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규모 학교 체육전담교사의 역할 탐색

        황호택,박정화,배종희 한국초등체육학회 2017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 No.

        이 연구는 소규모 초등학교 체육전담교사의 경험을 통해 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 수업과 이들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수업 실태를 이해하고 소규모 초등학교 체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있다. 경상북도의 소규모 초등학교인 Y초등학교와 U초등학교에 근무하는 두 명의 체육전담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문서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인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동전의 양면’과 ‘또 다른 역할’이라는 2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먼저 동전의 양면은 소규모 초등학교의체육전담교사의 업무수행과 개별지도 및 어려운 수업환경에 관한 것이며, 또 다른 역할은 체육수업의 외적인 부분에서 체육전담교사에게 부여되는 보모 및 지역의 체육지도자 역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전담교사의 실상을 이해하고 체육전담교사의 운영에 관한 자료로서 유용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realities of physical education in small elementary schools and to explore the improvement direction for vitalizing physical education by examining the role of a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rough the experiences of small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achieve this purpose, two teachers of small elementary schools in Gyeongsangbuk-do, Y and U,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s was analyzed by the inductive analysis.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the duties of small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 the small size of their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the other roles small elementary P.E teachers play. First, the small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ried to realize their values on physical education. But they had difficulties to do so because of many school task that they’ve been given. Second, as the classes were small and had a family-like atmosphere,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as able to teach students individually and gave them feedback easily. But they had difficulty in managing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normally because of small class size and the lack of indoor physical education facility. So, they tried to find out appropriate course work and teaching-learning method. Thir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lso played the role of parents for their students in school. They did not only volunteer for the community physical activities but also became a physical education leader of the community.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소규모학교 공동교육과정에 대한 관심도 및 실행수준 분석

        김현수(Kim Hyun Su),이재창(Lee Jae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 and performance level of small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e operation of the joint-curriculum. The increase in small schools following a decline in school-age population has changed the perception of small schools. Departing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what has been seen as an object of integration and closure, it has shifted their eyes so that people can see small schools as valuable objects and maintain and retain them in a direction to secur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quality of education can be secured through various curriculum manage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schools. Among them, the joint-curriculum is worth one way. However, since the teacher is mainly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attitude toward the curriculum and how the curriculum is implemented. Thi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CBAM model. Therefore, in order to grasp the interest and performance level of teachers in the small school co-curricular curriculum,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73 corresponding school teacher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interests of teachers who run the joint-curriculum shows a form of ‘critical non-users’.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acher’s interest in operating the joint-curriculum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gender, grade level, teaching career, and training). Third, the ‘mechanical execution level’ was the highest i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ecution level for the joint-curriculum. 본 연구는 공동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소규모 학교 증가는 소규모학교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켰다. 통폐합의 대상으로 보았던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소규모학교를 가치 있는 대상으로 여기고 교육의 질적 확보를 도모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유지ㆍ존치 시킬 수 있도록 시선을 전환한 것이다. 교육의 질적 확보는 소규모학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하여 가능하며, 그 중 공동교육과정은 하나의 방법으로 그 가치가 충분하다. 다만, 교육과정의 운영의 주체는 교사이기에 교사가 교육과정을 대하는 태도와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모습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는 CBAM 모형을 통하여 파악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규모학교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사의 관심도와 실행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에 해당하는 학교 교사 73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 11일부터 2019 10월 25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공동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교사의 관심도는 전반적으로 ‘비판적 비사용자’의 형태를 보인다. 둘째, 배경변인(성별, 담당학년, 교직경력, 연수유무)에 따른 공동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셋째, 공동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실행수준은 ‘기계적 실행수준’이 가장 높았다.

      • KCI등재

        소규모 초등학교 특수교육서비스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오연희,김라경 한국통합교육학회 2018 통합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소규모 초등학교에서 통합학급담임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와 소규모 초등학교에서 근무 ‧ 순회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소규모 초등학교 특수교육서비스에 대한 인식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남도교육청 소속 통합학급 교사 10명 과 특수교사 10명을 목적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모집한 후 심층 면담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소규모 초등학교에서 이뤄지고 있는 특수교육서비스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인 식은 학생지도, 인간관계, 행 · 재정적 요구,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의 4개 범주, 그에 따른 8개 대주 제, 18개 소주제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소규모 초등학교 통합학급에서 이루어지는 특 수교육서비스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고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 모두의 인식을 심층적으로 비 교하고 분석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small school inclusive education and to find a support method by analyz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of small elementary school. Using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t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ten special teachers who were in elementary schools of the Jeollanamdo Department of Education were interviewed in depth.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and the special teachers’ perception about inclusive education in the small schools were analyzed in 4 categories(i.e., student instruction, human relations, administrative financial needs, and teacher s job stress), 8 main categories, and 18 sub–classe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the study on inclusive education in small elementary school was conducted for the first time, and the perception of inclusive class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depth

      • KCI등재

        소규모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육적 삶과 체육교육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정우식(Woo Shik Chung),이호철(Ho Cheol Lee) 한국체육교육학회 201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교생활과 체육교육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인식과 양상을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는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심도있게 논의하고자 하였다. Clandinin과 Connelly(2000)의 삼차원적 공간 분석(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s)을 통해 2명(남1, 여1)의 초임교사를 연구참여자로 10개월간 연구를 진행하였다. 체육교과의 실천 적 지식 습득과정에서는 자신의 학창시절 직접적 경험과 현직 교사 생활에서 동료교사와의 상호관계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다. 학교에서의 삶은 교사로서의 본분을 다하는 전문성과 책무성보다는 소규모 학교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기인한 과다 한 업무를 어떤 수단과 방법을 이용하여 해결해 내는 완벽한 성취감을 중시하였다. 이로 인해 체육과 관련된 교육활동에 등한시하게 되고 체육수업을 타교과로 대신하며 아나공수업 일변도와 스포츠강사에게 수업을 일임하는 등 체육과 교육과정을 파행적으로 운영하였다. 전국 초등학교의 40%나 차지하는 소규모 초등학교의 체육교육 정상화와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크와 효과적인 교육과정운영의 대안과 정책마련이 시급하다. This study talks about various aspects and appearances of elementary beginning teachers` educational lives and PE and had an in-depth discussion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It conducted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s of Clandinin and Connelly (2000) by 2 beginning teachers (1 male and 1 female) as study participants for 10 months. It was indicated that the practical knowledge acquiring process of PE curriculum was influenced by teachers` direct experience of schooldays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 with peer teachers. In school, more value was placed on the sense of full accomplishment through working out any excessive task stemming from the particularity of the rural small elementary schools by every means possible than on the professionalism and responsibility as teachers. For this reason, teaching activities related to PE were neglected and PE classes were replaced by other classes, conducted without teachers or assigned to the rolling out the ball teaching style and the elementary school sports instructor on the outside. Network, pedagogical strategy, and appropriate policy making are needed to normalize and revitalize PE education in the rural small elementary schools which account for as many as 40 % of all the schools in this country.

      • KCI등재

        한 소규모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사회화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유일한,이동성 한국질적탐구학회 2019 질적탐구 Vol.5 No.3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internal overview on the coping strategies of a novice teacher for socialization in a small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 This paper applied an autoethnography to accomplish this purpose, and three core categories and six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matic analysis, which is based on the pragmatic eclecticism. The results of this paper were as follows. Firstly, as a novice teacher in a small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 the teacherinternalized a hierarchical power relationship among faculty members of teaching society and the recommendations of senior staff. Secondly, as a novice teacher in a small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 the teacher performed role of an optimized “multi-player” and “general consultant” in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nd parents. Thirdly, as a novice teacher and researcher in a small elementary school in rural area, the teacher learned the school curriculum through a self-sufficient strategy, and applied a differential teaching method, which is different from pedagogy in large scal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guideline to support novice teachers’ adaptation and development in small elementary schools in rural area, and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improve practical exercise programs for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이 글의 목적은 한 농어촌지역 초임교사의 생존전략을 내부자적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소규 모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사회화 과정을 조명하는 데 있다. 이 글은 자문화기술지에 기초하여 질 적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주제 분석을 통하여 범주(3개)와 하위범주 (6개)를 생성하였다. 첫째, 농어촌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초임교사는 단위학교 교직원들 사이에 서 위계적 권력관계를 내면화하였다. 특히, 연구자로서의 나는 경력교사들과의 관계 측면에서 전략적으로 순응함으로써 점차적으로 교직사회에 적응하였다. 둘째, 초임교사이자 연구자로서 의 나는 학생 및 학부모들과의 관계형성과 관련하여 그들이 원하는 다중적인 역할을 수행함으 로써 농어촌지역 소규모 학교의 교직사회에 적응하였다. 셋째, 연구자로서의 나는 자기충족적 인 방식으로 학교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다인수 교실환경을 전제로 한 기존의 정형화 된 교수 법으로부터 벗어남으로써 농어촌지역의 소규모 학급에 적합한 교육과정과 수업을 실현할 수 있 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 교사 양성기관의 교육실습을 개선하고, 농어촌지역 소규모 초등학 교 초임교사의 적응과 전문성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농어촌 소규모 학교에서의 체육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습득 과정 탐구

        최흥섭 한국초등체육학회 2018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3 No.4

        In this research, it was examined what practical knowledg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through P.E. class in a small-sized school in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and the research subjects were 15 juniors in D teachers' college who experienced P.E. class in a small-sized school in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First, among the knowledge of self, the themes expressed regarding motivation were the challenge to the first class, the high possibility of becoming a teacher with full responsibility, reflection of students' opinions, and the connection to college classes, and regarding the view on education, those were found to be responsibility for safety management, students' guaranteed right to learn, teaching basic functions, and character education. Second, as for the knowledge of the milieu of schooling, they were turned out to be active restructuring of curriculum, and contrary sports facilities and equipments. Third, with respect to the knowledge of curriculum, those were the furnishing and expansion of sports facilities and equipments, measures for classes with a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connection to after-school classes. Fourth, regarding the knowledge of subject matter, they were found to b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to teach, grasping students' actual condition, and consideration for required teaching contents. Fifth, as for the knowledge of instruction, those were the difficulties in activities for each level and preparations and uniqu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practical knowledge had the image of static increase in the structure, that of partially static increase, and that of mutual contradiction. Through the study results above, the pre-service teachers could come to understand how P.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had been formed, and what efforts were necessary for its application. Yet, as teaching know-how or practical knowledge of class isn't form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have to establish many joint teaching practice organizations with the field for specific experiences and tangible feedback, and the schools for teaching practice where negative experiences can be prevented must be selected.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농어촌 소규모 학교의 체육수업에서 실천적 지식을 어떻게 경험하는지에 대한 탐구로, 농어촌 소규모 학교에서 체육수업을 경험한 D교육대학교 3학년 15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였다. 첫째,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 중 동기에서 나타난 주제는 첫 수업 도전, 전담교사 가능성 多, 학생 의견 반영, 대학수업과의 연계로 나타났고, 교육관에서는 안전관리 책임, 학생 학습권 보장, 기초기능 지도, 인성교육 지도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학습 환경 지식에서는 왕성한 교육과정 재구성, 상반된 체육시설 및 용구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지식에서는 체육시설 및 용·기구 구비·확충, 소인수 수업에 대한 대책, 방과후 교실과의 연계로 나타났다. 넷째, 교과 내용 지식은 수업 내용 이해, 학생 실태 파악, 필수 지도내용 고려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수·학습 지식은 수준별 활동 및 대비책 어려움, 독특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천적 지식은 구조에서 정적 상승 작용하는 이미지, 부분적으로 정적 상승작용 이미지, 서로 상충 작용하는 이미지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교사들은 체육수업을 하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어떻게 형성되고, 이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다. 하지만 수업 노하우나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단기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사교육기관에서 구체적인 경험과 실질적인 피드백을 해줄 수 있는 현장과의 교육실습 공동기구가 많이 마련되어야겠다.

      • KCI등재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분산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의 구조적 관계

        배현순 ( Bae Hyunsoon ),이희수 ( Lee Hees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마을교육공동체에 참여하는 소규모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인식하는 분산적 리더십, 잡 크래프팅,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활동 간의 상관관계와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 간의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유효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전국단위 소규모 초등학교(11학급 이하)에 근무하는 교사 212명이고, SPSS 26.0과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수행하였고, 연구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부트스트래핑을 통해 매개효과를 재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분산적 리더십은 잡 크래프팅과 자원연계활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지역공동체 의식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 간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나, 자원연계활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역공동체 의식과 자원연계 활동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분산적 리더십과 자원연계활동 관계에서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 검증결과 분산적 리더십은 잡 크래프팅과 지역공동체 의식의 매개를 통해 자원연계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와 연계한 마을교육공동체 활성화 선행요인에 관한 다양한 연구방법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측면의 잡 크래프팅 연구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셋째, 소규모 학교와 마을교육공동체가 연동되는 학문적·실천적 연구의 확산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job crafting,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perceived by school teachers working in small-scale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ing in Maeul educational community,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ediating effects of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 linking activity. The study subjects were 2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working at small-scale schools(11 classes or less) nationwide,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statistical program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y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reconfirmed through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distributed leade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but not on sense of communit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was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ut job crafting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resource-linking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nse of community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Second, in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ed leadership and resource-linking activity, it was found that distributed leadership affects resource-linking activity through mediating job crafting and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follow-up studie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 variety of research methodologies are needed to revitalize Maeul educational communities in connection with small-scale schools. Second, activation of job crafting research on the teacher side is required. Third, it is necessary to spread academic and practical research that connects small-scale schools and Maeul educational community.

      • KCI등재

        농어촌 한 소규모학교의 마을교육과정 운영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황미진(Mijin Hwang),황유진(Yoojin Hwang) 한국질적탐구학회 2023 질적탐구 Vol.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농어촌 한 소규모학교에서 마을교육과정을 운영한 초등교사의 교육적 경험을 자문화기술지 방법으로 살펴봄으로써 교사와 학생 그리고 지역을 연결하는 실천과정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질문이 없는 교실에서 과연 배움이 있는가에 대한 고민은 아이들의 존재와 삶을 돕고 보살피는 일부터 시작해야 배움의 진정한 의미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둘째, 고민의 해답은 농어촌 작은학교로 전입, 그 곳에서 교과서를 벗어나 아이들의 호기심이 있는 수업을 통해 오랫동안 꿈꾸던 교실 수업을 경험하게 되었다. 셋째, 마을 나들이를 통해 친구와 눈맞춤을 시작한 샛별이의 관심사가 주변으로 확대되어 공감 능력뿐 아니라 관계 맺는 법을 배운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마을 나들이를 통해 교육적 경험에 확신이 든 연구자는 배울 힘이 있는 아이들과 3월 초부터 마을교육과정을 운영하여 추석을 주제로 교직원과 학부모, 마을 어르신과 함께 수업으로 진행한 교육적 경험은 마을공동체 연대를 통한 문화 기반을 만드는 중요한 실천이었다. 넷째, 어린 시절 살던 마을을 찾아간 연구자는 장소를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를 보게 되면서 아픈 과거와 마주하며 자신을 위로하는 과정을 통해 회복을 경험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마을을 통해 배움을 열어가는 교사의 새로운 교육과정 운영경험이 장소기반 학습의 장으로써 마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또한 마을교육공동체의 지평을 열어주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al experience of running a small-scale village curriculum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using the autoethnography method. in the search for meaning and value. The research results are briefly presented as follows. First, is there really learning in a classroom without questions? The contemplation of “Future”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true meaning of learning should begin with helping and caring for the existence and life of children. Second, the answer to their concerns was transferred to a small school in a farming and fishing village, where they got out of textbooks and experienced classroom lessons that they had long dreamed of through classes with children’s curiosity. Third, it was found that Saetbyeol, who started making eye contact with friends through village outings, expanded her interests to the surroundings and learned not only empathy but also how to build relationships. The researcher, who was convinced of the educational experience through the village outing, ran a village curriculum with children who had the power to learn from early March, and the educational experience conducted as a class with the teaching staff, parents, and village elders on the theme of Chuseok was a solidarity with the village community. It was an important practice to create a cultural foundation through. Fourth, the researcher who visited the village he lived in as a child saw who he was through the place and experienced recovery through the process of comforting himself while facing his painful past.

      • KCI등재
      • KCI등재

        읍면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의 영어 지도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사례 연구

        김민정,안경자 현대영어교육학회 2017 현대영어교육 Vol.18 No.3

        This narrative inquiry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four homeroom teachers teaching English at a small rural elementary school. The data include interviews with four teachers, their teaching journals, and interviews with twelve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through content analysi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where the teachers work influenced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While students’ speaking opportunities, teacher autonomy about lessons, and individualized lessons were encouraged, students’ low access to English learning contributed to their low achievement in English. Second, compared to teaching as English subject teachers, there were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teaching English as homeroom teachers. Some teachers integrated English and other subjects and used English frequently in their classrooms. However, most teachers did not have enough time to prepare for English lessons due to their commitment to other subjects and administrative work. Third, difficulties in teaching English as homeroom teachers at a small rural school and effective ways to overcome them were examined. Lastly, problems students experienced in learning English at the school and solutions to them were sought. Important implications regarding teaching EFL as a homeroom teacher at a small rural school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