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셀피-자기의식에 관한 연구

        이병호(Lee Byoung H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3

        본 글은 산업기술의 발달과 자기 자신의 욕망의 표출 수단으로 만들어진 셀프카메라에 대해 알아보며, 셀프카메라 영상을 SNS를 통해 사용하는 현대인에 자기 충족적 현상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현대인들의 자기중심적인 사고나 자신의 일상생활을 표현하기 위하여 셀프 카메라를 많이 이용하게 되었다. 중세에서는 자신을 표현하기 위하여 화가가 대신하여 자화상을 남겼다. 그러나 산업기술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는 셀프 카메라(selfie, 셀피)를 이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직접 찍은 사진을 SNS에 업로드를 하여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 셀프 카메라는 자기 자신을 원하는 방식으로 촬영을 할 수 있게 한다. 예전에는 나 자신을 바라보기 위해서는 매개체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매개체를 우리는 신화와 이미지의 역사에서 물과 거울을 통하여 이를 실현하였다. 하지만 카메라가 발명되면서 카메라를 이용한 지극히 개인적인 표현이 현대에 들어오면서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셀프 카메라를 이용하여 자기 자신의 욕망을 디지털 매체로 시각화하게 되었으며, 이미지, 영상으로 표현하게 되었다. 본 글에서는 자기 의식의 표현, 주체의식 같은 자기 자신을 표현하고 재현하는 방식으로 나타나는 셀프 카메라는 회화적 자화상 이미지에서 벗어나서 수많은 디지털 매체를 바탕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고 본다. 또한 SNS를 통하여 자신을 알리기 위한 표현 수단으로써 셀프 카메라를 통해 자기 표현을 위한 욕망과 나르시즘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커뮤니티로서 SNS의 소셜 미디어 공간에서 수용자와의 상호 소통을 통한 대중의 태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케이시 나이스테트(Casey Neistat)가 자신의 채널을 통하여 이미지, 영상을 업로드하여 자신을 표출하면서 자신을 표현한 다양한 작품들을 알아보고, 콘텐츠 제작자로서의 그가 제시한 새로운 지향점을 고찰한다. This article is looking out for development of modern IT technology and selfie made as a means of expressing his own desire and is to study the self-fullfilling phenomena through SNS with selfie storytelling. The self-centered thinking of modern man was using a lot of self-camera to express their everyday lives. In the Middle Ages left a self-portrait by the artist to express himself instead. In modern societies, however, the industry has developed technology as a means to express themselves by uploading his own photos of themselves using the self-camera (selfie) in the SNS. Self camera is able to shoot in a manner desired magnetic itself. Self camera makes it possible for them to shoot in a manner as they want. In the past, the media was necessary to look at myself. These mediators, we realize it through the water with a mirror in the history of myths and images. But with the invention of the camera very personal expressions using the camera have been coming to the modern cameras to use the self-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o visualize his own desire to digital media, and it was represented with images, video as a result. This article is about self camera that appears in manner of reproducing their self-expression of their consciousness, subject consciousness and their looks of selfie is going to expand on the basis of numerous digital media away from painting a self-portrait images. In addition, through self-expression as a means to inform their themselves through the SNS this article was discussed about narcissism and the desire for self-expression. And in the social media space as a new SNS community was studied by the attitude of the public interact with the audience. Finally, this article searches Casey Neistat s various works that expresses himself by uploading his image in SNS and considers the new orientation as a content creator, he suggested.

      • KCI등재

        증강현실(AR) 기반 셀프카메라 앱의 시각효과 및 이미지 유형 분석

        강정빈,이상원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8 애니메이션연구 Vol.14 No.3

        Virtual reality(VR) and augmented reality(AR) are key word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e being studied and utiliz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Especially, AR has been attracting public attention through the craze of AR mobile game. Since then, content and technology have been converging in entertainment, education, fashion, etc. Now, through the smartphone, we can use AR easily and comfortably in everyday life. This makes AR more common technology than VR, and is expected to create higher market value in the future. Meanwhile, with the advent of the smartphone, the ‘SNS’ which has evolved into a global craze has made the process of shooting and sharing their daily life natural. In this process, the ‘Selfie,’ which shot themselves, has become a play culture through many selfie apps. In these app markets, they have begun to use AR technology to meet a variety of user needs and interests. And now most AR can be seen in the selfie apps. This study focuses on selfie apps with AR technology and tried to analyze visual effects and image types expressed in the apps. For this purpose, through the AR-based apps in the top download category about photo and video apps in Korea, visual effects and imag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for each type were derived. As a result, the types of selfie apps were classified into six types, such as 'face transformation type,' 'decoration type,' 'frame type,' 'mask type,' 'virtual image type,' and 'mixed type.'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expected that users will choose the type that meets their purpose of the selfie, and the effect of AR will maximize their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research on AR based contents or selfies. However, in the analysis of typology, the researchers set their standards, and it is limited in that only some apps are analy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study in the future by supplementing it.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주요 키워드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연구 및 활용되고 있다. 특히 증강현실은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의 열풍으로 대중들에게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이후 엔터테인먼트와 교육, 패션 등에서 콘텐츠와 기술의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제 우리는 스마트폰을 통하여 증강현실을 보다 쉽고 편하게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로써 가상현실에 비해 더욱 익숙하고 친근한 기술이 되었으며향후 더 높은 시장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편 스마트폰의 등장과 함께 세계적인 열풍으로 진화해온 ‘SNS’는 사용자가 자신의 일상을 촬영하고 공유하는 과정을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스스로를 촬영하는 ‘셀프카메라’라는 행위는 셀프카메라에 특화된 앱 상품을 통하여 하나의 놀이문화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앱 시장에서는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와 흥미를 충족시키기 위해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기 시작했으며 현재 대부분의 셀프카메라 앱에서 증강현실을 접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술이 적용된 셀프카메라앱에 주목하였으며, 앱에서 표현되는 시각효과와 이미지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사진 및 비디오 앱 다운로드 상위권에 속한 증강현실 기반 앱을 대상으로 시각효과와 이미지를 수집하여 분석한 후, 그에 따른 유형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셀프카메라 앱의 유형은 ‘얼굴 변형형’, ‘데코레이션형’, ‘프레임형’, ‘마스크형’, ‘가상이미지형’, ‘혼합형’ 총 여섯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사용자들은 각자 셀프카메라의 목적에 부합하는 유형을 선택할 것이며 이 때 증강현실의 효과가 그들의 만족을 극대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의 콘텐츠 혹은 셀프카메라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유형화 분석에 있어 연구자가 스스로 기준을 정했고 일부 앱만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아쉬움과 한계를 가지며, 향후 이를 보완하여 심도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셀프카메라(Self-Camera)행위가 20대 여성들의 외모 존중감, 자기노출 욕구, 외모개선 욕구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안서연(Seo Yeon Ahn),김정현(Jung-Hyun Kim)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3 No.2

        스스로의 사진(셀프카메라, self-camera)을 핸드폰으로 촬영하고, SNS에 게재하는 행동을 뜻하는 셀피촬영(Selfie, 이하 셀피)이 세계에서 selfie 신드롬을 불러일으키며 새로운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대두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셀피를 통한 자기표현을 할 때 20대 여성들의 자신감으로 대변되는 자기노출, 외모존중감, 외모개선욕구, 사회적 자기효능감 등이 어떻게 나타나며 나르시시즘과 관련이 깊을 것으로 여겨지는 셀피 행위가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을 때와 받지 않았을 때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아바타를 통해 진행되었던 실험인 프로 테우스효과를 새로운 자기표현인 셀카를 통해 보고자 했다. 외모 존중감, 외모관리 욕구, 자기노출 욕구,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나르시시즘과 사진에 대한 긍정적인 댓글 유무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상호작용을 선형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 나르시시즘과 긍정적인 댓글 유무의 상호작용은 외모 존중감, 자기노출 욕구, 사회적 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모관리 욕구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아바타로 진행되었던 프로테우스효과를 셀피를 통한 자기표현으로 까지 확장시켰으며 나르시시즘이 높은 사람들이 긍정적인 칭찬을 받았을 때 외모 존중감과 자기노출 욕구,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밝힘을 통해 셀피촬영 후 자신감이 높아지는 데에는 긍정적인 피드백과 나르시시즘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밝혔다. Self-Camera(selfie) which is a habit taking photos of oneself using a smart- phone and uploading on social network sites is making world-wide syndrome nowadays. Selfie represents as a way of self-presentation online widely. Particularly, recent self-presentation online via selfie to some extent reflects one’s identity in reality.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focus on the recent phenomenon of self-presentation online via selfie, the influence of selfie on 20s women’s confidence like self-disclosure, body-esteem, appearance management and social self-efficacy and also tri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ho got the positive reply or no reply at all. As a result,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narcissism and positive reply appeared to exist in self-disclosure, body-esteem, and social self-efficacy except appearance management.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e, narcissism and the desire for social support. Further discussion on the results in detail and implic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Unmet Needs를 반영한 카메라 디자인 개발 사례

        진병욱,변상태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5 산업디자인학연구 Vol.9 No.2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s and sharply increased the number of instant photo users, thus resulting in smartphones replacing compact cameras. Yet, many people want to record the memories of their lives with better quality images. But big heavy cameras are no longer welcome. Developers understood that small, light, easy and fun to use camera with the same basic performances is in demand. The design began with the idea that a good camera is one with a light weight, outstanding mobility and convenient use, not one that is heavy and difficult to use. With NX-mini users can enjoy brilliant pictures because of its high-performance lens exchangeable camera. Users can have the sense of both a modern heritage and analogue feeling when using NX-mini, as it has reinterpreted the traditional beauty of the durability of a camera to a modern aesthetics. It highlights how the simple function changed into various functions. The cylindrical lans, rotating C-shape when zooming in and out, gives a strong impression and reliability. For the consumers, focal length and ratio of the lens appear on the front in a simple manner, while its functional information shows up on its side, particularly for professionals and sellers. The flip-up design of NX-miny lets the users rotate the screen a full 180 degrees, making it the idal selfie and wefie camera. The design and technology applied to NX-mini allow users to represent their value and individuality in a natural way, making the lives of people who will lead the change from selfie to wefie more exciting and fun. NX-miny took to No. 1 in 6 months after launching and had the great breakthrough in the camera industry. 스마트폰과 SNS의 발전으로 Instant Photo User가 급격하게 늘어났으며, 이러한 환경 속에서 컴팩트 카메라는 스마트폰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자신의 일상을 좀 더 나은 사진으로 남기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크고 무거운 카메라는 소외를 받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착안하여 카메라 본연의 성능은 유지하면서 더 작고 가벼우며 사용하기 쉽고, 재미있는 카메라가 필요하다는 판단을 하게 되었다. 좋은 카메라란 크고 무겁고 어려운 카메라라는 인식에서 누구나 가볍게 가지고 다니고, 쉽게 사용하는 카메라라는 생각에서 시작된 NX-mini는 오랜 시간 함께 할 수 있는 지속성을 가진 카메라의 전통미를 현대미학으로 재해석 하여 Modern Heritage와 Analog Feeling을 동시에 느낄 수 있으며, 단순한 기능이 다양한 기능으로 변화되는 사용성이 돋보이도록 하였다. 소비자를 위해 반드시 인지해야 하는 렌즈의 Focal Langth와 Focal Ratio를 한눈에 알아보도록 렌즈의 전면에 간결하게 표기하고, 종래의 전문가와 판매자들을 배려하여 측면에 필요한 기능문구의 표기를 하였다. 또한 다양한 각도로 조절되는 Flip-up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촬영구도뿐만 아니라 Selfie와 Wefie를 손쉽게 즐길 수 있다. 이처럼 Selfie를 넘어 Wefie로의 트랜드 변화를 선도할 사람들의 재미있고 즐거운 생활 속에 존재의미를 부여하기 위하여 시장과 타겟 사용자의 특성을 철저히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스마트폰에 의해 카메라 시장이 점차 축소되어 가는 환경에서도 소비자의 미 충족 요구를 제대로 반영한 Nx-mini 제품은 출시 후 6개월 만에 동일카테고리 M/S 1위에 등극함은 물론, 후속 라인업을 전개시킴으로서 흔들리는 카메라 사업의 한 돌파구가 되고 있다.

      • KCI등재

        고기동 안정화 카메라 및 원격제어 셀프카메라를적용한 캔위성 시스템 개발

        김수현,박재현,김혜인,배기성,채봉건,오현웅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18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12 No.3

        본 논문에서 제안한 캔위성은 2017년 캔위성 경연대회에 출전한 HA+RC2S CanSat (High Agility and Remote Control Camera System Can Satellite)이다. 주요임무는 수동진동감쇠기인 동흡진기를 사용하여 카메라를 회전시킨 직후에 발생하는 잔류진동을 감쇠하여 고품질의 영상획득이 가능한 고기동 안정화 카메라 시스템을 검증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는 지상국의 조이스틱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제어되는 원격제어 셀프카메라로 캔위성 자체의 이미지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임무 정의, 시스템설계, 제작, 기능 및 성능시험, 최종 비행시험을 포함하는 HA+RC2S CanSat의 개발과정에 대해 서술하였다. The High Agility and Remote Control Camera System Can-Satellite (HA+RC2S CanSat) proposed in this study is a satellite designed by the authors of this work and submitted as an entry in the 2017 CanSat competition in Goheung gun, Jeonnam, Korea. The primary mission of this work is to develop a high agility camera system (HACS) that can obtain high quality images in the air. This objective is achieved by using a tuned mass damper (TMD) to attenuate the residual vibration that occurs immediately after rotating the camera. The secondary objective is to obtain a self-image of CanSat in the air using a remote control self-camera system (RCSS) that is wirelessly controlled using a joystick from a ground st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HA+RC2S CanSat, including mission definition, system design, manufacturing, function and performance tests carried out on the ground, and final launch test.

      • KCI등재

        영화 < 카프카의 굴 Kafkas der Bau >에 나타난 현대인의 실존 문제

        허남영 ( Heo Namyoung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7 독일언어문학 Vol.0 No.75

        <카프카의 굴>은 프란츠 카프카의 단편 굴 이 처음으로 영화화된 작품으로, 이전에 영화화된 카프카의 작품들과는 달리 카프카의 언어가 그대로 인용되고 있다. 카프카는 굴 에서 동물로 형상화된 1인칭 화자를 통해 외부의 위협에 대해서 이야기 하면서, 독자들을 편집증적 관점에 몰입시켰다. 그리고 영화는 프란츠라는 인물을 통해 편협하고 비사회적인 세계에 놓인 인간의 실존 문제로 원작을 변용하고 있다. 영화의 주인공 프란츠는 요새 같은 아파트 단지에 살고 있으며, 자신의 이웃에 위협을 느낀다. 감독은 불안증에 사로잡힌 프란츠를 감시카메라의 푸른색 이미지에 삽입 시키고, 셀프카메라를 통해 독백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셀프카메라는 소통의 장치이자 고립의 장치로 작용하며, 프란츠의 일상을 기록한다. 프란츠는 스스로 변화를 만들며 자신을 파멸로 이끌고, 폐허가 된 세상과 함께 모든 것을 잃는다. 그러나 프란츠는 영화의 종반부에서 셀프카메라를 던지며 자신을 가두었던 세계에서 해방되게 된다. 감독은 영화에서 매우 높은 건물과 시각적으로 강렬한 색을 통해 `굴`을 재현하였으며, 밀실 공포증의 이미지를 통해 현대인의 외로움과 불안증을 보여준다. 우리 존재의 불안한 부분은 어둠 속에 남아 있고, 우리는 일상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어 이 문제들을 다룬다. 이것은 곧 카프카 주제이기도 하다. 영화는 부유한 서구 시민의 집단 무의식에 질문을 던지고 그 속에 존재하는 불안증과 실존문제를 다루면서 우리시대의 고립, 두려움과 외로움에 주목한다. Kafkas Der Bau ist ein deutscher Kinofilm von Jochen Alexander Freydank. Es ist die erste Verfilmung der Erzahlung Der Bau von Franz Kafka. Dieser Film verwendet - anders als Adaptionen anderer Kafka-Stoffe - die Originalsprache Franz Kafkas. In Kafkas Der Bau berichtet ein tierahnlicher Ich-Erzahler uber seine Bemuhungen einer allumfassenden Abwehr von außeren Gefahren. Es gibt wohl keinen Text in der Literaturgeschichte, der den Leser in solcher subtilen Art und Weise immer tiefer in eine paranoide Gedankenwelt eintauchen lasst. Kafkas Der Bau ist die Geschichte des Ich-Erzahlers, der von der Vorstellung beherrscht wird, sich gegen das Eindringen eines unbekannten Feindes schutzen zu mussen. Der Film erzahlt die Geschichte der Verwandlung eines Menschen in einer sich rapide verandernden und zunehmend abgeschotteten und unsozialeren Welt. Ein Mann(Franz) lebt in einem festungsartigen Wohnkomplex. Franz fuhlt sich von seinem Nachbarn bedroht. Freydank beginnt, grunliche Bilder einzufugen, die wir von Uberwachungskameras kennen. Und Franz hat nur ein Gegenuber, dem er sich mitteilt: seinen Camcorder, mit dem er sich selbst aufnimmt. Kafkas Monolog, in einen Apparat gesprochen, der ihn verschluckt und auf dem uppigen Breitwandbildschirm in seiner labyrinthischen Wohnung wieder ausspuckt. Die Welt um Franz herum verandert sich. Er selbst verandert sich. Der Film endet in einer bildgewaltigen, postapokalyptischen Welt, in der Franz zwar alles verloren hat, aber auch befreit ist von seinen Angsten. Kafkas Erzahlung handelt von einem Tier, das sich in seinem Bau fur die Zukunft sichern will. Freydank hat daraus eine hochst aktuelle, bildstarke Parabel gemacht. Dafur schrieb Freydank ein Drehbuch: ein Mensch statt des Tiers, die Verlegung von Kafkas Geschichte ins 21. Jahrhundert und das Entlocken einer uberraschenden Aktualitat. Freydank zeigt eine griffige und packende Metapher fur die Einsamkeit und die Verlorenheit des modernen Menschen, in kuhlen, klaustrophobischen Bildern. Das Unheimliche unserer Existenz bleibt im Dunkeln. Wir versuchen Sie mit dem Scheinwerfer unserer Tagesvernunft auszuleuchten. Es ist das Kafka-Thema. Der Film ist bemerkenswert. Er ermoglicht einen Blick ins kollektive Unterbewusstsein des westlichen Wohlstandsburgers und offenbart dabei auf lauter Angste und Aggressionen. Kafkas Der Bau ist ein Film uber Isolation, Angst und Einsamkeit in unserer Zeit.

      • KCI등재

        전면 카메라로 촬영한 얼굴 사진의 선호도 분석 - 삼성전자 Galaxy S22 Ultra와 Apple iPhone 13 ProMax를 중심으로

        한혜선(Han, Hyesun),곽영신(Kwak, Youngshin) 한국색채학회 202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7 No.2

        The use of the front camera, or the ‘selfie camera’ is increasing among the young generation. The act of taking self-photos is not only to capture the moment, but also to enhance ones’ self-esteem and even as a way of self-branding. The current camera manufacturers are aiming for high specification and high performance of the camera. However, accurate color reproduction of the camera may not correlate with high satisfaction of the users. This study focuses on the selfie camera of the two representative smartphone brands, Samsung Galaxy S22 Ultra and Apple iPhone 13 Pro Max. The study asked the participants to take selfies under four different lighting environments with three colored backgrounds using the two smartphones. Participants evaluated preference scores for each portrait on the two smartphones in the range of 7, where 1 is the least preferred and 7 for the most preferred. The results for the preference of the selfie camera showed that the average preference score was higher for Samsung Galaxy S22 Ultra than Apple iPhone 13 Pro Max by 0.44. The preference for the two displays were very similar with difference of only 0.01. For the background color, light pink and light yellow was preferred for Samsung Galaxy S22 Ultra but dark blue was preferred for Apple iPhone 13 Pro Max. Relatively dark environment with low color temperature was referred for both smartphones. The interview revealed that the users preferred Samsung Galaxy S22 Ultra for the skin color and less detailed expression for the skin texture. Users who preferred Apple iPhone 13 Pro Max liked the captured atmosphere of the photo, especially at low luminance low color temperature environment. This study places the significance on understanding how the users evaluate the photos taken by the selfie camera.

      • KCI등재

        위성 카메라의 틸트 효과를 고려한 온라인 리포커싱 알고리즘

        이다현,황재혁,홍대기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18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12 No.4

        Small high-resolution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require precise optical alignment at the submicron level. However, misalignments can occur due to the influence of external factors during the launch and operation despite the sufficient alignment processes that take place before the launch. Thus, satellites need to realign their optical elements in orbit in what is known as a refocusing process to compensate for any misalignments. Refocusing algorithms developed for satellites have only considered de-space, which is the most sensitive factor with respect to image quality. However, the existing algorithms can cause correction error when inner and external forces generate tilt amount in an optical system. The present work suggests an improved online refocusing algorithm by considering the tilting effect for application in the case of a de-spaced and tilted optical system. In addition, the algorithm is considered to be efficient in terms of time and cost because it is designed to be used as an online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ground communication.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의 성공적인 임무 수행을 위하여 궤도 진입 후 리포커싱 과정은 필수적으로요구된다. 마이크론 단위의 정밀한 광학 정렬을 요하는 광학 위성카메라는 발사 전 충분한 정렬 과정을거치지만 발사 및 운용 과정에서 외부 환경에 의한 광부품의 정렬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기존의 지구관측위성들은 지상과의 통신을 통한 오프라인 방식의 리포커싱을 수행해왔으며 이는 비용·시간적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궤도 상에서 자동초점 정렬과정이 수행되는 온라인 리포커싱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부경의 틸팅에 따른 광학적 효과를 리포커싱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디스페이스 외 틸팅이 발생한 위성카메라에도 적용되도록 개발하였다. 리포커싱 알고리즘의 개발 및 성능평가를 위하여 실험실 수준의 광학계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추출하여 부경 정렬오차에따른 MTF(Modulation Transfer Function)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MTF 경향성을 바탕으로 궤도상에서의De-space VS MTF 함수를 추정하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리포커싱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는MATLAB과 CODE V의 연동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수행되었다.

      • KCI등재후보

        시를 '그리고' 책을 '보는' 사람들-교양국어를 위한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효용

        정문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2

        Literature is one of few genres sticking to traditional values. Although this is due to the strict fairness, the unique nature of the literal culture, such conservativeness reveals the limitation of the literal culture at the same time. Our literal education has not been free from the compulsion that the literal education should not be any amusement but be something meaningful. This is why we need to emphasize on the unique functionalities of the text education these days. We need an educational system by which the cultural text can be accepted, understood, and communicated adequately. By the effectiveness of the Image, we are able to be free from the psychological compulsion that the text should have any meaning. Now, the text is at the starting point for the independence from the ‘consciousness of meaning, the intelligence’. This point is the significance and the outcomes of the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works. Moreover, this dissertation expects that the techniques and the forms of Korean professors should be re-evaluated as the ‘technique of alternatives’ not as the ‘technique just assuming airs’. The Image has become the ‘standard’ of cultural contents productivity, deviating from just the ‘proxy’ role. The poem era has not ended, but rather the poetic fantasy is needed frequently. So, it is required that the Image, the poetic imagination, should act as both an ‘interpretational technique’ for various cultural texts and an ‘system of text education’ for the people selecting cultural contents. Now it is the time the university education should recognize such demand of the actual cultural field. It is expected that the Image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making the standards and measurement of the hole cultural texts in the most poetic way, after painful breaking away related traditions. This would be possible by the various trials where literature becomes a culture or a business with relevant contents, tearing down any obstacles or boundaries. 문학은 특유의 지적 포즈와 교술적 취향으로 인해 지금까지 그 전통의 가치를 고수하고 있는 몇 안되는 장르 중 하나이다. 이는 문자문화 특유의 엄정성에서 비롯한 것이지만, 이러한 보수성이야말로 문자문화의 한계를 드러내는 일이기도 하다. 우리의 문학교육 또한 ‘유희’이기 보다 ‘의의’여야 한다는 강박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오늘날 텍스트 교육이 갖는 고유의 기능을 부각시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산재하는 문화 텍스트를 누리고 수용하는 데 구체적으로 기여하는 교육의 체계를 마련하는 일이 필요해진 것이다. 이미지는 대상화와 객관화의 미학이다. 따라서 이미지로 시를 쓰는 화자는 일정 거리를 통해 흥분하지 않고도 ‘제시’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시된 텍스트의 조건 기호들은 수용자의 기억과 경험으로 걸러져 재현의 언어인 이미지- 즉, ‘도상의 기호’로 인지된다. 특별히 시적 판타지는 압축과 생략, 전치와 유추 등을 통해 이미지의 효과를 배가하며 각 시대마다 문화적 흐름에 발맞추어 변신을 주도해 왔다. 산업화시대의 단순 매개로서 ‘대리’의 기능을 담당했던 이미지는 이제 스피드한 정보화 시대의 주체로 문화 컨텐츠 생산성의 ‘기준’이 되고 있다. 시의 시대가 끝난 것이 아니라 시적 판타지가 너무 잦아진 시대가 되어가는 중이다. 이에 시적 상상력으로서의 이미지를 통해 먼저는, 오늘 날 세분화된 문화 텍스트의 ‘해석 기술’을 적용하는 일, 그리고 문화 컨텐츠를 선택하는 대중들을 위한 ‘텍스트 교육안'을 추론해 내는 일이 동시에 필요하다. 오늘날 대학의 교육은 이러한 현장의 수요에 귀기울여야 할 때가 되었다. 이렇게 문학이 문화로, 산업으로, 경계를 허물고 컨텐츠화 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통해 경계로서의 이미지 교육은 고통스러운 탈피의 과정을 거쳐 문화 텍스트 전체의 기준이며 잣대로서의 체계를 마련하는데 가장 시적으로 기여하게 될 것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