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公·私’ 대립을 통해 본 이행기 한일 대중문학

        박양리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9 코기토 Vol.- No.65

        『chushingura』, 『sonesakishinchu』, and 『ch"uhyangjeon』 are popular literature that appeared in a similar period, the early modern times. They are the works that were loved in those days and have been read popularly until now. This article read those works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flict between "公" and "私". "公" and "私" are concretized as "justice" and "sympathy" in Japan and appear as "rite teaching" and "will" in Korea. In the early modern times, particularly "公" and "私" coexisted, and in the literature of the period, the very conflict between "公" and "私" is captured. In 『chushingura』, "私" is sacrificed for "公" yet, and "公" rather exhibits a contradiction from its inside. Finally in 『sonesakishinchu』, "私" appears in the front and confronts "公". However, the characters who chose "私" in the crash between the two committed a joint suicide, and the work ends tragically. In 『ch"uhyangjeon』, neither of them is disregarded, and they penetrate to each other. It shows that the character pursuing "私" solidifies the area of "公" as well somehow. Therefore, the character in 『ch"uhyangjeon』 achieves happiness in life instead of tragic death unlike in the two works introduced earlier. It is thought that the reason why the conflict between "公" and "私" is embodied differently in the two countries may be the influence of the distinct social atmosphere in each country. While the hierarchical order of social status, that is, the official area, was strictly maintained by stipulated law in Japan, after the two wars, the movement of social status appeared on the surface in Korea. Thereby, confronting the solid wall of "公", Japanese people dreamed of happiness in life after death rather than in this life through the tragic end of death, while Korean people who glanced at the slight hint of emancipation for a little internalized "公" and were able to realize "私" in the actual.

      •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고전읽기 수업 모색 -읽기와 토론의 통합적 수업을 중심으로-

        박양리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2019 교양교육실천연구 Vol.3 No.1

        This study observes the need for classics reading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educati on and aims to search for class methods for proper classics reading education based on t his. Classics reading has been recognized as being important in both the East and West f rom the past until now. Recently, several universities in Korea have opened classics readi ng lectures. If the intention point of classics reading is more than general classical readin g and is in the expansion of personal ownership and the development of creative knowled ge-producing skills, then associated classes should also be composed so that students can actively search for critical thinking presented by classic works based on text understandin g along with related subjects and further, they must be directed so they can grow, not o nly as learning recipients but as active producers through active owning processes in whi ch critical thinking and topics are intensely developed. For this, integrated classes of readi ng and discussion must be composed. Teachers select 2 to 3 works that connect uniforml y while maintaining their respective identities and guide learners so they can understand themselves and the world and further, discover various types of critical thinking within w orks. Such discovered critical thinking leads to group discussion and debate topics. Discus sions allow interactions between judgements and opinions on various problems discovered through reading processes and they are a process through which values of communities a nd not just individuals are searched for and formed. Through this, learners not only reco gnize problems presented by works but can also experience the expansion of broader own ership through communication with community members.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에 있어서 고전읽기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고전읽기 교육을 위한 수업의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고전읽기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과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다. 최근 국내 여러 대학에서 고전읽기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고전읽기 교육의 지향점이 일방적인 고전강독을 넘어서 사유의 확장과 창조적인지식을 생산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있다면, 그에 따른 수업 역시 학생들이 텍스트 이해를 토대로고전작품이 제시하는 문제의식이나 그와 관련된 논제를 능동적으로 찾고, 나아가 그 문제의식과 논제를 심화 발전시키는 적극적인 사유과정을 통해 학문의 수용자가 아닌 적극적인 생산자로 성장할수 있도록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읽기와 토론의 통합적 수업을 구성 할 필요가 있다. 교수자는 각각의 독자성을 유지하면서도 통일성 있게 연결될 수 있는 2-3편의 작품을 선정, 학습자가 자신과 세계를 이해하고 나아가 작품 속에서 다양한 문제의식을 발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렇게 발견한 문제의식은 집단 토의와 토론의 주제로 이어진다. 토론은 읽기 과정을 통해 발견한다양한 문제들에 대한 판단과 의견의 상호교환을 가능하게 하여 개인을 넘어선 공동체 전체의 가치를 모색하고 형성해가는 과정이다. 이를 통해서 학습자는 작품이 제시하는 문제를 인식하는 것을 넘어 공동체 구성원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보다 폭넓은 사유의 확장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사서(史書)를 통해 본 가야․가야인식

        박양리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3 No.-

        This study is a work on public opinion of the Gaya confederacy (伽倻, AD 42~562) for the purpose of literary research, thus is to examine how ancestors in Korea remembered Gaya through reviewing historical books. As the boundary of history and myth, Gaya was remembered as the nation ruled by the holy king. King Suro (首露王), in particular, was worshiped as the mythical hero that gave birth to the nation. He was believed to be the root of the Kim and Heo clans of Gimhae, who are the descendants of the Gaya people. They preserved the tomb of King Suro and made incessant efforts to raise its status. As a result, by the late Joseon Dynasty, national rituals were organized for the royal tomb of King Suro. However,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remained negative concerning the Gaya mythology. Leading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實學), such as Yi Ik(李瀷), An Jeong-bok (安鼎福) and Jeong Yak-yong (丁若鏞), saw that the Gaya myth was groundless and unreliable. Rather, they made an attempt to disclose, objectively and empirically, the existence of Gaya as Korea’s ancient kingdom. Especially Jeong Yak-yong treated the history of Gaya as much important as that of the Silla Dynasty. The existence of such various perceptions on Gaya indicates that Gaya was not merely an ancient history kept inside a glass case but a living history cherished by many for a long time. Gaya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those who held different stances and purposes. And, concerning how Gaya is to be remembered today, homework still remains. 본고에서는 가야의 문학적 탐구를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서 우리 선조들이 가야를 어떻게 기억하고 있었는지를 사서(史書)를 통해 살펴보았다. 역사와 신화의 경계로서 가야는 신성한 왕이 다스리는 국가로 기억되었다. 특히 수로왕은 건국신화의 주인공으로 존숭되었다. 가락국의 후손인 김해 김씨와 허씨 가문은 가문의 근원으로서 가야를 인식하였다. 이들은 수로왕릉의 능묘를 보존하고 그 위상을 높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였다. 그 결과 조선 후기에 이르러 수로왕릉은 국가적 차원에서 제례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그러나 가야의 건국신화적 인식에 대해 조선조의 지식인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익과 안정복, 정약용 등 실학자들은 가락국의 신화가 허탄하여 믿을 수 없다고 보았다. 대신 이들은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태도로 우리 고대 국가로서 가야의 존재를 밝히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정약용은 가야의 역사가 고대사에 있어서 신라 못지 않게 중요함을 인식하였다. 이러한 가야에 대한 다양한 인식은 가야가 단순히 박제된 고대사가 아닌 오랜 시간동안 기억되었던 살아 움직이는 역사로 존재했음을 의미한다. 가야는 기억하는 이들의 입장과 목적에 따라 달리 인식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가야인식이 문학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를 탐구하고, 나아가 현재의 시점에서 가야를 어떻게 기억해야 하는지는 앞으로의 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용서치료 프로그램이 성인아이의 부정적 정서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박양리,현명호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giveness therapy and Interpersonal training program on the negative affects and subjective well-being of adult-child. 404 students of ‘C' University Gyeong-gi, took the TACOA(Adult Children of Alcoholic Screening Test) as a screening test. Among them, 28 students were assigned to receive the following three groups, namely Forgiveness therapy(n=10), Interpersonal training program group(n=8) and Control group(n=10). The Forgiveness therapy and Interpersonal training program provided once a week for seven weeks. They took pre-test and post-test on the self-esteem, depression, anger and subjective well-being. Then the effects of Forgiveness therapy and Interpersonal training program were verifi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 The Forgiveness therapy group didn't show significantly improved self-esteem, but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depression, anger and significantly improved subjective well-being. The Interpersonal training program group didn't showed significantly effect on improved self-esteem, subjective well being and reduced depression, anger.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with comments for further studies. 본 연구는 역기능가정의 성인아이를 대상으로 용서치료 프로그램과 대인관계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그들의 자존감, 우울, 분노,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4명을 대상으로 성인아이증후군 선별척도(ACOA)를 실시하여 성인아이 경향이 있는 48명을 선별하였다. 이들 중 10명은 용서치료 프로그램, 8명은 대인관계훈련 프로그램, 그리고 10명은 통제집단에 할당되어 총 2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용서치료 프로그램과 대인관계훈련 프로그램은 총 7주간 주 1회씩 실시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용서치료 프로그램 집단의 경우 자존감의 증가에 차별적인 효과가 없었으나 우울, 분노 등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주관적 안녕감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한편, 대인관계훈련 프로그램 집단의 경우 자존감, 우울, 분노, 주관적 안녕감에 대해서 다른 집단과 차별적인 효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병자호란(丙子胡亂) 피로(被擄)여성 트라우마의 서사적 대응과 그 의미

        박양리 ( Park Yang Ri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7 여성학연구 Vol.27 No.3

        본고는 병자호란 피로(被盧)여성에 대한 기억이 야기한 트라우마가 문학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었으며, 나아가 치유와 극복의 과정을 거쳐 왔는가를 살펴보았다. 피로 여성에 대한 기억은 정절 이데올로기와 결부되어 쉽사리 회복할 수 없는 역사적 트라우마가 되었다. <강도몽유록>에서는 이들 피로여성을 비난하고 부정하였으며, <박씨전>에서는 그녀들의 삶을 외면하고, 살아남은 사람들의 행복을 추구하였다. 그러나 무작정 외면하고 은폐한다고 트라우마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유록의 한>에서는 피로여성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그녀가 경험한 고난을 곡진하게 그려내는 한편, 정절 수호 의지를 보여주면서 트라우마 상황과의 화해를 시도했다. 그에 비해 <하얀새>에서는 피로여성이 오히려 조선 사회를 버리고 압록강을 건너 새로운 땅, 심양으로 떠나 새로운 존재로 다시 태어나는 것으로 트라우마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최근의 위안부 피해자들과 같이 전쟁이라는 폭력 속에서 여성이 경험하는 폭력과 그 트라우마는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과거와 현재를 아우르는 아젠다로서 그 극복과 치유의 서사적 대응을 다시 한 번 되새길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rauma resulted from the memory of captive women in Byeongjahoran is embodied in literature and also the process of healing and overcoming. The memory of captive women formed historic trauma that could not easily recover combined with the idea of fidelity. < Gangdomongyurok > criticizes and denies captive women, and < Pakssi-jeon > disregards their lives but pursues the others’ happiness. But trauma will not disappear if it is just neglected and concealed. About the matter of infidelity, the kernel of trauma, < Yurok’s Han > reversely reveals captive women’s will to be faithful and attempts reconciliation with the traumatic condition. In < The White Bird >, however, captive women try to overcome trauma being reborn as they leave Chosun and head for Simyang, the new land, crossing Aprok River. Their stories are not simply about the matter of captive women during Byeongjahoran but similar to sexual violence and trauma that women get to experience in the violence of war just like comfort women in Japanese colonialism. As an agenda that embraces the classic and contemporary and also the past and present, this author presents the clue to cope with and heal historic trauma narratively.

      • KCI등재

        음식을 통해 본 16세기 사대부의 일상 :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박양리(Park, Yang-R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2 한국민족문화 Vol.81 No.-

        음식은 생존을 위한 생물학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 중 하나이면서 동시에 특정한 시대의 생활문화를 응축하고 있는 사회문화적 요소이기도 하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묵재일기>에 나타난 음식 기록을 통해 16세기 사대부의 일상을 살펴본 것이다. 이문건은 유배 기간 동안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로부터 음식 선물을 받는다. 음식은 칭념으로 들어오기도 하고, 청탁의 대가로 제공되기도 했다. 이러한 음식 선물을 통해 이문건의 신분적 위계는 물론 그가 유배를 전후하여 형성한 다양한 사회적 관계의 구체적인 실상을 확인할 수 있다. 술과 소식은 사대부로서 이문건의 정체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술을 마실 때의 자리와 술을 돌리는 순서에 있어서 규범은 사대부들의 모임에서 더욱 엄격하게 지켜졌다. 소식은 사대부로서 효와 충을 지키기 위해 마땅히 지켜야 할 의례였기에 상례와 제례, 국기일에는 반드시 소식을 했다. 동시에 술과 소식을 통해 감정적 유대관계를 드러내기도 했다. 개인적인 연회에서는 남녀노소와 신분에 관계 없이 술을 마시고 즐겼으며, 가까운 친지의 죽음 앞에서는 슬퍼하며 자발적으로 소식을 했다. Food is an element essentially needed for life and also a concrete and crucial element closely associated with mankind’s everyday life. It is also a symbol and cultural code condensing living culture in a certain time. This study is aimed to restore sadaebu’s everyday life in the 16th century based on the records about food found in Lee Mun-geon’s <Mukjaeilgi(默齋日記)>. In particular, this author examines intensively how social networks around Lee Mun-geon were formed through food and how sadaebu had bonds with others, were distinguished from others, and formed emotional solidarity. In the society of sadaebu during the former period of Chosun when monetary market economy was not yet developed, presents gotten from others in diverse ways were one of the important ways to receive food. Based on the records about food presents, we can figure out social networks around Lee Mun-geon then. Grain-oriented chingnyeom (稱念) lets us know Lee Mun-geon’s political and social influence as a yangban bureaucrat. We can see the social networks Lee Mun-geon came to form newly as one of the influencers in Seongju through the food received from the villagers of Seongju and the requests made in return for it. While he was in exile, Lee Mun-geon was invited to a number of feasts in Seongju. The fact that he was invited to the feasts and ate food with them implies Lee Mun-geon’s solid status as sadaebu. Also, with the examples of performing ancestral rites or serving food, we can tell sadaebu’s social status distinguished from other classes’. Moreover, eating food together was also an expression of emotional solidarity.

      • KCI등재

        구술자료를 통해 본 아미동의 마을정체성 연구

        박양리(Park, Yang-Ri)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9 한국민족문화 Vol.70 No.-

        이 글의 목적은 아미동의 마을정체성이 근현대의 역사적 질곡 속에서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해왔는지를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채록한 구술생활사 자료를 통해 살펴보는 데 있다. 아미동은 개항과 일제강점기, 한국전쟁이라는 부산의 근현대 역사적 질곡과 더불어 형성된 도시마을이다. 개항 직후부터 일제강점기까지는 공동묘지와 화장장으로 상징되는 죽음의 공간이라는 이미지가 강한 곳이었지만, 한국전쟁 이후에는 묘지 위에 천막이 지어진 피난민 마을이 형성되었다.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는 과거의 기억이 역사문화자원으로 활용되면서 마을은 새로운 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처음 마을이 형성되었을 때 아미동 주민들은 자신들의 거주지가 죽음의 공간이었던 흔적을 최대한 숨기고 싶어 했다. 이는 묘지의 흔적을 최대한 지우는 것으로 이어졌으나, 숨길 수 없는 기억은 무의식으로 드러나기 마련이다. 일본 귀신이야기, 대성사 화엄경비와 관련된 꿈 이야기는 숨겨진 것을 드러내 화해와 공존을 모색한 흔적이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과거의 기억이 역사문화적 가치로 인식되면서 오히려 적극적으로 드러내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편, 아미동은 피난민과 이주민이라는 주변부의 인물들이 정착한 공간이다. 주민들 스스로도 중심에 대한 소외감과 함께 자기배척의 인식이 팽배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아미동 용왕당과 대성사 불상의 내력담을 통해 새로운 공간에 뿌리를 내리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 주기도 했다. 이러한 인식은 2세대에게서 강하게 드러나 현재 그들을 주축으로 다양한 공동체 사업의 주체로 적극 참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observe how the town identity of Ami-dong has formed and changed within the historical area of modern Chilgok to become what it is now through an oral life history recorded by the town residents. Ami-dong is an urban village in the area of modern Chilgok in Busan formed during its history of port openings,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Korean War. From immediately after the port openings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it was strongly considered a place symbolic of death with its cemeteries and crematoriums but after the Korean War, a refugee town was formed as a tent was built on top of the cemetery. Afterwards, after the year 2000, memories of the past were used as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the town met a new turning point. When the town was first formed, the residents of Ami-dong wanted to erase traces of death from their new foundation of living. While this led to erasing as many traces of the cemetery as possible, memories that cannot be hidden surface within the unconscious mind. Japanese tales of ghosts and stories of dreams associated with the AvatamskaSutra stone(華嚴經碑) of the Daeseongsa Temple reveal that which is hidden and can be considered traces that seek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As past memories are recently being recognized a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people are actually trying to actively expose them. On one hand, Ami-dong is a place where peripheral people such as refugees and immigrants settled. The residents themselves were full of perceptions of self-exclusion and alienation. However, they also showed a desire for integration and coexistence through the planting of roots in a new space. Such perceptions have shown strongly in the second generation and they are actively participating as the main agents of various forms of community work.

      • KCI등재

        야담을 통해 본 역사적 트라우마로서 병자호란의 기억과 그 서사적 대응

        박양리(Park Yang-ri) 동남어문학회 2017 동남어문논집 Vol.1 No.43

        본고는 병자호란의 기억이 야담 속에 어떻게 형상화되었는가를 역사적 트라우마와 그 서사적 대응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병자호란은 오랜 시간이 지나서도 조선 사회에 정신적 상흔으로 남았다는 점에서 일반적인트라우마와 다른, 역사적 트라우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 트라우마의 극복을 위해 사회 문화적으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이는 자연스레 야담에도 영향을 미쳤다. 먼저, 병자호란을 예견하거나, 막고자 했던 인물들의 이야기가 있다. 그러나 야담 속에서 이인들의 예견이나 방비는 언제나 실패로 돌아가고 전쟁은발발한다. 즉, 병자호란은 하늘이 정한 운명이므로 인간의 힘으로 바꿀 수 없는 일이었다는 운명론적 인식과 체념의 정서가 반영된 것이다. 병자호란 이후흐트러진 민심을 수습하고, 이전의 사회질서를 다시금 공고하게 만들기 위해이념을 강조하고 절의의 가치를 선양하고자 하는 서사적 대응은 주로 열녀담,절의담 등을 통해 드러난다. 역사적 서술과 달리 야담에서 편찬자들은 허구적인 이야기를 통해 절의를 강조하고 트라우마 극복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18세기 중반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병자호란 및 청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자하는 움직임이 야담 속에도 드러난다. 청과 청나라 황제에 대한 야사와 북벌의 허상에 대한 비판적인 이야기가 그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들을 통해 단순한 역사적 사실로서 병자호란 기억의 재현이아니라 역사적 트라우마 극복을 위한 서사적 대응으로서의 나름의 모색이 야담 속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emories over Byeongjahoran were embodied within historical tales in the perspective of healing and overcoming historic trauma. It can be said that Byeongjahoran is historic trauma different from other types of trauma in that it was left as mental wounds in Chosun society even after a long period. Also, to get over that historic trauma, attempts were made socially as well as culturally. This coping discourse naturally influenced yadam, too. First of all, there are tales about figures who try to predict or prevent Byeongjahoran. In those stories, their prediction or prevention all went into failure, and the war occurred after all. It reflects the people’s recognition and sentiment of resignation that Byeongjahoran was doomed to happen and could not be avoided by men’s power. After Byeongjahoran, to get rid of the disturbed national state of mind and solidify social order like before, narrative response was tried for stressing ideology and elevating the value of integrity, and this was shown mainly through yeolnyeodam and jeoluidam. Unlike historic narrative, in yadam, compilers emphasized integrity and tried to get over trauma through fictional stories. Lastly, within the trends of the mid-18th century, the movement to view Byeongjahoran and Qing objectively was revealed in yadam, too. These are mainly the critical stories about the absurdity of bukbeol and historical tales about Qing. Through these yadam, we can see that the works are not about reproducing the memories of Byeongjahoran merely as historical facts but about looking for something as narrative coping to get over that historic traum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