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택의 종류가 선택 후 선호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황윤지,조수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2 No.2

        선택 후 선호도 변화(change-induced preference change, CIPC)는 자신이 선택한 대상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고, 선택하지 않은 대상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한다. 몇몇 선행 연구에 따르면, CIPC는 자신이 선택을 했다는 행위 자체(mere act of choosing)가 선호도 변화를 유발하므로, 무의식적이거나 무선적인 선택(blind choice) 이후에도 선택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선호도 변화가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CIPC가 모든 선택이 아닌, 선호에 기반한 선택 이후에만 발생할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절차는 다음과 같았다. 피험자들은, 얼굴 자극에 대한 선호도 평정 후, 유사한 평정을 받은 두 얼굴 중 하나를 선택한 후 다시 한 번 얼굴 자극들에 대한 선호도 평정을 하였다. 선택 과제의 종류는 두 가지로서, 하나는 선호에 기반한 선택 과제, 다른 하나는 선호가 배제된 선택 과제였다. 또한 외현적 기억에 따라 CIPC의 정도가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의 마지막 단계에서 선택 여부에 대한 기억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선호에 기반한 선택 과제에서만 CIPC가 관찰되었으며 이는 선택 행위 자체가 CIPC를 유발하는 것이 아니라, 선호에 기반한 선택 시에만 CIPC가 일어남을 시사한다. 또한, CIPC의 정도는 기억 여부에 따라 달라지지 않았으며, 이는 언어적으로나 의미적으로 표상하기 어려운 얼굴 자극의 특성 상 기억이 용이하지 않았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Choice induced preference change (CIPC) is a phenomenon in which self-reported preference increases or decreases for chosen vs. rejected options, respectively. Some researchers argue that the mere act of choosing leads to preference change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CIPC even after making a blind choice.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CIPC occurs only after a preference-based choice, rather than any choice. During the experiment, participants first rated their preference for each face stimuli. Then, they were asked to make a choice between two faces that had been rated similarly. Two kinds of choice tasks were contrasted; preference-based choice vs. preference-excluded choice task. Next, participants rated their preference for each face for the second time. In addition, memory was tested at the end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degree of CIPC differs for remembered or forgotten choices. As a result, CIPC was observed only in the preference-based choice condit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CIPC occurs only for choices that reflect subjective preference. Furthermore, CIPC was not influenced by memory which may be due to the usage of face stimuli which can be harder to verbalize or remember.

      • KCI등재

        소비자의 브랜드 선택속성이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커피전문점 브랜드 상위 10개를 중심으로 -

        정병국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0 No.3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selection attributes affect consumers' preferences and purchases in the process of consumers choosing a coffee shop brand. For this study, the top 10 coffee shop brands in the brand reputation index were selected, a survey of 156 residents in Gyeonggi and Seoul was conducted, and then analyzed through the SPSS 28.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It was verifi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n choosing a coffee shop,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were cleanliness, store accessibility, and kindnes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 on preference and purchase, various events and store accessi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reference. In terms of purchase, the influence of design and utility compared to price also showed influence.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know which attributes consumers value more when choosing a coffee shop brand and the effect on preference and purchase. Through the analysis methods and example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sed in research on brand selection attributes and correlation between preference and purchase degree in other fields. 본 연구는 소비자가 커피전문점 브랜드를 선택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선택속성이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그 과정에서 선호도는 구매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검증을 위한 연구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하여, 브랜드평판지수 상위 10개의 커피전문점 브랜드를 선정하고, 경기, 서울 거주자 1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SPSS 28.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기술통계, 카이제곱검정, 독립표본 t-test,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커피전문점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속성은 청결성, 매장접근성, 친절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은 메뉴의 다양성, 인테리어 및 매장분위기, 청결성을 남성보다 더 중요시하며, 남성은 직원들의 전문성 속성을 여성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브랜드 인지도에서는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이디야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대에 따른 브랜드 선호도에서는 20-30대가 메가커피,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30대 이상에서는 스타벅스의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선택속성이 브랜드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다양한 이벤트와 매장접근성이 브랜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구매의도에서는 디자인의 영향이 가장 높았으며, 가격대비효용성도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비자가 커피전문점 브랜드를 선택할 때 어떤 속성을 더 중요시하는지, 선호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과 사례를 통하여 향후, 타 카테고리 분야에서도 브랜드 선택속성연구와 선호도 및 구매의도와의 상관관계 연구에 활용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상품 선택 특성에 따른 쇼핑채널 선택에 관한 연구: 식품 MD를 중심으로

        하광옥 ( Kwang-ok Ha ),이정희 ( Jung-hee Le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7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의 쇼핑 시 소비자의 상품(식품) 선택 특성이 온, 오프라인의 업태별 선호도와 옴니채널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여 유통업체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얻기 위함이다. 연구모형은 소비자의 식품 선택 특성이 각각 업태별 선호도와 옴니채널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성 되었다. 총 477부의 설문조사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① 식품의 선도, ② 맛, ③ 품질, 안전, ④ 시식시음, ⑤ 식품의 기능 및 정보, ⑥ 원산지, ⑦ 브랜드 충성도의 7가지 특성을 활용한 식품 구매 특성은 업태별로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채택된 가설은 브랜드 충성도(5회), 선도(3회), 시식 시음(3회), 원산지(1회) 순으로 선정이 된 것으로 보아 식품의 선택요인은 ① 어떤 브랜드 인가, ② 얼마나 선도가 좋은가, ③ 시식 시음으로 먹어보고 구입 한다, ④ 원산지는 확인 한다 로 압축이 되며 실제 소비자가 식품 쇼핑 시에도 7가지를 모두 활용 한다기보다는 업태별 특성에 맞는 핵심적인 선택 요인만 활용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편의점은 3개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나머지 업태는 1~2요인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옴니채널 선호도 분석에 있어서 식품의 선택 특성이 제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으며 이는 옴니채널의 개념을 소비자가 아직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는 것에 기인한다고 보여진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업태 별로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 식품의 선택 특성을 업태별 마케팅 전략에 반영을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과 옴니채널 이용 소비자는 식품의 품질 및 안전을 중시하고 시식을 통해 상품을 확인하고, 어느 곳에서도 신뢰를 할 수 있는 브랜드를 추구하여 온·오프라인을 동시에 이용하는 합리적인 소비를 하기 때문에 옴니채널은 합리성을 추구하는 고객이 선호도가 높을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향후 유통업의 옴니체널 전략은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며, 본 연구는 유통의 패러다임을 바꾸게 되는 옴니채널을 식품의 선택특성을 활용하여 처음으로 연구를 시도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the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a marketing strategy for retailers by analyzing whether the consumer`s preference for products (food) is influenced by on-line, off-line, and omni-channel preferences. The research model consisted of the effects of consumers` food selection characteristics on business preference and omni channel preference. The results of analysis based on 477 questionnair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od purchasing characteristics that utilize the seven characteristics of ① freshness of food, ② taste, ③ quality and safety, ④ tasting, ⑤ food function and information, ⑥ country of origin, and ⑦ brand loyalty, has various effects on types of business preference, omni-channel preference. The adopted hypotheses were selected in order of brand loyalty (5 times), freshness (3 times), tasting (3 times), and origin (1 time). The selective attributes on foods are: (1) what kind of brand, (2) how good the freshness is, (3) tasting. ④ The country of origin is to be compressed. Actually consumers seem to utilize only the core selective factors that are appropriat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channel rather than all of them in the shopping of the food, and there is three characteristics on Convenience Store and only one or two factors in the other types of business.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omni -channel preference analysis, food selection characteristics has been shown to have a limited effect, which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consumer has not yet understood the concept of omni channel.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reflect the selection characteristics of foods that have diverse influences by business type in the marketing strategies. Because consumers make reasonable consumption to use both on-line and off-line simultaneously, consumers who use Omni Channel focus on quality and safety of food, identify products through tasting, pursue brands that can trust anywhere. Customers who pursue rationality will have a high preference for using Omni Channel. Product choice characteristic has significant effect on omni-channel preference. For a few years, omni-channel strategy of retailers meets with a difficulty. This study make a first attempt to study omni-channel preference changing retailing paradigm.

      • KCI등재

        학술논문: 대입 수능시험에서 “경제” 과목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안병근 ( Ahn Byoung Geun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0 경제교육연구 Vol.17 No.2

        고등학교에서 경제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과서 구성이나 수업 방법 개선 등에도 힘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보다 많은 학생들이 ‘경제’ 과목을 이수하고 나아가 수능시험에서도 ‘경제’를 많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야 한다. ‘경제’를 많이 이수할수록 경제교육을 받은 국민들이 증가하는 것이고, 수능시험에서 ‘경제’를 선택하는 학생일수록 ‘경제’를 더욱 열심히 공부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어떻게 하면 보다 많은 학생들이 수능시험에서 ‘경제’를 많이 선택할 수 있을지 그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대입 수능시험에서 ‘경제’ 과목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해보았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경제’ 과목을 좋아할수록 수능시험에서 ‘경제’ 과목을 더 선택하게 된다. 둘째, 학생들이 ‘경제’ 과목이 어렵다고 생각할수록 수능시험에서 경제 과목을 덜 선택하고 쉽다고 생각할수록 더 선택하게 된다. 셋째, 학생들이 수능시험에서 ‘경제’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할수록 ‘경제’ 과목을 더 선택하게 된다. 따라서 수능시험에서 ‘경제’를 많이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등학생들이 ‘경제’ 과목을 좋아할수록 있도록 해야 하고, ‘경제’ 과목이 어렵다고 생각되지 않도록 해야 하며, 또한 수능시험에서 ‘경제’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자면 ‘경제’ 과목을 재미있게 공부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교과서의 구성은 물론 수업 방법에서도 많은 개선과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수능시험에서 ‘경제’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도록 하기 위한 조치들도 강구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whether or not high school students choose `economics` in Korean SAT. This study relates the question whether or not high school students choose `economics` in Korean SAT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our empirical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gender, the major in a high school, the interests to `economics`, the relative difficulty of `economics`, whether or not to be of advantage to get high marks in Korean SAT, and self-achievement(in Korean language, English,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variables such as the major in a high school, the interests to `economics`, the relative difficulty of `economics` and whether or not to be of advantage to get high marks in Korean SA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at the variables such as the gender and self-achievement(in Korean language, English,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a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is results mean that the choice of `economics` in Korean SAT is affected by the major in a high school, the interests to `economics`, the relative difficulty of `economics` and whether or not to be of advantage to get high marks in Korean SAT and not affected by the gender and self-achievement(in Korean language, English,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 KCI등재

        맥주선택 선호도와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시장세분화 연구

        심완섭 ( Shim Wan Seop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5

        본 연구는 대학생 대상으로 맥주선택 선호도 속성과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세분시장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맥주선택 선호도 속성인 13개 항목을 분석한 결과 요인 1을 ‘가격·종류 선호형’이라 명명하였으며, 요인 2는 ‘분위기 선호형’이라 명명하였다. 끝으로 요인 3은 ‘품질 선호형’이라 명명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관한 16개의 개별문항에 대하여 2개 문항을 제외한 14개 개별항목에 대하여 요인분석 실시결과 4개 요인으로 분석되었으며, 요인 1을 ‘유행 추구형’이라 명명하였으며, 요인 2는 ‘사교지향형’이라 명명하였다. 요인 3은 ‘건강 추구형’이라 명명하였으며, 요인 4는 경제 추구형’이라 명명하였다. 또한 맥주선택 선호도 속성 3개 요인과 라이프스타일 유형 4개 요인을 기준으로 계층적 군집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도출된 각각의 2개의 군집에 대해 집단의 특성을 명명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발견할 수 있는 주목할 만한 분석결과는 맥주선택 선호도 속성이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각 군집에서 발견될 수 있는 것은 주요 구매 채널로 편의점이라는 사실과 함께 음용하는 주체로는 친구, 그리고 맥주 음용 1회 지출비용으로 1-2만원이라는 사실은 대학생이라는 특수한 직업군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주머니 사정 등으로 고려하여 저가의 맥주개발이 급선무이다. 특히, 맥주개발을 함에 있어서 대학생들이 친구들과 함께 어울리면서 음용할 수 있는 캔 맥주의 형태의 소용량을 담을 수 있는 종이 용기 개발도 고려해보아야 할 시점이다. 더 나아가 칼로리가 0인 코카콜라를 개발하여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음료를 개발한 것처럼 알콜이 제로인 맥주를 개발하거나 과일이나 열매를 원료를 하는 맥주의 개발전략을 통해 대학생들의 건강과 음주를 통한 피해를 줄이는 차별화 전략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경영학에서의 맥주소비가 많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미흡한 상황 속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는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focuses on empirically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subdivision market according to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beer selection and lifestyle type for university students. Factor 1 was named 'price and type preference type' and factor 2 was named 'atmosphere preference type'. Finally, factor 3 was named 'quality preference type'. Fourteen factors were analyzed for 14 items except for two items. The factor 1 was named 'fashion seeking type' and the factor 2 was' socialization Oriented type '. Factor 3 is called 'health seeking type' and factor 4 is called 'economic pursuit type'. In addition, characteristics of group were named for each two clusters derived by us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based on three factor of beer selection preference attribute and four factors of lifestyle type.Notable analysis results that can be found through the analysis result are the fact that convenience stores are the major purchase channels that can be found in each cluster according to beer selection preference attribute and lifestyle type, The fact that it costs 1 ~ 20 thousand won per one expenditure is the result of a special job group called college student.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low-priced beer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college students pocket. In particular, it is time to consider the development of paper containers that can contain small quantities of canned beer that college students can drink with their friends while developing beer. Furthermore, by developing Coca-Cola with a zero calorie and developing beverages to help diet, it is possible to develop beer with zero alcohol or reduce the damage caused by the health and drinking of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development strategy of beer with raw fruits or fruits. Suggest that differentiation strategy should be taken. Finally, this study has the academic significance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situation where the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 lot of beer consumption in business administration was not enough.

      • KCI등재

        선호가 배제된 지각적 판단에서 관찰된 선택 후 판단 변화 현상

        김하진,조수현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35 No.1

        Choice-induced preference change (CIPC) refers to a change in one’s preference after making a choice. The present experiment is the first to examine whether a similar phenomenon occurs after non-preference based choices, such as in perceptual judgments. In the first phase, participants rated the perceived degree of morphing for each face stimulus. Next, two faces that had been rated similarly were presented side by side a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choose the face which seemed to have been morphed to a greater degree. Lastly, participants re-evaluated the perceived degree of morphing for each face agai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ings of chosen faces increased whereas those of rejected faces decreased.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CIPC may not be limited to preference-based choices, but may be generalized to non-preference based decision making as in perceptual judgments and choices. 선택 후 선호도 변화(Choice-Induced Preference Change, CIPC)는 의사결정 이후 대상에 대한 선호가 변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본 연구는 지각적 판단, 즉 선호가 배제된 선택 후에도 CIPC와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최초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첫 번째 평정 단계에서 참가자는 각 얼굴 자극의 지각된 모핑(morphing) 정도에 대한 평정을 내렸다. 이후 선택 단계에서는 평정 단계에서 비슷한 점수를 받은 두 얼굴을 나란히 제시하고, 참가자에게 둘 중 더 많이 모핑된 얼굴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두 번째 평정 단계에서는 참가자가 각 얼굴의 지각된 모핑 정도에 대해 재평정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참가자가 선택한 얼굴의 평정 점수는 증가한 반면, 선택하지 않은 얼굴의 평정 점수는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CIPC로 알려진 현상이 선호에 기반한 선택에 국한되지 않고, 선택 후 판단 변화(Choice-Induced Judgment Change, CIJC) 현상으로 일반화될 가능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색채 선택과 선호 코디네이션 스타일의 관련성

        한정아 ( Han Chungah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0 No.-

        색채는 감성과 심리적 공통의 정보를 상징하기도 하며, 개인의 환경이나 경험에 따라 사적인 정보를 지닌다. 개성의 시대에 자신을 표출하는 뷰티 및 패션 코디네이션 색채는 그 시대의 보편적인 유행과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하여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뷰티와 패션에 분야에서 특히 스타일과 연관된 색채의 비중은 대단히 크고, 특히 시각에 호소하는 힘이 강하다. 또한 상품, 형식의 성격이나 유행, 이미지 등을 강하고 힘있게 효과적으로 표현가능하다. 색채는 성별, 연령별, 전공별, 선호 색채와 선호 스타일에 따라서 차별적인 인식과 접근이 다양하기에 안전성과 감성을 고려한 색채 선택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색채 선택과 선호 코디네이션 스타일의 관련성에 관한 논문이다. 색채 선택의 요인 중 색채 활용도와 민감도로 구분되며, 색채 선택의 민감도가 높게 평가되었고, 성별 특성은 여성의 색채 선택의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특성은 20세 이하의 색채 선택의 활용도가 높고, 전공계열에 따른 특성은 예체능 계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공학 계열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선호하는 색채계열과 톤은 무채색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톤은 회색을 가미한 탁색 톤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인의 외형적 스타일이 캐주얼, 모던한, 내추럴인 경우에는 무채색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외형적 스타일이 여성적인 경우에는 중성색계열, 남성적인 경우에는 한색계열의 선호도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선호하는 여성 스타일이 캐주얼인 경우에는 난색과 중성색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제외한 모던한, 여성적, 로맨틱, 내추럴의 여성 스타일을 선호하는 경우에는 무채색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호하는 남성 스타일 역시 무채색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isual Image is revealed the expression of the color & coordination style is composed by the characteristic preferring color consideration of the modern various cultural environment, social, and economic impacts from the representing personality, conformity processes, and systems. The new phenomenon related in visual trend such as color is caused by the changes in the propensity to consume various lifestyle and the increase in the sentimental elements. The choices are impact on the visual communication tool such as color and coordination style through the selecting preference colors and fashion style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he differences of age, gender, major, or preferring tastes. The Colors of personal image expression are the most effective visual factors for showing oneself and personality to communicate with style. Color is the most powerful tools in showing the visual factors which are related to the personal image making and self-image expression The empirical study focused on differences of color & coordination style relevance application between color and style perception for th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This questionnaire presents preferring neutral color tone for necessary tools of useful color selection related many different styles which help to improve relevance color selection. This thesis is design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selection through relevance the color& tone compared to the color sensitivity and color application depending on the color and tone. It can be presented to analyze the color & tone`s preference the recent and future technical style tendencies of related color planning beauty and fashion industry including domestic and global for th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as the main consumers. This thesis will provide various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color selection and style designs based on the important color and tone related to the likeness style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new visual trends.

      • KCI등재

        고등학교 역사과 진로선택과목 개발 방향 탐색

        김민정(Minjung Kim)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1 교육발전 Vol.41 No.2

        2015 역사과 교육과정의 적용과 새 교육과정 개정이 시기상 중첩되고,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교과목 재편 요구가 전면화 되는 시점에서 역사과 진로선택과목의 개발 방향과 개발 원리에 대한 숙고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된다. 현행 고등학교 역사 교육과정 적용상 문제와 진로선택과목 개발의 기초 연구들을 검토하고, 현직 고등학교 역사 교사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역사과 선택과목에 대한 핵심 의제를 파악하고 개발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생의 관심과 흥미를 고려하고 진로 탐색에 도움이 되도록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과목 개발을 대원칙으로 하여, 교사들의 각기 다른 강조점에 따라 선호하는 주제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동시에 진로선택과목이 고교학점제 시행과 관련하여 제기하는 기대와 우려를 ‘선택’의 의미에 초점을 두고 고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ay in which the current 2015 high school history curriculum has been enacted and kinds of changes should be made responding to the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and developing history electives. The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opinions of researchers on elective subjects highlight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new elective subjects and contents was presented in several directions. as well as confirm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history elective. To identify the core agenda for and directions to develop the history electives, the survey was conducted and participated by 49 in-service history teachers nationwide. The analysis of survey indicates the topics of history electives that the participating teachers preferr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emphasis in order of ‘film and history’, ‘field trip’ and ‘historical inquiry.’ While the teachers emphasized the new policy such a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eachers’ and students’ ideas, they raise concerns students’ choices, allegedly based on students’ aptitude and career may lead to indiscriminate competition with long-standing high-stake college entrance exam and finally to the absence of history education under the guise of respecting students choices.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과학-수학 교과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과학기술분야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수영 ( Soo Young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과학과 수학 교과에 대한 인식과 학습 경험이 과학기술분야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3~6학년 354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장래 희망직업과 장래 희망 직업 선택 시 주요 고려 사항을 살펴보고, 성별, 과학기술분야 진로 희망 여부별 과학과 수학 교과 선호도 및 선호 혹은 비선호 이유, 학교에서 과학과 수학을 배우는 이유,과학의 중요도 인식 정도, 정규 시간 외 과학-수학 관련 학습활동 참여 여부와 그 이유에 대해응답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개인 특성 변인(남녀, 학년)과 과학, 수학교과 선호도, 정규 시간 외 과학, 수학 학습활동 참여도, 과학 중요도 인식 정도가 과학기술분야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과학 교과 선호도와 정규 시간 외과학 학습활동 참여도, 그리고 남학생일수록 과학기술분야 진로 선택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 선택에 있어 이른 시기라고 할 수 있는 초등학교에서 이미 남녀 간 과학-수학 흥미도 및 학습 참여도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되었고, 과학기술분야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 간 과학-수학 흥미도와 학습 참여도에 차이가 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과학-수학 교과 흥미도와 과학기술분야 진로 선택 여부에 따라 학습 참여 빈도의 차이와 함께 참여 이유가 내적 동기인지 외적 동기인지가 확연히 구분되었다. 따라서 아동들의 과학과 수학 교과학습 초기 단계인 초등학교 3, 4학년부터 과학과 수학 교과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고, 과학과 수학의 유용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학습 경험 제공이 필요하며, 향후 과학기술분야 진로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생들의 과학과 수학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제고를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elementary students` 1) interest in and preference for science and mathematics and 2) level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 science and mathematics activities on their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 We surveyed 354 students in grade 3 through 6 from fiv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Korea. The survey asked student`s future career plan and factors that they consider when they make their career choice. Also, we analyzed group differences by gender, grade level and student`s aspiration for science-related careers in terms of student`s preference for math and science, perception on the reason why they learn math and science in school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science, level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math and science activities, and the reasons for the participation. In addition, we ran a logistic regression model to find the impact power of personal characteristics(such as gender and grade level), math and science preference, level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math and science activities, and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science on student`s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between science-related career aspired students and their counterparts on their preference for science and mathematics,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science, and level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 activities. Furthermore, the result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 grade level,preference for science, level of participation in science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students`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science could predict student`s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 This study recommends that there is a strong need to develop science and mathematics programs for the early stage of elementary students from grade 3 or 4, which promote students` interests and motivation in learning math and science and foster student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and usefulness of math and science. Students also need to be provided with diverse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that they can cultivate continuos interests in math and science. In turn, those experiences will influence students` future career choice in science-related fields.

      • KCI등재

        커피전문점 선택속성, 커피칵테일 선호도 및 메뉴선택행동 간의 영향 관계

        이희수 ( Hee Soo Lee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5 觀光硏究 Vol.30 No.7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선택속성, 커피칵테일 선호도 및 메뉴선택행동 간의 영향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커피전문점의 커피칵테일 신 메뉴 개발과 영업매출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이 커피전문점을 선택 시 고려하는 속성이 커피칵테일에 대한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커피전문점 이용 고객이 선택한 속성은 메뉴선택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제시되었다. 셋째, 커피전문점 이용 고객의 커피 칵테일에 대한 선호도는 메뉴선택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커피전문점이 치열한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커피칵테일 등과 같은 시각적, 미각적으로 소비자의 구매력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를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잘 보여준다. 둘째, 연령별, 학력별, 성별 등 다양한 고객이 지닌 욕구 인식과 이에 대한 종사원의 적절한 서비스가 필요로 할 것이다. 셋째, 타 업장과 차별화된 독창적인 메뉴개발과 마케팅 전략의 수립 및 실행이 필요함을 잘 나타내준다. This study helps selection attributes, specialty stores coffee cocktail preferences and behavior was trying to show a link between the options. By the report. Coffee Cocktail in coffee shops can seek to maximize the achievements of the new menu development and sales to help it argument. The research results as follows. First, customers are the selection attributes is consider when choosing a coffee shop the crossovers were shown to be mindful of preference for coffee cocktails. Second, the coffee shop customers choose properties presented positive influence on his action you choose the menu. Third, the coffee shop customers `` coffee preference for cocktail menu showed statistically meaningful can be affected in action. These findings have the sam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coffee shops are competing to survive in coffee cocktails, such as visual and taste buds to which can inspire consumers `` purchasing power by various. The menu shows that he needs to develop well. Two, the desire with many different customers, such as age by their clans and education, gender awareness and appropriate of the schedules for the services needs it. Third, an innovative menu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a marketing strategy and implementation discriminate with other shop will give them demonstrate the n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