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폰 뱅킹 서비스의 지각된 위험과 신뢰 및 저항과의 관계 분석

        노미진,정경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5

        Smartphone banking is a service that can carry out banking tasks via smartphone based on the wireless internet. Despite a constant concern of smartphone banking, customers hesitate a usage of the banking services due to the uncertainty of smartphone banking. Thu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financial risk, performance risk, psychological risk, security risk and time risk) and trust of smartphone banking. The study als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resistance of smartphone banking.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ines effects of trust and resistance on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smartphone banking. Based on the sample of 269 smartphone banking users, we use AMOS 17.0 to test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 shows that financial risk, performance risk, psychological risk, and security risk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trust of smartpone banking, but time risk did not have an effect on the trust. Financial risk, performance risk, psychological risk, and time risk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sistance of smartphone banking, but security risk did not had an effect on the resistance. The age had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rust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smartphone banking. This study could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 for researchers and practicers of smartphone banking. 스마트폰 뱅킹은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여 스마트폰으로 뱅킹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스마트폰 뱅킹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 뱅킹이 지니고 있는 불확실성으로 인해 뱅킹 서비스를 꺼려하는 고객들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뱅킹에 대한 지각된 위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금전적 위험, 성능 위험, 심리적 위험, 보안 위험, 시간 위험으로 구성된 지각된 위험과 신뢰와의 관계를 알아본다. 또한 스마트폰 뱅킹의 지각된 위험과 저항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신뢰와 저항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 뱅킹에 대한 신뢰 및 저항이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연령과 성별에 따라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차이를 조사하였다. 스마트폰 뱅킹 이용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행하였으며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17.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를 보면, 스마트폰 뱅킹의 지각된 위험 중에서 금전적 위험, 성능 위험, 심리적 위험, 보안 위험은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시간 위험은 의미 있는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금전적 위험, 성능 위험, 심리적 위험, 시간 위험은 저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보안 위험은 그렇지 못하였다. 스마트폰 뱅킹에 대한 신뢰는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스마트폰 뱅킹에 대한 저항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뱅킹 관련 연구자와 실무자들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핀테크 서비스에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신뢰전이에 관한 연구 - 스마트뱅킹을 중심으로 -

        애제,권순동,이수철,고미현,이보형,Ai, Di,Kwon, Sun-Dong,Lee, Su-Chul,Ko, Mi-Hyun,Lee, Bo-Hyung 대한경영정보학회 2017 경영과 정보연구 Vol.36 No.3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구축되었던 오프라인뱅킹에서의 신뢰가 새로운 스마트뱅킹 서비스 신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뱅킹 신뢰의 영향요인으로 오프라인뱅킹의 신뢰, 스마트뱅킹의 시스템 품질과 정보품질을 비교연구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스마트뱅킹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186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자료분석은 Smart-PLS 2.0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오프라인뱅킹 신뢰가 스마트뱅킹 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나, 핀테크 서비스에서 신뢰전이가 존재함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오프라인뱅킹 신뢰가 스마트뱅킹 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은 스마트뱅킹 자체의 특성보다 낮은 것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술적 측면과 산업적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학술적 측면에서의 의의이다. 지금까지의 뱅킹관련 연구들은 오프라인뱅킹이나 스마트뱅킹 어느 한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오프라인뱅킹의 특성이 스마트뱅킹 특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하는 신뢰전이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음으로, 산업적 측면에서의 의의이다. 본 연구에서 시중은행의 오프라인뱅킹 특성이 새로운 스마트뱅킹 서비스의 신뢰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것은 신흥 핀테크 업체가 시중 은행에 비해 신뢰구축의 경쟁에서 유리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흥 핀테크 업체들은 시중은행과 달리 모바일, 소셜,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은 물론, 현실화되고 있는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등의 기술로 무장하여 고객의 편의성을 혁신적으로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강점만으로는 금융거래에 필요한 충분한 신뢰를 형성할 수 있다고 보장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미 신뢰관계에 있는 주거래 은행을 고객들이 잘 바꾸지 않는 관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흥 핀테크 업체들은 상대적으로 고객접점에 우위에 있는 소셜서비스와 같은 온라인 상호작용의 강점과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와의 연계성을 반영한 파괴적인 부가가치 창출을 위해 노력해야하고, 특히 새로운 서비스에 저항이 낮은 젊은층을 중심으로 한 서비스신뢰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offline banking trust on smart banking trust. As influencing factors of smart banking trust, this study compared offline banking trust, smart banking's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For the empirical study, 186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smart banking users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mart-PLS 2.0. As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there is trust transfer in FinTech service, by the significant effect of offline banking trust on smart banking trust. And it was proved that the effect of offline banking trust on smart banking trust is lower than that of smart banking itself.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can be seen in both academic and industrial aspects. First, it is the contribution of the academic aspect. Previous studies on banking were focused on either offline banking or smart banking. But this study,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ffline banking and online banking, proved that offline banking trust affects smart banking trust. Next, it is the industrial contribution. This study showed that offline banking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mmercial banks affect the trust of emerging smart banking service. This means that the emerging FinTech companies are not advantageous in the competition of trust building compared to traditional commercial banks. Unlike traditional commercial banks, the emerging FinTech is innovating the convenience of customers by arming them with new technologies such as mobile Internet, social network, cloud technology, and big data. However, these FinTech strengths alone can not guarantee sufficient trust needed for financial transactions, because banking customers do not change a habit or an inertia that they already have during using traditional banks. Therefore, emerging FinTech companies should strive to create destructive value that reflects the connection with various Internet services and the strength of online interaction such as social services, which have an advantage over customer contacts. And emerging FinTech companies should strive to build service trust, focused on young people with low resistance to new services.

      • KCI등재후보

        스마트뱅킹 서비스의 UX 평가 및 분석

        한상희(Han, Sanghee),임정훈(Lim, Junghoo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4

        PC와 스마트폰이 둘 다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고는 있지만 스마트폰은 이동 중에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PC와는 큰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인터넷뱅킹과 스마트뱅킹 또한 마찬가지이다. 보안(security)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터넷 및 모바일뱅킹과 관련해서 빼놓을 수 없는 문제 중 하나인데, 현재 국내 은행들이 제공하는 스마트뱅킹 서비스는 아직까지 공인인증서 방식만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공인인증서의 의무 사용에 대한 폐지 법안이 발의되는 등 전자금융과 관련된 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공인인증서를 대신해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인증 방식과 관련된 기술 개발이 원동력을 얻을 것으로 보이며, 지문인식 기술도 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C 환경에 적합한 공인인증서에 대한 대안으로써 최근 활발히 연구되고 있고, 터치 방식을 사용하는 스마트폰 환경에 보다 더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지문인식 방식이 적용된 스마트뱅킹 서비스에 대한 UX 평가 및 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20~50대의 스마트뱅킹 서비스를 이용하는 남녀 53명을 대상으로, 스마트뱅킹 서비스 이용에 관한 Survey를 실시하고, UX 평가 기준을 도출하였다. 또한 지문 인식 방식을 적용하여 개발한 4가지 유형의 스마트뱅킹 서비스 프로토타입을 활용하여 사용자 태스크 수행 후 실시한 UX 평가 기준 토대의 리커트 척도 평가와 태스크 관찰 및 인터뷰를 실시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사용자들은 스마트뱅킹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공인인증서 방식보다는 지문인식이 적용된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문인식 방식이 공인인증서 방식보다는 터치 방식을 사용하는 스마트폰의 환경에 좀 더 적합하고 편리하며 상대적으로 보안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The PC and smart phone are both based on the internet; however, at the point that the smart phone is usable also in motion, it is very different from the PC. And this corresponds to internet banking or smart banking, too. Security is one of the unomissible issues regarding internet or mobile banking we are using these days. The smart banking service provided by Korean banks now is employing accredited certification only. However, such bills as the one to abolish the mandatory use of accredited certification have been constantly proposed, and the environment related with electronic finance has been changing considerably. This seems to provide driving force to the area of developing technology associated with new verification modes that can be alternated for accredited certification, and one of the technologies is expected to be fingerprint verifi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performs UX evaluation and analysis by applying fingerprint verification that has been actively investigated lately as an alternative for accredited certification which is proper for the PC environment and also regarded to be more appropriate for the smart phone environment that is based on touching. First,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about smart banking service use targeting 53 men and women in their 20 to 50 who were using smart banking service and draw the criteira of UX evaluation. Also, the study peformed task observation, interview and likert scale evaluation with the criteria of UX evaluation after user tasks using the prototype of smart banking service being applied fingerprint verification and analyzed the results. In conclusion, users tend to prefer the mode applying fingerprint recognition to that adopting an accredited certificate when they use smart banking service, and this implies that fingerprint recognition is more convenient and appropriate for the smart phone environment where touching is used more than accredited certification and also is more positive in terms of security.

      • KCI등재

        스마트폰 뱅킹 접근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컬러 가이드라인 연구

        이석(Suk Lee),남현우(Hyun Woo Nam),이재익(Jae Ik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1

        스마트폰 사용자는 증가하였지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사용 능력과 정보 습득력의 차이로 인하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활용에 사용자간의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특히 개발자들은 늘어나고 있는 형편이지만 개발과 관련된 가이드라인이 없는 상태로 개발이 진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접근성은 매우 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UI디자인 가이드라인에 대한 연구는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유도하고, 더 많은 사용자와 개발자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범위는 스마트폰 앱 스토어(App Store)의 11개 카테고리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선호도가 높은 금융 카테고리에서 뱅킹서비스 분야 애플리케이션 5개(KB스타뱅킹, 외환M뱅크, 우리은행 스마트뱅킹, 신한 스마트폰 S뱅킹, 시티은행 시티모바일)를 선정하였고, 메인페이지를 중심으로 사용성과 메인(main), 배경(background), 아이콘(icon), 텍스트(text)에 대한 컬러조사와 설문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스마트폰 UI 구성에 대한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컬러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수 있었다. 세부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레이아웃과 메뉴에 해당하는 아이콘의 위치는 각각의 뱅킹 브랜드별로 일관성을 주어 통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배경컬러는 뱅킹브랜드 컬러를 나타내는 동시에 메뉴의 주목성을 높일 수 있는 컬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실행 아이콘은 단순한 이미지를 사용하여 주목성을 높이는 것이 좋으며, 뱅킹 화면 배경의 색상, 채도, 명도의 차이를 주어 눈에 쉽게 들어올 수 있는 컬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텍스트의 컬러는 배경색과의 차이를 주되 동일한 색상과 서체를 사용하여 뱅킹 브랜드별 통일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용자가 스마트폰 뱅킹서비스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개발자가 스마트폰 뱅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요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ough users of Smart phone have increased, gap between users in utilization of Smart phone application is widening because of difference in use capacity and information learning power of users. Especially, though number of developers is increasing, the development is proceeded without guideline related to development. This situation results in lower accessibility for users. Accordingly the study on UI design guideline of Smart phone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drawing development of efficient application and in securing more users and developers. For the scope of study, based on 11 categories of Smart phone App Store, this study selected 5 applications of banking service field((KB star banking, Foreign exchange M bank, Woori bank smart banking, Shinhan smart phone S banking, City bank city mobile) among finance category which has high preference from users. Focusing on main page, these are conducted - serviceability; color survey about main, background, icon, and text; and questionnaire analysis. Based on these data, guidelines for design and color about Smart phone UI composition could be prepared. The detail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each banking brand, it is desirable to give consistency to layout and location of icon which serves as menu for unity. Second, for background color, it is desirable to use colors which represent banking brand color and at the same time, draw attention to menu. Third, for icon for running, it is good to use simple image for drawing attention. And it is desirable to give differences in color, chroma, and brightness of background for banking screen so that the screen can be easily noticed. Fourth, for text color, it is desirable to have a unity by each banking brand by giving a difference between text color and background color, but by using same color and font.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guidelines necessary for improving accessibility of Smart phone banking service for users and developing Smart phone banking applications by developers.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lay a great role in development of ubiquitous application using Smart phone.

      • KCI등재

        스마트폰 뱅킹의 지각된 위험과 가치가 신뢰 및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신뢰의 매개효과 분석

        대한경영학회 2011 大韓經營學會誌 Vol.24 No.5

        <P>&nbsp;&nbsp;스마트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국내 스마트폰 뱅킹의 도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기존의 인터넷 뱅킹이나 VM뱅킹과는 달리 아직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금융 컨텐츠의 제공이나 조회서비스 제공 등에 대한 다양한 어려움들이 존재하지만 발전 가능성이 큰 분야이기에 스마트폰 뱅킹의 사용의도를 연구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뱅킹에 대한 지각된 위험을 경제적 위험, 기능적 위험, 심리적 위험, 보안적 위험으로 분류하여 살펴본다. 둘째, 스마트폰 뱅킹에 대한 지각된 가치를 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심리적 가치로 살펴본다. 셋째, 스마트폰 뱅킹의 지각된 위험과 지각된 가치가 신뢰와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신뢰와 의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정한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253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AMOS 7.0과 SPSS 15.0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위험, 기능적 위험, 심리적 위험, 보안적 위험과 같은 스마트폰 뱅킹의 지각된 위험은 신뢰와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경제적 가치, 기능적 가치, 심리적 가치와 같은 스마트폰 뱅킹의 지각된 가치는 신뢰와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다. 셋째, 스마트폰 뱅킹의 신뢰는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졌고, 신뢰는 매개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뱅킹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은행들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P>

      • KCI등재후보

        스마트기기 이용스타일에 따른 스마트뱅킹 앱(APP)에 대한 만족도 및 지속이용의향

        고우빈 ( Go U-bin ),김현준 ( Kim Hyunjun ),유지형 ( Ryu Gee-hyung ),이소진 ( Lee Sojeen ),김민정 ( Kim Minjeung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19 금융소비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스마트기기 이용스타일과 스마트뱅킹 어플리케이션의 평가요인을 살펴보고 스마트기기 이용스타일별 스마트뱅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만족도와 지속이용의향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첫째, 대학생의 대부분은 스마트폰을 이용하면서 스마트뱅킹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편의성과 보안거래의 안정성을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로그인 방법과 시스템점검에 대한 불편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지 않는 경우 스마트뱅킹 이용비율이 더 높았다. 둘째, 스마트뱅킹 앱에 대한 평가 요인으로 이용편의성, 서비스유용성과 신뢰성, 인증편리성, 정보의 최신성이 추출되었고 이 요인들 중 대학생들은 이용편의성에 대해 가장 높게 평가하고 있었다. 또한 전반적인 스마트뱅킹 앱에 대한 만족도는 5점 중 3.95로 높았으며 지속이용의향 역시 4.15로 매우 높았다. 셋째, 스마트뱅킹 앱의 평가요인 중 이용편의성과 서비스신뢰성은 만족도와 지속이용의향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넷째, 대학생들은 스마트기기를 이용함에 있어서 실속성, 자아투영성, 기능성, 유희성, 외형성에 따라 여가시간활용형, 소극적이용형, 적극적이용형, 디바이스집중형의 이용 스타일로 분류되었는데, 여가시간활용형에 해당하는 대학생이 가장 많았고 디바이스 집중형이 두 번째로 많았다. 다섯째, 스마트기기 이용스타일별로 스마트뱅킹 앱 평가 요인이 전반적 만족도와 지속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만족도에 대해서는 디바이스집중형을 제외한 다른 이용스타일에서 이용편의성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지속이용의향에서는 적극적이용형을 제외한 나머지 이용스타일에서 영향을 미쳤으나 소극적이용형과 디바이스집중형에서는 서비스신뢰성이 이용편의성보다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valuation factors of smart device use style and smart banking application of college students and identifi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the smart banking application by smart device use style. As a result of major research, first, most of university students were using smart banking while using smart phones. They thought that convenience and stability of security transactions were important factors, and they had inconvenient experience with login method and system check. In addition, the ratio of using smart banking was higher when female students do not live with their par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Second, as the evaluation factors for smart banking app, convenience, service usefulness and reliability, authentication convenience, and information up-to-date information were extracted. In addition,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smart banking app was 3.95 out of 5 points, and the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was very high at 4.15. Third, among the evaluation factors of smart banking app, user convenience and service reliability had an effect on both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nd the influence was the highest. Fourth, college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leisure time utilization type, passive application type, active use type, and device intensive type according to the practicality, self-projection, functionality, playfulness, and appearance in using smart devices. Most of them were college students, and the second was device intensive type.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smart banking app evaluation factors on overall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by smart device usage styles, the results showed that user convenience had the most influence on the use styles other than the device concentration type. The usage intention was influenced by the usage styles other than the active usage type, but the service reliability had a higher impact than the user convenience in the passive application and the device-intensive type.

      • KCI등재
      • KCI등재

        스마트폰 모바일뱅킹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권영모(Young-Mo Kwon) 한국산업경제학회 2015 산업경제연구 Vol.28 No.1

        금융기관들의 영업시간 연장과 장소의 제약을 뛰어넘게 만든 것은 20세기 후반 등장한 ATM, CD기로부터 현재의 인터넷뱅킹, 모바일뱅킹과 같은 최첨단 뱅킹방식을 들 수가 있다. 특히 21세기 들어 모바일을 주축으로 한 컨버전스의 시대가 도래 하였는데 이것은 기존의 게임, 오락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분야를 넘어 금융과의 결합을 통한 본격적인 모바일뱅킹 서비스를 은행들이 제공하고 있는 것이다. 거기에 스마트폰 모바일뱅킹 서비스는 기존의 폰뱅킹이나 인터넷뱅킹보다 훨씬 더 안전한 보안장치와 간단한 사용절차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편리하고 안전한 스마트폰 모바일뱅킹이 빠른 이용자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송금, 이체와 같은 적극적인 서비스의 이용이 아닌 단순송금 서비스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소비자의 태도에는 혁신적인 은행 채널로서의 모바일뱅킹을 받아들이는데 있어 어떤 영향요인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스마트폰 모바일뱅킹을 이용하려는 의도에 어떠한 요인들이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 하고자 한다. 즉 스마트폰 모바일뱅킹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정확히 알아내어 이에 대한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하겠다. 여러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연구 3개념들의 관계를 연구 모형화하고 제 가설을 설정하게 된다. 도한 설정된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스마트폰 사용자 들 중에서 모바일뱅킹 유경험자들과 향후 모바일뱅킹을 사용할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 실증자료를 수집한 이후, 이를 분석하여 설정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 스마트폰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들은 매개변수인 사용만족도와 독립변수인 보안성과 효용편익 그리고 혁신성이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 검증되었다. Internet banking and mobile banking have become influential factors since the late 20st by the appearance of ATM and CD that took place of limitations of financial agencies" business hours and locations. From then, Internet and mobile banking services are on the cutting edge of banking system. Especially, as entering the 21st century the period of the mobile based convergence has come. Bank offers the real mobile banking services integrated with finance and the entertainment sector such as existing games and entertainment contents. Based smart-phone mobile banking services have a more secure device and a simple user interface comparing to phone banking and internet banking. Moreover, smart-phone mobile banking that uses a recent development of IC or VM chip is expected to be a dramatic growth from now on. Against this simple and secure user oriented system, mobile banking services still have been taken up a considerably a lot of low by the bank channels. In spite of rapid increasing in users, they are mostly using simple inquiry & sending money services rather than active use. In the results, the goal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tention to use factors in the smart phone mobile banking services and to get the proper strategies for mobile banking service providers. This empirical paper proved that usage satisfaction factor, utility benefit, and personal innovation on independent variables effect intention to use factor.

      • KCI등재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뱅킹에서의 연구 과제: 국내 모바일 뱅킹 사례 연구 및 논문 리뷰

        김진백 ( Jin Baek Kim ) (주)엘지씨엔에스(구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11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10 No.2

        스마트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국내 모바일 뱅킹은 스마트폰 기반 뱅킹 중심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과거 진행된 모바일 뱅킹에 관한 연구들은 모바일 뱅킹을 단순하게 하나의 범주로 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지난 10년간 국내 모바일 뱅킹 발달 사례를 상세히 정리함으로써 과거 연구들이 분포하고 있는 기간 중의 모바일 뱅킹 기술 및 서비스 변화가 상당히 컸으며, 따라서 모바일 뱅킹에 관한 과거의 연구결과들을 단편적으로 종합하여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뱅킹을 이해하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는 점을 보였다. 또한, 과거의 연구들을 지난 10년 동안의 국내 모바일 뱅킹 사례의 맥락 속에서 해석함으로써, 국내에 스마트폰 기반 뱅킹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연구자들에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와 의미 있는 연구주제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Korea, the speed of smart phone`s growth was phenomenal and the trend of growth is forecasted to be even stronger in coming years. Many major banks believe smart phones will bring fundamental changes in banking services as the Internet did, and proactively responded to the change by quickly offering services for various types of smart phones. In this paper, I tried to provide a basis of future studies on smart phone banking. In order to do that, the case of Korean mobile banking development over the last decade is reviewed in detail. Then, the previous studies on mobile banking ar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case and interesting research issues in smart phone banking are suggested.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can be found from narrowing down the gap between the industrial development of mobile banking services and academic research on mobile banking.

      • KCI등재

        스마트폰뱅킹 서비스의 무권한 부정사용

        유용봉 한국치안행정학회 201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8 No.4

        스마트폰 이용인구 1,000만 명 시대에 무선망(WiFi)에 의한 인터넷접합은 앞으로 국내 스마트폰 이용인구의 증가를 가속화하고, 이는 사이버 공간상 이용자에게 문명의 이기를 제공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 그러나 이면에 스마트폰이 인터넷 금융이나 전자상거래의 매개수단일 경우 개인간 금융범죄와 관련하여 재산상 거액의 피해액 노출을 앞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렇게 노출되는 각 개인의 재산상의 피해는 현재의 이용자 수에 비례하여 범죄발생의 가능성이 잠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역기능은 점차 사회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사이버금융의 일종인 스마트폰 뱅킹범죄는 헌법상 보장되는 재산권보호에 역행하는 동 범죄는 개인재산권 문제에서 점차 사회적이나 국가적 법익을 침해하게 되며 궁극적으로는 국제적 법익을 침해하는 형태로 전이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따라서 산업적 차원에서 국내의 인터넷 정보인프라 구축과 정보지식기반산업의 발전적 토대 구축과 활성화를 위해서도 스마트폰뱅킹 범죄에 국가의 개입이 요구되며 구체적으로 법적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는 스마트폰뱅킹 범죄와 관련한 연구가 전무한 형편이기 때문에 수사기관이나 사법기관 등이 개입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행위주체가 타인 명의의 스마트폰을 강취하여 전자자금을 자신의 은행계좌로 이체하여 인출하는 금융서비스범죄를 주요 중심과제로 한다. 이 경우에도 타인 명의의 스마트폰을 강취하여 타인 명의의 은행 계좌상 전자자금의 이체행위를 형법 해석론적 관점에서 우리 형법상 범죄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를 연구한다. 이와 관련 이 연구는 스마트폰 뱅킹 서비스 과정상 개인적 법익을 침해하는 전자자금의 이체행위를 중심으로 형법제347조상 사기죄의 규범에 해당할 수 있는가를 우선적으로 검토한다. 이때에도 구체적으로 동 범죄와 관련하여 재산처분자를 중심으로 학설상의 대립과 대법원의 입장을 분석하고, 나아가 독일의 학계와 최고법원의 입장에서 규범의 수범범위를 확정한다. 그 밖에 이 연구는 전반적으로 인터넷금융에 있어서도 마우스뱅킹 또는 버츄얼 사이버뱅킹과 관련한 스마트폰 뱅킹서비스을 중심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전자자금이체행위에 대한 형법상 규범의 적용범위에 대해 접근한 성격이 있다. 이는 추후 유사한 범죄에 대해 구체적인 해석기준을 제시하기 때문에 타 신종금융범죄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연구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Crimes on smartphone banking in a kind of cyber banking go against the protection of property rights which has been secured by our constitution, while gradually infringing on social or national benefits in laws from problems on the infringement on individual property rights of smartphone users. This study’s main subject is to examine financial service crimes where an actor robs others of their smartphones to withdraw electronic funds into his or her bank account. In such a case, this study examines how our criminal laws can be applied to crimes in terms of interpretations on criminal laws for the transfer of electronic funds on the bank account of others after a criminal robs others of their smartphones. This study first reviews whether the transfer of electronic funds on the course of smartphone banking services, which infringes on legal benefits for individuals, can be applied to norms of fraud crimes in Article 347 of the Korea Criminal Act. Even here, this study analyzes disputes on academic theories and positions of supreme courts around the person who disposes properties in relation with the crime in a specific way. Furthermore, it determines the scope of norms to be kept in the position of academic fields and highest courts in Germany. Besides, this study has characteristics in accessing to the applicable scope of norms in the criminal laws for the transfer of electronic funds which may occur around smartphone banking services relating to mouse banking or virtual cyber banking even in the internet banking in general. This can be said to provide study findings which may be applied effectively to new financial crimes in other forms because it suggests specific standards for interpretations on similar crim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