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이지(明治) 초기 서양인이 본 일본

        김보림 ( Bo Rim Kim ) 현대일본학회 2013 日本硏究論叢 Vol.37 No.-

        일본은 1853년 미국과의 미일화친조약 이후 에도막부에서 행해 온 오랜 쇄국을 벗어 나 서양의 각국에 문호를 개방하게 되었다. 쇄국기에 일본을 방문한 서양인들은 주로 나가사키(長崎)를 중심으로 한 네덜란드 상인과 의사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문호 개방이후 일본을 찾은 서양인들은 세계 각국에서 모여들었고 직업군인, 외교관 기자, 탐험가, 작가 등 다양한 직업군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메이지 초기 일본을 찾은 서양인들이 오리엔탈리즘에서 벗어나기는 쉽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이들 중 일본에 대한 기록을 남긴 12인의 기록물을 분석하여 당시 일본의 기술력, 위생상태, 근면성과 정직성, 여성, 문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전반적으로 서양인의 일본 인식은 일본의 기술력, 특히 세공기술과 위생 상태에 대해서는 높은 평가를 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일본 농민의 근면성 역시 동양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인들의 정직성에 대해서는 강도 높은 비판을 하고 있다. 이들은 일본 여성의 사회적 지위에 대해서는 다른 동양의 국가들과 달리 높은 대우를 받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었다. 한편, 이들에게 있어 일본의 문화는 서양에 비해‘미개``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Japan opened the door to foreign countries of Western breaking bound of a national long-isolation policy by Edo bakufu after treaty of peace and Amity betwee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Empire of Japan in 1853.People visting in national isolation were most of merchants and doctors of Netherlands coming centered Nagasaki. However after open-the door, Westerners who came to Japan were from foreign countries in the world and those were in diverse occupational cluster such as professional army, diplomats, journalists exporers, writers and etc, It was not easy for Westemers who came to Japan in the early of Meiji to escape from Orientalism, In this article it is examined to focus on the awareness of the technology of Japan, sanitary condition, diligence and probity, women and culture by analyzing the records 12people left about Japan among Westerners. In general, it is showed that they have a high opinion of technology of Japan, in particular, the craftsmanship and sanitary conditions. Moreover, diligence of farmers in Japan is the most excellent in the Orient. However, they criticize sharply as to probity of Japanese. They determine that unlike other orient countries a social position of women in Japan is hospitably treated. Otherwise, it is evaluated of them that the culture of Japan is uncivilized comparing to Western.

      • KCI등재

        제1차 修信使行의 외교사적 위치

        현명철(Hyun Myung-Cheol)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6 No.-

        수신사 일행의 외교사적 의미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신사의 파견과정과 성격, 그리고 수신사의 활동을 복원하여 보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수신사는 강화도 조약을 완수하기 위한 사절이었으며, 그들은 강화도 조약을 막부시절의 우호 관계를 메이지 정부에서도 지속하자고 양국이 합의한 조약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수신사는 조선이 서양 열강에 대한 쇄국 단행을 지속할 것이며, 또한 서양 문물의 도입에도 큰 관심이 없음을 일본에 어필하려고 노력하였다. 수신사가 일본 천황을 알현하면서 전통적 외교 의례를 관철한 것, 근대 문물에 충격을 받으면서도 오히려 성리학적 전통의 우수함을 주장하고 근대 문물의 수용에 관심이 없음을 표현한 것, 귀로에 서양인 기사를 하선시키라고 강하게 요구한 것 등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수신사는 일본과의 우호관계를 회복하고, 한 일간의 전통적 외교 의례에 변함이 없음을 확인하며, 쇄국과 서양인 배척은 지속될 것이라는 조선의 의지를 명백하게 일본에 전달한 사절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여기에 제1차 수신사의 외교사적 위치가 존재한다. 따라서 강화도조약이 조선이 개국으로 나아가는 데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음을 부정할 수 없지만, 강화도 조약 그 자체를 개항조약으로 표현하는 것은 지나친 평가이며, 수신사를 개항에 따른 견문사절로 보는 것은 명백한 오류이다. 수신사는 일본과의 전통적인 우호를 회복하여 쇄국을 유지하고 성리학적 질서를 유지하려는 의도를 사행 중 곳곳에서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외교 활동은 중요한 것과 합의가 가능한 것들을 먼저 합의하고, 합의가 어려운 문제는 싸우지 않고 뒤로 넘기는 것이다. 강화도 조약에서 중요시 된 것은 대등한 외교 관계와 우호에 대한 약속이었고, 수신사는 그에 대한 확인이었다. 앞으로 일본은 이 조약과 세계의 흐름을 앞세워 점차 많은 변화를 조선에 요구 설득할 것이고, 조선은 국교회복에 만족하면서 거부하다가 점차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면서 변화해 갈 것이다. 남은 문제는 조선 조정이 합의를 통해 개국을 결정하고 개화 자강정책을 추진하게 되는 시점은 언제인지, 그 정책이 성공하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해 주체적이고 단계적으로 살펴보는 일이다. 주체적인 역사 서술만이 실패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역사적 소중한 교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In order to confirm the diplomatic meaning of the Susinsa(修信使), we have restored the dispatching process, nature, and activity of them. As a result, the following two facts were confirmed. First, the Susinsa(修信使) were the ambassador to fulfill the Ganghwado Treaty, and they recognize the treaty as two countries were agreed to Traditional Friendship will continue with Meiji government. Second, the Susinsa(修信使) tried to appeal that Korean will continue to Isolation policy, and that there is no interest i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artifacts. As a fact, Susinsa(修信使) wanted that the ceremony of diplomacy not be changed. So they met the Emperor of Japan as same ceremony as meeting King of Korea. And though they were being shocked by the modern artifacts exhibited by Japan, They claimed the superiority of the neo-Confucian tradition. And a strong demand for the withdrawal of a Western man from their ship was the will of the Isolation policy and also diplomatic efforts. Here, the diplomatic location of the first Susinsa(修信使) exists. As results, Although the Ganghwado Treaty can not be denied as an important occasion to opening country, but it is not true that Ganghwado Treaty itself was opening treaty. And It is an obvious mistake to see a Susinsa(修信使) as an informant for opening. Because the Susinsa(修信使) were show the intention to maintain the secular state and maintain the order of the neo-Confucianism in various places while restoring the traditional friendship with Japan. Diplomatic activity is agree only what can be agreed, and turning the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agree on back without fight. What important thing in the Ganghwado Treaty was the promise of equal diplomatic relations and friendship, and the Susinsa(修信使) was a confirmation diplomacy of that. After Susinsa, Japan will demand and persuade more and more changes to Korea based on this treaty and on International conventions, and Korea will refuse while satisfied with the restor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and gradually change while choosing. The remaining issue is to examine the timing when the Korea administration will decide the opening country through consensus, and why the modernization policy was not successful. Only the subjective historical narrative can gain valuable historical lessons from failures. I will try to be a future research project.〈End〉

      • KCI등재

        조선시대 이양선과 해난구조사상 연구

        전제훈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조선왕조실록』속에 한반도와 그 부속 도서(섬)를 포함한 근해에 나타난 150여회 이양선(異樣船)에 관한 기록을 분석하였다. 이들 이양선 가운데 해난선(海難船)에 대한 처리절차와 그 구조사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이양선에 관한 기록은 중종 때 황당선(荒唐船)을 시작으로, 정조 때 2회, 순조 때 3회, 헌종 때 14회, 고종 때 128회 등 모두 148회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이양선에 관한 기록을 빅데이터(Big Data) 분석을 통한 계량사학(計量史學)적인 시각을 연구방법으로 했다. 계량사학은 수치에 의한 데이터 분석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역사현상을 실증적으로 연구목표로 하는 것을 말한다. 이양선은 조선 후기 우리나라 연해에 나타난 외국 선박을 말한다. 이양선 출몰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등 여러 서양 열강에서 보낸 것으로 이단선(異團船), 황당선(荒唐船)이라고도 했다. 조선해역에서 표류하거나 난파된 이양선에 대해서는 문정(問情)을 통해서 해난선(海難船)으로 인정될 때 유원지의(柔遠之義)에 의해서 해난구조가 이루어졌다. 유원지의는 국적 여하를 막론하고 낯선 이방인을 잘 대접해서 보낸다는 뜻이었다. 이들 『조선왕조실록』속에 나타난 이양선에 관한 기록에 대해 해양구조 사상의 관점에서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조선해역에서 표류하거나 난파된 표착선이나 표착인에 대해서는 문정(問情)을 통해서 그 성격을 파악한 뒤 해난구조가 이루어졌다. 문제는 외국어에 대한 통역이었다. 필담 등을 통해서 해난선으로 인정될 때 유원지의(柔遠之義)에 의해서 해난구조가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이양선에 대해서는 무력을 먼저 사용하지 않는 불선범(不先犯)의 원칙이 적용된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이들 이양선 가운데 통상교섭을 요구하는 경우는 쇄국정책(鎖國政策)에 의해서 적극적인 구조를 하지 않았다. 로마가톨릭교와 개신교는 사학(邪學)으로 보았다. 이를 목적으로 하는 이양선은 위정척사관(衛正斥邪觀)에 의해서 구조를 하지 않았다. 도굴(오페르트 도굴사건)과 문화재약탈(병인양요) 등 양이풍(洋夷風)에 대해서는 종묘사직((宗廟社稷) 수호차원의 존왕양이관(尊王攘夷觀)에 따라서 구조를 하지 않았다. 양이풍은 효제충신예의염치(孝悌忠信禮義廉恥) 등 유교관(儒敎觀)에 어긋나는 일을 말한다. 셋째, 해난구조는 인명구조 뿐만 아니라 난파선에 실린 물건에 대해서도 구조하는 등 인명과 물건 구조가 동시에 이루어졌다. 넷째, 해난선 구조에 대해서 천벌관(天罰觀)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자연재해를 당한 사람에 대해서 구조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그 한(恨)이 쌓여 나중에 전쟁 등 더 큰 화근이 된다는 천인합일(天人合一)에 따른 공구수성관(恐懼修省觀)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공구수성은 하늘을 두려워하며 수양하고 반성하다는 뜻이다. 다섯째, 이양선 가운데 통상교섭(通商交涉)과 사교전파(邪敎傳播), 양이풍(洋夷風)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해난구조 비용에 대해서는 물물교환 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인간생명 존중의 유원지의관(유교 인본주의)으로 일관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유엔 난민기구(UNHCR)에 따르면 박해와 분쟁, 폭력과 인권유린 등으로 국제난민 7000만 시대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가 시대적인 배경과... This research analyzed 150 records of handover lines(異樣船) that appeared around the adjacent seas including the Korean Peninsula and annexed islands in『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mong these handover line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handling procedure and the rescue idea of sea-rescue vessels(海難船) among the handover lines. According to『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records of handover lines began from Hwangdangseon(荒唐船) during King Jungjong, and appeared total 148 times, such as 2 during King Jeongjo, 3 during King Sunjo, 14 during King Heonjong, and 128 during King Gojong. This research adopted a methodology from the viewpoint of sociometry(計量史學) based on Big Data analysis of the records of handover lines that appeared in『The Annals of Joseon Dynasty』. Sociometry means an empirical research that aims at the goal of historical site utilizing data analytic methodology based on numerical value. Handover lines mean foreign vessels that appeared around the adjacent sea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Handover lines were from the several western powers such as the U.S., England, France, Germany, and Russia, which were also called Yidanseon(異團船), Hwangdangseon(荒唐船). For drifted or wrecked handover lines around Joseon seas, sea-rescue was conducted by Yuwonjiui(柔遠之義) when they were acknowledged as sea disaster vessels(海難船) through Munjeong(問情). Yuwonjiui implied hospitality to strangers regardless of nationality.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cords of handover lines in『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from the viewpoint of sea-rescue idea, this research concluded as follows. First, sea rescue was conducted after comprehe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rifted or wrecked vessels or seamen that drifted around Joseon seas through Munjeong(問情). The problem was interpretation of foreign languages. When they were acknowledged as sea disaster vessels through conversation by writing, etc., sea rescue was conducted by Yuwonjiui(柔遠之義). Also, the principle of Bulseonbeom(不先犯), no military force beforehand, was applied to handover lines. Second, in case when those handover lines requested trade negotiations, no active rescue was applied based on national isolation policy(鎖國政策). Roman Catholic Church and Protestantism were considered as evil study(邪學). Handover lines for such religious purpose were not rescued due to Wijeongcheoksagwan(衛正斥邪觀). In respect of Yangyipung(洋夷風) such as tomb theft(Oppert tomb theft) and cultural asset plunder (Byeongyinyangyo), etc., rescue was not conducted according to Jonwangyangyigwan (尊王攘夷觀) based on protection of Jongmyosajik(宗廟社稷). Yangyipung means non -Confucian viewpoint(儒敎觀) such as Hyojechungsiny euiyeomchi(孝悌忠信禮義廉恥). Third, sea rescue was conducted simultaneously with lives and objects including the goods on the wrecked vessels, besides human lives. Fourth, in respect of sea rescue of wrecked vessel, Cheonbeolgwan(天罰觀) was applied. Gonggususeonggwan(恐懼修省觀) according to Cheonilhabil(天人合一), which means, resentment(恨) from victims who were not rescued might cause bigger calamity later, such as war. Gonggususeong means fear for the heaven, cultivation, and self-reflection. Fifth, to prevent trade negotiation(通商交涉), propagation of evil study(邪敎傳播), and Yangyipung(洋夷風) through the handover lines, trade was not performed for sea-rescue expenses. However, Yuwonjiuigwan (Confucian humanism) based on respect for human life was consistently applied. According to UN refugee agency(UNHCR), there are 70 million international refugees from persecution, dispute, violence, and violation of human rights. Nevertheless the period and situation is different from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wishes the respect for humankind (humanism) based on sea rescue of handover lines during Joseon Dyn...

      • KCI등재

        서양인이 바라본 한국의 정치

        이수기(Lee, Su-ki)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6 No.-

        This study tries to examine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that is after opening port(개항기), westerners' impressions and views in Korea, in order to introspect the method and trend of researching the Korean modern history by contemporary historians. In politics, westerners refer to monarchism of an absolute monarchy, cognizance of Emperor Gojong and the Empress, irregularities and corruption(부정부패) & corruption in the government personnel administration(매관매직) of bureaucratic government, negation to a national isolation policy(쇄국정책) and admission to a policy of the open door(문호개방정책), and particularity of criminal law and suspension of traffic(통금). But the decisive limit of the westerners' observation was that they asserted Korea had to be reformed by the Japanese. This was a due to that they were the believers of Orientalism and acquired mis-information from the Japanese and moreover undermined the Korean hatred which had evolved for centuries. But the westerners pointed out accurately, the potentiality of Korean society and the specific reasons that caused underdevelopment. 서양인이 바라본 한국의 정치에 대해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군주제를 ‘왕의 권력은 절대적이고 군주권은 세습되는 절대군주제’라고 보았다. 고종과 민비에 대해서는 왕과 왕비 모두 서양인들에게 호의적이고 친절했다는 점이 서양인들에게 큰 호감을 샀다. 물론 고종이 통치자로서 정책을 추진해 가는 능력이 부족했다는 점은 지적당하고 있지만 개인적 성품에 대해서는 온화하고 인자했으며 명민하고 성실했다고 보았다. 민비 역시 서양인들에게 호의적인 평가를 받았다. 한편 관료체제에 대한 그들의 인식은 대부분은 상당히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서양인들이 한국의 사회 발전의 최대 장애로 지목한 것이 정치적 부정부패였다. 이 부정부패를 제도화시킨 것을 매관매직으로 보았다. 그리고 한국의 쇄국정책을 산업 발전을 억제시킨 주요 요인으로 보았다. 이 시기 한국 정부의 대외정책은 적극적인 문호개방정책을 추구하였으며 청국 양무파 정권의 권유 및 미국의 조선 진출 노력과 맞물려 결실을 맺게 되었다고 파악하였다. 조미수호조규 체결 이후 한국은 영국·독일·러시아·프랑스 등과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자본주의 시장체제에 완전히 개방되었다고 보았다. 서양인들의 눈에 비친 한국의 형법제도는 야만적이며 잔인한 것으로 보였다. 또 통금제도에 대해서는 서양과는 다른 금지제도이자 한국의 관습으로 보았으며, 여성의 특권으로까지 표현하였다. 서양인들의 저서나 기록물 등을 살펴볼 때 주의해야 할 점은 그들이 언제·어떻게·어떤 경로를 통해 한국을 방문하게 되었는가, 얼마나 머물렀는가, 한국을 방문하기 전 한국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었는가, 그리고 한국에 머물면서 한국인들과 얼마나 많은 접촉을 했는가 등을 유념해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서양인들은 한국에 대해 그들이 인식한 바를 각기 다른 기록들로 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최초의 사진에 관한 실증적 고찰 - 현존하는 1860년대 한국사진을 중심으로 -

        이경률 ( Lee Kyung-ryul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9 비교문화연구 Vol.56 No.-

        동아시아에서 사진의 전래와 수용은 크게 세 단계로 진행된다. 우선 사진의 원리가 문헌으로 알려지는 단계와 1839년 사진발명 이후 외국인에 의해 촬영된 사진의 실체가 기록으로 남아있는 단계 그리고 자국민에 의해 기술적 수용이 이루어지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한 나라 최초의 사진은 사진의 실체가 기록으로 알려지는 두 번째 단계를 말하며 오늘날 증거로서 최초의 사진이 존재할 때 ‘현존하는 최초의 사진’이라고 한다. 한국사진의 수용은 중국이나 일본의 경우처럼 외국과의 통상과정에서 사진이 전래되거나 서양 제국주의의 강제 통상조약에 의해 사진이 들어오지 않고 예견치 않은 사건으로부터 이루어진다. 한국 최초의 사진수용은 중국의 사진수용에 비해 20년이나 늦은 1860년대 가능하게 되는데 그 원인들 중 가장 큰 이유는 중국 아편전쟁 이후 더욱 강경해진 천주교 박해와 외국 문물에 대한 쇄국정책 때문이다. 최근 발견된 초기 한국사진들은 조선인이 피사체가 되어 외국인에 의해 촬영되고 소장된 것들로 대부분 1860년대 사진들이다. 그래서 오랫동안 한국사진의 역사에서 다게레오타입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단언은 당시의 쇄국정책으로 기록으로 남아 있지 않을 뿐 한국 최초의 사진은 1860년대 이전으로 올라갈 수 있다. 이를 위해 몇 가지 가설을 놓는다면 우선문호개방과 교역을 목적으로 조선에 온 이양선에서 조선과 조선인을 촬영한 사진들의 존재 가능성을 들 수 있다. 특히 군사용 해도작성을 위해 조선의 지형을 촬영한 사진이라면 서구의 많은 동양 박물관, 군사 박물관, 해양 박물관, 지도 박물관, 인류 박물관 등지에서 아직도 아카이브 자료실에 잠들어 있을지 모른다. 또한 한국사진의 수용연대를 앞 당겨주는 또 다른 가능성은 한국 천주교의 사진아카이브 연구를 통해서다. 왜냐하면 한국 천주교의 수난의 역사가 남긴 사진은 정치적 사건이 아닌 예견치 못한 사적 공간에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진들의 발굴은 해외 소장자들의 자발적인 기증과 소유권을 둘러싼 다층적인 이해를 통해 가능할 것이다.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photographs in East Asia largely progressed in three: a stage where the principle of photograph was known through literature; a stage where the entity and experience of photography was known through records maintained by foreigners, since photograph was invented in 1839; and the stage where photography was technically accepted by fellow countrymen. By the way, generally speaking, the first photograph of one country refers to the second stage, where photography is known through records. When the first photograph of a country exists as evidence of that country, it is called the first photograph that still exists. The acceptance of photography in Korea did not simply originate with the introduction of photography through commercial trade with foreign countries or forced commercial agreements with Occidental imperialism. In Korea, photography was accepted through historic or unexpected cases. The first photograph of Korea is officially that of the Lee Ui-ik envoy group, taken in 1863. Such acceptance is later than that in China by more than 20 years, mainly because of Chosun's persecution of Catholicism and national isolation policy against foreign culture which was further enhanced following the Opium War in China. Photographs of Korea shot and kept by foreigners in which Koreans were subject were recently found. Most of them were shot after 1860s'. Thus, the established theory is that no daguerreotype exists in the history of photography in Korea. However, such affirmation only remains as a record of the national isolation policy at the time. The first photograph of Korea may retroact to the time before 1860s'. Suggesting some hypotheses on this matter, the first possibility is the existence of photographs in which Chosun & Chosun people were shot from a Western vessel that arrived in Chosun for opening doors and trade. In particular, if a photograph had been taken by them to prepare a nautical chart, they may have still been kept in the archives of many museums of the Orient, military articles, maritime museums, map museums, and anthropological museums of Western countries. Meanwhile, the acceptance year of the first photograph in Korea can be further retroacted by studying the archive of photographs of Korean Catholicism, because the trace of historic ordeal of Korean Catholicism left in photographs may be found in unexpected private spaces instead of politic cases. Such photographs can be found through the passion and dedication of researchers as well as voluntary donations from overseas hoarders.

      • KCI등재

        근세 한일관계

        이훈(Lee Hoon) 한일관계사학회 2008 한일관계사연구 Vol.30 No.-

        본 논문은 2007년 검정을 통과한 6종의 일본 고등학교 교과서(일본사B)를 그 이전의 교과서와 비교하면서 근세 한일관계 기술 내용에 대한 특징을 살펴본 것이다. 검토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2007년 고등학교 교과서(일본사B)는 어느 교과서를 막론하고 통신사 문제를 비롯한 에도시대 한일관계에 대한 기술이 단원편제상 대부분 에도시대 초기에 집중되어 있었으며,?근린제국과의 交?,?朝鮮?琉球(류큐)와의 외교와 蝦夷地(에조치)?,?鎖國의 완성과 4개의 窓口?와 같은 소단원에서 다루어지고 있었다. 단원편제상 2007년 고등학교 교과서(일본사B)의 한일관계 기술은 1990년대 교과서와 별 차이가 없었지만 기술 내용이 현저하게 소략해졌으며, 내용면에서도 외교ㆍ무역ㆍ문화교류ㆍ상호인식ㆍ국제 감각 등 다양한 측면에서 다양한 항목으로 기술되던 것들이 외교와 무역의 두 가지 측면으로 축소 기술되어 있었다. 한편 에도막부의 대외관계라는 측면에서 볼 때는 朝鮮관련 기술이 琉球(류큐)및 蝦夷地(에조치)와 대등하게 배열되어 있거나,琉球(류큐)ㆍ蝦夷地(에조치)관련 기술이 대폭 증가되어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교과서 집필자들이 쇄국정책 하에서 4개의 창구론을 바탕으로 에도시대 대외관계를 기술하도록 하는 일본 文部省의 高等學校學習指導要領解說(地理歷史編,1999)을 반영한 결과였다. This study compares the features of the contents on Korea-Japan relations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the six Japanese history textbooks approved for use by high school students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MEXT) in 2007 with those of previously published government-approved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ll of the textbooks feature contents on bilateral relations in the Edo Period, including Chosn’s dispatch of T’ongsinsa (Korean embassies to Japan), mostly in the early Edo Period, as required by their format (that is, the textbooks are composed of units). These contents are stated in small units under the following titles: “The restoration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Ryukyu and Ezochi (the land of the Ezo or Ainu),” and “The completion of the policy of closing the country’s doors and the four channels of contact with the outside world.” It appears that the contents on Korea-Japan relations in the early modern period in the textbooks approved by MEXT in 2007 are little different from those in textbooks used in the 1990s, although the coverage of the relevant contents has been conspicuously reduced. Compared to those used in the 1990s, which contained relevant statements on various matters, such as diplomacy, trade, cultural exchanges, mutual recognition,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s, the newly published textbooks make such statements only on two matters, diplomacy and trade. Concerning the contents on Korea (Chosn) during the Edo Period, the new textbooks place them equally with those on Ryukyu and Ezo, with some containing many more statements on Ryukyu and Ezochi than earlier textbooks. Such a change is the result of the textbook compilers’ compliance with the MEXT’s Guidelines for Teaching High School Students (concerning geography and history, 1999), which instructed them to make statements on the country’s foreign relations in the Edo Period with the focus on the practice of designating four areas as the channels of contact with the outside world under the closed door policy.

      • KCI등재

        일본 江戶時代의 海難救助 정책과 ‘4개의 창구’에 대한 고찰

        신동규 동북아역사재단 201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28

        본고는 일본 에도막부 개창부터 개항의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쿠로후네의 출현 이전까지 중국·조선·류큐·네덜란드 선박의 해난사고를 소재로 삼아 어떠한 체제 속에서 해난구조가 이루어지고 있었는가, 이들 외국선박에 대한 해난구조의 처리규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이러한 해난구조가 에도시대의 외교창구로서 이른바 ‘4개의 창구’와 어떠한 상관관계 속에서 기능하고 있었는가를 고찰한 것으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에도시대의 외국 선박들에 대한 해난사고의 대처 및 처리에 대한 규정은 막부가 대외통제책으로서 이른바 ‘鎖國’ 정책을 강화해나갔던 시기인 1635년부터 나가사키 중심의 해난구조 체제화가 정착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물론, 이전부터 일부 해난 사례에 의하면 나가사키로의 이송이 이루어지고는 있었지만, 관례는 아니었고 본고에서 밝혔듯이 1635년 막부의 지시에 의해 일반적 규정으로 정착되었다. 둘째, 막부의 외국 선박에 대한 해난구조의 나가사키 체제화는 막부의 그리스도교 금교정책과 밀접한 관련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1637년 ‘시마바라·아마쿠사의 난’이라는 그리스도교 신자들을 중심으로 한 봉기 이후, 1639년에 제대명에게 내린 지시에 보이듯이 의심스러운 선박에 대한 철저한 조사, 그리고 이들 선박에 승선한 승무원들의 상륙금지와 나가사키 호송 등을 지시한 것으로부터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면에서 당시 외국 선박에 대한 해난구조의 대상에서 그리스도교 관련 선박은 제외되었고, 이것으로부터 해난구조의 대상은 막부가 인정한 국가들뿐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셋째, 본고에서 살펴본 해난구조의 조치와 사례들을 종합해 볼 때, 외국선박들에 대한 해난구조의 기본방침은 17-18세기 막부의 국제관계의 형성에 중요한 토대를 부여해주고 있었던 이른바 ‘4개의 창구’에 의한 대외관계 규정에 따라 설정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즉, ‘4개의 창구’로서 우선 중국 선박과 네덜란드 선박은 나가사키 창구, 조선 선박은 츠시마 창구, 류큐 선박은 사츠마 창구를 거점으로 삼아 표류민 등의 송환을 실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에도시대 대외관계 구조적 시스템이었던 '4개의 창구'가 해난구조의 기본적인 시스템으로 기능하고 있었다는 것을 입증해주는 것이다. 넷째, 에도시대 해난구조의 시스템이 ‘通信國’과 ‘通商國’에 준한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들 국가는 안전과 송환이 보장되고 있었으나, 그 이외의 국가에 대해서는 안정이 보장되지 않았고, 오히려 그리스도교 금교정책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특히, ‘通信國’이었던 조선과 류큐에 대해서는 ‘신의를 통하는 국가’로서 구조비용에 대한 부담이 그다지 중요한 문제가 되지는 않았으나, ‘通商國’이었던 중국선박과 네덜란드선박에 대해서는 구조에 들었던 예인선 등의 비용을 부담시키고 있었다. 한편, ‘通信國’과 ‘通商國’에 준한 해난구조 역시 ‘通信國(조선)’은 츠시마 창구와 사츠마 창구에서, ‘通商國(네덜란드․중국)’은 나가사키 창구에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해난구조의 기본적인 시스템으로 '4개의 창구'가 기능하고 있었다고 하는 것을 입증해주는 또 다른 근거이기도 했다. This article considered how marine rescue was made under certain system regarding marine accident of Chinese, Josun(朝鮮) Dynasty's, Ryukyu(琉球)'s, and Dutch ships before the appearance of Kurohune(黑船) which can be regarded as a starting point of port opening from the beginning of Edo Bakuhu(江戶幕府), Japan as materials, what were the regulations about marine rescue of foreign ships, and how such marine rescue functioned under certain correlation with so-called '4 diplomatic windows(四つの口)' as diplomatic places of Edo era. The summary of this is as follows. First, the regulation about dealing and managing of marine accident to foreign ships in Edo era was started to be settled in systematization of marine rescue centering on Nagasaki since 1635 when Bakuhu reinforced so-called 'seclusion' policy(鎖國政策) as a foreign restriction policy. Of course, according to the cases of some marine accidents before, the foreign ships were transferred to Nagasaki(長崎) but it was not the usage and only was settled as general regulation by the order of Bakuhu in 1635 as revealed in this article. Second, Nagasaki systematization of marine rescue to foreign ships by Bakuhu was made within the close relationship with Christianity prohibition policy of Bakuhu. This can be verified from strict examination to suspicious ships as seen at the order to Daimyo in 1963 and from the order of prohibiting the landing of foreign ships' crews and of convoying to Nagasaki after the uprising centering on christians which was known as 'revolt of Shimabara(島原) and Amakusa(天草)' in 1637. In such aspect, it is evaluated that christian related ships were excluded in the subjects of marine rescue to foreign ships and only the ships of nations admitted by Bakuhu were rescued. Third, when summarizing managements and cases of marine rescues searched at this article, basic policy of marine rescue to foreign ships was set according to the foreign relationship policy by so-called '4 diplomatic windows' which made an important base to the formation of Bakuhu's international relationships. That is, as '4 diplomatic windows', repatriation of castaways making as a stronghold to Nagasaki for Chinese and Dutch ships, Tsushima(對馬) for Josun ships, and Satsuma(薩摩) for Ryukyu. This proves that '4 diplomatic windows' which was a structural system of foreign relationship in Edo era functioned as a basic system of marine rescue. Fourth, marine rescue system in Edo era was managed according to the policies of 'trust exchanging countries' and 'trading countries'. These countries were secured their ships' safety and repatriation but to the other countries, safety was not guaranteed and rather they were the subjects of Christianity prohibition policy. In particular, to Josun and Ryukyu which were 'trust exchanging country', rescue costs were not an important matter, but to the ships of China and Netherlands which were 'trading country', the costs of tugboat for rescue were charged to them. While because marine rescue according to the policies of 'trust exchanging countries' and 'trading countries' was made at Tsushima and Satsuma for 'trust exchanging country(Josun)' and at Nagasaki for 'trading country(China, Netherlands)', it was another proof that as a basic system of marine rescue, '4 diplomatic windows' was functioned.

      • KCI등재후보

        쇄국과 개국: 일본 근대화 이행과정에 나타난 모순과 변혁

        유지아 한국중앙사학회 2008 중앙사론 Vol.27 No.-

        The 19th century Japan which led the opening of a port and the Meiji Restoration is the time when the modern world that West Europe capitalism goes into Asia. In addition, it is the time the Japanese internal Bakuhu system loses the dominance in the time, and to demand a shift to the new times. Japan was going to grope for a breakthrough by the new national formation to turn on the Meiji Restoration in the situation of such `troubles from within and without'. It can look for the point that Japan prepared the modernization with deepening of contradiction of the Bakuhu system in the early modern times by development of Japanese urban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in the early modern times. For example, it is the Zyoukamachi(castle town) residence of a samurai and a merchant and the development of monetary economy by this, the development of the agricultural production power which is remarkable from the latter half in the 17th century and The Sankinkoutaithe(The daimyo's alternate-year residence in Tokyo systems) brought effect which promoted information interchange have been pointed out in an internal development factor to prepare the modernization. However, after all it is Western pressure to be a chance to be direct for the Japanese modernization. In other words it had begun to be collapsed international order of the early modern times of the East Asia that was able to include Japan by Opium War from 1839 to 42 years by an opportunity, and movement of the international order formation that was new by an effort to form a nation while each East Asia country was opposed to external pressure in the latter half in the 19th century was developed rapidly. A trial for new national creation was connected by such a process and brought a result to say the Meiji Restoration. The historical view to evaluate the Meiji Restoration and the Japanese modernization is a successful thing, continues without cease since it is rised Japan modernization theory. It point out that was able to succeed in industry in non-Western states though industry did not grow wild as inherent development until last years of Bakuhu. And it point out for the reason that the modernization at the economic infrastructure compares it with the modernization at the different infrastructure, and it is given that it had ability to organize to 'accuracy in it electric wave possibility having been high, a Japanese person having had motivation accommodating industry as a culture electric wave and the government by the `From the topt'. But an important point is put for success of the industry and the independent maintenance among such an evaluation mainly, and various contradiction and tangles think attention to have to be able to incline for the reproduced point while such a success keeps a traditional element on the back side. Rapid industry by the leadership of the government is the deepening of the poverty and wealth difference, the formation of the financial combine company in the city and inferior trouble motion environment, the tenant farming of the landed farmer in the farm village of the factory worker was brought the tangle that was in the promotion of the poor farmer and deepening of a financial combine of a farmer by it and people of trouble motion, hostility for the tycoon and the antipathy. However, the nation places more weight on promotion of the industry and suppressed a demand of the people for the equality. Therefore, a change and contradiction coexist in a modernization process through the Japanese Meiji Rest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