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사회과 수행 평가 실행의 교사의 실제적 지식에 관한 사례 연구

        김왕근,은지용,박인옥 한국교원교육학회 2005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현행 수행 평가 정책의 문제점에 대한 내용 분석과 수행 평가의 실행에 관한 사례 교사들의 실제적 지식에 대한 해석을 통해 현실 적합성을 충족하는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먼저, 수행 평가 정책 내용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수행평가 정책의 현실 적합성 결여 문제, 수행평가 정책 내용의 정합성 결여 문제, 수행 평가 기준 문제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수행평가 실행과 관련된 사례 교사들의 실제적 지식과 수행평가 정책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정책 수준에서의 처방이 기술적인 지식에 의존하고 있는 반면, 수행평가가 교실 현장에 적용되는 과정에서 교사는 수행평가 실행과 관련된 실제적인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상황에 대응해야 하는 어려움에 직면한다. 이로 인해 교사는 정책 수준에서 추구되는 수행 평가의 취지보다는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에 대응하는 것에 일차적 관심을 갖게 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수행평가를 실행하는데 제약으로 작용하는 학교의 환경적 여건과 수행평가의 강제적 성격, 지나칠 정도로 객관성과 공정성을 강요하는 지침 등에서 비롯된 것이며, 이로 인해 교사들은 업무를 가중시키는 시책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언을 하면, 첫째, 현행 수행평가 정책은 평가 정책 자체에 들어 있는 내적인 정합성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평가 자체의 내적 정합성을 충족하는 평가 정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현행 수행평가 정책은 교사의 실제적 지식과 유리되고 있기 때문에 보다 현실 적합성을 확보하는 정책 수립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셋째, 정책의 실행에 앞서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뒷받침하는 조처로서 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수행평가 효과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고경숙 ( Kyoung Sook Ko ),김용진 ( Yong-jin Kim ) 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구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경상남도에 위치한 중학교의 과학교사 49명과 학생 772명을 대상으로 수행평가에 대한 인식을 설문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와 학생들은 과학 탐구력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수행평가의 효과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평가 시간의 부족, 학습 진도 부담, 학생 수의 과다로 인한 수행평가의 어려움을 호소하였으며,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을 구현하기 위해 많이 노력하고 있다. 교사들의 수행평가 실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우수하게 이루어진 실제 수행평가 사례를 소개하여 주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학생들은 수행 과제의 내용과 채점 기준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지만, 성적이 하위 수준인 학생들의 이해도는 낮다. 수행평가를 받을 때, 학생들이 겪는 큰 어려움은 역할을 수행하지 않는 모둠원이 있다는 것이며, 수행활동에 필요한 기능을 평가 이전에 충분히 배우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행평가의 개선을 위해서는 수행평가 사례를 이용한 교사 연수의 실행과 함께 학생 참여형 수업과 수행평가 운영이 연계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mong 49 science teachers and 772 student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nam-do.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was high in scientific exploration and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Teachers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performance assessment due to lack of assessment time, burden of learning progress, and excessive number of students, and are making great efforts to realize fairness and objectivity in evaluation.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ability to conduct performance assessment, it has been shown that it is most effective to introduce actual performance assessment cases that have been performed well at school sites. Many students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content and grading criteria of their performance assignments, but the level of understanding among those with lower grades is low. The great difficulty that students face in performance assessment is that there is a group member that does not play a role, and that they do not learn the functions required for performance activities before the assessment. Therefore, to improve performance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link student participatory classes to performance assessment operations with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 training using performance assessment cases.

      • KCI등재

        학습자 중심의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 사례와 교육적 의미 탐색

        정현철 ( Jeong Hyun Chul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연구논총 Vol.39 No.3

        이 연구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의 사례와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 체육 교과 수행평가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체육교과 선택형 수행평가를 실시한 경험이 있는 교사 3인과 교사 3인이 추천한 각 학교 학생 1명씩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선택형 수행평가의 자료들과 관찰일지, 심층 면담, 집단 면담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는 영역별 수업 단원에 맞춰 교사의 설명과 시범 뒤 학생 스스로 평가 내용과 방법을 선택하여 기준안을 마련하게 된다. 학생은 교사에게 평가 기준안에 대한 설명과 시범을 보인 뒤 교사의 개입과 타협을 통해 최종 수행평가 기준안이 마련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피드백과 과정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진다. 체육 교과 선택형 수행평가의 교육적 의미로는 첫째, 학생 스스로 평가 기준안을 작성하며 교사와 신의(信義)를 바탕으로 한 개입과 타협을 통해 평가에 이르기까지 개별성이 존중받는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학생은 수행평가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자율성을 가지게 되었고, 선택형 수행평가를 진행하면서 평가 기준에 대한 성취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해 책임감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자 개개인의 특성이 반영된 선택형 수행평가는 과정 중심 평가로 수업의 과정과 결과가 일치되는 균형 잡힌 평가로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cases and their meanings with respect to PE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in which learners become the center,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meanings, and to suggest a direction for PE performance assessment. I, the researcher, selected three teachers and three students recommended as participants by the three teachers, respectively, and collected and analyzed performance assessment materials, observation logs, and data from depth interviews and group interviews. For the PE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students chose the assessment contents and methods, and established standards after teachers' explanations and demonstrations according to each chapter. Students provide explanations and gave demonstrations concerning the assessment standards to teachers, and the final standards were established through teachers' intervention and compromise. Based on this, various feedbacks was provides and process focused assessment was undertaken. The educational meanings of PE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were as follows: First, assessment appreciating individuality is undertaken following intervention and compromise based on teachers' sincerity while students establish their own assessment standards. Second, students can acquire autonomy during the process of freely selecting and practic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y also develop sense of responsibility to satisfy the accomplishment goals of assessment standards while they undertake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Third, selective performance assessment that reflects learn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shows the possibility of being a balanced method of assessment, in which the process and the results are agreed as process-focused assessment.

      • KCI등재

        초등학교 수행평가 활동 전반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김소영(Soyoung Kim),전주성(JuSung J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현재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행평가 활동의 전반에 대한 타당성 정도를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수행평가 활동 전반을 '준비 및 설계', '수행과제의 개발 및 선정', '평가의 실시 및 자료수집', '결과의 해석 및 활용', '교욱전반에 대한 영향력 검증'등 다섯 단계로 구분하고, 각각에 적합한 타당화준거 및 논리를 적용하여 20명의 초등학교 교사들과의 면담, 수행평가 계획서, 수행평가 산출물, 성적표 등을 참조하여 타당성 정도를 분석하였다. 적용된 타당화 준거는 학교현장의 수행평가 계획 및 실행의 국가 수준 지침/규정과의 적합도, 내용 타당도, 내재적 타당도, 교수타당도, 시간과 노력의 적정성, 채점 공정성, 결과의 활용정도, 결과 타당도 등이다. 연구결과는 현재의 초등학교 수행평가가 이 연구에서 설정한 타당화 준거 및 논리 측면에서 볼 때 그 타당성 정도가 대체로 낮았음을 보여 주었다. 수행평가의 형식적 시행, 단편적 지식이나 이해를 주로 측정하는 수행평가 과제의 질적 문제, 교수학습 활동을 개선시키거나 고등사고 능력을 향상시키기 보다는 학습활동 시간의 축소, 교사와 학생 모두가 부담스러워하는 수행평가 시행 횟수, 현장의 평가 체제를 반영하지 못하는 형식적인 성적 산출 방법 등을 낮은 타당성의 증거로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수행평가 활동 전반의 타당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수행평가 개념 재정립, 주지교과에서 지필평가 성적을 반영하도록 성적산출 방법의 전환, 수행평가의 본질적인 개념에 부합하는 수행과제 개발, 적정한 수행평가 시행 횟수 설정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with a holistic approach for the elementary school in Korea. The performance assessment is divided into five stages: (1) plann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2) developing and selecting performance tasks, (3) implementing and operating the assessment, (4) interpreting and utilizing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5) exploring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on education. The eight criteria used for the validation are as follows: The accordance to national guidances and regulations, content validity, internal validity, instructional validity, the appropriateness of the amount of time and effort for conduct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liability of scoring, the degree of the utilizing the results, and the consequence valid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verall validity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condu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of Korea was considerably low. The planning and administra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are very superficial, and performance tasks are also limited to measuring basic knowledge and skills of students. Furthermore the administration is too frequent to think about the quality of performance tasks, and it mak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overloa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propose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conducted in the elementary school of Korea; (1) redefining the right meaning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2) reforming the grading system of the elementary school, (3) developing high quality performance tasks, and (4) conduct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with reasonable frequency.

      • KCI등재

        수행평가 계획서에 나타난 과제와 채점기준표의 적절성 분석-D광역시 중학교 3학년 국어과를 중심으로-

        김수진,김선,반재천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task and the rubric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type, and the suitability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and the rubric presented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 For this study,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 of the 123 middle schools 3rd grade, 2nd semester of Korean literature Course department of D metropolitan city was downloaded from the school information web site.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task in terms of nine assessment standards, 61% to 66%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plan was suitable f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required high-level thinking. Second, the rubric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standards was found to be appropriate as a whole. More than 76% of the scores for the rubric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came out to be “somewhat” or higher. However, 42% of the study data did not have a descrip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ask, and 61% of them didn’t have a rubric. Third, it was found that portfolio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amo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types, but ironically it had the least properly developed task and rubric among them all.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들이 작성한 수행평가 계획서에 제시된 수행평가 과제 및 채점기준표가 적절한지, 수행평가 과제와 채점기준표의 적절성이 수행평가 과제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탐구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D광역시 123개교 중학교 3학년 국어과의 수행평가 계획서를 학교알리미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 과제 개발의 적절성에 대해 9개 평가 기준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평가 횟수 및 시기의 명확성, 교육목표와 수행평가 과제 내용의 적합성, 고차적인 사고의 요구 여부에 대해 61%~66%정도만 적절했다.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할 때 특히 교육목표와 수행평가 과제 내용의 적합성, 고차적 사고 요구 여부, 과업 지시의 명확성, 여러 가지 교육목표의 측정은 수행평가 과제가 갖추어야 할 기본 요건이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에 대한 적절성 비율이 44%~63% 정도에 불과했다. 둘째, 수행평가의 채점기준표가 적절한지에 대해 11개 평가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11개 평가 기준에서 ‘다소 그렇다’ 이상으로 판정된 채점기준표의 비율은 76%이상으로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전체 연구 자료의 42%는 수행평가 과제에 대한 기술이 없었으며, 61%는 채점기준표의 제시 자체가 없었다는 것에 비추어볼 때 많은 채점기준표가 충실히 작성되고 있지 않았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수행평가 과제 유형 중 포트폴리오(27.4%)는 다른 유형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수행평가 과제와 채점기준표의 적절성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 KCI등재

        체육 교과 수행평가 100% 반영 정책에 따른 학생 평가 쟁점 고찰

        정현철(Hyun-Chul Jeo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18 교육평가연구 Vol.31 No.2

        이 연구는 2016년부터 선택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체육 교과 수행평가 100% 반영 정책에 대한 현장 적용 사례들을 살펴보고 수행평가 100% 반영 정책에 대한 쟁점들을 고찰하여 학교 현장에 학생 평가의 효율적인 운영과 적용을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진행을 위해 J도 체육교과연구회 참여 체육 교사들 중 2016년부터 체육 교과 수행평가 100% 반영으로 체육 수업을 진행하며 관련 자료들과 경험이 풍부한 교사 4인과 교사 4인이 추천하는각 학교 학생 1명씩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학교별 수행평가 관련 자료들과 심층 면담을 통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행평가 100% 반영 선택 시 학교 실정과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신중히 선택해야 할 것이며 수행평가 100% 반영에서 오는 평가의 효율성, 타당도, 신뢰도 확보를 위한 준비가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수행평가의 반영 비율만 늘리는 형식적인 운영이 아닌 다양한 평가 방식을 활용한 과정 평가가 진행될 수 있도록 평가 방법과 내용을 새롭게 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체육의 이론과 실기의 분리된 수업이 아닌 융합적인 수업을 통해 지필평가의 부재에서 오는 인지적인 영역에 대한 보강을 위한 수행평가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수행평가 100% 반영 시 과정 중심 평가와 평가의 공정성, 타당도, 신뢰도 확보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 역량 개발이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field application cases of the 100% reflection policy of physical education(PE) performance assessment that has been selectively implemented since 2016 and to consider the issues on the policy, so that student assessment can be effectively operated and applied in schools. For the study, four PE teachers who have conducted their classes with PE performance assessment fully reflected and have related resources and experiences were selected along with four students recommended by each of the teachers among PE teachers who join the Physical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in J-province. The data collected through each school s performance assessment resource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choosing 100% reflec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of school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e efficienc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ssessment from 100% reflection should be considered first. Second, rather than perfunctory operation that increases reflection ratio of performance assessments,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evaluation methods and contents in order process assessments with various methods applied to be implemented. Third, through integrated lessons, instead of those with PE s theory and practice separated, cognitive domain, which can be insufficient due to the absence of paper assessments, should be compensated in the performance assessment methods. Fourth, it is crucial to develop teachers professionalism to guarantee process-oriented assessments and fairnes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ssessments when 100% performance assessments are reflected.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실과교과 6학년 「기술의 세계」 영역의 수행평가 도구 개발

        한상석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실과교과 「기술의 세계」 영역 중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지식과 기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산출물을 만들거나, 행동하거나, 답을 작성하도록 요구하는 평가 방식인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교육과정-교수·학습 방법-평가로 이어지는 교육의 전체를 일관성 있게 유지시켜주는 지표 구실을 하여 실과 평가 방법의 개선과 실시에 도움을 주고자하는데 목적이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기술의 세계」 영역에서 평가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교육 현장에서 기존 평가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수행평가를 선택하여 개선된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모형 및 도구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비교 분석하였고 보편타당한 평가 도구 개발 절차 모형에 의거하여 실과 수행평가 도구의 장단점을 보완하였으며 2011년부터 적용되는 실과교과의 수행평가 현장 적용에 도움을 주기 위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기술의 세계 영역을 분석하여 수업 상황에서 평가 영역을 통합하여 시행할 수 있는 평가와 학습이 통합된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둘째, 구안된 교수·학습 모형에 따라 직접 학생 자신의 능력을 드러내 보이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실행 중심의 실과 수행평가 도구 개발절차 모형을 구안하였다. 셋째, 6학년 기술의 세계 영역의 적용 가능한 수행평가 기준안 및 학생 활동지를 개발하였다. 실과 수행평가 기준안과 학생 활동지는 여러 문헌과 현장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자체 개발하였으며 구안된 평가 도구 개발 절차 모형에 따라 수행평가 가능 단원의 차시에 대하여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erformance assessment tools for elementary school practical curriculum 「the world of technology」 to make learner themselves behave, make outputs or make answers to show their knowledge and techniques. We expect this tool to be an index that maintains whole education process consistently which is education procedure -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 evaluation. And this tool will help for assessment and implement ways to improv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improved plan for the existing assessment to develop an alternative assessment tool in the field of 「world of technology」 in the section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 compared former studies about existing models and tools, remedied assessment tool based on the tool developing process model. Details for the study that aimed to help evaluate the performance which begins 2011 are as follows. First, we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that unifies assessment and study by analyzing the 「world of technology」 course that revis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Second, we develop the practical course performance assessment tool development process model that is based on the teaching- learning model for give chances students to reveal their own abilities. Third, we develop a standard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student activity records that can be applied to the 「world of technology」 class of the sixth grade students. Practical course performance assessment standard and student activity records are developed by ourselves based on several references and experiences in the field. And developed assessment tool development process model and a propose of practicable project work unit on sixth form

      • KCI등재

        원격응답기를 활용한 학생참여 수행평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숙,김정랑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3

        동료평가는 학습자 중심의 평가로서, 평가를 통해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며, 교사 주도의 일방적인 평가보다 동료 학생들에 의한 평가가 학습자들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사회과를 중심으로 원격응답기를 활용한 수행평가 모형과 수행평가 과제를 개발하고, 실제 수업에 학생참여 수행평가를 적용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격응답기를 활용한 학생참여 수행평가는 사회과 학업성취도와 학습태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원격응답기를 활용하여 학생참여 수행평가 후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 교수․학습 과정에서 학생들의 학업 수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er evaluation is an evaluation centered on the student, through which interaction among students becomes active. The peer evaluation has a greater influence on students than a unilateral directions from the teacher has. This study aims to develop performance assessment models and tasks in which students participate using the remote responder in 4th grade social studies classrooms in the elementary school. It also aims to apply the developed models and tasks to class and to find out how they affec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attitude. The student participation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the remote responder appeared to bring a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survey on the students' interests in using the remote responder and its effects conducted after the performance assessment showed positive results.

      • KCI등재후보

        과정중심평가 측면에서의 백워드 설계 방식을 활용한 맥락적 수행과제 개발

        정수경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7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5 No.3

        2015 개정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더 불어 과정중심평가를 강조한다. 올해부터 2015 개정교육과정이 순차적으로 적용됨에 따 라 현장의 과정중심평가 열기 또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과정중심평가를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비한 실 정이다. 본 연구는 과정중심평가를 실천하는 한 가지 방안으로 백워드 설계를 통한 맥락 적 수행과제 개발을 제안한다. 먼저 백워드 방식의 평가 설계가 어떻게 과정중심평가의 실천 수단이 될 수 있는지 고찰한다. 그리고 백워드 설계 기반 맥락적 수행과제의 개발 사례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백워드 설계 기반 맥락적 수행과제를 적용해 본 결과를 통 해 교육 현장에서의 가치를 논한다.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 process-based assessment as well as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method with the purpose of educating the creative convergent pers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to practice process-focused assessment. This research suggests contextual performance tasks based on backward design as a way to practice process-focused assessment. It considers backward design in its aspect of authentic assessment. And then it represents some examples of developing contextual performance task. At the last section, it discusses the value of contextual performance tasks based on backward design through experience of applying them.

      • KCI등재후보

        초등 국어과 수행평가의 역동적 실행 방안 고찰

        김도남 ( Do Nam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5 한국초등교육 Vol.26 No.2

        이 논의에서는 초등 국어과 수행평가를 역동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초등학교 국어과 수행평가는 학교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지만 그 효과성이 높지 않다. 초등 국어과 수행평가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역동적으로 수행평가를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초등 국어과 수행평가가 교수-학습 과정에서 역동적으로 실행될 때 타당성과 효과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논의에서는 초등 국어과 수행평가의 역동적 실행 요인으로 ‘평가 시행의 적시성’, ‘평가 형식의 유연성’, ‘교사와 학생의 협력성’, ‘평가적 판단을 위한 교사 전문성’, ‘결과 송환의 즉시성’ 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수행평가의 역동적 실행을 위하여 ‘적시성을 살린 평가 계획’과 ‘평가 상황을 고려한 평가 형식의 준비’가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과정에서 ‘상호 협력적 평가의 실행과 교사의 평가적 판단’이 이루어져야 하고, 학생의 과제 활동에 대한 ‘평가 결과의 즉시적 송환’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초등 국어과 수행평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개선이 필요하지만 먼저 고려할 요인이 역동적 실행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ynamic execu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xecution is a trait on carrying out performance assessment appropriately in the process of teaching-learning. It contributes to the promoting efficiency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trait of dynamic execu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divided into five factors. The first is timing, that is a point of time carrying out assessment appropriately. The second is flexible technique, that is a fitting method and tools for checking learning activity of student. The third is opportune collaboration, that is cognitive assistance in teacher-student or student-student. The fourth is seasonable judgment, that is ascertained the accurate or inaccurate of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by teacher. The fifth is prompt feedback, that is an assistance for the student in difficulty of learning problem solving. In order to the dynamic execu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plan for improving the timely execution, prepare for the adaptable assessment method and tools, carry out collaborative activity for problem solving, feed back for the assessment result to student. The dynamic execu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improving the effect of teaching-learning. we must research into the practical dynamic execu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