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셀피와 사진 경험의 체화과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발제적 인지과학’을 중심으로 -

        공주희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Recently, as digital cameras and smart phones have been widely distributed to the public, the selfie phenomenon is rapidly increasing on SNS. Selfie visually confirms the influence of photography, which is rapidly changing in recent years, as a generalized photographic behavior of modern people. Meanwhile, various social problems caused by excessive selfie behavior are emerg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theoretically examine selfies that are fundamentally based on the use of photographic media and the embodied process of this photographic experience. The researcher thought of selfies as a popularized version of contemporary self-understanding based on artists’ self-portraits, and attempted to combine becoming photography theory with enactive cognitive science as the research method. Francisco Varella’s enactive cognitive science focuses on life activities and cognitive activities, focusing on its cyclicality and creativity, providing a consistent framework for the understanding of modern photographic phenomena such as selfies today. The composition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we look at the enactive cognitive science that Varella claims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existing cognitive science and the new trends in the contemporary cognitive science. Second, we examine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of enactive cognitive science and understand the concepts of embodied experience, circulation, and creativity. Third, based on this, a theoretical review of the embodied process of the selfie and photography experience is attempted. As a result,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confirmed that selfies and the embodied photography experiences are carried out routinely and repeatedly throughout all processes of our lives. And this triggers a discussion on the construction of a new photographic ecology and the enhancement of photographic ethic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spread of sound photographic liberal arts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and diverse photographic education programs dealing with it have been given as urgent tasks. 다. 셀피는 현대인들의 일반화된 사진 행동 양식으로 최근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사진의 영향력을 가시적으로 확인시켜 준다. 한편 과도한 셀피 행동이 야기하고 있는 다양한 사회 문제들도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근본적으로 사진 매체 활용에 기반을 두고 있는 셀피와 이러한 사진 경험의체화과정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는 셀피를 예술가들의 자화상에 그 연원을 둔현대 자기 이해의 대중화된 버전으로 생각하고, 그 연구방법으로 사진의 생성-존재론과 발제적 인지과학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발제적 인지과학은 생명활동과 인지작용을 중심으로그 순환성과 창발성에 주목하여 오늘날 셀피와 같은 현대 사진 현상 이해에 정합적인 틀을 마련해 주고 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바렐라가 주장하고 있는 발제적 인지과학을 살펴보며기존 인지과학의 변화들과 동시대 인지과학의 새로운 경향을 알아본다. 둘째 발제적 인지과학의 구성주의적 관점을 살펴보고, 체화된 경험과 순환성 그리고 창발성의 개념을 이해한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셀피와 사진 경험의 체화과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시도해 본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서 셀피와 사진 경험의 체화가 우리 삶의 모든 과정 안에서 일상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새로운 사진 생태학의 구축과 사진 윤리성 제고에 관한 논의를 촉발하며, 이와 함께 현재 우리에게 건전한 사진 교양교육의 확산과 이를 다룬 실천적이고 다양한 사진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주어졌음을 알게 되었다.

      • KCI등재

        사진사 연구 방법론으로서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의 도입 연구 - 초기 사진 출현의 다층적 네트워크 번역을 중심으로 -

        이경률 ( Lee¸ Kyung Ryul ),공주희 ( Kong¸ Ju H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4

        오늘날 사진과 카메라, 그리고 이와 관련된 기술은 우리 사회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COVID-19 상황은 사진과 카메라의 전방위적 확산을 더욱 가속화 하였다. 현재 매우 복합적이고 심층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사진 네트워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인간 혹은 기술 중심의 사진사의 틀을 넘어선 새로운 이해의 방법론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을 초기 사진사 연구에 도입하여 사진 출현 네트워크의 다층적이고 관계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 연구자는 ANT의 다양한 개념 중에서도 사진사에 유의미하게 적용 가능한 ‘비인간 행위자’, ‘관계적 존재론’, ‘하이브리드’, ‘일반화된 대칭성’, ‘블랙박스’, ‘번역’ 등에 주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사진사의 대표적인 확산모델인 다게르와 다게레오타입의 발명 신화를 분석해 보았다. 이와 더불어 초기 사진 출현 네트워크를 크게 세 층위로 구분하여 기존의 사진사에서 부가적인 요소로 취급하거나 별도로 다루어 왔던 카메라 옵스큐라와 사진제판 기술의 역사를 사진이미지 정착의 역사와 대칭적인 네트워크로 그려보았다. 연구자는 기존의 단선적이고 인간 중심적인 사진 발명의 역사 인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초기 사진 출현 네트워크가 구축한 시스템적 기반들을 입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사진의 ‘발명’과 ‘발견’이란 용어 대신 ‘출현’이라는 용어를 제시하고, 초기 사진 역사의 이해 범위를 사진제판으로까지 확장할 것을 제언하고 있다. 본 논문의 이러한 시도가 현재 실천되고 있는 사진 연구들과 다양한 관계를 유발하고, 새로운 출현을 독려하며, 무엇보다 현재 진행 중인 다양한 사진 창발 현상들의 이해에 유용한 방법론적 모듈이 될 수 있길 희망한다. Today, photography, cameras, and related technologies are actively used in various fields of our society. The COVID-19 situation further accelerated the omnidirectional spread of photographs and camer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ly complex and in-depth photographic network, a new methodology of understanding is needed beyond the framework of existing human or technology-oriented photographic history. Therefore, in this paper, we have introduced the Actor-Network Theory(ANT), which has recently been actively discussed in various fields, into early photographic history studies to promote a multilayered and relational understanding of photographic emergence networks. Among ANT's various concepts, researchers noted that “non-human actors”, “relational ontology”, “hybrid”, “generalized symmetry”, “black box”, and “translation” are significantly applicable to photographic history.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invention myth of Daguerre and Daguerreotype, the representative diffusion models of existing photographic history. In addition, the early photographic appearance network was divided into three layers, depicting the history of camera obscura and photomecanical reproduction technology, which had been treated as additional elements or separately by existing photographic history, as a history of photographic image settlement and a symmetrical network. The researchers wanted to examine the systematic foundations established by the early photographic emergence network, raising questions about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existing single-line and human-centered photographic invention. As a result, this paper suggests that instead of the terms ‘invention’ and ‘discovery’ of photography, the term ‘emergence’ and extending the understanding of early photographic history to photomedical reproduction. We hope that these attempts in this paper will lead to various relationships with the current photographic studies, encourage new emergence, and, above all, be a useful methodological module for understanding the various ongoing photographic phenomena.

      • KCI등재

        사진 이미지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유아교육 현장에서 사진의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이경률 ( Kyung Ryul Lee ),공주희 ( Ju Hee Kong ) 한국사진학회 2010 AURA Vol.0 No.23

        Today`s modern information society has various communication structures unlike the letter-based information society in the past which had just one communication structure. And as visual language plays an important part of communication, the society needs to have skills of proper interpretation and use of imag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quires into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photographic image literacy education with the focus being put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 effective approach and understanding of visual images can only be obtained through systematic education. More specifically speaking, the literacy education is not just for children to repeat what they know., but it will be an excellent education which helps them develop realistic cognitive abilities and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to consider new ideas. Because photographic image literacy maximizes the effect of expression and reading of visual languages and leads to imaginative reconstruction by which children can make analogical inferences. This self-oriented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 practical and open education. That is why teaching methodolog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hanged from written language-based one to visual language-based one. However, our education has yet to catch up with rapidly-changing environment. We have to adapt ourselves to ever-developing technical society through media associated with the photos and education. Fortunately, photo education is being actively discussed recently and teachers become more interested in photos as a medium of education. In addition, photographic image literacy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