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풍자 잡지 「펀치」 속 과학 풍자 : 자연 과학과 수리 과학에 관한 풍자 비교를 중심으로

        조수남 한국미학예술학회 2019 美學·藝術學硏究 Vol.56 No.-

        Punch, a British magazine of humour and satire, has been considered as a sort of window on thought and culture of the Victorian English by historians. But the historians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sciences in Punch despite popularization and rapid developments of sciences during the era.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several studies that paid attention on sciences in Punch, while the sciences were confined to technological inventions, medical themes or Darwin's evolutionary theory. This tendency of overly weighted toward specific fields is due to difficult problems tha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depict theoretical sciences and to search for the articles treating sciences in the massive material of Punch. However, Punch had treated various scientific issues besides evolutionary theory. This paper will show obvious differences between humour on experimental sciences or natural history and ridicule on mathematics or mathematical sciences. Then we may be able to understand the evident differences between public attitudes toward natural sciences and mathematical sciences. 풍자 잡지 「펀치」는 빅토리아 시기 영국 사회의 사상과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어 왔다. 그런데 19세기 동안 영국에서 과학이 폭넓게 대중화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펀치」의 과학적인 기사들에 대해서는 많이 연구되지 않았다. 그리고 연구되었던 경우에도 주로 기술이나 의학, 혹은 진화론과 관련된 부분만이 주목받았을 뿐, 그 외의 실험 과학이나 자연사, 수학 및 수리 과학과 관련된 내용은 제대로 다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뉴턴의 『자연 철학의 수학적 원리』의 성취 이후 영국에서 과학이 폭넓게 대중화되었던 만큼 「펀치」에는 다양한 과학적 논의들이 풍자되었다. 여기에는 다양한 실험 과학 및 자연사, 수학 및 수리 과학의 내용들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그런데 연구 과정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자연사나 실험 과학에 관한 풍자와 수학 및 수리 과학에 대한 풍자가 그 방식이나 논조 등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였다는 점이다. 쉽고 흥미로운 방식으로 과학을 접했던 지식 대중에게 실험 과학이나 자연사의 연구들은 접근 가능하고 익숙한, 그래서 더욱 흥미로운 분야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이에 반해 19세기 초부터 복잡하고 난이해지기 시작한 수학 및 수리 과학의 분야들은 대중은 물론이고 과학 단체의 회원들에게까지 어렵고 복잡해서 골치 아픈 분야가 되고 있었다. 결국 수학 및 수리과학에 소외된 「펀치」는 이 분야들을 긍정적으로 묘사하지 않았다. 「펀치」의 과학 풍자 기사를 실험 과학 및 자연사 분야와 수학 및 수리 과학의 분야로 서로 나누어 비교 분석해볼 때, 당시 대중들에게 과학이란 어떤 것이었고, 그들에게 과학의 내용들은 얼마나 익숙한 것이었으며, 그러한 과학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었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수리ㆍ과학 탐구 교과 관련 철학교육 방안

        윤용택 한국철학교육학회 2009 철학ㆍ윤리 교육 연구 Vol.25 No.41

        오늘날 사회는 민주화, 정보화, 세방화 사회로 되고 있고, 새로운 과학과 기술은 우리의 의식과 삶의 방식을 많이 바꿔놓고 있다. 그리고 각 나라마다 성장위주의 개발 정책으로 지구적인 환경파괴와 기후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인류의 생존마저 위협을 받고 있다. 고등학교 교양 선택과목인 ‘생활과 철학’은 이 러한 상황을 반영하면서 정치․경제, 사회․문화, 지리․역사, 과학․기술 등의 영역에서 보다 근원적인 물음을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 ‘생활과 철학’이 학생들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가려면 그들에게 적절한 수준 과 필요한 내용으로 기술되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이번 개정시안에서 “일상적인 예화들을 먼저 제시하고 그와 관련된 철학적 이론들을 교육하는 방식을 취하고, 고등학교의 교과서들에서 언급되는 내용과 학생들이 일상에서 고민할만한 주제들로 철학 교과내용을 구성하라.”는 주문은 설득력이 있다. 그러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서 “수리ㆍ과학탐구 교과 관련 문제” 영역에서는 수학, 과학(기술) 등을 중심으로 제기되는 여러 철학적 문제들을 폭넓게 다루어야 하고, 현재 여기에 포함되어 있는 ‘지리’와 ‘역사’ 교과는 “사회 탐구교과 영역”으로 재배정해야 한다. 그리고 ‘생활과 철학’은 단순히 인문학으로 서의 한 교과목이 아니라, 언어, 문학, 예체능, 사회, 역사, 수학, 과학 등 전과목의 내용을 포괄하는 통합 교과목의 성격을 띠고 있다. 따라서 통합교과인 ‘생활과 철학’ 담당교사를 위한 철학회 차원에서의 충분한 교사 연수가 있어야 하고, 동료 철학교사들끼리의 정보교환뿐만 아니라 다른 교과 교사들과도 다양한 공동연구의 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과학교과에서의 수리 문제 해결력 분석

        김동렬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과학교과에서의 대표적인 5가지 유형의 수리적 문제를 제시하여 정답률과 풀이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또한 Hogan이 제시한 수리적 구조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풀이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무게, 평균, 압력 및 부피, 낮의 길이, 속력에 대한 수리적 문제 중에서 평균 문제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높았으며 무게 문제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실제 초등학생들은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문제는 압력 및 부피 문제로 응답하였다. 초등학생들이 과학교과에서의 수리적 문제에 대한 공통적인 어려움은 수학적 지식을 과학에서도 사용하는 학습 전이 맥락 측면이었다. Hogan의 수리적 구조에 따라 각 문제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풀이 과정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지식 측면에서 오류가 가장 많았고, 특별한 수학적 지식과 과학적 지식을 적절히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인 전략적 지식 측면의 오류를 보인 학생은 5명에 불과하였다. 이는 수학적 지식의 오류로 인해 수학적 지식을 과학에 적용할 기회를 갖지 못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six graders’rates of correct answers and difficulties in solving problems by suggesting 5 typical mathematical problems from school science. Besides,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ss of their solving problems by Hogan’s Mathematical Structure.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The rate of correct answers to problems about average was highest out of all the problems about weight, average, pressure & volume, the length of days and speed, while the rate of correct answers to problems about weight was lowest. Howev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ponded that the problems they actually found most difficulty were about pressure & volume. Their difficulties in solving mathematical problems from school science were commonly in the context of learning transfer that they should use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for school sci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lving problems by Hogan’s Mathematical Structure,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y made mathematical knowledge errors most, but there were only 5 students who made errors of strategic knowledge, which indicates an ability to solve problems by properly applying particular mathematical knowledge and scientific knowledge together. The main reason why they had such difficulties seemed to be because they hardly had chances to apply their mathematical knowledge to science due to their errors of mathematical knowledge

      • KCI등재후보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글쓰기 교육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율전 캠퍼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상태 ( Sang Tae Park ) 한국작문학회 2008 작문연구 Vol.0 No.7

        이 논문은 성균관대학교 율전 캠퍼스(자연과학 캠퍼스)에서 이공계 대학생을 위한 전공 연계적 글쓰기 과목인 <자연과학 및 공학 글쓰기>(가칭)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현대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의 주요한 특성, 즉 수리적·통계적 도표를 활용하는 표현상의 특성, 가설-연역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적 특성, 팀별 협동 작업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실천상의 특성 등을 반영하여 ‘자연과학 및 공학글쓰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자연과학 및 공학 글쓰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은 ‘분석 → 평가 → 작성’이라는 일련의 단계들에서 읽기와 쓰기를 병행하면서 텍스트의 양과 질을 점진적으로 강화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특히 이 프로그램의 1단계에서는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의 수리적·통계적 도표를 분석적으로 이해하고 작성하기 위한 해설적 글쓰기를 실습한다. 그리고 2단계에서는 자연과학 및 공학 분야의 가설 혹은 모델의 형성 및 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텍스트의 가설 혹은 모델이 지닌 한계와 문제점을 평가하는 논증적 글쓰기를 실습한다. 끝으로 3단계에서는 현대 자연과학 및 공학 연구의 환경을 모방한 팀별 활동을 통해 연구 제안, 연구 논문, 연구 소개에 관한 다양한 글쓰기를 실습한다. 비록 해결되지 않은 몇 가지 행정적·제도적 문제들이 남아 있지만, 이상의 ‘자연과학 및 공학 글쓰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기초한 <자연과학 및 공학 글쓰기> 과목은 이공계 대학생들이 자신의 전공 분야에서 실제로 활용 가능한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자신의 연구 활동이 지닌 사회적·윤리적 의의까지 고려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대학 교양기초 교육 분야에서 이공계 글쓰기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한 가지 구체적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new writing course,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science and engineering education, in Natural Sciences Campus in Sungkyunkwan University. In order to accomplish it, this study proposes a new writing program for the students who major in science and engineering, which is called as ``science & engineering writing competence program``. Especially this writing program considers 3 major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science and engineering researches- mathematical·statistical charts or diagrams, hypothesis-deductive method, team-based cooperative work. ``Science & engineering writing competence program`` consists of three major steps, which steps are gradual in reading and writing level. The first step of this writing program is to analyze mathematical·statistical charts or diagrams, and to practice expository writings. The second step of this writing program is to estimate the validity of hypotheses and models, and to practice argumentative writings. The third step of this writing program is to simulate practical writings in the field of the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o practice ethical writings. Although som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problems are unsolved, the new writing course on ``science & engineering writing competence program``, which is called as <Scientific & Engineering Writing>, will offer the advancement of writing skills and the ethical reflection on the scientific and engineering achievement to the students who major in science and engineering. So <Scientific and Engineering Writing> in Natural Sciences Campus in Sungkyunkwan University will be a successful case of writing course curriculum in the relation with the science and engineering education.

      • 팬데믹과 교양교육의 방향 탐색 - 수리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

        김태희 ( Tae Hee Kim ),이미령 ( Mi Ryeong Lee )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양교육연구센터 2021 융합교양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국내 대학에서 전면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된 2020년 1학기부터 2021학년도 현재 대면 또는 온라인 비대면 수업으로 운영되고 있는 대학의 변화된 교육환경을 살펴본다. 특별히 팬데믹으로 인해 급격하게 변화한 대학 교양교육의 운영에서 융복합 과목 <수리과학>의 교육과정을 살펴보고, <수리과학>의 내용에서 학습자의 관심 분야를 집중적으로 탐색한다. 더불어 대학의 교양 교과목<수리과학>의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살펴보고, 문제점에 관한 해결방안을 제안한다. 나아가 팬데믹 시대에 융복합 교과목인 <수리과학> 의 교양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of universities from the first semester of 2020 when all classes of universities were alternated to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o until 2021 when both offline and online classes are enforced. In particular, we investigate the curriculum of the convergence subject < Mathematical Science > in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which has rapidly changed due to the pandemic. And we intensively explore areas of interest for students in the contents of < Mathematical Science >. In addition, we examine the exposed problems in the curriculum of the subject < Mathematical Science >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suggest solutions to the problems. Furthermore, we suggest the dire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of the convergence subject < Mathematical Science > in the era of the Pandemic.

      • KCI등재

        수리 기반 과학탐구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여승현,이종학,류성림,손태권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4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리 기반 과학탐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 램을 적용한 STEAM 기반 수업이 초등학생의 융합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융합 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학년 학생 25명 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STEAM 기반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STEAM 만족도 검사와 융합적 태도 검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초등학교 4학년 수리 기반 과학탐구 STEAM 프로그램을 학기별 7종씩 모두 14종을 개발하였다. 둘째, 학생들은 STEAM 프로그램의 내용이 새롭고 독특하며, 흥미롭고 학습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하고,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며, 다양한 활동과 자료가 충분하고 명확하게 제공되어 적극적으로 참여했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STEAM 프로그램 참여 후 과학 지식이 수 학보다 더 많이 증가했으며, 협업, 창의성, 의사소통,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되었고, 융합 직업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높아졌으며, 추가적인 융합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의지가 생겼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리 기반 과학탐구 STEAM 프로그램을 적용 및 향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ath-based science exploration STEAM program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EAM program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STEAM programs and STEAM attitudes. For this purpose, 2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fourth grade were us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STEAM-based experimental classes were conducted, and STEAM satisfaction and attitude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14 STEAM programs were developed (seven for each semester). Second, students perceived the content of the STEAM programs as new and unique, interesting and conducive to learning, had high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s, and actively participated because various activities and materials were sufficiently and clearly provided. Third, students percieved that their science knowledge increased more than their math knowledge after participating in STEAM programs. In addition, their collaboration,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interdisciplinary careers increased and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additional interdisciplinary programs increased.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mathe-based STEAM programs and future program development are discussed.

      • KCI등재

        수리와 천문으로 읽는 천부경

        정천구(Chun-Koo Jeong) 한국민족사상학회 2021 민족사상 Vol.15 No.1

        이 글은 고대의 우리 선조들이 하늘과 세계에 대해 어떻게 인식했을까를 화두로 삼아 천부경을 읽고 그것이 현대 문명에 주는 함의가 무엇일까를 연구한 것이다. 천부경이 세상에 나온 지는 100년 밖에 되지 않고 위서 시비가 있었다. 그러나 그 내용이 우리 민족의 사상적 근원으로 보기에 충분하여 민족의 정신세계를 대표하는 경전으로 애독되고 많은 연구가 축적되었다. 본론은 이러한 배경 아래 천부경이 탄생할 당시 우리 조상들은 삼라만상과 우주에 대해 우선 감탄과 경외의 감정을 가졌을 것이며 이를 수리와 천문 그리고 자신의 내적 각성과 결합하여 천부경 81자로 표현했을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이는 배달민족 만이 아니라 고대인들이 비슷했을 것이다. 본론은 먼저 동서양에서 고대인들의 수와 천문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인들은 공통으로 거기서 질서를 발견하고 그것을 인간이 본받아야 할 감탄과 경외의 대상으로 보았다. 천부경이 독특한 점은 우주 창조와 운행을 천지인 삼재가 함께하는 신인 합일의 공동작업으로 보았다는 점이다. 그들은 거기서 조화와 질서 그리고 사랑의 원리를 발견하고 이를 인간사회에 실현하려고 했다. 천부경은 현대인에게 기계론적 과학주의로 파괴된 자연에 대한 경외심을 회복하고 자연의 질서에 따라 사는 중요성을 일깨워 주고 있다. 경험적 세계와 별도로 존재하는 예지의 세계를 건설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how our ancient ancestors perceived the heaven and the world and studies its implication for modern civilization. It has only been 100 years since the Sutra came into the world, and there has been a dispute over her authenticity. But the contents were sufficient to be regarded as the philosophical source of the Korean people, which was widely read as a scripture representing the spiritual world of the Korean people and accumulated a lot of research. The main theory assumes that while studying the sutra under this background, our ancestors must have had first admiration and awe for the world and the universe, combined with logic of numbers, astronomy, and their inner awakening to express the horoscope in 81 characters. This would have been similar to the ancient people, not just the ancient Korean people. Under this assumption, the main theory first examined logic of numbers of ancient people and the perception of astronomy in the East and West. They found order there and saw it as an object of admiration and awe that humans should emulate. The Sutra was also regarded as similar. What is unique about the Sutra is that it viewed space creation and operation as a collaboration among heavenly God, Earth, and Man. There they discovered the principles of harmony, order, and love, and tried to realize them in human society. The Sutra reminds modern people of the importance of restoring their reverence for nature and living according to the order of natur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