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의 여가만족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지방자치행정의 개선방안

        홍희석,곽미정 한국자치행정학회 2015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9 No.4

        본 논문은 노인의 여가만족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지방자치행정의 개선방안을 논의하기 위하여 제천시의 노인복지관을 이용 중인 노인에 대하여 310명의 설문조사자료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만족이 성공적 노후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가만족의 하위요인인 심리만족, 교육만족, 사회만족, 생리만족, 환경만족이 높을수록 노인의 성공적 노화의 자기효능감을 느끼는 삶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가만족의 심리만족, 사회만족, 생리만족, 환경만족이 높을수록 부부간의 동반자적 삶이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여가만족의 심리만족, 사회만족, 생리만족, 환경만족이 높을수록 자녀성공을 통해 만족하는 삶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가만족의 심리만족, 사회만족, 생리만족이 높을수록 성공적 노후의 자기통제를 잘하는 삶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여가만족의 심리만족, 사회만족, 생리만족, 환경만족이 높을수록 성공적 노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를 성별로 분석하면 남성 노인의 경우 여가만족인 심리만족, 생리만족, 환경만족이 높을수록 성공적 노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여성 노인 경우는 여가만족의 심리만족, 사회만족, 생리만족, 환경만족이 높을수록 성공적 노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에 대한 연령별 분석으로는 60대 노인의 경우 여가만족의 심리만족, 사회만족이 높을수록 성공적 노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70대 노인의 경우 여가만족의 심리만족, 생리만족, 환경만족이 높을수록 성공적 노후가 높아지며 80대 노인은 여가만족의 심리만족이 높을수록 성공적 노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령화시대에 노인에 대한 지방자치행정의 발전방향은 노인의 여가활동의 다양한 하위요인을 고려하고 성별 및 연령을 고려하여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즉, 노인의 여가활동이 비단 심리, 휴식, 생리적 만족에 국한하지 않고 교육, 사회, 환경을 고려하는 측면의 활동이 될 수 있도록 정책적 입안이나 행정적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310 pati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rvey data being used against elderly welfare of Jecheon to discuss the improvement of the municipal administration due to impact on successful aging leisur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isure satisfac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act on successful aging of the sub-factors, sub-factors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education,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physiological satisfaction, environmen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self-efficacy of successful aging in the elderly to feel that life was high. In addi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physiological satisfaction, higher environmental satisfaction were analyzed by high degree of marital life partnership.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physiologic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environmental life satisfaction showed that satisfaction increased over the child's success.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hysiological increase in life satisfaction showed good self-control of the Successful Aging.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out of that leisur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hysiolog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could also be interpreted as increasing successful aging. Second, it analyzes by sex for men aged leisure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hysiolog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could also be interpreted as increasing successful aging. For older women, while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physiologic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environmental Successful Aging showed a higher satisfaction. Third, if you are in the age group of 60 seniors for this analysis leisure satisfaction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showed that successful aging society is increasing. And in the case of 70 elderly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leisure satisfaction, physiological satisfaction, the higher the environmental Successful Aging is pleased becomes high 80 elderly showed higher degree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Successful Aging higher leisure satisfact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municipal administration for the elderly in the aging society may consider the various sub-factors of the activities of the elderly, and know that it is required to present a plan to support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taking into account gender and age. In other words, the elderly leisure silk psychology, relaxation, but not limited to physiologically satisfactory education, to community, to help ensure that the activities of the aspects to consider the environment can be a policy-making and administrative support was found to be important .

      • KCI등재

        노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송기영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nhance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as the aging population grows in readiness for increased old age, beginning with interest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the subtype of preparation for aging was set as a multI-independent variable by organizing it into physical preparation for aging, economic preparation for aging, and emotional and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as identified by making life satisfaction a parameter variable and successful aging a dependent variable.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life satisfaction between subtypes of preparation for aging and successful aging had a mediating eff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910 elderly people who are over the age of 65. They were originally extracted from the 4th main survey and 3rd, 4th additional survey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For data analysis purposes,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v2.16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Firstly, physical preparation for aging has no direct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but it has a indirect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rough life satisfaction. Secondly, Economic preparation of aging has directly affected successful aging, but it has no mediating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rough life satisfaction. Finally, emotional and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not onl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uccessful aging, but also resulted in indirect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rough life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the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to enhance the preparation for aging and life satisfaction, which are the key to achieving the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여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늘어난 노후에 대한 준비로 성공적 노화 수준을 높이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았다. 이를위해 노후준비의 하위 유형을 신체적 노후준비, 경제적 노후준비,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로구성하여 이를 다중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삶의 만족도를 매개변인, 성공적 노화를종속변인으로 하여 각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노후준비의 하위 유형과 성공적 노화간 삶의 만족도가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노후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4차 본조사와 3, 4차 부가조사 자료로부터 추출한65세 이상의 노인 3,910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v2.16을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적 노후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대한 직접 영향력이 없지만 삶의 만족도를매개로 하여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쳤고, 경제적 노후준비의 경우 성공적 노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지만 삶의 만족도를 통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발생시켰을 뿐만 아니라, 삶의 만족도의 매개를 통해서도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변수인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장애노인의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영향과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송기영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018 GRI 연구논총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aging of disabled people and the ultimate goal of increasing the level of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by preparing for old age. For this purpose, sub - types of retirement preparation were composed of physical aging preparation, economic aging preparation, emotional and social aging preparation, and they were set as multiple independent variab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life satisfaction and mediating variable of successful aging, and to verify whether the sub - types of aging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successful aging have mediating effe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6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ies aged 50 or older who were extracted from the 4th main survey and the 3rd and 4th surveys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For data analysis, SPSS 23.0 and SPSS PROCESS macro v2.16 were used. As a result, the preparation of physical aging indirectly affected the successful aging through mediating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the preparation of emotional and social aging had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but had the strongest direct effect on successful aging. The economic aging preparations showed no mediating effect or direct effect through the satisfaction of life on successful aging. Finally, in the case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the preparation of physical aging and the preparation of emotional and social aging rather than the economic aging preparation may have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successful ag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social welfare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for aging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which are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aging of disabled people. 본 연구는 장애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장애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여 노후에 대한 준비로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 수준을 높이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노후준비의 하위 유형을 신체적 노후준비, 경제적 노후준비,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로 구성하여 이를 다중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삶의 만족도를매개변인, 성공적 노화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각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노후준비의 하위 유형과 성공적 노화간 삶의 만족도가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노후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4차 본조사와 3, 4차 부가조사 자료로부터 추출한 50세 이상의 장애노인 506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 v2.16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신체적 노후준비는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여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는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는 없지만 성공적 노화에 가장 강력하게 직접효과를 미쳤다. 경제적 노후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삶의 만족도를 통한 매개효과나 직접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장애노인의 경우 경제적 노후준비보다는 신체적 노후준비나 정서·사회적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변수인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성공적 노화인식과 생활만족도 매개효과 중심

        장홍영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elderly people’s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fluence their successful aging, to realize how their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and their life satisfaction have the mediating effect on the path from health promotion behaviors to successful aging, and to find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successful aging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successful aging. This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elderly people using a senior welfare center in Gyeonggio-do, and analyzed 250 copies that. For data analysis, SPSS Win 25 was appli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made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uccessful aging, and to validate the mediating effect of successful aging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on the causal relations. As a result, elderly people’s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fluenced their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their life satisfaction, and their successful aging. Their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had the mediating effect on health promotional behaviors and successful aging, but life satisfaction did not so.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it is necessary to train persons specializing in support for health promoting, to develop an efficient health promotional model and program,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of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support policy in consideration of tangible or intangible facto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in line with economic levels and health conditions of elderly people.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건강증진행위가 성공적 노후로 가는 경로에 성공적 노화 인식과 생활만족도가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구체화하고 성공적 노화 인식과 생활만족도가 성공적 노후에 유의미한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경기도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25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5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test와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분석을 통해 건강증진행위와 성공적 노후 간에 설정한 인과 관계를 검증하고 나아가 성공적 노화 인식과 생활만족도가 이러한 인과관계에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들의 건강증진행위는 성공적 노화인식, 생활만족도,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주었고, 노인들의 성공적 노화 인식은 건강증진행위와 성공적 노후간에 매개 역할을 하였으나 생활만족도는 건강증진행위와 성공적 노후 간에 매개 역할을 하지 못했다. 함의는 건강증진 지원전문가, 모델 및 프로그램 개발, 홍보 및 교육기회 제공이 필요하다. 노인의 다양한 유·무형적 요인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고, 경제 및 현재 건강 수준에 맞게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중년과 노년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임희규 ( Hee Kyu Lim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17 No.3

        본 연구는 중년과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파악하고, 각 집단 별로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파악하여 중년과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생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 정책, 사회복지 지원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30세 이상의 중년(173명)과 65세 이상의 노인(196명)을 의도적 표집으로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ANOVA 분석을 한 결과 중년층이 노년층보다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성별, 교육수준, 결혼상태, 종교활동, 사회활동 참여, 주택소유 등을 다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중년층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 사회활동 참여, 주택소유가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노년층의 경우에는 자아존중감, 사회활동 참여, 성별이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중년과 노년의 성공적 노후를 위한 중년과 노년의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 지원을 위한 사회복지의 실천적 개입을 위한 함의를 찾아보았다. 연령분포와 지역적 한계가 있으므로 이에 따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between middle-aged and old-aged people. In particular, it is interested i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uccessful aging and the suggestion of programs and social policy for successful aging,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a purposive sample of 173 middle-aged people and 196 old-aged people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of the ANOVA analysis, shows that the level of recognition about successful retirement is higher in middle-aged people than old-aged people, In addition, the factors affecting successful aging are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ase of middle-aged people, they are self-esteem,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possession of a residence. On the other hand, old-aged people are affected by self-esteem,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nd sex. According to this research, social policy for successful aging should be differently designed between the two groups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factors affecting their perception.

      • 평생교육 프로그램 만족이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응력 및 자기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 중심으로-

        신정례 ( Jung Rye Shin ),곽종형 ( Jong Hyung Kwak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4 사회복지경영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사회적응력과 자기효능감이 결과적으로 프로세스 요인으로 핵심 매개체로 작용하여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매개적 관계를 규명 하였다. 즉, 기존연구에서 노인의 평생교육과 성공적 노후라는 단편적인 관계에 있어서 사회적응력과자기효능감 요인이 지니는 매개적인 효과를 밝혀냄으로써 인과적 관계의 구조상에서 창출되는 효과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노인 평생교육이 성공적 노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일부 규명할 수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사회적응력과 자기효능감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지금까지의 노인 평생교육과 관련된 연구들을 종합하여 심도 있게 논의하고 새로운 통찰력과 연구 가능성을 얻었다는점에서 상당히 이론적 공헌 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즉 노인에 대한 평생교육을 실시하면 성공적 노후에 긍정적 일거라는 연구결과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하여 노인 평생교육을 실시할 때 성공적 노후를 더 향상 시킬 수 있으며 이는 노인 평생교육 만족 요인과 성공적 노후 간 매개 역할로서의 활용효과가 더크다는 의미로 성공적 노후에 있어 노인들의 사회적응력과 자기효능감의 필요성이 실증적으로 증명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고령화 시대로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노인들의 안정되고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위해서는 노인 평생교육 활동의필요성을 강조하고 노인들의 사회적 적응력과 노인이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노력과 성공적 노후간의 통합된 이론적 틀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In this study, we sought to find out effects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program on Social Adaption and successful aging. The target was the elderly of 65 years of age and older. The survey was performed for 120 elderly people who are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program to examine validity of the survey content, after the questions were restructured and then finally modified and supplemented. Upon analyzing the demographic factors, determinants such as marriage status, education level, religion, health state, and financial ability made no difference on level of participation in lifelong learning This is somewhat a disparity from the results of the earlier research studies. which is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of the elderly show the higher participation scores in learning And participation rate was high regardless of whether the elderly were in good or poor health. The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learning was also high even when they were not financially secure.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lifelong learning program has direct effect on the elderly``s Social Adaption and successful aging. The higher the elderly``s satisfaction level with their lifelong learning program was, the more strongly they displayed positive life changes and successful aging. After participating in lifelong learning program, the life changes had direct effect on successful aging so that the positive changes in one``s life affected his successful aging.

      • KCI등재

        재가노인복지시설 노인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서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

        김경숙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Between Preparation for Older Age and Successful Aging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Kyungsook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s preparation for old age and successful ag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222 elderly people using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program. In particula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applied to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age readiness and successful aging, and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successful aging. The effects of retirement readiness and social capital on successful aging,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readiness and successful aging. The degree of preparation for old age and soci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successful aging, and the social capital had a significant effect as a significant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for old age and successful ag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research subjects in the follow-up research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Key Words: Welfare Facility, Old Age Preparation, Social Capital, Successful Aging, Mediating Effect 재가노인복지시설 노인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서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김 경 숙*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재가복지시설 노인이 인식한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재가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 2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특히 노인의 노후준비도와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는 중다회귀분석, Sobel 검증을 적용하였다. 연구 내용: 노후준비도와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과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알아본다. 결론 및 제언: 노후준비도와 사회적 자본은 성공적 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화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은 유의한 매개변수로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후속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핵심어: 재가노인복지지설, 노후준비도, 사회적 자본, 성공적 노화,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7월 22일, 수정일: 2022년 8월 12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조선이공대학교 사회복지과 부교수(Professor, Social Welfare College of Science & Technology, Email: kkysuk1@hanmail.net)

      • KCI등재

        준고령자의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김미령(Mee Ryoung Kim)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62

        본 연구는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사용하여 55세에서 64세까지의 준고령자의 성공적 노화요소가 노후준비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노후준비를 매개로 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성공적 노화모델은 Rowe와 Kahn(1997, 1998)이 사용되었다. 인구사회적인 변인과 독립변인은 3차, 노후준비는 3차 부가조사, 삶의 만족도는 4차조사를 사용한 종단적 연구로 인구학적인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 대상은 2255명이며 회귀분석대상은 변인에 모두 응답한 1540명이다. 노후준비는 패널자료에는 신체, 심리·사회, 경제적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나 노인4고인 질병, 소외, 무위, 빈곤을 고려하여 요인분석 후 신체, 심리, 사회, 경제적인 노후준비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직접효과를 위해서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위해서는 Baron과 Keney의 분석방법이 사용된 후 유의도 파악을 위하여 sobel test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질병과 장애를 제외하고는 성공적 노화요소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효과가 있으며 신체적 기능, 교육, 사회관계는 모든 노후준비에 직접효과가 있다. 신체적 기능은 신체적 노후준비와 정서적 노후준비를 완전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교육은 신체적 노후준비를 부분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교육과 직장생활은 정서적 노후준비를 부분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신체기능은 사회적 노후준비를 부분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신체기능과 직장생활은 경제적 노후준비를 부분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This study focused on whether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ffect on the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and the life satisfaction. It also focused on whether the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and the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used the KReIs and focused on 2255 for difference test by demographic variables, and 1540 pre-older adults for regression analysis. As a model of successful aging, Rowe and Kahn’s(1997, 1998) was used. As demographic and independent variables, the 3rd wave were used and for preparation for older life variables, the 3rd additional wave variables were used. For dependent variable, the life satisfaction of 4th wave was used. Even though there were three kinds of preparation for older life in the 3rd additional wave,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ocio-emotional variables were separated as social and emotional using factor analysis. For direct effect,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For mediating effect, Baron and Kenny’s method and sobel test were used.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except for having diseases and disabilities all factors of successful aging have a direc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physical function. Education and social relations also have a direct effect on the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The physical and emotional preparation have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physical func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physical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education and the life satisfaction. The emotional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education, and job on the life satisfaction. The social preparation for older adults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physical functioning on the life satisfaction. The economic preparation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physical functioning and job on the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유배우자 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관한 연구 - 경제적 사회참여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임안나,정영옥,지술현,송노원 한국자치행정학회 2014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8 No.3

        본 연구는 유배우자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경제적 사회참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경제적 사회참여가 성공적 노화에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자료는 국민연금연구원의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4차(2012년) 부가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남성이,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도에 거주할수록, 자녀와 동거하지 않을수록 경제적 사회참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도에 거주할수록,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노인의 성공적 노후 수준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성공적 노후에 경제적 사회참여 변인을 투입한 결과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위하여 학력수준이 낮은 노인이 참여할 수 있는 일자리 개발과 경제적 사회참여를 하지 않는 원인과 욕구를 파악하여야 한다. 또한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노인을 위하여 노인가구 또는 독거노인이 지역사회 내에서 건강하고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사회적 돌봄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demographic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o has a spouse influenced their socioeconomic engagement, as well as whether their socioeconomic engage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ir successful aging. Used herein were the data from the fourth (2012) additional survey data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of National Pension Research Institut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outlined as follows. First, the younger, the lower educated, and the more provincially located the husband who lived separately from his children, the more he had socioeconomic engagement. Second, the younger, the more educated, and the more provincially located he was, the elderly person, who did not live together with his children, had a higher level of successful aging. Third, an elderly person's socioeconomic engage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his successful aging with increased explanatory power. To ensure a successful aging, jobs for low-educated elderly people should be developed, and the causes of having no socioeconomic engagement, as well as their desires should be identified. Also, for elderly people who do not live together with their children, such as elderly people-only households and single elderly person homes, should be given social care to live a healthy, stable life in communities.

      • 미래노인의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권금주(Kwon, Kum Ju)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2015 한림고령사회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중년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이버대학에서 2008년 5월에서 6월까지 장년기에 해당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571개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성공적 노후의 척도를 활용하여 각 영역별 성공적 노후의 중요성에 따른 장년층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족관계, 그리고 노후준비 정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았는데 연구결과 먼저, 여유롭고 활동적인 삶의 영향요인은 성별(b=-.094, p<.05), 자녀관계 만족도(b=.066, p<.05), 노후기대(b=.109, p<.001)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강하고 독립적인 삶의 영향요인은 주관적 사회경제상태(b=.060, p<.05)와 주관적 건강상태(b=.069, p<.05), 그리고 노후기대(b=.052, p<.05)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셋째, ‘변화의 수용과 정갈한 삶’의 영향요인은 성별(b=-.145, p<.01), 주관적 건강상태(b=-.020, p<.05), 자녀관계 만족도(b=.078, p<.05)노후기대(b=.102, p<.001), 노후 경제 준비(b=-.089, p<.01), 노후 활동 준비(b=.068, p<.05) 등이 유의미하였다. 마지막으로 성공적 노후 전체의 영향요인은 자녀관계 만족도(b=.060, p<.05)와 노후기대(b=.088 p<.001)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successful aging for middle-aged people.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y to June 2014, and 571 survey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rich and active life of middle-aged people were found to be sex (b=-.094, p<.05), parent-child relationship (b=.066, p<.05), and expectations of elderly life (b=.109, p<.001). Second,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healthy and independent life of middle-aged people were found to be the subjective recognition on socioeconomic condition (b=.060, p<.05), subjective health status (b=.069, p<.05), and expectations of elderly life (b=.052, p<.05). Third,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acceptance and neat life of middle-aged people were sex (b=-.145, p<.01), subjective health status (b=-.020, p<.05), parent-child relationship (b=.078, p<.05) expectations of elderly life (b=.102, p<.001), preparations for the economic elderly condition (b=-.089, p<.01), and preparations for an active elderly condition (b=.068, p<.05). Finally,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otal successful aging of middle-aged people were found to be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b=.060, p<.05) and the expectations of elderly life (b=.088 p<.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