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학성전』의 작성경위와 사료적 가치

        최광만 ( Kwang Man Choi ) 교육사학회 2014 교육사학연구 Vol.24 No.1

        이 글은 『태학성전』의 작성경위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그 사료적 가치를 드러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태학성전』의 작성자와 작성연대에 관해서는 이민홍이 이미 확인하였는데, 이 글은 추가적으로 몇 가지 사항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현전하는 『태학성전』을 17세기 전반 관변기록에서 언급된 『태학성전』과 비교할 때, 1740년대 중반 이전의 기록은 현전하는 『태학성전』을 지칭한다고 할 수 있으나, 그 이후의 기록은 이정보가 편찬한 『성전보유』의 이칭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태학성전』의 작성경위를 조사한 결과, 『태학성전』은 이만부가 전적으로 기획하고 자신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한 저서는 아니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태학성전』은 성균관 관원이 이미 작성한 초본을 근간으로 하여 짧게는 1-2개월, 길게 잡아도 5-6개월 정도의 기간에 작성된 책이다. 이점에서 이만부는 편저자에 가깝고, 『태학성전』 또한 편저의 성격이 강하다. 셋째, 『태학성전』의 작성이유는 부분마다 서로 다르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권1과 권2는 오현을 중심으로 하는 문묘제도의 정당성을 시급히 재확립하려는 이유가 강하고 그에 따라 대폭적인 수정을 거쳤다. 이에 비하여 권3과 권4는 당시의 성균관 운영규정을 정비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특히 권3은 이만부의 교육관에 부합하지 않는 과시제도가 중심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이만부보다는 성균관 실무진의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이때 실무진의 의견이란 당시 제도적 영향력이 강화되는 과시규정을 충실히 운영하려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넷째 『태학성전』의 사료적 가치는 편찬당시 성균관 운영상황을 체계적으로 수록하고 있다는 데에 있다. 특히 성균관 학사운영에 관한 내용은 1660년대 이후 당시까지의 실태를 반영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at re-examining the compilation process of 『Confucian Universtiy Code(太學成典)』 and showing its value as a historical recor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de was a compilation which Lee, Man Bu(1664-1732) corrected and supplemented a draft by some government officials in 1689. Second, the Code had different backgrounds. Part 1 and Part 2 was written by the political and ritual causes. But the rest, especially Part 3, was made by the working-level necessity. Third, the value of the Code was that it faithfully showed the educational reality of Confucian University(成均館) in the latter half of 17th century.

      • 예수의 성전정화 사건이 한국 개신교 교회에 주는 교훈

        배정훈(Chong-Hun Pae) 혜암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교회 Vol.16 No.-

        이 글의 목표는 예수의 성전정화 사건(막 11:11-15)이 한국 개신교 교회에 주는 교훈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소위 예수의 청결사건은 구약의 예언자 전통을 이어받아 성전을 정화하려는 행동이며, 이 행동에 담긴 성전멸망에 관한 사상이 담겼다. 예수의 제의비판은 구약 예언자들의 제의비판에 근거하는데 예언자들은 제의와 윤리의 균형을 주장하면서 윤리정신이 담기지 않은 제의에 대하여 비판하였다. 예언자들이 비판한 것은 우상숭배와 바알신앙에 근거한 잘못된 신앙, 성전을 도둑의 소굴로 만드는 잘못된 성전신앙, 이웃을 향하여 공의와 정의를 행하지 않는 윤리 부재, 나아가서 성직자들이 지도자로서 본이 되지 못하고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 자기의 말을 전하며, 악의 기원이 되는 잘못을 범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예언자 전승에 기초하여 예수께서는 성전에서 물건을 사는 자들과 파는 자들의 실제적인 상행위를 금하시고, 이행위들을 통하여 실제적인 이익을 취하는 제사장들과 종교 지도자들을 비판하신다. 한편으로는 예레미야의 비판에서 성전을 도둑의 소굴로 만드는 잘못된 예배를 비판하고 예배와 삶의 균형을 요구하신다. 동시에 성전이 멸망된 이후에 이루어질 보이지 않는 교회를 바라보면서 성전을 기도하는 집으로 정의하고, 유대인만이 아니라 이방인까지 포함하는 만민을 구성원으로 한다. 예수의 행동에 근거하여 현대 개신교를 향한 교훈으로는 성전으로 상징되는 제의에 대한 다음과 같은 비판이다: ① 교회는 본질에 충실한 거룩한 교회로서 기도하는 교회가 되어야한다. ② 교회는 만민으로 이루어진 차별 없는 공동체로서 하나가 되어야 한다. ③ 교회는 도둑의 소굴이라는 불명예를 극복하고 예배와 삶의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④ 교회는 세상을 섬기는 사명을 이루기 위하여 개인적인 영역만이 아니라 공적인 영역에서 사명을 감당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ovide the lessons of Jesus temple-cleansing event (Mark 11:11-15) to Korean Protestant Church. The findings show that the so-called cleansing of Jesus is an act of purifying the temple by inheriting the prophetic traditions of the Old Testament, and it contains ideas about temple destruction in the future. Jesus proposal was based on the proposal of old testament prophets, who criticized the sacrificial ritual without ethics spirit, arguing for the balance of ritual and ethics. What the prophets criticized was false faith based on idolatry and Baalism, false temple beliefs that turn temples into dens of thieves, and the lack of ethics that do justice and uprightness toward neighbors. Furthermore, it is about the clergy not being ideal as leaders, delivering their own words that do not come from God, and making mistakes that are the origin of evil. Based on the prophets’ criticisms, Jesus forbids the actual acts of those who buy and sell goods in the temple, and criticizes priests and religious leaders who take real benefits through these acts. On the one hand, Jeremiah criticizes the misguided worship that makes the temple a den of robbers and calls for a balance between worship and life. At the same time, he defined the temple as a prayer house while looking at the invisible church that will take place after the temple is destroyed, and make all people members of the church, including Gentiles as well as Jews. Based on Jesus actions, the lesson for Korean Protestant Church is the following criticism of the religious system, symbolized by the temple: 1) The Church should be a house of prayer as a holy church faithful to its essence. 2) The Church should be united as a discrimination-free community of all people. 3) The Church must overcome the disgrace of being a den of robbers and balance worship and life. 4) The Church must take on its mission to serve the world not only in the personal realm, but also in the public sphere.

      • KCI등재후보

        과연 `성전 청결 사건` 인가

        선정규(Jungkyoo Sun)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2 Canon&Culture Vol.6 No.2

        성전에서 행하신 예수님의 행동은 예수님의 생애에서 독특한 형태인 이유로 최근에 많은 학자들 간에 토론이 다시 일어났지만,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빼어난 학설 없이 대부분의 주장들이 크게 세 가지로 나눠진다. 즉 선지자적 상징적 행위 개혁가적 청결 행위 그리고 종말적 메시아적인 행위라고 한다. 이러한 주장들 중에서 성전 사건의 의미와 예수님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이스라엘 역사에 흐르는 성전에 관한 전승들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예수님도 구약 성경과 유대 문헌에 흘러내려오는 성전에 대한 전승들을 잘 알고 계셨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먼저 이스라엘에 있어서 성전의 기원과 기능이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본 후 그 성전에 대한 전승들이 구약 성경 시대, 즉, 예루살렘 성전 이전 시대와 예루살렘 성전 봉헌 때 그리고 선지자 시대에 어떤 모습으로 전승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예루살렘 성전 이전 시대에서는 출애굽기와 신명기에 나오는 성막과 사무엘상 1:1-4:22, 시편 78:59-72, 예레미야 7:12-14, 26:6-9에 나오는 실로의 성전을 살펴보았고, 열왕기상 8장의 성전 봉헌식 속의 성전에 관해서 조사했다 선지자 시대에는 이사야, 예레미야, 에스겔, 스가랴서에서 예수님의 성전 사건에 관련된 성전 전승들을 연구하고, 그 성전의 전승들이 유대 문헌들에는 어떤 모습으로 용해되어 들어갔는지를 살펴본 후에, 예수님 시대의 성전의 모습과 비교 평가해서 그 의미를 함축적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마가복음을 주요 본문으로 문학적인 기법들로 예수님의 성전 사건을 연구하였다. 본문의 구조 분석, 문맥 분석, 특히 해석학적 분석으로 본문에서 가장 가능성 있는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또 예수님의 말씀과 행동들은 전혀 다른 새로운 성전을 일으키려는 데 있다는 결론을 구약과 유대문헌에서의 성전 전승들과 비교하여 도출하였다. Even though Jesus’ action in the Temple was one of the outstanding religious incidents in Jesus’ life and scholarly discussions have been pursued vigorously in recent decades, scholarly consensus has not been reached for the lack of concrete evidences. So We may group three major genre identifications: prophetic symbolic act, reformer’s cleansing act and eschatological messianic act.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Temple incident and the intention of Jesus, we have searched the Temple traditions in the history of ancient Israel because Jesus was probably influenced strongly by Israelite laws and traditions in the Old Testament and early Jewish literature. First, the origins and the functions of the Temple in Israel have been investigated. After this, the Temple traditions have been examined in the Old Testament according to the epochs of the Temple: proto-temple era, the time of the dedication of the Temple, the prophets’ time. For the proto-temple era the tabernacle in Exodus and Deuteronomy has been explored and the sanctuary in Shiloh primarily in 1 Sam 1:1-4:22, Ps 78:59-72 and Jer 7:12-14, 26:6-9 have been treated, and for the dedication of the Temple 1 Kings 8 has been studied. Then, for the prophets’ time Isaiah, Jeremiah, Ezekiel and Zechariah are selected because of their relevance to the Temple incident. Among the abundant Temple traditions in Early Jewish literature, the selection has been made according to their relevance to this study and the date of composition before Jesus’ time, and then comparative assessment has been made on those Temple traditions. Then, their main implies are written in brief. Afterwards, the Temple incident has been studied on the basis of the text of Mark primarily, but with some consideration of the other gospels. Through the structural analysis, the contextual analysis, and hermeneutical analysis the text has been studied in detail, and then Jesus’ actions and sayings in the Temple have been assessed by the Temple traditions found through the above investigation.

      • KCI등재

        요한복음의 기독론적 성전 신학 - 성육신에 나타난 성전 모티프를 중심으로

        정다운 한국개혁신학회 2022 한국개혁신학 Vol.75 No.-

        요한복음의 성전 신학이 주로 특정 주제들과 성전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다면, 본 연구는 ‘성전 신학’이라는 프리즘으로 요한복음서 전체를 해석해 보려는 시도이다. 특별히 요한복음은 성전이라는 모티프(motif)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신지 설명한다. AD 70년의 성전 파괴 사건은 요한복음의 기독론적인 저술과 모형론적 해석을 뒷받침하며 예수 그리스도는 옛 성전을 대체하고 구약성서의 여러 약속과 메시아 대망의 성취이자 새 성전임이 드러난다. 본 연구는 요한복음의 성전 모티프 해석에 열쇠를 제공하는 서문(1:1-18)의 성육신에 나타난 성전 모티프(1:14)를 중심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 성전의 함의를 살피고 기독론적 성전 신학을 이해하려는데 있다. 첫째, 말씀의 성육신은 구약성서의 장막 성전 모형(출 25:8-9)의 성취로써 예수 그리스도에게 나타난 세키나(hnykX)의 영광은 그가 하나님을 만나는 새로운 장막임을 보여준다. 더 나아가 하늘 성소의 원형(archetype)이 이 땅 위에 육신을 입고 장막을 치신(evskh,nwsen) 단 하나의 유일한(monogenh,j) 성전임이 나타난다. 둘째, 성육신에 나타난 성전 기능은 하나님의 임재와 예배, 생명이며 최초의 성전인 에덴 성소(prototype)의 ‘안식’이 요한복음에서 구속사적 의미인 ‘생명’으로 표현된다. 성육신에 나타난 영광을 보는 자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자이며 영원한 ‘생명’(안식)으로 인도된다. 셋째, 말씀의 성육신은 하나님의 현시와 통치가 나타나는 종말론적 성전(archetype)에 대한 성취이자 이전의 장막 성전의 기능을 능가하고 성취하는 구속사적 성전 모델이다. 예수 그리스도 자신이 하나님의 언약적 사랑의 성취로써, 육체(sa,rx)가 되심으로 죄의 문제를 해결하며 그를 믿는 자들을 영원한 생명으로 인도한다. 따라서 말씀의 성육신은 구약성서의 에덴 성소(prototype), 성막(type)에 대한 성취일 뿐 아니라, 하늘 성소의 원형(archetype)이 이 땅 위에 세워진 종말론적 성전에 대한 성취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기독론적 성전 이해는 요한복음의 다른 성전 말씀들에도 해석의 열쇠를 제공한다.

      • KCI등재

        The Temple of Men (mda fdqm) in 4QFlorilegium (4Q174)

        Yong Han Chung 한국기독교학회 2013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87 No.-

        사해사본 중 쿰란 공동체의 내부 문서인 4QFlorilegium (4Q174)에 나타나는 mda fdqm은 다양하게 이해되고 있다. 이에 대한 이해를 위해 본 연구는 방법론적으로 예루살렘 성전의 의미와 함께 쿰란 공동체와 성전의 관계를 먼저 밝히고, 이와 함께 어떠한 성전에 대한 이해가 공동체 내에 존재하고 있는지를 살핀다. 쿰란 문서를 통해 쿰란 공동체 내에 천상의 성전, 종말론적 성전에 대한 기대와 자신의 공동체를 성전으로 여기는 독특한 이해가 공존했음을 확인한다. 쿰란 공동체의 성전에 대한 이러한 역사적이고 신학적인 이해는 4Q174의 “아담의 성전”(1:6)이 “사람으로 이루어진 성전”, 즉 “공동체 성전”을 의미한다는 것을 밝혀준다. 나아가 쿰란 공동체의 두 가지 성전 이해(종말론적 성전의 기대와 공동체를 성전으로 간주)가 본문을 통해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살핀다. 여러 성전에 대한 언급이 있는 4Q174의 전반부는 사무엘하 7:10-11a와 출애굽기 14:17-18에 대한 페샤림으로 야웨께서 의도하셨던 성전이 본래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종말론적 성전과 공동체 성전임을 암시하고 있다. 4Q174의 저자(들)는 예루살렘 성전의 부재 속에서 공동체를 성전으로 간주하는 새로운 성전이해를 통해 구성원들에게 천상의 성전이 완성되기까지 “토라의 행위들”을 새로운 희생제로 바칠 것을 격려하며 종말론적 성전과 두 메시야의 도래를 통해 완성될 종말에 대한 소망을 통해 현실 속에서 경험하는 대적자들(어둠의 자녀들)에 의한 고난을 극복하도록 돕고 있다.

      • KCI등재

        에스겔의 성전 비판과 야훼의 성전되심(겔 8-11장)

        한동구 한국구약학회 2015 구약논단 Vol.21 No.2

        이스라엘이 바벨론에 의해 국가가 멸망과 함께 성전도 파괴되었다. 성전 파괴는 이스라엘인들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고대 이스라엘 민족에게 있어서 성전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기원전 587년부터 기원전 515년까지 성전 부재의 시대에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집단들이 대안신학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성전부재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에스겔이 시도한 신학적 시도의 한 부분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무엇보다도 겔 16장 16b절의 메시지 “그들이 도달한 나라들에서 내가 잠깐 그들에게 성소가 될 것이다”의 의미를 정확히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그 당시의 역사적 상황과 에스겔의 주장과 대립되는 성전신학에 근거한 주장을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에스겔 주장의 신학의 근거가 되는 ‘하나님의 존재를 영으로 파악한 점’과 이와 함께 ‘야훼 하나님은 항상 이동가능하다’는 신학적 성찰도 검토해야 한다. 겔 16장 16b절의 ‘성소’는 바벨론에 작은 성전이나 이와 유사한 집회장소를 마련한다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의적 형식이 아닌 경건의 형태를 의미하는 것도 아니다. 이는 전통적으로 성전이 수행한 기능과 직무를 야훼 하나님 자신에게 돌린다는 의미이다. 포로기에 성전이 없어지면서, 인간은 하나님과의 만남의 장소가 사라지고, 그래서 인간은 생명을 잃어갔다. 이러한 상황에서 에스겔은 성전 부재의 상황에 대하여 깊이 성찰하고, 대안적 사상을 제시한다. 야훼의 영광이 성전으로 다시 돌아오기까지 일시적으로 야훼 자신이 성전이 되는 성전 부재의 시대에 대안 신학을 에스겔은 주장한다. 전통적인 ‘성전신학’에서 주장하는 성전의 기능과 직무를 야훼의 존재에게도 돌리고 있다. 야뷔스트는 하나님이 임재하시는 곳이 어디이든 거룩한 곳이며, 그래서 성전이라는 사상을 펴고 있다. 이점에 있어서는 에스겔과 유사하다. 그러나 에스겔은 야뷔스트와는 달리 야훼 하나님께서 항상 현존해 계시는 장소인 성전의 가치를 근본적으로 허물어 버리지는 않았다. 성전으로부터 새로운 생명의 물이 흘러나옴을 말한다. 에스겔은 결코 예배의 중앙 통일화의 규정을 저버리지 않았다. 다만 대안적 사상을 통해 보완하려 했다. The nation Israel was destroyed by Babylon and its temple was too. The destruction of the temple gave a great impact on the life of the Israelite. The significance of it in the life of the Israelite is extraordinary. When it was absent, from 587 to 515 BCE, a variety of groups proposed theologies alternative to it. The present study examines a part of the theology proposed by Ezekiel that attempted to overcome the crisis caused by the temple's absence. Particularly the exact meaning of the message from Ezekiel 11:16b, “yet for a little while I have been a sanctuary for them in the countries where they have gone,” is examine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ime and the temple theology, which was contradicting to Ezekiel's, were put under the study. Also, the basis of Ezekiel's theological stand that is 'figuring out the existence of God as spirit' and the theological thought that ‘YHWH God is mobile ever’ should be examined too. The ‘sanctuary’ in Ezekiel 11:16b refers neither to a small temple in Babylon nor a similar place of meeting to be set up. Also, it does not mean aform of piety, which is different from a form of ritual. In fact it means that the functions and duties the temple used to perform traditionally are to be attributed to YHWH himself. With the absence of the temple, the meeting place between God and the human beings is lost, thus the latter became lifeless. In this seriousness of the absence of the temple, Ezekiel proposed an alternative. YHWH himself becomes a temple temporarily until his glory would come back. The function and the duties of the temple that the traditional 'temple theology' charged are all then attributed to YHWH. Yahwist asserts that wherever God is present is holy and thus a temple. It is quite similar to Ezekiel's. But, different to Yahwist, Ezekiel did not get rid of the value of temple, the place where YHWH God abides in always. He says that the water of new life flows from the temple. Ezekiel never abandoned the command of worship centralization. He rather tried to assist it with alternative ideas.

      • KCI등재

        예수와 성전

        정기문 ( Jung Gi-moon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5 서양고대사연구 Vol.41 No.-

        신약 성경에 성전에 대한 예수의 태도 세 가지가 관찰된다. 먼저 예수는 당시의 여느 유대인과 다름없이 예루살렘 성전의 제사에 정기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는 태어난 지 8일 만에 성전에서 할례를 받았으며 죽기 직전에도 유월절을 기념하여 성전을 순례하였다. 이는 예수가 예루살렘 성전과 그곳에서 행해지는 의례를 당연한 것으로 여겼음을 보여준다. 예수가 이런 태도를 취했던 것은 역사적으로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그의 제자들이 성전과 성전 의례를 당연한 것으로 여겼음이 확실하기 때문이다. 예수는 또한 성전의 정화자이었다. 그는 예루살렘 성전에 올라가 성전에서 장사를 하고 있는 상인들의 탁자를 엎어버렸다. 최근 예수의 성전에 대한 문제 제기를 ‘정화’가 아니라 파괴를 상징하는 것으로 보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주장은 예수와 성직자들의 대립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데서 나온 오류이다. 예수는 성직자들이 백성들을 착취하는 것을 안타까워했으며, 특히 가야파가 성전 제사에 쓰일 제물 판매소를 올리브 산에서 성전 내로 옮긴 것을 반대했다. 예수의 성전 정화 사건은 이 맥락에서 보아야한다. 마지막으로 예수는 성전 파괴 예언자이었다. 그는 묵시종말론을 신봉했고 ‘그 날’이 오면 메시아가 오셔서 부패하고 타락한 성전을 허물고 완벽한 새로운 성전을 지을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 파괴는 장차 올날에 이루어질 것이지 지금 당장 이루어질 것은 아니다. 그 날이 오기까지 현실 성전은 존중받아야 하며, 그 안에서 어떤 문제점이 있으면 정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수는 성전의 존중자이고, 정화자이며, 동시에 파괴자이었다. If Jesus were the founder of Christianity, he would try to abolish Judaism. According to this view Jesus was expected to demolish the Temple of Jerusalem because it was considered to be a pillar of Judaism. The saying of Jesus, “Destroy this temple, and I will raise it again in three days” in the New Testament seems to support this view. But the issue was not so simple because there are three aspects of Jesus’ relationship to the temple. First, Jesus went periodically to the Temple and observed the rituals of the Temple. Furthermore he accepted the Temple and the rituals as normal and valid in teaching the people. Therefore Jesus respected the temple in the traditional manner. Second, Jesus cleansed the Temple. At the end of his life, Jesus entered the Temple. He overturned the tables of the money changers and the benches of those selling doves. Sanders viewed the purpose of Jesus in this accident as a symbolic demonstration of the obsoleteness of the Temple. But as Chilton pointed out, some of the contemporaries of Jesus also tried to cleanse the Temple. While they did violently criticize the Temple, they did not deny the validity of the Temple. We should interpret the actions of Jesus in the Temple in light of this respect. He wanted to clear the Temple of the corruptions of priests and traders. Third, there is an image of Jesus as a destroyer of the Temple. He said, “Not one stone of the Temple here will be left on another. Every one will be thrown down.” I think this prophecy was authentic. But some of Jesus' contemporaries misunderstood what he said about the Temple. They thought Jesus was threatening to destroy the Temple. The reason for their misunderstanding is that Jesus predicted the end of the world would be very imminent. Therefore the three aspects of Jesus to the Temple were not contradictory but complementary.

      • KCI등재

        예수와 사회정의: 마가복음 11:15-17

        이태호 ( Tae Ho Lee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1 No.-

        예수님의 성전 정화사건은 사복음서에 모두 나오는 매우 중요한 사건이다. 또한 마가복음을 보면 이 사건 후 바리새인들과 사두개인들이 예수님을 죽이려고 모의를 시작했다는 기록이 나올 정도로 중요한 사건이다. 그렇다면 이사건이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었기에 이들이 예수님을 죽이려고까지 했을까? 전통적으로 학자들은 예수님의 성전에서의 행동이 성전을 정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전통적인 견해에 따르면, 예수님은 성전의 바깥 뜰에 있는 상업적 행위가 예배의 내적이고 영적인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분노하신 것이다. S.G.F Brandon은 예수는 성전행동을 통해 실제로 종교적 귀족계급을 혁명적으로 공격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E, Lohmeyer는 예수님의 성전사건은 이스라엘의 배타성에 대하여 반대한 것으로 생각한다. 많은 학자들은 예수님의 행동은 성전의 파괴를 의미하는 상징적 행동이라고 생각하는데 이것에는 예수님의 행동이 종말론적 메시아적 행동이라는 견해와 선지자적 행동이라는 견해 그리고 비 메시아적 종말론적 행동이라는 3가지 견해가 있다. 또한 어떤 학자들은 예수님의 성전행동은 성전제사제도의 종말을 나타낸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렇듯 예수님의 성전행동에 대하여는 학자들 간에 하나의 확립된 견해가 없다. 따라서 성전정화사건을 기록하고 있는 마가복음의 구절을 자세하게 해석하여 그 의미를 확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당시를 연구한 문헌에 의하면 그 당시에는 성전체제에 의하여 운영되는 억압적인 경제제도가 존재했다. 성전이 경제활동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유대 팔레스틴의 경제를 지배하였는데 그 체제는 가난한 자들에게 불리한 제도였다. 백성들은 과중한 세금에 시달렸고 빚더미 속에서 신음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지배체제의 중심에 대제사장과 그 가문이 존재했다. 대제사장들은 성전 내에 상점들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성전경제제체의 직접적인 수혜자였다. 그래서 그 당시에는 이러한 압제에 대항하는 여러 번의 대중적 메시아 운동과 대중적 선지자운동이 일어났었는데 이 운동들의 목표는 선지자적인 정의를 회복하는 것이었다. 매매자를 쫓아내고 환전상의 테이블과 비둘기 판매상의 의자를 뒤집어엎으며 손에 무엇을 들고 다니는 것을 금하는 네 가지 행동을 하신 후에 예수님은 이사야 56:7과 예레미아 7:11의 말씀을 하셨는데 이것은 모두 선지자적인 정의의 개념을 보여주는 것이다. 더더군다나 이 행동이 유월절전야에 일어난 것도 이스라엘이 이집트의 압제로부터 벗어난 날이 유월절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예수님의 성전정화사건을 보는 가장 그럴듯한 시각은 예수님의 성전정화사건이 전체적인 성전체제의 부정의와 이것을 희생제사로 덮으려는 것에 대한 선지자적이고 메시아적인 상징적 행동이라고 보는 것이다. 예수님이 보여준 선지자적인 정의의 개념, 즉 가난한자에 대한 돌봄과 억압에 대한 저항, 비폭력적 행위 그리고 집단으로부터 배제됨에 대한 저항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깊은 의미를 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오늘날 교회가 과연 예수의 가르침을 올바로 따르고 있는지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최근 한국에서는 정의론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그것은 그만큼 한국사회가 정의에 대하여 목마르고 정의롭지 못한 사회라는 반증이다. 우리 주님이신 예수님은 무엇보다도 정의를 주장하며 정의를 위하여 사신 분이다. 이러한 예수님을 따라 정의로운 사회를 위하여 정의의 복음을 전파하고 실천하는 교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것이 마가복음 11:15-17까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이다. Jesus` Temple action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his death. Most scholars agree with the assertion that Jesus` death was caused by his Temple action. Therefore,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is Temple action will clarify Jesus`` mission with respect to Israel and make his execution intelligible. However, there is no scholarly consensus about the meaning of Jesus`` Temple action. Some scholars assert that Jesus cleansed the Temple, and others think that Jesus` action in the Temple was a symbolic demonstration of the Temple`s destruction. Some scholars assert that Jesus tried to occupy the Temple. Why did Jesus come into the Temple precinct, casting out sellers and buyers, overturning the table of the money changer, and prohibiting carrying something? Traditionally many scholars have called Jesus`` Temple action "cleansing" because they think Jesus cleanses or purifies the Temple. S.G.F. Brandon asserted that Jesus was in effect attacking the sacerdotal aristocracy with his disciples and crowd. E. Lohmeyer thought that Jesus`` action in the Temple opposed the exclusiveness of Israel. J. D. G. Dunn and Ben Witherington III argue that the cleansing was eschatological in nature, performed with the conviction that the Temple had to be made ready for its eschatological function in a renewed Zion. Other scholars think that Jesus pronounced the oracles and parables of judgment against the ruling institutions of Jewish Palestine, the Temple, and the High Priesthood. G. Bornkamm, E. Chavez, and W. Stegemann think that Jesus`` action in the Temple signifies the end of the Temple sacrificial system. There is no single convincing argument to interpret Jesus`` action in the Temple. Therfore, I think that the best strategy to find the meaning of Jesus` action in the Temple is to interpret the Markan passages in the first century Mediterranean context using social scientific modeling. There was an oppressive economic system operated by the Temple hierarchy in the first century Palestine. Because of this environment, there were popular prophetic and messianic movements that aimed for the restoration of the prophetic justice. In this context, we can analyze Jesus` four actions and the sayings of Jesus at the Temple. Driving out Sellers and Buyers, Overturning the tables of money changers and chair of dove sellers, and prohibiting carrying something in the temple were actually attacks on the injustice of monopoly and unjust gain of temple authority because all activities in the temple were organized by temple authorities.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Jesus` four actions in the Temple show his prophetic justice motive very well. After doing these four actions, Jesus proclaimed the word. Jesus` saying was a combination of Isaiah 56:7 and Jeremiah 7:11. My argument is that these two passages both have a common theme: prophetic justice. Isaiah 56:1-8 and Jeremiah 7:1-15 are about prophetic justice. One more important clue is that Jesus did his action in the Temple at the Passover. The annual Passover festival in which the people celebrated God`s liberating from oppressive foreign rule became a flash point for potential protest against Roman domination during the first century. In conclusion, Jesus made a symbolic prophetic action against the Temple because of its breach of prophetic justice and its religious cover-up. Jesus`` four actions in the Temple show his criticism against the injustices of the Temple system based upon his theme of prophetic justice. Jesus`` citation of Isaiah 56:7 and Jeremiah 7:11 have a common theme of prophetic justice. Finally, the time of Passover was the time of covenant, liberation, and justice. Justice was not a minor subtheme for Jesus. Jesus not only emphasizes love but also justice. Korean conservative churches too much emphasize love, forgiveness, and blessing. However, Jesus our Lord also emphasizes justice, which gives us new direction to go.

      • KCI등재

        솔로몬의 성전봉헌기도에서 나타난 ‘기도의 집’으로서 성전의 기능에 관한 소고

        박성숙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7 복음과 실천신학 Vol.45 No.-

        본 논문은 솔로몬의 성전봉헌기도의 구성양식과 용어사용을 살피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예루살렘 성전을 표현하는 여러 방식을 살 펴봄으로써, 성경적인 기도의 방향에 대한 이해를 돕는데 그 목적이 있 다. 솔로몬의 성전봉헌기도에서는 성전이 있는 도시의 이름이나 일반 적으로‘성전’을 지칭할 때 쓰이는 misvkan, heikal, miqdasv 등의 단어 들을 찾아볼 수 없다. 대신‘bayit (집)’,‘ maqom (장소)’등의 지극히 일반적 단어들이 쓰이고 있다. 이는 성전은 하나님이 선택하셨기 때문 에 거룩한 장소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기도가 전달하는 가장 중 요한 사항 중 하나는 기도하는 집으로서의 성전의 기능이다. 하나님은 하나님과 그의 택한 백성간에 언약을 상징하는 것 들 중 가장 중요한 언약궤가 있는 곳을 자신의 이름을 위해 선택했다고 선언하셨다. 그리 고 또한 이곳에서 드려지는, 그리고 이곳을 향해 드려지는 기도에 귀 기울이실 것을 약속하셨다. 유대인들은 여전히 솔로몬의 성전봉헌기도에 묘사된 것처럼 성전을 향해, 예루살렘을 향해 기도를 한다. 기독교인들에게는 진정한 성전이 신 예수님이 있다. 예루살렘 성전은 무너졌지만, 하나님의 집은 무너지지 않고 그리스도 안에서 완성되었 다. 그러므로 기독교인들은 자신들 의 기도를 하나님께 직접 말할 수 있게 되었다. 게다가 언제 어디서든 지, 사람들이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모여 영과 진리로 기도한다면, 그 기도는 예수님이 말씀하신대로 응답받게 될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ormat and the terminology of Solomon’s Temple Prayer. Especially, it invests in exploring the various ways to refer to the Temple. Thereby it helps to gain biblical notion concerning the orientation of the prayer. In the prayer, the name of the city, on which the Temple is located, and common biblical terms for the Temple such as misvkan, heikal, miqdasv, are not used. Instead, we can find mundane words such as ‘bayit(house)’ and ‘maqom(place).’ It means the Temple is sacred place only by God’s will. Moreover, the most important message which the Scripture conveys is the function of the Temple as House of Prayer. God announced that God choose this place, in which the Ark of Covenant is existing as the most prominent symbol of covenant between God and his people, as the place for His name. And He also made promise that He will be attentive to the prayers of the Temple and toward the Temple. For Jewish people, praying toward the Temple, toward Jerusalem, is still valid as it is described in Solomon’s Temple Prayer. For Christians, Jesus is the true Temple of God. Even though the Jerusalem Temple had been destroyed, the house of God had been not destroyed but fulfilled in Christ. Therefore Christians are able to address their prayer directly to God. Moreover, no matter when and where, the prayer will be answered as long as people gather in Christ name and pray in spirit and truth.

      • KCI등재

        에스라-느헤미야서의 ‘성전과 성벽 완공’에 대한 상관관계 고찰

        김영호 한국구약학회 2024 구약논단 Vol.30 No.1

        본 논문은 ‘이데올로기 해체 비평’을 통해 에스라-느헤미야에 나타난 ‘제2성전과 성벽의 완공’의 의미를 재고하였다. 이 논문은 ‘성벽 완공’의 의미가 군사 목적을 가진 성벽이 아니라는 것을 주장한다. 느헤미야서의 ‘성벽의 완공’은 문학적으로 편집되었으며, ‘율법’, ‘초막절’, ‘성전세’, ‘레위 제사장’의 강조에서 볼 수 있듯이 그 편집은 사제들의 이데올로기의 강조적 표현이다. 특별히, 본 논문은 에스라-느헤미야서에 있는 사제적 이데올로기가 담긴 편집 문구에 집중하였다. 레위 제사장 및 레위인이 성벽의 건설 이후 백성과 함께 서약하고 기념하는 서술(느 10:34)은 성전의 완공 이후 성전권력을 가진 것이 바로 레위 제사장임을 나타내는 이데올로기 표현이다. 이 의미는 외형적 성전이 완공되고 이것이 사마리아 성전으로부터 정치적으로 독립되어 페르시아 제국의 직할로 편입이 되었지만 레위제사장의 최종 목표가 아니었다. 예루살렘 성전의 기능이 당시의 제국의 세금 징수 창구 기능과 더불어 속주의 위임자로소 성전국가 시스템을 가지고 자체적 세금 징수가 가능하게 하는 작동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러므로 ‘성벽의 완공 선언’과 함께 느헤미야 8-10장에 나타낸 제의의 서술은 자체적 성전세 징수가 가능해졌다는 것을 선포하는 것이었다. 아울러 성전 권력이 안정화되고 토착민 세력과의 관계도 안정되었음을 의미한다. 성전 건립 전 지켜지지 않던 유월절 제의를 시작으로 성벽 완성 이후 초막절(느 8:13)로 확대하고, 성전권력의 최후 승자인 레위제사장이 성전 관리, 십일조, 안식일 준수의 주체적 모습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느 10:34-39). 속주에서 ‘유일신 야훼-성전의 건립-율법의 회복 -성전세’를 통한 위임 신정국가임을 서술하기에 에스라의 성전 완공 서술보다 느헤미야의 성벽 완공의 서술이 길었던 이유이다. 성전의 완공이 페르시아 제국의 속주 정책 결정에 의해 완성되었지만, 그것을 자신들의 속주 내 성전국가로 발전시켰다는 서술로서 느헤미야서에 나타난 ‘성벽의 완공’이다. This thesis reevaluates the meaning of ‘the completion of the second temple and the wall’ in Ezra-Nehemiah through the lens of ‘Ideology deconstruction criticism.’ This thesis argues that the meaning of ‘the completion of the wall’ is not a wall for military purposes. The ‘completion of the wall’ in the Book of Nehemiah is literary in nature, and as seen in the emphasis on ‘the law’, ‘the Feast of Tabernacles’, ‘the temple tax’, and ‘the Levitical priests’ the editorial work represents an emphatic expression of the priest`s ideology. Specifically, this thesis focuses on the edited passages containing priestly ideology found in the book of Ezra-Nehemiah. The narrative of the Levitical priests and Levites and commemorating with the people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wall (Nehemiah 10:34) serves as an ideological expression indicating that it was the Levitical priests who held the authority over the temple after its completion. This implies that, even though the physical temple had been constructed and politically separated from the Samaritan temple and incorporated into the direct administration of the Persian Empire, the ultimate goal of the Levitical priests was not merely that. The function of the Jerusalem Temple included, alongside its role as a tax collection center for the imperial taxes of the time, the ability to operate as a delegate of the provincial government, enabling independent tax collection within the temple state system. Therefore, the declaration of ‘the completion of the wall’ in conjunction with the rituals indicated in Nehemiah chapters 8-10 served to proclaim the ability to collect temple taxes in independence. Additionally, it signifies the stabilization of temple authority and the establishment of a stable relationship with local indigenous powers. This was demonstrated through the previously unobserved offering of the Passover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to the Feast of Tabernacles (Nehemiah 8:13) after the completion of the wall, the Levitical priests, as the ultimate victors of temple authority, displaying their independence in temple management, tithing, and observing the Sabbath (Nehemiah 10:34-39). This is why the narrative of Nehemiah's completion of the wall was longer than the narrative of Ezra's completion of the temple because it described the province as a mandated theocracy through ‘the sole God, Yahweh - the construction of the temple - restoration of the law - temple tax’ within provincial context. While the completion of the temple was determined by Persian imperial policies, the narrative in Nehemiah presents ‘the completion of the wall’ as a development into their own temple state within their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