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紀異)」 <수로부인(水路夫人)>의 서술 의도 -<성덕왕>과의 관련성을 전제로-

        엄태웅 ( Tae Ung Eom )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6

        본고는 『삼국유사』가 서사적 성격이 강한 역사서라는 전제 하에, 그리고 전후 이야기가 긴밀한 상관성을 갖고 있다는 전제 하에, 「기이」의 구성적 특성과 <성덕왕>에서 언급한 성덕왕대에 대한 인식을 분석틀로 삼아 <수로부인>에 접근했다. 「기이」는 국가별·왕조별 신이한 체험을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록들이 대개는 국가적 차원의 문제와 관련이 되어 있다. 이러한 면에서 성덕왕 시절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수로부인> 또한 그 신이한 요소가 국가적 차원의 문제와 닿아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어서 <성덕왕>을 통해 단서를 추출했다. <성덕왕>에는 백성들에 대한 구휼의 기록과 함께, 국가적 위기를 해결하고 왕권을 강화하려 했던 성덕왕의 업적이 부각되어 있다. 이렇게 볼 때 <성덕왕>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수로부인>도 국경 지역의 위기 상황을 타개하고 중앙 집권을 강화하기 위한 서사로 이해해야 한다. 실제로 <수로부인>에서는 공통의 적대 세력에 의해 중앙 권력과 토착 세력이 화합하는 양상이 드러났다. 그 과정에서 수로부인은 유력한 존재이며 신이한 존재인 자신의 면모를 발휘하면서 화합과 갈등 해결에 기여한다. 결국 『삼국유사』의 편찬자는 <수로부인>을 <성덕왕> 기사에 이어 배치함으로써, 수로부인의 면모를 성덕왕대의 유력한 인물의 행적으로 부각하고 싶었던 것이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organization and formation of chapter 「Kiyi(紀異)」,『Samgukyusa(三國遺事)』. And then paid attention to meaning and concerning between the clause <Seongdukwang(聖德王)> and the clause <Surobuin(水路夫人)>, because these two clauses are based on the same period, the 33th King of Silla(新羅), Seongduk-wang. As a result, there were clues in <Seongdukwang> which can guess the meaning of <Surobuin>. Clues could be found in the three points. First, clause <Seongdukwang> commemorate the memory of the 29th King of Silla, Muyeol-wang(武烈王), was named Kim Chunchu(金春秋). It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strengthen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king, like Muyeol-wang. Second, clause <Seongdukwang> emphasized that Seongduk-wang was held the Buddhist religious rituals for resolving conflicts thereamong marginal states. It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tried his best to stabilize the Silla. Third, clause <Seongdukwang> mentioned that Seongduk-wang made a highest public position Sijung(侍中), even though it is different from the truth. It also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strengthen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king, because Sijung symbolized the power of king. So, by going through clause <Seongdukwang>, this thesis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clause <Seongdukwang> was written for describing Seongduk-wang as a powerful king and Sills as a safe country. Therefore <Surobuin> s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vein.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紀異)」편(篇) <성덕왕(聖德王)>조(條)의 서술(敍述) 의도 -<수로부인(水路夫人)>條의미 고구(考究)의 단초 마련을 전제로-

        엄태웅 ( Tae Ung Eom ) 택민국학연구원 2014 국학연구론총 Vol.0 No.13

        본고는 기이 편을 구성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공히 성덕왕대를 다루고 있는 <성덕왕>조와 <수로부인>조가 내용적으로 연관이 깊을 것이라는 전제로, 이 중 <성덕왕>조의 의미를 분석하여 <수로부인>조 해석의 단초를 마련하였다. 두 조목처럼 공히 무열왕대를 다루고 있으며 유사한 구조를 취하고 있는 <김유신>조와 <태종춘추공>조를 살펴보면, <태종춘추공>조가 삼국 통일이라는 역사적 과업을 수행한 과정을 제시하고, <김유신>조는 그 과업을 주도적으로 수행한 김유신의 신이한 면모를 부각시킨다. 두 조목이 내용을 공유하면서, 군주의 신이한 면모보다는 유력한 인물의 신이한 면모가 부각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성덕왕>조와 <수로부인>조에 대입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성덕왕>조는 구휼과 덕화의 측면에서 해석되었다. 그러나<성덕왕>조는 불안한 지지기반을 해소하고 왕권을 강화했으며, 갈등 관계에 놓여 있는 주변국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교적 실천을 보였고, 왕권의 제도적 안착을 위해 노력했다는 기록을 담고 있다. 따라서 <수로부인>조는 <성덕왕>조에서 제시하는바, 성덕왕대가 왕권 강화와 국경 정비와 같은 국가적 업적을 이룩하는 과정에서 순정공과 수로부인이 보여준 신이한 면모를 기록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organization and formation of chapter Kiyi(紀異) , Samgukyusa(三國遺事). And then paid attention to meaning and concerning between the clause <Seongdukwang(聖德王)> and the clause <Surobuin(水路夫人)>, because these two clauses are based on the same period, the 33th King of Silla(新羅), Seongduk-wang. As a result, there were clues in <Seongdukwang> which can guess the meaning of <Surobuin>. Clues could be found in the three points. First, clause <Seongdukwang> commemorate the memory of the 29th King of Silla, Muyeol-wang(武烈王), was named Kim Chunchu (金春秋). It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strengthen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king, like Muyeol-wang. Second, clause <Seongdukwang> emphasized that Seongduk-wang was held the Buddhist religious rituals for resolving conflicts thereamong marginal states. It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tried his best to stabilize the Silla. Third, clause <Seongdukwang> mentioned that Seongduk-wang made a highest public position Sijung(侍中), even though it is different from the truth. It also means that clause <Seongdukwang> wanted to describe Seongduk-wang strengthened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king, because Sijung symbolized the power of king. So, by going through clause <Seongdukwang>, this thesis arrived at a conclusion that clause <Seongdukwang> was written for describing Seongduk-wang as a powerful king and Sills as a safe country. Therefore <Surobuin> sould be understood in the same vein.

      • 『삼국유사』, 「수로부인」 전승의 서사구조 분석

        고은채(Go, Eun-Chae)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2 아시아강원민속 Vol.37 No.-

        본 논문의 제 Ⅰ 장에서는 『삼국유사』 속 「기이」편의 「수로부인」의 전승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수로부인’을 연관 검색어로 하는 국내 학술논문 92편을 선별하였다. 수로부인 의 연구 논문 분석 결과 총 92편 중 56편(60.9%)이 내재적 접근 방법을 36편(39.1%)이 외재적 접근 방법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수로부인」의 <헌화가>와 <해가>를 단독으로 연구 분석한 형태는 총 92편의 논문 중 37편으로 이 중 <헌화가>만을 단독으로 연구한 사례는 총 31편(33.7%)에 이르지만 <해가>를 단독으로 연구된 사례는 총 6편(6.5%) 뿐에 그치는 연구 분석의 형태를 알 수 있었다. 또한 수로부인의 존재에 대한 관련 논문의 연구 분석 주제양상을 보면 제의적 기능을 담당하는 인물로서 수로부인을 분석한 것이 총 92편의 논문 중 31편(33.7%), ‘자용절대’ 의 아름다움을 주제로 한 것이 11편(12%)으로 두 번째로 많았다. 나머지 각 항목의 논문 주제 편수는 최대 7개 이하로 「수로부인」의 서사 문맥을 연구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수로부인」 전승의 배경론적 전개를 논하기 위해 『삼국유사』의 편찬 의도와 「수로부인」의 서사 배경에 대하여 외재적 접근 및 문화 사회학적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그리고 『삼국유사』의 기술체계는 한 명의 군주마다 하나의 이야기가 구성된 기술 방식(A+A ’ )과 한 명의 군주 이야기에 군주 당대의 유력한 인물의 일화를 곁들어 기술하는 방식(A+B)의 기술체계가 있는데, 이중 성덕왕 과 성덕왕 대의 수로부인 에 대한 기술체계는 의 형식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성덕왕」과 「수로부인」의 설화는 서로의 이야기가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하나의 서술 의도로 기술되고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일연은 성덕왕을 불교적 전제왕권의 기틀을 다진 통일신라 최초의 군주로 생각한 것으로 판단하고, 수로부인이 성덕왕이 이루어낸 과업을 도운 유력한 인물로 기술한 것으로 생각된다. 제 Ⅲ장에서는 「수로부인」의 이야기를 설화의 한 갈래인 신화로 특정하여 신화로서의 특징을 분석하고 원질 신화로서 원형을 담보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 이를 위해 ‘크리스토퍼 보글러’의 서사 구축 틀인 ‘영웅의 제12단계를 분석의 틀로 ‘역’ 사용하여 「수로부인」의 서사구조가 인류의 보편적인 공감과 감동을 담보하는 원질 신화로서의 전승 양상을 보이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수로부인」의 서사구조는 평범한 여인이 여정을 통해 자신의 가능성과 능력을 발견해 나가며 새로운 영웅적 면모를 발현해 나가는 영웅 성장 신화의 보편적인 서사구조를 충실히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연은 불교적 공업을 이룬 『성덕왕』 뒤에 종교적 신성성을 지닌 신화적 인물 「수로부인」을 배치하여 (A+B)의 형식을 이루고, 이를 통해 전제왕권의 정당성을 종교적 신성성으로 확보하고자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 수로부인의 신이한 이야기를 종교적 영웅의 신화적 이야기로 승화시켜, 불교를 바탕으로 하는 전제왕권의 기틀을 다진 성덕왕의 공업을 더욱 공고히 만든 서사적 전승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수로부인(水路夫人) 전승과 <헌화가>·<해가> 재해석 -성덕왕 기사의 서술·편제 목적과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 신앙을 근거로-

        이현정 ( Lee¸ Hyun-jeong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7

        「기이」편 성덕왕 기사들은 서술·편집자의 불교적 사유, 곧 정법(正法) 수호에 따른 이상적 제왕의 실제 행보를 불교적 자장 안에서 강조하고자 선정·기술된 측면이 있다. 특히 <수로부인>조는 성덕왕 3년(703) 『금광명최승왕경(金光明最勝王經)』을 수용한 성덕왕의 업적을 감안하여 배치된 기사이다. 동시에 <수로부인>조는 신라·고려조에서 기근(饑饉)과 기우(祈雨)에 특별한 효험이 있다고 여겨졌던 『금광명경(金光明經)』 신앙을 강조하고자 서술·편제된 것이기도 하다. 여기에는 수로부인을 둘러싼 이적(異蹟)이 어디까지나 『금광명최승왕경』을 수용·전파한 성덕왕의 치적 하 발생한 일이라는 서술·편집자의 인식이 투영되어 있다. <수로부인>조의 서사는 기근·가뭄 해결과 관련된 『금광명최승왕경』의 신앙들, 그 중에서도 변재천녀(辨才天女), 길상천녀(吉祥天女), 견뢰지신(堅牢地神)으로 대표되는 천녀·여신 신앙과 긴밀하게 얽혀 있다. 금광명최승왕경 을 근거로 견우노옹과 해룡의 정체, 척촉화의 의미와 속성, 수로부인의 해중(海中) 체험과 칠보궁전(七寶宮殿)의 상관성, 수로(水路)의 의미 등을 해명할 수 있다. 다만 수로부인 전승은 『금광명최승왕경』 신앙과 신라 고유의 여성 숭배 신앙(여산신 신앙, 용신 신앙)의 혼효로 형성된 신불습합(神佛習合)의 산물로 보인다. 수로부인 전승은 신라 중기 이후 민중들에게 신앙의 포교를 담당하는 직임을 지녔던 왕실 또는 귀족 여성이자 재가신도(在家信徒)였던 아니(阿尼)와 아니전(阿尼典) 소속 모[母]를 중심으로 세간에 설파되어, 점차 불교적 속성이 두드러지는 쪽으로 변모하였을 여지가 크다. 한편 <헌화가>ㆍ<해가>의 노랫말과 길상천녀와 견뢰지신의 진언(眞言) 간에 일견 연결 고리가 도출된다. 이는 두 노래가 『금광명최승왕경』 신앙의 포교를 위하여, 기존 전통 가요를 운용한 화청(和請)과 같은 노래였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Most of the documents on King Sungdeok(聖德王) that are described and complied in the Chapter “Kiyi(紀異)” exhibit Buddhist thoughts of narrator/editor’s, especially the one’s tendency to select and describe with the intention to understand and emphasize an ideal emperor’s image who protects the orthodox dharma(正法) within the Buddhist base. In particular, the layout of the “Suro-buin(水路夫人)” section, which includes “Heonhwa-ga(獻花歌)” and “Hae-ga(海歌)”, in Chapter “Kiyi” is closely related to the adoption of “Geum-gwang-myung-choiseung- wang-gyun(金光明最勝王經)” on the third year of King Sung-deok’s reign. This is the result of the narrator/editor’s perception that miracle of Suro-buin, in all respect, have been manifested only through the King Sung-deok’s achievement of adopting and propagating the “Geum-gwang-myung-choi-seung-wang-gyun”. In addition, “Suro-buin” section was a story interconnected with the consistent famine occurred during the early years of King Sung-deok’s reign, that could been described and compiled in order to emphasize the “Geum-gwangmyung ―gyun(金光明經)” belief which was speculated to cause famine during the Silla(新羅) and Goryeo(高麗). In fact, the narrative of “Suro-buin” section involves not only the faith on heavenly maids and goddess from “Geum-gwang-myung-choiseung- wang-gyun” who are represented by Byunjae-cheonye(辨才天女), Gilsang-cheonye(吉祥天女) and Gyeon-re-jisin(堅牢地神) but also the religious reasons of the scriptures related to the resolution of famine and drought. The identity of Gyeonunoong(牽牛老翁) and Sea-Dragon [海龍], the meaning and attributes of the rhododendron[躑躅花], the correlation of Suro-buin’s underwater experience with Chil-bo Palace (七寶宮殿) and the meaning of the name Suro(水路) are issues that can be explained with religious reasons. However, the story of Suro-buin is most likely to be the result of a Shinbutsu Shugo(神佛習合), which combines the faith of “Geum-gwang-myung-choi-seung-wang-gyun”, the intrinsic worship of Silla era for women. Regarding the reasons how the said story could have been so widely circulated, attention is being paid to the presence of laity Ani(阿尼) who as a member of royal family or as an aristocratic women responsible for missionary work of Buddhism faith to the people after the mid-Silla era and the presence of Mo(母) who worked at Ani-jeon(阿尼典). It is assumed that they transfigured the narration of “Suro-buin” to further emphasize the Buddhist propensity before being preached to the public. Meanwhile, the lyrics of “Hewonhwa-ga” and “Hae-ga” show a connection between the meaning, prayer method and offering rituals for the Buddha’s words[眞言] used in the Gilsang-cheonye and Gyeon-re-jisin. This suggests another possibility that the two songs were Hwa-cheong-ed [和請化] in a way that was operated for traditional songs for the missionary work of the “Geum-gwang-myung-choi-seung-wang-gyun” faith.

      • KCI등재

        「駕洛國記」로 본 首陵王廟의 조성과 그 성격

        이현태(Lee Hyuntae)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삼국유사』에 실려 있는 「駕洛國記」는 비록 원형 그대로는 아니지만, 가락국을 이해하는데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자료이다. 「가락국기」에는 가락국의 건국 과정부터 멸망에 이르기까지의 역사가 실려 있는데, 그 가운데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수로왕의 제사와 관련한기사이다. 이 글에서는 수로왕 제사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수로왕의 능·廟 조성과 그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수로왕이 세상을 떠나자 殯殿인 殯宮을 세워 왕의 시신을 한동안 모셨다가 그 곁에 능을조성하였다. 「가락국기」에 보이는 ‘首陵王廟’의 首陵은 수로왕의 시호가 아니라 陵號이며, ‘廟’ 라는 용어에는 사당이란 의미가 담겨 있다. 따라서 首陵王廟는 수로왕의 능과 사당을 아우르는복합적 개념으로 사용되었으며, 나아가 수로왕의 陵域 내에 수로왕의 사당이 위치하였음을떠올리게 한다. 「가락국기」에는 가락국의 역대 왕을 首陵王廟에 모셨고, 해마다 다섯 차례 정해진 날짜에제사를 지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首陵王廟가 종묘와 유사한 성격을 띠었음을 단적으로보여준다. 首陵王廟는 正寢의 역할을 한 廟房과 그 곁에 위치한 便房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시설이 유기적으로 어우러지면서 首陵王廟는 일종의 가락국 종묘와 같은 기능을 할수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Records on Kingdom of Garakguk kept in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are important materials for those studying Garakguk. Records on Kingdom of Garakguk include the history ranging from the foundation of Garakguk to its fall. A considerable portion of it is about sacrificial rites for King Suro. This paper is about how the tomb of King Suro and shrines for him were built and what their nature was. Upon the demise of King Suro, his body was kept at the funeral hall for a while and then the tomb was built close to it. The word “Sureung” in the royal tomb (“Wangmyo”) of Sureung stated in Records on Kingdom of Garakguk was the name attached to the tomb, not an honorific bestowed on the deceased king. The word “myo” includes the shrine. Like this, the royal tomb (“Wangmyo”) of Sureung refers to the tomb of King Suro, the shrine altogether and tells us that the shrine were located within the area of the tomb of King Suro. According to Records on Kingdom of Garakguk, sacrificial rites for the deceased kings from the second King Geodeung through the last King Guhyeong of Garakguk were held at the royal tomb of Sureung on a total of five occasions in each year. It tells us that the royal tomb (“Wangmyo”) of Sureung served as Jongmyo (royal ancestral shrine). The said royal tomb was composed of the burial chamber, an ancillary chamber. It appears that the said royal tomb served as Jongmyo of the Kingdom of Garakguk, with these facilities functioning organically with each other.

      • KCI등재

        '삼국유사'에 보이는 가야 관련 기록의 이해 방향

        문창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3 한국학논총 Vol.60 No.-

        본고는 三國遺事 에 보이는 가야 관련 전승의 역사적 이해와 그 접근 방향을 모색하였다. 三國遺事 는 가야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정치체로 인식했다. 일연은 「왕력」편에 삼국과 함께 ‘가락’을 설정하고 「기이」편에는 현재 전하지 않는 (원본) 가락국기 를 간추려 ‘駕洛國記’조를 실었다. 이는 종전 삼국 중심의 고대사 인식 범위와 체계를 가야사까지 확장하여 보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가락국기’의 명칭은 대부분 나라 이름을 사용한 「기이」편의 다른 항목과 달리 책 이름으로 되었는데 편찬 당시 확보할 수 있는 관련 자료의 한계에서 비롯한 것으로 추정된다. ‘가락국기’에 전하는 건국 신화의 줄거리는 일정한 역사성을 반영한 것으로 가락국의 기원과 정체성을 알리며, 首露王을 세우고 ‘大駕洛’이라고 한 것은 가야 여러 나라 가운데 큰 세력이라는 자존 의식이 투영된 것으로 보인다. 건국 신화는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전승이 더해져서 점차 후대의 관념에 윤색되어 전한다. 수로와 脫解의 술법 겨루기와 아유타국 공주를 왕후로 맞는 혼인담은 수로 시조 전승에 결합하여 시조 왕의 신성성을 부각하려는 의도에 부합한다. 그 안에는 수로왕 등장 이전 선주 세력이었던 9간의 시조 전승과 나머지 5가야 건국 신화 등도 얽혀진 것으로 이해된다. 수로 전승은 뒷날 유교 문화와 연관되어 중국 고대의 전설상 聖帝 권위를 빌렸으며, 허왕후 관련 전승은 불교의 권위를 끌어와 신성화 관념을 모색하였다. 또 후대 역사적 인식의 산물이라 할 수 있는 ‘5가야’조와 ‘가락국기’조의 내용으로 가야의 세력범위를 논하는 것은 사실상 무의미할 수 있다. ‘5가야’조는 가야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정치체가 다섯 혹은 여섯으로 서로 다르게 인식한 원전 기록인 가락기 의 ‘贊’과 本朝史略 을 모두 전한다. 가락기 의 ‘찬’은 ‘가락국기’에 실린 ‘銘’, 그리고 본조사략 은 李齊賢이 편찬한 史略 일 가능성이 크다. 지금주사 金良鎰이 지은 ‘명’은 수로왕 건국에 대한 개인적 축송을 목적으로 찬술했을 법하다. 그 뒤 ‘금관지주사 문인’은 (원본) 가락국기 를 편찬하면서 ‘명’의 내용에 수로왕 이후 역사를 추가 보완하였고, 일연은 이를 간추려 ‘가락국기’조를 찬술한 것으로 보인다. ‘가락국기’조의 유일한 인용서목인 ‘ 開皇曆(錄) ’은 고려 건국 시기 수로왕 직계 후손 집안에서 편찬한 가락국 역사서로 짐작된다. 개황력 에는 신라가 법흥왕 19년에 가락국을 합병했다고 전하는데, 그 뒤 일연은 ‘가락국기’에서 신라 진흥왕 23년에 가락국이 멸망한 사실을 추가하였다. 이는 신라에 자진 합병한 사실을 꺼렸던 가락 왕손이 대가야 멸망 시기를 의도적으로 인용한 (원본) 가락국기 에서 비롯한 것으로 이해된다. ‘가락국기’의 허왕후 전승은 수로 전승보다 뚜렷하게 불교 신앙으로 신성화된 모습을 전한다. 그리고 ‘王后寺’ 건립 전승과 함께 ‘金官城婆娑石塔’에서 허황옥이 가져온 파사석탑 기록은 후대에 건국 신화에 덧붙여진 것으로 불교적 윤색에 따른 결과다. ‘魚山佛影’에서 만어산 나찰녀를 교화하여 불법의 효험을 부각하는 불교적 설화에 ‘가라국’의 수로왕 탄생과 역할을 연결한 기록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들 자료는 불교 전래 이후 가락국과 불교가 결부되어 ...

      • 신라 성덕왕ㆍ효성왕대의 정치와 사회 -『三國遺事』 聖德王ㆍ水路夫人ㆍ孝成王條를 중심으로-

        윤재운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8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39 No.-

        이 논문에서는 『삼국유사』의 성덕왕 관련 세 기사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각각 「성덕왕」조는 유교와 불교정책을 통한 위민정책의 실상, 「수로부인」조는 성덕왕의 측근인 순정공과 수로부인을 통한 동해안 지역의 제의권 장악, 그리고 「효성왕」조는 성덕왕대의 외교관련 치적을 다루었음을 알 수가 있었다. 이는 일연의 성덕왕에 대한 인식을 보여 주는 것으로 손색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참고로 성덕왕의 치적에 대한 동시대 신라인들의 인식은 혜공왕 7년(771)에 완성된 성덕대왕신종 명문을 통해 알 수가 있다. 이에 따르면 다소 추상적이기는 하나 성덕왕의 업적을 극찬하고 있다는 점 은 충분히 인정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웃나라인 唐의 성덕왕에 대한 평가는 『新唐書』에 실려 있다. 여기서는 ‘군자의 나라’로 칭송하고 있다. 이는 당이 성덕왕대의 신라를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결국 일연은 성덕대왕신종명문에 보이는 신라 당대인의 평가나, 당의 평가와 마찬가지로 성덕왕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있었고, 이 때문에 『삼국유사』 기이편에 이례적으로 무열왕과 같은 반열인 세건의 기사를 서술하였던 것임을 알 수가 있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ree stories about King Seongdeok in Samgukyusa. The findings show that the King Seongdeok Jo addressed the facts about Silla's policies for the people through its Confucianism and Buddhism policies, that the Suro Buin Jo talked about Silla's dominance over the ritual right in the East Coast area through Sujeonggong and Suro Buin, who were King Seongdeok's close associates, and that the King Hyoseong Jo dealt with Silla's achievements related to diplomacy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 These stories are good enough materials to demonstrate Ilyeon's perceptions of King Seongdeok. For reference, the inscriptions of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which was completed in the seventh year of King Hyegong(771), offer some clues about his contemporary Silla people's perceptions of King Seongdeok's achievements. There is no denying that they highly praise his achievements even though their expressions are rather abstract. The New Book of Tang includes Tang's evaluation of King Seongdeok as Silla's neighbor. The book praises Silla as a state of noble men, which indicates that Tang thought highly of Silla during the rule of King Seongdeok. In short, Ilyeon thought highly of King Seongdeok just like his contemporary Silla people's assessment of him seen in the inscriptions of the Divine Bell of King Seongdeok and Tang's evaluation of him, thus including three stories about him in the Gi-i book of Samgukyusa. The unprecedented number of his stories in the book matches the level of King Muyeol's stories in it.

      • KCI등재

        신라 성덕왕 시기 전염병 퇴치 의례와 수로부인

        이장웅(Lee, Jang-woong) 신라사학회 2021 新羅史學報 Vol.- No.52

        본고에서는 신라 聖德王 시기 전염병의 실상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퇴치 의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성덕왕 시기에 활발한 교류를 진행한 일본의 사서인 『續日本紀』의 기록을 적극적으로 참고하여, 『삼국사기』에 기록된 714년 이외에 705~707년, 735년, 736~737에도 역병이 발생한 것으로 보았다. 성덕왕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삼국유사』 수로부인 설화에는 당시 높은 귀족이었던 純貞公이 지방에 파견되어 백성들을 안정시키고, 그 과정에서 수로부인을 잡아 간용을 지역 백성들과 함께 퇴치하며 부인을 구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필자는 이 설화에 당시 가뭄과 같은 이상 기후와 기근이 가져왔을 전염병에 대한 퇴치 의례의 모습이 깃들어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삼국사기』 제사지를 통해 전염병 퇴치 의례가 행해졌을 제사 장소를 추적해 보았고, 『天地瑞祥志』의 자료를 일본의 『속일본기』 기록 등과 연결시켜 보면서, 전염병 퇴치 의례의 시기와 제사의 내용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In this article, we wanted to examine the reality of disasters, including infectious diseases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 of Silla, and also the ritual of eradicating them. To this end, A Historical Diary of Japan Zoku Nihon ki, a historical book of Japan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 were also actively referenced and inferred even the facts that were not recorded in the Samguk sagi. It was also intended to connect Suro lady"s tales, recorded in the Samguk-Yusa, set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 with the ritual of eradicating infectious diseases. In the Suro lady"s tales, Sunjeonggong, a high-ranking aristocrat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deok, went to the provinces to stabilize the people, and in the process, the dragon that captured Suro lady was eradicated with the local residents. It is understood that this Suro lady"s tales contains a ritual for eradicating infectious diseases that would have been caused by abnorm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drought at the time. In addition, we also looked at the place, timing, and contents of the ritual of eradicating infectious diseases.

      • KCI등재

        사서(史書)를 통해 본 가야․가야인식

        박양리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3 No.-

        This study is a work on public opinion of the Gaya confederacy (伽倻, AD 42~562) for the purpose of literary research, thus is to examine how ancestors in Korea remembered Gaya through reviewing historical books. As the boundary of history and myth, Gaya was remembered as the nation ruled by the holy king. King Suro (首露王), in particular, was worshiped as the mythical hero that gave birth to the nation. He was believed to be the root of the Kim and Heo clans of Gimhae, who are the descendants of the Gaya people. They preserved the tomb of King Suro and made incessant efforts to raise its status. As a result, by the late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 were organized for the royal tomb of King Suro. However,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remained negative concerning the Gaya mythology. Leading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實學), such as Yi Ik(李瀷), An Jeong-bok (安鼎福) and Jeong Yak-yong (丁若鏞), saw that the Gaya myth was groundless and unreliable. Rather, they made an attempt to disclose, objectively and empirically, the existence of Gaya as Korea’s ancient kingdom. Especially Jeong Yak-yong treated the history of Gaya as much important as that of the Silla Dynasty. The existence of such various perceptions on Gaya indicates that Gaya was not merely an ancient history kept inside a glass case but a living history cherished by many for a long time. Gaya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those who held different stances and purposes. And, concerning how Gaya is to be remembered today, homework still remains. 본고에서는 가야의 문학적 탐구를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서 우리 선조들이 가야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었는지를 사서(史書)를 통해 살펴보았다. 역사와 신화의 경계로서 가야는 신성한 왕이 다스리는 국가로 기억되었다. 특히 수로왕은 건국신화의 주인공으로 존숭되었다. 가락국의 후손인 김해 김씨와 허씨 가문은 가문의 근원으로서 가야를 인식하였다. 이들은 수로왕릉의 능묘를 보존하고 그 위상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조선 후기에 이르러 수로왕릉은 국가적 차원에서 제례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가야의 건국신화적 인식에 대해 조선조의 지식인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익과 안정복, 정약용 등 실학자들은 가락국의 신화가 허탄하여 믿을 수 없다고 보았다. 대신 이들은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태도로 우리 고대 국가로서 가야의 존재를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정약용은 가야의 역사가 고대사에 있어서 신라 못지 않게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가야에 대한 다양한 인식은 가야가 단순히 박제된 고대사가 아닌 오랜 시간동안 기억되었던 살아 움직이는 역사로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가야는 기억하는 이들의 입장과 목적에 따라 달리 인식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가야인식이 문학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탐구하고, 나아가 현재의 시점에서 가야를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지는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사서(史書)를 통해 본 가야․가야인식

        박양리(Park, Yang-Ri)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3 No.-

        This study is a work on public opinion of the Gaya confederacy (伽倻, AD 42~562) for the purpose of literary research, thus is to examine how ancestors in Korea remembered Gaya through reviewing historical books. As the boundary of history and myth, Gaya was remembered as the nation ruled by the holy king. King Suro (首露王), in particular, was worshiped as the mythical hero that gave birth to the nation. He was believed to be the root of the Kim and Heo clans of Gimhae, who are the descendants of the Gaya people. They preserved the tomb of King Suro and made incessant efforts to raise its status. As a result, by the late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 were organized for the royal tomb of King Suro. However,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remained negative concerning the Gaya mythology. Leading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實學), such as Yi Ik(李瀷), An Jeong-bok (安鼎福) and Jeong Yak-yong (丁若鏞), saw that the Gaya myth was groundless and unreliable. Rather, they made an attempt to disclose, objectively and empirically, the existence of Gaya as Korea’s ancient kingdom. Especially Jeong Yak-yong treated the history of Gaya as much important as that of the Silla Dynasty. The existence of such various perceptions on Gaya indicates that Gaya was not merely an ancient history kept inside a glass case but a living history cherished by many for a long time. Gaya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those who held different stances and purposes. And, concerning how Gaya is to be remembered today, homework still remains. 본고에서는 가야의 문학적 탐구를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서 우리 선조들이 가야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었는지를 사서(史書)를 통해 살펴보았다. 역사와 신화의 경계로서 가야는 신성한 왕이 다스리는 국가로 기억되었다. 특히 수로왕은 건국신화의 주인공으로 존숭되었다. 가락국의 후손인 김해 김씨와 허씨 가문은 가문의 근원으로서 가야를 인식하였다. 이들은 수로왕릉의 능묘를 보존하고 그 위상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조선 후기에 이르러 수로왕릉은 국가적 차원에서 제례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가야의 건국신화적 인식에 대해 조선조의 지식인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익과 안정복, 정약용 등 실학자들은 가락국의 신화가 허탄하여 믿을 수 없다고 보았다. 대신 이들은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태도로 우리 고대 국가로서 가야의 존재를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정약용은 가야의 역사가 고대사에 있어서 신라 못지 않게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가야에 대한 다양한 인식은 가야가 단순히 박제된 고대사가 아닌 오랜 시간동안 기억되었던 살아 움직이는 역사로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가야는 기억하는 이들의 입장과 목적에 따라 달리 인식되었던 것 이다. 이러한 가야인식이 문학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탐구하고, 나아가 현재의 시점에서 가야를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지는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