사회체육학회 2014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8

        본 연구는 두 가지 시뮬레이터에서 스키 동작 시 스키어의 하지 관절각 변화와 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시뮬레이터에서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자세를 유지하며, 관절의 가동범위와 주동근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대한스키지도자협회 지도자 자격을 소지하고 있는 남성 8명으로 선정하였다. 각 구간별 스키 동작의 소요시간, 하지관절각의 변화, 근활성도를 산출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시뮬레이터에서의 스키 동작 시 스키어스에지에 비해 오랜 시간 스키 동작을 수행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를 나타냈다. 둘째, 하지 관절각을 살펴보면, 최초 준비자세 E1, 좌측 최대구간 E2 그리고 우측 최대구간 E4에서 유의한 차를 보였으며, 스키어스에지 보다 프로시뮬레이터에서 더 큰 변화폭을 보였다. 셋째, 하지 근활성도의 경우 프로시뮬레이터에서 대퇴직근(p< .001), 대퇴이두근(p< .001), 전경골근(p<.05), 및 비복근(p< .001)로 %MVIC 값이 높게 나타났다. 대다수의 피험자들이 프로시뮬레이터에서의 스키 동작시 더 큰 %MVIC 값을 유지하며 동작을 반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키시뮬레이터에서의 스키 동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양발의 스키 수행시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최대한 굴곡 시킨 후 빠르게 신전시키는 능력이 요구된다. 하지만 스키기술 수준에 따라 개별성의 차이가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에서는 숙련자의 경우 프로시뮬레이터, 비숙련자의 경우 스키어스에지의 운동 수행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 본 연구와 관련하여 부상 예방을 위한 근력 트레이닝 프로그램 및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동작을 가져갈 수 있기 위한 부가적인 조절장치의 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우수등재

        시간-블록 별 스키리조트 방문 관광객의 행동 특성 분석

        주영환,김태훈 한국관광학회 2018 관광학연구 Vol.42 No.1

        Our daily lives are composed of activities that consume time. Few studies have examined leisure behavior or recreation participants by using an analysis based on time blocks. This study presented a time-based analysis of activities undertaken by visitors to ski resorts, collecting data by means of a modified diary-type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This survey was self-administered by visitors to two ski resorts in Gangwon-do province. Throughout this analysis, we classified and used time periods as a means for describing visitor behavior in various time blocks within a day. We also identified expenditure patterns in relation to specific time blocks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of products/services that were available within the resorts. In this manner, we developed a TBAM(Time Block Activity Matrix), which was constructed using the dimensions of “PI(participation intensity)” and “BI(benefit indicator)” to position visitor activities in each ski resort. This method was proposed as a strategic tool for structur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ski-resort management. 우리의 삶은 시간을 소비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삶에서 시간이 차지하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시간-블록을 중심으로 관광활동 참여자의 행동을 이해하고자 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한계를 줄이고자 수행하였으며, 스키리조트 방문 관광객이 스키 리조트 체류 중 행한 활동을 시간을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자료는 수정된 일기 형식의 반구조화 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개발한 후 강원도 내 스키리조트 두 곳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편의추출법에 따라 표본을 선정하고 이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하루 중 다양한 시간-블록 내에서 이루어지는 관광객 행동을 묘사하기 위해 우선 시간-블록을 식별하고 이를 분석과정을 통해 활용하였다. 그리고 관광객들이 스키리조트에서 이용가능 한 제품/서비스 소비를 위해 행한 지출 패턴을 각 시간-블록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참여강도(PI)와 편익지수(BI)를 X축과 Y축으로 구성한 시간-블록 활동매트릭스(TBAM: time block activity matrix)를 도출하고 스키리조트에서 이루어지는 관광객 행동을 정위화하여 스키리조트 관리운영과 관련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교양스키 수업 참가자의 불만족 분석

        강명구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대학교양스키 참가자의 불만족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교양스키 수업을 참가한 학생 242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과 총 5명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불만족을 분석하 는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고, 다년간 교양스키 수업에 참여하여 운영, 관리, 지도 등을 수행한 관계자에게 불만족 분석에 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는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개방형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1차 원자료 315 개를 추출하였다. 불만족의 유사한 1차 원자료를 묶어 2차 자료의 장비노후, 장비 청결상태, 침구류 서비스, 숙소 환경, 식음료 환경, 장비 렌탈 환경, 수업 환경, 평가 방법, 단체 생활의 10개가 세부영역으로 나타났다. 다시 유사한 2차 자료를 묶어 3차 자료의 장비 불만족, 리조트 서비스 불만족, 교육 불만족, 기타 불만족의 4개를 일반영역으로 도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dis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cultural ski training course at university. For this purpose, open questionnaire and total of 5 in - 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4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university ski class. We conducted an open interview questionnaire to analyz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issatisfaction,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collect qualitative data on the analysis of unsatisfactory from those who are in charge of operations, management, and guidance in ski lessons for many year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The open questionnaire was analyzed and 315 primary data were extracted. Similar primary raw materials of the discontent group were classified together to show 10 detailed areas including age of equipment, equipment cleanliness, bedding service, accommodation environment, food and beverage environment, equipment rental environment, class environment, evaluation method and communal setting. Again, similar secondary data were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dissatisfaction of equipments, dissatisfaction of resort service, dis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other dissatisf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