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자에서 술 전 교정치료 전과 후의 수술계획의 차이

        이은주,손우성,박수병,김성식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3

        본 연구는 술 전 교정치료 전 치아 이동 예측치(initial STO)와 술 전 교정치료 후 실측치에 바탕을 둔 STO (finalSTO)를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부산대학교병원 치과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 및 악교정수술 복합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하악만 수술한 환자 40명을 선정하여 상악 제1소구치 발치 여부에 따라 두 그룹(발치 그룹 20명, 비발치그룹 20명)으로 분류하였다. 술 전 교정치료 전의 initial STO, 술 전 교정치료 후의 final STO를 작성하여 각 계측치를 수평, 수직 기준선에 대해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발치 그룹의 두 STO 비교 시 수직적으로 상악 중절치절단연과 치근단, 상악 제1대구치 협측교두에서, 수평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 상악 제1대구치 근심협측교두, 하악 중절치 치근단, 하악 제1대구치 근심면과 근심협측교두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비발치 그룹의 경우는 수직적으로 하악 중절치 치근단, 수평적으로 상악 중절치 절단연, 하악 중절치 절단연과 치근단, 하악 제1대구치 근심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두 STO의 차이와 initial STO 수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진단 요소와의 상관성 평가 시 상악 치열궁 공간 부족량이 상악 전치의 수평, 수직 및 제1대구치의 수평 위치 예측에 유의한 상관성을 가졌으며 두 그룹 모두 하악 전치 치축 각도와 하악 치열궁 공간 부족량이 하악 전치의 수평 위치 예측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InitialSTO 작성과 술 전 교정 단계에서 이를 고려하여 진행한다면 좀 더 효율적인 치료 계획 수립 및 전체적인 치료 기간을 줄이는 것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and final STO in Class III malocclusions and to find which factors are related to the discrepancies. Methods: Twenty patients were selected for the extraction group and 20 patients for the non-extraction group. They were diagnosed as skeletal Class III and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mandibular set-back surgery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for initial STO (T1s) at pretreatment and final STO (T2s) after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specified the landmarks as coordinates of the X and Y axes. Results: Differences in hard tissue points (T1s-T2s) in the X coordinates of upper central incisor edge, upper first molar mesial end surface, lower central incisor apex, lower first molar mesial end surface and mesio-buccal cusp and Y coordinates of upper central incisor edge, upper central incisor apex, upper first molar mesio-buccal cusp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xtraction group. Differences in hard tissue points (T1s-T2s) in the X coordinates of upper central incisor edge, lower central incisor apex, lower first molar mesial end surface and Y coordinates of lower central incisor apex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non-extraction group. In the extraction group, the upper arch length discrepancy (UALD)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axillary incisor and first molar estimation. Lower arch length discrepancy and IMPA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mandibular incisor estimation in both groups. Conclusions: Discrepancies between initial STO and final STO an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accuracy of initial STO must be considered in treatment planning of Class III surgical patient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prediction.

      • KCI등재후보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술전 교정전 예측치와 교정후 실측치의 차이에 관한 연구

        황충주,권희정 대한치과교정학회 2003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술전 교정전 예측전와 교정후 실측치 사이에 나타나는 오차의 크기와 정확성 및 어떠한 요소가 그러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서 골격성 Ⅲ급 부정교합ㅇ로 진단되어 술전 교정치료 및 양악수술을 받은 환자 가운데 조건에 부합되는 45명(남자 17명, 여자 28명)을 선별하여, 초진 상태를 T1, 교정 치료전 예측치를 T2, 술전 교정후를 T3로 정의하고 각각의 계측치를 수평과 수직좌표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또한 환자의 어떠한 진단적 요소가 술전교정의 예측치와 실측치 사이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대상을 arch length discrepancy (ALD), 상·하악 전치의 치축(U1 to SN, IMPA), curve of Epee(COS), 발치 여부, 발치한 치아의 종류 등에 의해 여러 군으로 분류하여 유의성을 평가하였으며 다음과 강은 결과를 얻었다. 1. U6mbc, L1x의 수평 좌표와 Uli, Ulx, U6me, U6mbc, L6mbc의 수직 좌표에서 예측한 위치와 수술직전의 실제 위치의 차이가 유의성(p<0.05) 있게 나타났다. 2. 예측의 정확성은 수평적인 차이의 예측에 있어서 수직적인 차이의 예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 하악에서보다 상악의 많은 계측점에서 예측치와 실측치 사이의 유의한 차이(p<0.05)가 관찰되었다. 4. 상악의 경우 발치 여부 및 발치한 치아의 종류, ALD의 양에 따라 상악 전치와 제1대구 위치의 예측에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으며, 하악의 경우에는 ALD의 양과 IMPA에 따라 하악 전치와 제1대구의 위치의 예측에 유의한 차이(p<0.05)를 나타냈다. 이번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통하여 술전 교정전 예측치와 실측치 사이의 오차의 정도와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희귀 계수를 구함으로써, 악교정 수술을 동반한 교정 환자의 치료 계획 시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수직적인 예측에 있어서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d evaluate discrepancies between preoorthodontic prediction values and actual postorthodontic values and factors contributing to it 45 patients(17 male, 28 female) who were diagnosed as skeletal Class Ⅲ malocclusion and received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and orthognathic surgery at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Lateral cephalograms were analyzed at oretreatment(T1), orthodontic prediction(T2), immediately before surgery(T3) and designated the landmark as coordinates of X and Y axes. The samples were divided according to ALD, upper and lower incisor inclination(U1 to SN, IMPA), COS, extraction, the position of extracted teeth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to find out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edi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Differences between preorthodontic prediction values and actual postorthodontic values(T2-T3)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in the x coordinates of U6mbc, L1x and in y coordinates of U1i, Ulx, U6me, U6mbc, L6mbc 2. The accuracy of prediction is relatively higher in horizontal changes compared to vertical changes. 3. The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between prediction and actual values is observed more in the landmarks of the maxilla than the mandible. 4. differences between prediction and actual values of incisor and first mola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according to extraction vs non-extraction, extraction type, ALD in the maxilla and according to ALD< IMPA in the mandible. Discrepancies between preorthodontic prediction values and actual postorthodontic values an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prediction must be considered in treatment planning of Cl Ⅲ surgical patient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prediction. Furthermore future investigations are needed on the prediction of vertical changes.

      • KCI등재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수술적 치료 시 컴퓨터를 이용한 가상교정의 임상적 의의

        이재원,김훈철,박예수 대한척추외과학회 2015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2 No.2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clinical value of preoperative planning via computer simulation by comparing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measurements of a patient with ankylosing spondyliti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nkylosing spondylitis is a disorder that results in a spinal deformity because chronic inflammation at the ligament attachment sites triggers ossification; it causes round fixed kyphosis. This causes limitations in not only everyday life but also social interaction because it is impossible for patients to face forward. Therefore, surgical correction is necessary.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38 patients (41 instances) who underwent correctional osteotomy between June 2007 and March 2014 to treat kyphosis caused by ankylosing spondylitis. We chose the appropriate operation site on the basis of preoperative simulations of osteotomy and the site for pre- and postoperative radiological evaluations conducted from the lateral view in a standing position. For the clinical evaluation, Bath Ankylosing Spondylitis Function Index (BASFI), Bath Ankylosing Spondylitis Disease Activity Index (BASDAI),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urvey (HADS), and Health Locus of Control Form C Questionnaire (HLC-C) were used. Results: The mean sagittal vertical axis (SVA) was improved from 123.4 mm to 66.1 mm, the mean thoracic kyphosis angle (TKA) changed from 42.2° to 40.1°, and the mean lumbar lordosis angle (LLA) improved from 16.0° to 28.5°.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preoperative predictive value and the postoperative radiographic measurement were 0.43, 0.93, and 0.87, which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By comparing the preoperative measurement with the postoperative radiologic score, we found that the two were correlated and that the clinical assessment improved on the basis of the visualization. Therefore, preoperative simulation of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along with a kyphotic deformity is thought to be clinically effective.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척추 후만이 동반된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서 교정 절골술을 시행하기 전 가상교정을 통한 술 전 계획과 술 후 상태를 비교하여 가상교정의임상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강직성 척추염은 인대의 골 부착부에 발생하는 만성적인 염증에 의한 골화 현상에 따라 척추의 변형이 오는 질환으로, 원형의고정된 후만증을 가져오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전방주시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반듯이 눕지도 못하게 되어 환자의 일상 생활뿐만 아니라 사회생활의 제약 등을 초래하여 수술적 교정이 필요하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6월부터 2014년 3월까지 강직성 척추염으로 인한 후만증에 대하여 척추경 제거 절골술(PSO: pedicle subtraction osteotomy)을 단독 혹은 Smith-Peterson 절골 술식(SPO: Smith-Peterson Osteotomy)을 병행한 환자 38명, 41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수술은 술 전 가상교정을 시행하여 절골 부위를 결정하였고, 수술 전 후 방사선학적 평가는 기립 자세에서 촬영한 척추전장 측면 사진(long-cassette standing lateral spinal radiographs)을 촬영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Bath Ankylosing Spondylitis Function Index (BASFI), Bath Ankylosing Spondylitis Disease Activity Index (BASDAI),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Questionnaire (HADS) 및 Health Locus of Control- Form C Questionnaire(HLC-C)를 이용하였다. 결과: 방사선학적으로는 평균 시상 수직축이 123.4 mm에서 66.1 mm으로 호전되었으며, 평균 흉추 후만각은 42.2°에서 40.1°으로 변하였고, 평균 요추 전만각은 16.0°에서 28.5°로 호전되었다. 술 전후 방사선학적 지표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시상 수직축은 예측 값과 연관계수는0.43, 흉추 후만각 및 요추 전만각은 각각 0.93, 0.87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결론: 가상교정을 통한 방사선학적 지표와 수술 후 방사선학적 지표를 비교를 하여 두 지표가 통계학적으로 일치함을 확인하였으며, 임상적 지표가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후만 변형이 동반된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서 가상교정을 이용한 술 전 계획이 임상적으로 유의한 의미를 갖는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 SCOPUSSCIEKCI등재

        악교정 수술을 위해 내원한 환자의 심리 상태에 대한 평가

        손우성,박우경,김욱규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2

        악교정 수술환자들의 술전 정신심리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술전교정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67명을 대상으로 SCL-90-R을 검사하였다. 남성환자는 40명이었으며 여성환자는 27명이었다. 남성, 여성환자의 인성특징 비교를 위해 t-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술전 환자군, 남성환자군, 여성환자군 모두에서 SCL-90-R의 9가지 임상척도가 정상범주에 해당 하였다. 2. PHOB scale(공포불안)에서만 남성환자군의 T-score가 여성환자군보다 높았다.(P<0.05) 3. 모든 T-scores가 정상범주에 놓여 있었으나, 9명의 환자(전체환자의 13.4%)는 적어도 한 개의 임상척도에서 비정상적인 범주에 놓여 있었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sychosocial status of the preoperative orthognathic surgery patient through SCL-90-R.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composed of 67 patients under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Males are 40 and females are 27. comparison betwee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patients was made by the t-test. From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preoperative patients group, all T-scor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2. In male patients group, all T-scor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3. In female patients group, all T-scor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4. Only in PHOB scales, the T-scores of male patients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 patients group. 5. Although all T-scores were within the nomal range, 9 patients(13.4% of all patients) shows abnormal T-scores in at least one scale.(T>65)

      • KCI등재

        Cone-beam CT를 이용한 안면비대칭자에서 이부편위에 따른 치성보상의 양상분석

        박수병,박정희,정연화,조봉혜,김용일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5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enton deviation and dental compensation in facial asymmetry. Methods: Tooth axis and distance of first molar and canine to the reference plane were investigated by 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The subjects consisted of 50 patients with asymmetric mandibles (male 21, female 29, mean age 24.3 years). Control groups were also assessed (male 11, female 9, mean age 25.6 years). Nine measurements (5 linear measurements and 4 angular measurements) were measured in order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menton deviation and the linear and angular difference of first molar and canine in the deviated and none-deviated sides using the defined MPR images. The differences between deviated and non-deviated side, according to menton deviation,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rom the result, Menton devi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ndibular first molar's angular measurement (Δ∠LM6-Mn plane (dev.-ndev.)) and positively with maxillary fist molar's angular measurement (Δ∠UM6-FH plane (dev.-ndev.)) (p < 0.01). Two angular measurements (Δ∠ LM6-Mn plane (dev.-ndev.), Δ∠UM6-FH plane (dev.-ndev.)) explained the variability in menton deviation with a significant r² value of 0.589.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ooth axis of upper and lower first molars leans towards the deviated side of Menton when there is mandibular asymmetry with Menton deviation. 본 연구는 Cone-beam CT의 MPR이미지상에서 하악골 평면에 대한 하악 제1대구치와 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높이와 각도차이 그리고 FH 평면에 대한 상악 제1대구치와 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높이와 각도차이를 계측함으로써 안면비대칭자에서 이부편위에 따른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제1대구치와 견치의 높이와 협설측 경사도를 CBCT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그 관련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하악골의 이부편위를 동반한 안면비대칭 환자 50명(여자 29명, 남자 21명, 평균나이 24세 4개월)으로 하였다. 대조군으로 평균나이 25세 7개월인 20명(남자 11명, 여자 9명)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이부편위에 대해 FH 평면에 대한 상악 제1대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길이 및 각도 차이(편위측 - 비편위측)는 대조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p < 0.01). 비대칭군에서 상악 제1대구치 각도는 편위측이 비편위측보다 평균 8.62 ± 5.95˚ 컸다 (p < 0.01). 상악 견치의 경우에도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각도차이가 평균 4.48 ± 5.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p < 0.01). 하악골 평면에 대한 하악 제1대구치의 수직 길이와 각도는 편위측과 비편위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p < 0.01). 각도의 차이는 평균 -11.92 ± 5.79˚로 나타났다. 이부편위에 대한 상하악 제1대구치와 견치의 수직거리 및 각도의 Pearson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결과, FH 평면에 대한 상악 제1대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각도차이(Δ∠ UM6-FH plane (dev.-ndev.))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하악골 평면에 대한 하악 제1대구치의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각도차이(Δ∠LM6-Mn plane (dev.-ndev.))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이부편위를 동반한 하악골 비대칭이 존재하는 경우, 이부가 편위되는 방향으로 상하악 제1대구치의 치아장축의 각도가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전복막외접근 복강경 탈장교정술과 Lichtenstein 탈장교정술: 조기 수술결과와 합병증의 비교

        류정석,박순철,김기환,안창혁,김정수,유승진,임근우,조항주 대한내시경복강경외과학회 2009 Journal of Minimally Invasive Surgery Vol.12 No.2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postoperative outcomes and complications between laparoscopic totally extraperitoneal (TEP) hernia repair and open Lichtenstein hernia repair. Methods: A total of 64 cases (30 cases by the TEP method and 34 cases by Lichtenstein repair)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operative time, the hospital stay, the VAS score, the amount of analgesic used,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recurrence were compared between the 2 methods. Results: The mean operative time was 71 min for the TEP group, which was not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for the Lichtenstein group (66 min). The mean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3.7 days for the TEP group, which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for the Lichtenstein group (4.2) (p=0.035). The mean postoperative analgesic dose was 0.9±0.7 and 1.1±1.0 within 24 hours and 0.2±0.5 and 0.7±0.8 after 24 hours, respectively. The dose of analgesic after 24 hours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TEP group (p=0.011), but the dose within 24 hours and the total dos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VAS score was 2.3±1.0 and 2.6±0.9 at 12 hrs and 1.2±0.8 and 1.7±0.8 at 48 hrs, respectively. The VAS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EP group than that for the Lichtenstein group at 48 hrs (p=0.01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t 12 hrs. There was one recurrence in the TEP group. Conclusion: For the TEP group, the hospital stay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at for the Lichtenstein group and this is maybe because the postoperative pain after 24 hours from the operation was less for the TEP group. Laparoscopic TEP repair may be performed efficiently with an acceptable operating time and a shorter hospital stay, as compared to open Lichtenstein hernia repai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