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미디어 속 셀피 태도, 행동, 의도에 관한 연구: 다섯 가지 성격 요인(Big Five)을 중심으로

        최태랑 한국생산성학회 2024 生産性論集 Vol.38 No.4

        오늘날 소셜 미디어에 셀피를 게시하는 것이 대중화 되었다. 본인의 얼굴을 단순히소셜 미디어에 게시하는 셀피지만 이는 광고, 마케팅 분야뿐만 아니라 사회의 다양한분야에 관련되어 활용되는 것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셀피 게시 현상을 더 잘 이해하고자 본 연구에는 성격이론 중의 하나인 5요인 성격 이론(Big Five)을 적용하여 셀피 연구를 진행하였다. Big Five는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 그리고 개방성의다섯 가지 주요 성격 요소로 개인의 태도와 더불어 행동 예측에 널리 활용되는 이론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셀피 게시자의 성격 요인과 셀피 게시 행동(게시 빈도, 셀피비율, 셀피 편집), 셀피에 대한 태도 및 향후 셀피를 계속해서 게시 할 의도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소셜미디어에 셀피를 올리는 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총 250명의 응답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의결과는 외향성(extraversion)이 셀피 게시에 대한 태도와 게시 의도를 예측하는 것으로나타났다. 친화성(Agreeableness)은 셀피 편집, 셀피에 대한 태도, 셀피 게시 의도와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성실성(Conscientiousness)은 오직 셀피에 대한 태도에만 유의미한 관련을 보였다. 신경증(Neuroticism)은 셀피 비율 및 셀피 게시 의도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셀피 편집과도 관련이 있었다. 또 다른 흥미로운 결과로 개방성(Openness)은 셀피 관련 행동, 셀피에 대한 태도, 셀피 게시 의도와 부정적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셀피 게시자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에 따른 다양한 전략을 세우고 일반인과의 협업을 통한 이커머스 광고의 생산성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다. Posting selfies on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has become a popular in today's culture. While taking and positng a selfie may seem like a simple action of sharing one’s face on SNSs, it has become prevalent in various fields of society, including advertising and marketing. Therefore, to better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selfie posting, the current study applies one of the well-established personality theories, Big Five personality theory. Big Five theory is widely used to predict individual attitudes and behaviors based on five major personality traits: extraversion,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neuroticism, and openness. Specifically,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ig Five and selfie posting behaviors (i.e., posting frequency, percentage of selfies, and selfie editing), attitude towards selife posting, and intentions to continue posting selfies in the future. A total of 250 participants who post selfies on SNSs took part in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revealed that extraversion was a predictor of attitude toward and intention to post selfies. Agreeableness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ie editing, attitude toward selfies, and intention to post selfies. Conscientious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attitude toward selfies only. Neurotic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ie percentage and intention to post selfies, as well as marginally associated with selfie editing. Interestingly, open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selfie behaviors, attitudes towards selfies, and intention to post selfie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셀피 경험자의 외모의 사회비교, 내면화가 셀피 에디팅, 외모관리행동, 성형 의도에 미치는 영향 -20-3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신승현(Shin, Sung Hyun),박민정(Park, Min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는 셀피현상이 새로운 사회문화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는 가운데, 셀피를 경험한 20, 30대 여성이 SNS에서 외모에 대한 사회비교가 내면화를 매개로 셀피에디팅과 외모관리행동, 성형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마케팅 리서치 회사를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6.0을 활용해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인구통계학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3.0을 이용해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에서 인플루언서와의 상향비교는 외모의 사회문화가치에 대한 내면화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둘째, SNS에서 친구나 동료와의 동등비교는 외모의 사회문화가치에 대한 내면화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셋째, 외모에 대한 내면화는 셀피에디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넷째, 외모에 대한 내면화는 외모관리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다섯째, 외모에 대한 내면화는 성형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였다. 여섯째, 상향비교 정도가 셀피에디팅과 외모관리행동, 성형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상향비교, 동등비교가 내면화를 매개로 하여 셀피에디팅, 외모관리행동, 성형의도에 이어지는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comparison of appearance on self-editi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lastic intention of women in their 20s and 30s who experienced selfies on social culture through internalization on SNS. This paper conducted an online survey through a marketing research company. As for the analysis method,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demographic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AMOS 23.0. The specific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on SNS that the upward comparison with influencer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rnalization of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 of appearance. Second, on SNS, the hypothesis that equal comparison with friends or colleague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rnalization of the social and cultural value of appearance was verified. Third, the hypothesis that internalization of appearance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self-editing was verified. Fourth, the hypothesis that internalization of appearance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verified. Fifth, the hypothesis that internalization of appearance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plastic surgery intention was verified. Sixt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degree of upward comparison on self-editi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lastic surgery intention was verified.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s of upward comparison and equal comparison following self-editing,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plastic surgery intention was confirmed through internalization.

      • KCI등재

        셀피와 사진 경험의 체화과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발제적 인지과학’을 중심으로 -

        공주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Recently, as digital cameras and smart phones have been widely distributed to the public, the selfie phenomenon is rapidly increasing on SNS. Selfie visually confirms the influence of photography, which is rapidly changing in recent years, as a generalized photographic behavior of modern people. Meanwhile, various social problems caused by excessive selfie behavior are emerg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theoretically examine selfies that are fundamentally based on the use of photographic media and the embodied process of this photographic experience. The researcher thought of selfies as a popularized version of contemporary self-understanding based on artists’ self-portraits, and attempted to combine becoming photography theory with enactive cognitive science as the research method. Francisco Varella’s enactive cognitive science focuses on life activities and cognitive activities, focusing on its cyclicality and creativity, providing a consistent framework for the understanding of modern photographic phenomena such as selfies today.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we look at the enactive cognitive science that Varella claims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existing cognitive science and the new trends in the contemporary cognitive science. Second, we examine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of enactive cognitive science and understand the concepts of embodied experience, circulation, and creativity. Third, based on this, a theoretical review of the embodied process of the selfie and photography experience is attempted. As a result,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selfies and the embodied photography experiences are carried out routinely and repeatedly throughout all processes of our lives. And this triggers a discussion on the construction of a new photographic ecology and the enhancement of photographic ethic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pread of sound photographic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and diverse photographic education programs dealing with it have been given as urgent tasks. 다. 셀피는 현대인들의 일반화된 사진 행동 양식으로 최근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사진의 영향력을 가시적으로 확인시켜 준다. 한편 과도한 셀피 행동이 야기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 문제들도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근본적으로 사진 매체 활용에 기반을 두고 있는 셀피와 이러한 사진 경험의체화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셀피를 예술가들의 자화상에 그 연원을 둔현대 자기 이해의 대중화된 버전으로 생각하고, 그 연구방법으로 사진의 생성-존재론과 발제적 인지과학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발제적 인지과학은 생명활동과 인지작용을 중심으로그 순환성과 창발성에 주목하여 오늘날 셀피와 같은 현대 사진 현상 이해에 정합적인 틀을 마련해 주고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렐라가 주장하고 있는 발제적 인지과학을 살펴보며기존 인지과학의 변화들과 동시대 인지과학의 새로운 경향을 알아본다. 둘째 발제적 인지과학의 구성주의적 관점을 살펴보고, 체화된 경험과 순환성 그리고 창발성의 개념을 이해한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셀피와 사진 경험의 체화과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시도해 본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서 셀피와 사진 경험의 체화가 우리 삶의 모든 과정 안에서 일상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새로운 사진 생태학의 구축과 사진 윤리성 제고에 관한 논의를 촉발하며, 이와 함께 현재 우리에게 건전한 사진 교양교육의 확산과 이를 다룬 실천적이고 다양한 사진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주어졌음을 알게 되었다.

      • KCI등재

        미술관 전시에서의 사진 촬영이 체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정민,신한나,최지원 한국예술경영학회 2019 예술경영연구 Vol.0 No.49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photographing affects the satisfaction of visitor experience in the art gallery. We surveyed the visitors who visited the exhibition hall. In order to see if the selfie photographs positively affect the visitor satisfaction level, one-way ANOVA was conduct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low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narcissistic tendency and involvement was examined. As a result of study,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otography and satisfaction, the group who took a photo but did not take a self-shot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group who did not take a photo and self-shot in the exhibition area. This result shows that photographing the art work in the exhibition hall gives experience-based satisfaction to the visitors, but self-shot does not show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Second, the hypothesis that the flow degree will play a mediating role of the visitor's experience-based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work photo-shot and self-shot type in exhibition hall was rejected. Third, the positive effect of involvement was shown only in the groups that did not take self-shot but took pictures in the exhibition hall. This shows that the satisfaction of the self-shot visitor is not affected by the degree of involvement of ar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determine the policy for permission to take photographs in art galleries. 본 연구는 미술관 전시장 내에서 사진 촬영이 관람객 체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전시장을 방문한 관람객들을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셀피, 작품사진 촬영이 관람객의 체험 만족도에긍정적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하였고, 관여도 및 나르시시즘 성향에 따른 조절효과와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사진촬영과 만족도의 관계에서, 사진 촬영은 했지만 셀피 촬영을 하지 않은 집단은 전시장 내에서 사진과 셀피 촬영을 모두 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관람객의 만족도가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작품에 대한 사진 촬영은 관람객들에게 체험을 통한 만족감을 주지만, 셀피 촬영을 한다고 해서 만족감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몰입도는 전시장 내에서 사진과 셀피 촬영 유형과 관람객의 체험 만족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라는 가설은 모두 기각되었다. 셋째, 전시장 내에서 사진 촬영은 했지만 셀피 촬영은 하지 않은 집단과 전시장 내에서 사진과 셀피 촬영을 모두 하지 않은 집단에 따른 체험 만족도 차이에서만 관여도의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셀피를 찍는 관람객들은 미술에 대한 관여도에 따라 만족도가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술관의 전시장 내 사진 촬영의 허용에 대한 정책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가상세계로 이어진 자기 표출 - 셀피 콘텐츠가 적용된 메타버스 플랫폼 연구

        권환성,주종우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3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4 No.8

        Metaverse, a virtual space originally for non-face-to-face activities to replace restricted social activities after the COVID-19 pandemic, has become a space where people can express themselves and show off as on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in addition to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Generations Z and Alpha, the main users of the metaverse, are expressing themselves in various ways within the platform. Selfie content, one of the ways to express oneself, is very lacking in metaverses other than social metaverses. Focusing on ZEPETO, a representative social metaverse, this study analyzed the selfie content and presented the necess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such content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metaverse platform to be released in the future by presenting opinions on the modern metaverse selfie content based on cases and user experiences. 코로나 19 펜데믹 이후 제약된 사회 활동을 대체할 비대면 활동을 위한 가상공간이었던 메타버스는 펜데믹 이후 사회적, 경제적 활동 이외에 SNS와 같이 자신을 표출하고 과시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메타버스 주 이용층인 Z세대와 알파세대는 메타버스 플랫폼 안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을 표출하고 있다. 자신을 표출하는 방법 중 하나인 셀피 콘텐츠는 소셜형 메타버스 이외 분야의 메타버스에서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의 셀피 콘텐츠를 대표적 소셜형 메타버스인 제페토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메타버스 셀피 콘텐츠의 필요성과 발전 방향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셀피 콘텐츠 사례와 메타버스 사용자들의 사용자 경험을 토대로 현대 메타버스 셀피 콘텐츠에 대한 의견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출시 될 메타버스 플랫폼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셀프카메라(Self-Camera)행위가 20대 여성들의 외모 존중감, 자기노출 욕구, 외모개선 욕구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서연(Seo Yeon Ahn),김정현(Jung-Hyun Kim)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3 No.2

        스스로의 사진(셀프카메라, self-camera)을 핸드폰으로 촬영하고, SNS에 게재하는 행동을 뜻하는 셀피촬영(Selfie, 이하 셀피)이 세계에서 selfie 신드롬을 불러일으키며 새로운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대두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셀피를 통한 자기표현을 할 때 20대 여성들의 자신감으로 대변되는 자기노출, 외모존중감, 외모개선욕구, 사회적 자기효능감 등이 어떻게 나타나며 나르시시즘과 관련이 깊을 것으로 여겨지는 셀피 행위가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을 때와 받지 않았을 때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아바타를 통해 진행되었던 실험인 프로 테우스효과를 새로운 자기표현인 셀카를 통해 보고자 했다. 외모 존중감, 외모관리 욕구, 자기노출 욕구,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나르시시즘과 사진에 대한 긍정적인 댓글 유무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상호작용을 선형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나르시시즘과 긍정적인 댓글 유무의 상호작용은 외모 존중감, 자기노출 욕구, 사회적 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관리 욕구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아바타로 진행되었던 프로테우스효과를 셀피를 통한 자기표현으로 까지 확장시켰으며 나르시시즘이 높은 사람들이 긍정적인 칭찬을 받았을 때 외모 존중감과 자기노출 욕구,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밝힘을 통해 셀피촬영 후 자신감이 높아지는 데에는 긍정적인 피드백과 나르시시즘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밝혔다. Self-Camera(selfie) which is a habit taking photos of oneself using a smart- phone and uploading on social network sites is making world-wide syndrome nowadays. Selfie represents as a way of self-presentation online widely. Particularly, recent self-presentation online via selfie to some extent reflects one’s identity in reality.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focus on the recent phenomenon of self-presentation online via selfie, the influence of selfie on 20s women’s confidence like self-disclosure, body-esteem, appearance management and social self-efficacy and also tri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ho got the positive reply or no reply at all. As a result,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narcissism and positive reply appeared to exist in self-disclosure, body-esteem, and social self-efficacy except appearance management.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e, narcissism and the desire for social support. Further discussion on the results in detail and implic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20대 여성의 사회비교경향성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SNS 셀피행동의 매개효과

        서지혜,장혜인 한국여성심리학회 202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29 No.1

        본 연구에서는 20대 여성의 사회비교경향성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 셀피행동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자 대학생 14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사회비교경향성, SNS 셀피행동, 이상섭식행동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비교경향성이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반적인 SNS 셀피행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반면, 타인중심 SNS 셀피행동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섭식문제에 취약한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이상섭식행동을 예측하는 심리적, 사회문화적 요인을 통합적으로 검증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SNS와 같은 새로운 미디어에서의 특정 행동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20대 여성들의 이상섭식행동에 대한 예방 및 개입에서 타인중심 SNS 셀피행동이 효과적인 표적일 수 있다는 임상적 함의를 제공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ole of selfie behaviors in SNS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disordered eating among female adults in their 20s. The participants were 144 female college students who completed a series of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measur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SNS selfie behaviors,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d that general selfie behaviors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whereas other-focused selfie behavior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well a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엑티브 에이징을 위한 사용자 세분화 분석 기반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셀피관련 제품을 중심으로-

        신창범(Shin, Chang Beo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고령화는 노인들 자신에게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줄 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노인 부양에 따른 사회적, 경제적 부담을 야기한다. 하지만 이런 상황을 문제로 보는 시각이 아닌 사회적 현상의 일부로 인식하여 노인들의 활기찬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엑티브 에이징(Active aging)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엑티브 에이징을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써 이미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의 일상이 된 셀피(Selfie)를 적용시켜 노인들의 자존감 향상과 사회 소속감 증대 등의 효과로 활력있는 노년의 삶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고령화 시대의 현상과 노인들의 삶에 대한 문제를 조사하였고 엑티브 에이징의 개념과 사례를 고찰하였다. 둘째, 문헌 조사를 통해 셀피의 개념과 긍정적 효과들을 고찰하였으며, 전문가 평가를 통해 시장에 출시된 셀피관련 제품들을 대상으로 특성에 따라 제품군을 구분하고 제품들의 우수 요소들을 발견하였다. 셋째,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그들의 신체적, 성격적 특성을 기준으로 4개 사용자 그룹으로 세분화하였으며, 각 그룹별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니즈를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과정을 통해 발견된 사항들을 기준으로 노인들의 엑티브 에이징을 위한 셀피의 신(新) 가치와 제품 개발을 위한 디자인 전략을 정의하였다. Aging causes physical and mental pain to the elderly themselves and the country has a social and economic burden to support the elderly. However, recently active aging has emerged because we don’t want to see this situation as a problem but as part of the social phenomenon and elderly enjoy a livel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applied selfie to this phenomenon, which has already become the daily life of many people in the world, as a way for active aging and improving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and increasing the sense of belonging to society allow the elderly to have a lively life of the elderl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irst, through the literature, the phenomena of the aging era and the problems of the life of the elderly were researched and the concepts and examples of active aging. The second, we looked at the concept of selfie, which has become a daily life of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and the positive effects of life and through expert evaluation, the product line was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lfie-related products on the market and the best elements were discovered. The thir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senior citizens aged 60 or older, they were segmented into four user groups based on their physical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ach group, we found their needs.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so far, we proposed a new value of selfies for active aging of the elderly and a design strategy for product development.

      • KCI등재

        거울, 자화상, 셀피: 자기-이미지 제작을 통한 자기인식의 이론적 계보

        김병선 한국언론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7 No.2

        이 논문에서는 자기-이미지를 만들고 전시하는 행위로 시도되던 자기인식의 이론적 계보를 살펴보고 있다. 먼저 자아동일성과 자기인식에 관한 논의에서 출발하여, 니체의 마지막 편지에 드러난 분열증적 고백을, 있는 그대로 타자성을 받아들이는 자기인식으로 해석해 보는 것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우리가 일상적으로 이러한 자기인식을 유지하기는 불가능하기에, 리쾨르가 주장했던 서사적 정체성을 통한 자기인식을 실천적 가능성의 하나로 논의했다. 또한 자기인식 및 주체에 관한 사유는 이와 같은 ‘서사’라는 언어적 차원뿐 아니라, ‘자기-이미지 제작’이라는 이미지적 관점에서도 새롭게 재검토될 수 있다. 그것은 거울과 관련하여 논의되었던, 자기라는 착각, 오인된 주체라는 인식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나아가 이런 인식의 계보는 자화상, 자기초상 사진, 최근의 디지털 셀피 등에 관한 논의와도 폭넓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자화상은 반성적 성찰을 통한 서사적 정체성의 구성을 회화적 성찰을 통한 회화적 정체성의 구성으로 변화시킨다. 또한 자기초상 사진은 고정된 기존 정체성의 의미를 새롭게 질문하고 있다. 한편, 즉각적인 디지털 셀피는 자기-이미지를 통한 새로운 주체 인식의 가능성을 미약하게나마 열어줄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이러한 일련의 논의를 통해, 주체는 상징적 언어로 구조화되어 있지 않고 타자의 이미지로 엮인 채 텅 비어 있다는 관점의 전환을 시도하려 한다. 이런 관점의 전환은 ‘진정한 나’의 탐색이라는 공허한 자기반성적 사유를 넘어 타자를 환대하는 사유를 시작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etical genealogy of self-awareness, which has been attempted through an act of creating and displaying self-images. Starting with the discussion on self-identity and self-awareness, the schizophrenic confession revealed in Nietzsche's last letter is interpreted as self-awareness that accepts the otherness as it is. However, since it is impossible for us to sustain such self-awareness on a daily basis, the self-awareness through the narrative identity is discussed as one of the practical possibilities. In addition, the thoughts about self-awareness and subject can be newly reviewed not only from the linguistic dimension of 'narrative', but also from the image dimension of 'self-image production'. It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illusion of self and the perception of a misunderstood subject which was discussed surrounding the mirror. Furthermore, this genealogy of perception can be broadly linked to discussions about self-portraits, self-photographies, and recent digital selfies. For example, self-portraits change the construction of narrative identity through the examination of conscience into that of painting identity through the examination of paint. And self-photographies newly ask for the meaning of a fixed existing identity. An immediate digital selfie may slightly open up the possibility of recognition of new subject through self-image. In conclusion, these series of discussions will allow us to shift in perspective of "empty" subjects that are woven into other people's images, rather than that are structured in symbolic language. This shift in perspective can be an opportunity to open the thoughts of hospitality to others beyond the hollow self-reflective thoughts of the search for the “true self”.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