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Z세대의 세대차이 지각정도가 이직의도 및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세대갈등의 매개효과 및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연수,허찬영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23 기업경영리뷰 Vol.14 No.2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eneration Gap among Millennials and Gen Z within an organization and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Additionally, it explores whether Generation Conflic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eneration Gap and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and whether Organizational Fairness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Conflict and these outcom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ll variable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Millennials and Gen Z, perceived Generation Gap, Generation Conflict, Turnover Intention, burnout, and Organizational Fairness, is examin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Data from a survey of 500 Millennials and Gen Z workers i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statistically analyzed as follows: First, as perceived Generation Gap among Millennials and Gen Z increase, their Turnover Intention also increases. Furthermore, except for differences in behavior, as perceived Generation Gap increase, burnout also increases. Second, Generation Conflict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Generation Gap,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Third, Organizational Fairness partial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 Conflict, Turnover Intention, and job burnout. In conclusion, a greater perception of Generation Gap among Millennials and Gen Z leads to increased Generation Conflict, job turnover intentions, and burnout. Mediation by Generation Conflict can further increase job turnover intentions and burnout. However, increased Organizational Fairness can reduce negative job turnover intentions and burnout, thus improv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refore, to address Generation Conflicts caused by differences in generational perception, organizational fairness must be ensured. In particular, Millennials and Gen Z workers consider fair treatment within the organization important, so increasing fairness can increase their trust and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s the organization, ultimately preventing human resource losses due to employee turnover and burnout.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MZ세대의 세대차이 지각정도가 이직의도 및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세대갈등이 세대차이 지각정도와 이직의도 및 직무소진의 영향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조직공정성이 세대갈등과 이직의도 및 직무소진의 영향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MZ세대의 특성, 세대차이 지각정도, 세대갈등, 이직의도, 직무소진, 조직공정성에 관한 개념과 선행연구 등을 바탕으로 변수의 이론적 배경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증연구를 위해 MZ세대 근로자 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 중 결측값을 제외한 482개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MZ세대의 세대차이 지각정도가 높아질수록 이직의도가 높아졌다. 그리고 행동특성 차이의 인식을 제외한 MZ세대의 세대차이 지각정도가 높아질수록 직무소진이 높아졌다. 두 번째, 세대갈등이 세대차이 지각정도와 이직의도 및 직무소진 간의 영향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세 번째, 조직공정성은 세대갈등과 이직의도 및 직무소진 간의 영향 관계에서 부분적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MZ세대의 세대차이 지각정도가 세대갈등, 이직의도, 직무소진을 모두 높였다. 이는 세대차이 지각정도가 세대갈등을 통해 이직의도와 직무소진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조직공정성이 조직유효성에 부정적 변수인 이직의도와 직무소진을 모두 낮췄다. 이는 세대갈등으로 인해 높아진 이직의도와 직무소진을 조직공정성을 통해 낮출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세대 간 차이 지각정도로 인해 높아진 세대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 공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조직의 공정성이 높아진다면 조직에 대한 근로자의 신뢰와 책임감도 높아지고, 궁극적으로 근로자의 이직 및 소진으로 인한 조직 내 인적자원 손실을 예방할 수 있다.

      • KCI등재

        디지털 환경 경험에 따른 베이비붐과 MZ세대의 공간 선호도 차이 연구

        한경훈,이선정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4

        (연구배경 및 목적) 디지털 정보화 시대의 도래로 현대 사회는 공간 인식 측면에서 새로운 양식을 취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배경은 2022년 문광부 국민문화 예술 활동 조사·국민 여가 활동 조사를 확인한 후 연령대별 선호 공간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의 근거를 찾아가면서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붐세대(1955년~1963년까지 태어난 세대)와 MZ세대(1980년~1994년 사이에 출생한 M세대와 1995년~2005년 사이에 출생한 Z세대를 포함하는 세대)의 선호 공간이 차이 나는 원인의 근거를 밝히기 위해 디지털 환경 경험과 공간 선호도 차이의 관계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세대별 디지털 환경 경험과 공간 선호도 차이의 관계성을 밝히기 위한 리서치와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연구의 범위는 디지털 환경 경험 격차가 가장 큰 베이비붐세대와 MZ세대로 한정한다. 연구의 방법은 공간방문을 위한 디지털 활용 방식에 대해 고찰한 후 베이비붐세대와 MZ세대의 특성과 디지털 수용 차이점을 파악한다. 그리고 본 연구를 피에르 부르디외 아비투스 관점으로 바라보면서 연령별 선호 공간 자료를 기반으로 두 세대의 선호 공간을 아비투스 관점으로 분석한다. 이후 아비투스 관점으로 공간 선호도와 세대별 디지털 환경 경험의 관계성을 밝힌다. (결과) MZ세대의 성장기에는 디지털 문화가 보편화되어 있었고 자연스럽게 아날로그 문화보다는 디지털 문화에 오랜 시간을 보냈다. 성장기에 형성된 디지털 경험 아비투스는 무의식적으로 기존 환경에서 벗어나지 않으려는 습성을 가지며 이러한 성향 체계는 디지털 정보를 활용하여 다양한 공간을 방문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베이비붐세대의 아비투스는 유년 시절 오랜 시간 동안 경험해 온 아날로그 문화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급변하는 디지털 사회에서 무의식적으로 디지털 정보를 활용하지 않고 익숙한 공간을 방문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결론) 아비투스 이론의 관점에서 베이비붐세대와 MZ세대의 선호 공간과 각 세대의 디지털 활용 특성을 연구한 결과 두 세대의 서로 다른 공간방문 방식이 밝혀졌고, 이를 통해 익숙한 공간을 선호하는 베이비붐세대와 다양한 공간을 경험하는 MZ세대는 서로 다른 아비투스의 영향으로 선호하는 공간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아비투스 관점에서 바라볼 때 디지털 환경 경험과 공간 선호도 차이가 관계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information age, the modern society has adopted a new style in terms of spatial perception.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lies in 2022 when the Ministry of Culture’s culture and arts activity survey and the National Leisure Activity survey were confirmed, and thereafter, the basis for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space by age group was determin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and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space between the baby boomers (generation born between 1955 and 1963) and the MZ generation (generation including Generation M born between 1980 and 1994 and Generation Z born between 1995 and 2005).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al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s and differences in spatial preferences. The study scope encompasses the baby boomers and the MZ generation, who have the largest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gap. The research method examines the manner of use of digital tools for spatial visit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s and the MZ generation and the differences regarding digital acceptance. The preferred space of the two generations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Pierre Bourdieu Avitus based on the preferred space data by age. Thereafter,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preference and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by generation is revealed. (Results) During the growth period of the MZ generation, digital culture became common, providing this generation greater exposure to the digital rather than the analog culture. The digital experience Avitus acquired during the growth period forms a habit of subconsciously remaining in the existing environment. This propensity manifests as visiting various spaces using digital information. Conversely, the baby boomers' Avitus is formed by the analog culture. This manifests as visiting a familiar space without subconsciously using digital information in a dynamic digital society. (Conclusions) A study of the preferred spaces of the baby boomers and the MZ generation and the digital utilization characteristics of each gen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vitus theory revealed the manner in which the two generations visit spaces. The baby boomers who prefer familiar spaces and the MZ generation who experience various spaces differ in terms of their preferred spaces because of the influence of different Avitus. Consequently, the difference in digital environment experience and spatial preference is related from the perspective of Avitus.

      • KCI등재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 간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등록에 대한 인식 비교 : 게임이용장애에 대한 편견 및 행동 의도를 중심으로

        이동환(DongHwan Lee),최호진(Hojin Choi),전종우(Jong Woo Jun)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21 언론정보연구 Vol.58 No.1

        본 연구는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의 문화 차이에 기반하여 게임이용장애 질병코드 등록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밀레니얼 세대는 기성세대보다 게임이용장애의 질병코드등록에 대해 더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게임이용장애에 대한 편견에 속하는 네 가지 요인인 ‘위험·회복 불능·식별 가능·무능력’에 대한 인식에서는 기성세대가 ‘위험’ 인식과 ‘무능력’이 더 높았고 ‘회복 불능’과 ‘식별 가능’에 있어서는 양 세대의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게임이용장애에 관련한 행동 의도에 대한 분석을 보면 기성세대가 게임이용장애 치료에 있어서 본인의 진료기록이 노출될 수 있는 의료보험을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밀레니얼 세대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문심리 상담, 비급여진료, 질병 기록공개는 양 세대 간 인식 차이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밀레니얼 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문화 및 정서적인 차이로 인해 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과 행동 의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학문적으로는 물론 게임과 관련한 정책적인 차원에서도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explored differences of perception on disease registration of gaming disorder between millennial and old generation based on cultural and generation gaps. The results showed that millennial generation agreed less to disease registration than old generation. For prejudice of gaming disorder, old generation was higher in peril and incompetence than millennial generation but un-recoverbility and visibil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behavioral intention, old generation showed higher intention of medical insurance uses. However, professional counselling, non-insurance treatment, and disease record relea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llustrated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n social issues between millennial generation and old generation, and provided academic implications and game-related policy implications.

      • KCI등재

        성별에 따른 결혼 인식의 세대 차이

        진미정,기쁘다,성미애 가정과삶의질학회 2023 가정과삶의질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study is to examine marriage perceptions according to gender and generation, and whether they are influenced by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nd family values. Online survey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family related values, and 1,319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Using STATA 17.0, descriptive analyses, correlational analyses, group comparison analyses,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younger generations perceived family diversity more positively for both men and women. For women, younger generations showed higher levels of non-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positive family perceptions. Second, younger generations demonstrated lower levels of positive marriage perceptions, and the gender difference in perceiving marriage positively existed in generation M and Z. Third, for men and women, the babyboomer (BB) generation perceived marriage the most positively in model 1, but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disappeared after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and family value related variables were put in model 2 and 3. For men, higher levels of non-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s and positive family perceptions and lower levels of family diversity influenced their positive marriage perception. For women, lower levels of family diversity and higher levels of positive family perceptions influenced their positive marriage perception. Also, married individuals perceived marriage more positively regardless of gender or generations. This study will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in making family policies regarding marriage and low birthrate. 본 연구의 목적은 성별에 따른 결혼 인식의 세대 차이를, 세대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가족가치관을 중심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성인 남녀 1,319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베이비붐(BB)세대, X세대, M세대, Z세대로 구분하여 기술통계, 집단 간 비교분석,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남녀 모두 최근 세대로 올수록 비혼 수용 정도가 높아졌으며, 여성의경우 최근 세대로 올수록 근대적 성역할태도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 세대로 올수록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낮아졌다. 그리고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성별 차이는 M세대와 Z세대에서만 나타났다. 셋째, 남성의 경우에는 BB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나 이러한 세대 차이는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족가치관 변인을 투입할 때는 사라졌다. 대신, 근대적 성역할에 동의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비혼 수용성이 낮을수록, 가족을 지지원으로 인식할수록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았다. 여성의 경우도 BB세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등 세대 차이가 나타났으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족가치관변인을 투입할 때는 이러한 세대 차이가 사라졌다. 대신 비혼 수용성이 낮을수록, 가족을 지지원으로 인식할수록 결혼에 대한 긍정적인식이 높았다. 그리고 기혼자는 성별이나 세대와 상관없이 결혼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결혼과출산이 연결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성을 반영한 저출산 대책을 마련할 때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

        세대 차이에 따른 스토킹 인식 분석: 베이비붐 세대, X세대, M세대, Z세대를 중심으로

        박예은,곽대훈 한국범죄심리학회 2022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8 No.3

        Existing previous studies that investigated stalking perception focused on investigating specific age groups such as college students rather than various age groups.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phrase contemporary asynchronism, people in one society live with different valu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how the perception of stalking differs between generations by classifying the generation who shared a specific historical experience into the baby boomers, Generation X, Generation M, and Generation Z. Using a South Korean adult sample(n=336), we examine stalking perceptions according to generation difference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in the classification of stalking punishment opinions and stalking behavior.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스토킹 인식을 조사한 기존 선행연구들은 다양한 연령층보다는 대학생과 같은 특정 연령층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동시대의 비동시성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한 사회 내에서 사람들은 다른 가치관을 가지고 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한 역사적 경험을 공유한 세대를 베이비붐세대, X세대, M세대, Z세대로 구분하여 스토킹에 대한 인식, 특히 스토킹 처벌 의견 및 행위 구분에 있어 세대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통해 현행 스토킹처벌법의 개정 방향성을 도출하기 위한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17세 이상 한국 거주 일반인 3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세대 차이에 따른 스토킹 인식을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스토킹 처벌의견 및 스토킹에 대한 행위를 구분함에 있어 세대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스토킹 처벌에 있어 스토킹 피해의 실절적 대상자인 MZ세대가 강력한 대응방안을 촉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스토킹처벌법의 개정과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며, 세대라는 변수를 통해 다양한 연령층의 스토킹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음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세대 간 차이와 조직몰입의 관계 : 외재적 보상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오상석 한국노동연구원 2019 노동정책연구 Vol.19 No.3

        It is said that various generations coexist in the Korean organization, and that many workers experience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dividual attitudes and behaviors.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generation in Korea has been defined using simple age, position or overseas generation classification. In addition, although the effects within the same gener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there are insufficient studie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sample and the factors that moderate the direct effect of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xternal reward. We also examine how the moderating effect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Specifically, two samples (1,973 public officials and 372 nurses) were used to analyze the direct effect of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external rewards in the relationship, and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generation with the most recent birth year had a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both samples. It is also found that external reward mitigates the negative effects of direct effects on the public officials sample, but does not affect the nurse sample. 한국의 조직 내에는 다양한 세대가 공존하며, 그로 인해 많은 근로자가 세대 간 차이를 경험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세대 간 차이는 개인의 태도와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다양한 연구가 이뤄졌지만 국내의 경우 세대를 단순 연령이나 직급 또는 국외의 세대 구분을 활용하여 정의하였다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동일 세대 내 효과가 표본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에도 표본의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 및 세대 간 차이의 직접효과를 조절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대 간 차이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위 관계에서 외재적 보상의 조절효과 및 동 조절효과가 표본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표본(1,973명의 공무원, 372명의 간호사)을 이용해 세대 간 차이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직접효과 및 그 관계에서 외재적 보상의 조절효과 그리고 이때 표본의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두 개의 표본 모두에서 출생연도가 최근인 세대일수록 조직몰입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재적 보상은 공무원 표본에서는 직접효과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지만 간호사 표본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KCI등재

        세대를 건너뛴 양육에서 조손가족의 삶의 경험 -세대차이와 어려움-

        정순둘,정세미,송보가,박화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가족복지학 Vol.70 No.3

        본 연구는 부모세대를 건너뛴 조부모와 손자녀로 구성된 조손가족 내 세대 차이와 어려움에 대한 삶의 경험을 살펴보고자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는 조손가족으로 구성 된지 1년 이상이 된 가족 중 조부모 7명과 손자녀 7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은 1:1 심층면접을 활용하였으며, Braun과 Clarke이 제시한 주제분석 방법을 통해 수집 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개의대주제, 5개의 구성요소, 14개의 하위주제가 분석되었다. 조손가족이 느끼는 세대차이와 삶의 경험으로는 대주제 ‘조손가족이 느끼는 세대차이’, ‘세대차이로 인한 가족생활의 한계(어려움)’이었으며, 구성요소로는 ‘가치관의 차이’, ‘생활방식의 차이’, ‘손자녀의 발달단계별 어려움’, ‘주변으로부터 고립되어져 감’, ‘세대를 건너뛴 돌봄의 어려움’ 등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조손가족이 겪는 세대차이와 그로 인한 삶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 및 정책적 대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ife experiences of grandparents and their grandchildren who live together in the absence of the parents, focusing on generational gap and difficulties. Seven dyads of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were recruited from skipped-generational families that lasted more than one year and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As a result of Braun and Clarker’s 6 steps of thematic analysis, two major themes, five components, and a total of fourteen sub-themes were identified. Two major themes include ‘generation gap felt by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and ‘difficulties in daily life caused by generation gap.’ The five components were ‘difference in values’, ‘difference in life style’, ‘difficulties by developmental stage of grandchildren’, ‘sense of isolation’, and ‘difficulties in caring for skipped-generation.’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alleviating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e generation gap between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of skipped-generation famil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세대 문화와 기업 문화: 기업 내 세대 간 문화적 차이에 따른 일 만족도를 중심으로

        고태경(Goh, Taekyeong),임현지(Lim, Hyunji),왕정하(Wang, Junghaa),최다은(Choi, Daeun),이철승(Lee, Cheolsung) 한국문화사회학회 2021 문화와 사회 Vol.29 No.2

        본 연구는 한국의 기업문화가 2010년 이후 등장한, 새로운 세대문화를 내재한 젊은 세대로 인해 어떤 변화의 압력에 처해 있는지를 묻는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새롭게 등장한 청년세대의 세대문화 특성을 탐색하고, 기업조직 내 세대간 문화적 차이를 탐구한다. 특히, 이 연구는 통계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2010년대 이후 새롭게 노동시장에 진출한 ‘90년대 생’의 세대 정체성을 탐구하고 기성세대와의 세대문화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2017년 제7차 인적 자본기업패널(HCCP) 조사를 활용하여 한국기업 특유의 조직문화가 세대 간 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통계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하였다. 추가적으로, 우리는 2011년 제4차 HCCP 조사를 통해 세대 간의 문화차이가 연령효과나 직급에 따른 효과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90년대 생이 기성세대 근로자에 비해 경쟁적 성과달성 문화와 위계문화가 강한 조직에서 더 낮은 일 만족도를 보이는 반면, 공정한 평가문화가 강한 조직에서는 더 높은 일 만족도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발견은 오늘날의 청년세대가 개인의 가치가 존중받는 합리적 관계의 조직체에서 조직과 직무에 더욱 몰입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국내기업이 새로운 세대의 ‘민주적⋅수평적’ 조직문화를 도입할 때, 기업조직 내의 세대갈등을 완화하고, 청년세대의 일 만족 및 조직 몰입을 향상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sks whether the Korean businesses built upon the hierarchical seniority system face a ‘cultural turn’ triggered by the millennial generations in the labor market since 2010. To answer this ques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ter-generational cultural difference’ in business organizations. We examine generational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s by applying OLS regression models to analyze the 7th Human Capital Corporation Panel (HCCP, 2017). In addition to this, we also analyze the 4th HCCP in 2011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about the generational gap.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also reveal that Millenials show higher job satisfaction in a fair evaluation culture than the older generations, while they have a lower level of job satisfaction in a hierarchical and competitive atmosphere,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s. Overall, the authors claim that, by adopting the ‘democratic and horizontal culture’ of new generations, the Korean business will be able to ameliorate inter-generational conflicts, increase the younger generations’ satisfaction of their work, and enhance their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in the long term.

      • KCI등재

        청소년과 노년 세대간 태도 분석

        한정란(Han, Jungran),이금룡(Lee, Geum-Yong),원영희(Won, Young-Hee) 한국노년학회 2006 한국노년학 Vol.2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과 노인들의 세대차이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두 세대가 가지는 상대 세대에 대한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세대통합 교육모형 개발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노인복지관, 교회 및 친목모임에 참여하는 60세 이상 279명과 서울에 소재한 3개 젓학교와 2개 고등학교에서 459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청소년과 노인 모두 주로 대젓매체를 통하여 다른 세대에 관한 정보를 습득하고, 노인이 청소년에 비해 세대차이를 더 많이 인식하고 있으며, 청소년들은 부모세대인 40대에게, 노인들은 20대에게 세대차이를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세대가 서로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태도가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상호지향성 모델을 통해 살펴본 결과, 청소년과 노인 두 집단 모두 자기 스스로에 대한 평가보다 상대 세대의 평가가 더 부정적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실제로 상대 세대가 보여준 평가결과보다도 더욱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상대 세대의 이미지에 대해 두 세대가 가지고 있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는 젓요도-실행도 분석(IPA)에 따르면, 청소년에 대해 노인과 청소년 모두 공통적으로 가지는 긍정적인 이미지는 주로 외형적이고 활동적인 특성인 반면에, 부정적인 이미지는 기질적인 특징이 주를 이루었으며, 노인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상반된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세대간의 무관심과 몰이해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우리 사회에서 세대통합을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비롯한 관련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generational gap between the youth and the elderly, to analyze their attitudes toward each other, and to propose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 model. We surveyed 307 of the elderly over 55 of age and 459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① Both of the youth and the elderly got an information of the other generation through the mass media and the elderly felt more intergenerational gap than the youth did. The youth felt the intergenerational gap most against their parent generation but the elderly did against 20s. ② On the co-orientation model, both generations thought the evaluation by the other generation more negative than that by themselves. And it was even more negative than the others' real evaluation. ③ On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both generations evaluated the youth positively in appearance and activity but negatively in disposition. However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showed the opposite result. Finally an implication for developing the intergenerational education program was proposed.

      • KCI등재

        탈북자가 본 북한의 세대간 차이점과 유사점 : 남한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태연(Tae Yun Jung),최영진(Young Jin Choi),김영만(Young Man Kim) 한국노년학회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66명의 탈북자가 북한의 젊은 세대와 성인 세대의 의식구조와 현실인식을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평가에 기초하여 북한에서의 세대간 차이점과 유사점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를 남한사회에서 수행된 기존 연구(정태연, 2001)의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세대특성의 남북한 비교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북한의 경우 6개의 가치지향차원, 10개의 성격특질차원 그리고 비전통적 성행동에 관한 3차원에서의 부정적 태도 등에서 상당한 세대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으로 젊은 세대는 서구문화의 특성을 더 많이 지닌 반면, 성인 세대는 전통적 특성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세대차이는 전반적으로 남북한간에 상당히 유사했지만, 세대차이의 크기는 남한사회에서 더 큰 경향이 있었다. 한편, 기존의 연구에서 남한사람들은 세대 상관없이 남한사회를 상당히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북한사람들도 세대 상관없이 북한사회를 6개의 현실인식차원과 정치적 통제감차원에서 상당히 부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북한사회의 현실과 문화적 변동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of North Korea using 66 defects of North Korea. Also, results obtained were compared to previous findings from samples of South Korea (Jung, 2001).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clear-cu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enerations in North Korea on the 6 value and 10 personality trait dimensions and in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 3 types of sexual misbehavior. The youth generation is oriented toward the Western value system, whereas the adult generation makes much of the indigenous values of Korean culture. This pattern of generation gap of North Korea is much similar to that of South Korea, although this gap tends to be more severe in South Korea. However, there was quite a similarity between the generations of North Korea in the negative evaluation of the status que of North Korea, like the case of South Korea. All of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with respect to cultural transformation and status quo of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