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 서사의 논리적 모형 탐색: -서경식과 강상중의 자전적 에세이를 중심으로

        권채린(Kwon Chae Rin) 동남어문학회 2018 동남어문논집 Vol.1 No.46

        이 글은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인문학적 지평으로 확장․심화시키기 위한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정체성 탐색이나 ‘자기 표현’ 능력의 신장에 그치지 않고, 타자와 세계에로 보폭을 넓히는 확장적․관계적 사유의 작업이 작금의 자기 성찰적 글쓰기에 요청된다. 본고는 서경식과 강상중의 자전적 에세이를 대상으로 그것을 실제화시키기 위한 구체적 모형을 고민했다. 서경식과 강상중은 ‘자기 정체성’의 고민을 그들의 학문적 도정 속에서 문제화하여 사상적으로 확장, 심화, 융합한 구체적 사례이다. 그들이 풀어낸 자기 서사는 개인의 것에 그치지 않고 현대 사회의 여러 징후와 문제점들을 압축적으로 재현하고 있으며, 현재의 대학생들이 겪을 수 있는 동류의 정체성 고민과 성장통을 담아내고 있다. 즉 삶과 사상, 개인적 경험과 시대적 인식이 긴밀히 결합되어 있다는 점은 그들의 자기 서사가 갖는 주요한 특징이자 강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그들의 자전적 에세이는 대학생들이 자기 서사를 구성하는 데 있어 필요한 보편적․인문학적 심화와 확장의 단서를 찾을 수 있는 유용한 표본이자 참조점이다. 이들의 자전적 에세이를 대상으로 필자는 자기 서사의 논리적 모형을 세가지로 제시하였다. 인물 참조의 모형, 사회․역사적 구조화의 모형, 책 참조의 모형이 그것이다. 세 가지 모형은 모두 ‘나’와 맞닿은 타자․세계를 경유하여 ‘나-세계’의 보편적 의미에 도달하는, ‘참조’와 ‘중첩’의 원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들 모형을 통한 자기 서사의 논리적 확장 작업은 기존의 자기 서사가 놓칠 수 있었던 몇몇 유의미한 성과들을 예시한다. 첫째, 개별자의 삶을 거시적 구조 속에서 재정위할 수 있다. 둘째, 자기 서사를 ‘연결과 확장의 텍스트’로 인식하고 스스로 체화해내는 실제적인 훈련 과정을 마련할 수 있다. 셋째, 자기 서사의 구축이 궁극적으로 연대의 감각과 윤리적 글쓰기로 향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넷째, 소수자로서의 개인의 세계를 복원하고 동시에 주류 질서의 균열과 공백을 명시화할 수 있다. This paper is originated from the idea that self-reflective writing should be deepened and expanded to the humanistic horizon. The self-reflective writing have to go forward the fields of ‘Others’ and ‘World’, in addition to exploring own identity and extending the self-expression. In other words, it is required to work through the expansive and relational thought. Under this perception, I considered the concrete model that actualize the expansive and relational thought. Kyungsik Seo and Sangjung Kang is the person who keenly think the problem of self-identity, and their writing is results of thinking that made of personal experience and private thought. Consequently, their writings consist of the combination of own life and thought , or their experience and awareness of the Times . That s the key features and strength of their self-epics. In this respect, their self-epics is the useful specimen and reference that present the clue of universal and humanistic deepening and expansion , which students need to carry out when they make up the self-epic. I have presented the logical models of self-epic that is aimed at Mr. Seo and Mr. Kang s autobiographical essays. The models are referring to people , social and historical structuring and referring to books . These three models are based on the principles of reference and overlap , which are for reaching the universal meaning of me-world through Others and World touching me. My work with these models show us the meaningful results, that the established self-epics could have lost. First, this work could redefine the individual s life in a macro structure. Second, this work could prepare a training course for that students recognize the self-epic as a text of connections and extensions and embody it themselves. Third, students could ultimately experience the sense of solidarity and ethical writing. Fourth, this work could restore the individual as a minority, at the same time could clarify the cracks and blanks in the mainstream order.

      • KCI등재

        세 인물, 세 사건에 기초한 9단계 서사모형의 제안

        김만수(Kim Mansu) 국어문학회 2021 국어문학 Vol.77 No.-

        이 논문은 세 명의 인물, 세 개의 사건에 기초한 9단계 서사모형을 제안하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서사모형은 우리에게 익숙한 대부분의 이야기 형식이 세 명의 인물, 세 개의 사건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먼저 그림 형제와 제이콥스가 수집한 297편의 작품 중 제목에서 숫자 3이 명시적으로 확인되는 30편을 샘플로 골라, 그 의미와 유형을 분석해보았다. 그 다음 단계에서는 세 명의 인물(Character)에 각각 C1, C2, C3를 부여하고, 세 개의 사건(Event)에 각각 E1, E2, E3를 부여한 다음, 이를 행과 열로 처리한 도표를 제시하였다. 세 사건의 배열 축을 수평의 연합(combination) 관계로, 세 인물의 배열 축을 수직의 선택(selection) 관계로 설정하면, 세 명의 인물과 세 개의 사건이 조합해낼 수 있는 9개의 빈 칸이 제시되는데, 이를 ‘9단계 서사모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서사모형은 기왕의 이분법적 서사모형이 포괄할 수 없는 제 3의 요소들을 담을 수 있다는 점에서 좀더 효율적인 서사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them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ine-stage narrative model based on three characters and three events. The narrative model proposed in this paper focuses on the fact that most of the narratives we are familiar with are based on three characters and three events. First of all, I analyzed the types and meanings of thirty stories which were selected from the total 297 stories collected by Grimm Brothers and Joseph Jacobs. In the next step, I endowed C1, C2, and C3 to each of three characters and E1, E2, and E3 to each of three events. After numbering, I made a simple tableau consisted of three rows and three columns. When the axes of three events are set to a horizontal combination relationship and the axes of three characters are set to a vertical selection relationship, nine blanks are presented that can be named the "nine-step narrative model". This narrative model is expected to be used as a more efficient narrative model because it can contain third elements that cannot be covered by the dichotomous narrative model of the past.

      • KCI등재

        안락국태자전승의 서사 계통과 장르적 변용

        김진영(Kim Jin young) 어문연구학회 2021 어문연구 Vol.110 No.-

        이 논문은 안락국태자전승의 문학적인 전개 양상을 종합적으로 살피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이를 위해 이 전승의 원형작품을 추적하고 후대적으로 변화할 만한 동인이 무엇인지 찾아보았다. 이어서 그러한 변화의 실태를 각 문학장르별로 확인한 후 문학사적인 관점에서 그 의미를 짚어 보았다. 첫째, 안락국태자전승의 원형 서사의 내용과 변화의 동인을 살폈다. 이 전승의 원형서사는 불교서사로 볼 수 있다. 이 불교서사는 종교적인 목적성이 강하여 몇 가지 특성을 갖게 되었다. 성속을 교차한 서사, 수행의지를 강조한 서사, 인과가 미흡한 서사가 그것이다. 그래서 항시 보완이나 변화가 요구될 수 있었다. 그 변화된 내용이 장르적인 전개를 촉발한 것이다. 둘째, 서사의 변화와 장르적인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무속에서는 주술성을 강화하면서 무속서사에 부응하도록 했다. 그 중 주목되는 것이 주인공 가계의 계통을 확립하거나 신성공간을 확장하면서 주술성을 확대한 것을 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서사적인 인과성을 강화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통속서사인 고전소설에서는 세속 공간을 크게 확대하였으며, 등장인물의 성격이 불교적인 인물에서 유교적인 인물로 변화하였다. 유불도 삼교를 두루 활용하여 사상적인 확장을 모색하기도 했다. 공연텍스트인 그림서사에서는 서사내용 전반을 그림으로 그려서 서사화적인 특성을 갖게 했으며, 그림을 수월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사내용을 한글로 병기하여 공연문학적인 특성이 드러나도록 했다. 셋째, 이 전승의 문예적 성격과 문학사적 의미를 검토하였다. 원형서사는 문예적인 속성이 다양하다. 음악과 미술, 그리고 무용을 아우른 불교의례, 무속의례에서 유통된 관계로 문화적인 다양성을 갖게 된 것이다. 문화예술의 상황과 호응하는 과정에서 문학적인 변용도 이루어졌다. 이 전승이 시가의 서정과 산문의 서사, 그리고 무속이나 그림연행을 통한 극문학적인 특성을 보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를 감안하면 이 전승은 시가, 소설, 극문학사적인 측면에서 그 의의를 평가해야 마땅하다. The main goal of this paper is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literary genre development of the transmission of Anrackooktaeja. For this, the original work of this transmission was tracked down and motives for future changes were looked for. Subsequently, the reality of such change was confirmed for each literary genre, and the meaning of it was pointed out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history. First, the original narratives and the motives for change of the tradition of Anrackooktaeja were studied. The original narrative of this transmission can be seen as a Buddhist narrative. This Buddhist narrative has a strong religious purpose and has several characteristics. These include narratives that intersect religious sentiment and carnality, narratives that emphasize the will to practice, and narratives that lack causality. Therefore, supplementation or change could always be required. The transformed content triggered a genre change. Second, the changes in narrative and genre development were examined. In shamanism, magical meaning was reinforced and shamanistic narratives were followed. Among them, the expansion of sorcery by establishing the lineage of the main character s household or expanding the sacred space was noticeable. In addi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narrative causal effect has been strengthened. In classical novels which follows a popular narrative, the secular space was greatly expanded, and the character s character changed from Buddhist to Confucian. Ideological expansion was sought by utilizing the three religion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the picture narratives which is as performance text, the overall narrative content was drawn to have narrating style, and the narrative content was written in Korean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ainting, revealing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Third, the literary attribute and literary history meaning of this transmission were reviewed. Original narrative has a variety of literary attributes. It has cultural diversity as it was distributed from Buddhist rituals and shamanic rituals that encompass music, art, and dance. Literary transformation was also made in the process of responding to the situation of culture and arts. This is why this transmission shows the lyricism of poetry, the narrative of prose, and the dramatic literary characteristics through shamanism and painting performance. Considering this, the significance of this transmission should be evaluated in terms of poetry, novels, and dramatic literature history.

      • KCI등재

        서사와 과학 - 서사적 패러다임에 비추어 본 진스의 '과학과 음악' -

        구자현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硏究 Vol.- No.77

        This paper analyzes by Walter Fisher’s narrative paradigm a scientific textbook Science and Music written for musical experts and amateurs. Even a scientific writing, which is generally characterized as informative and logical, should belong to a narrative since human nature as storyteller who recognizes the world through narrative imposes narrative rationality on every discourse. Although the superficial discourse of a scientific writing is formally logic, its clandestine discourse is narrative. The story that a scientific writing appears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research and the disciplinary history fits the hypothetical narrative model in which the main character pursues alternatives in order to remove wants. The content of Science and Music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satisfy the narrative probability and the narrative fidelity in Fisher’s scheme. In order to complete a probable narrative, the author who reveals his expertise of recent scientific knowledge proves through this textbook that acoustical knowledge is helpful to musicians’ musical practices. And in order to establish the fidelity, the author delivers the contents by means of laying the foundation of them on the optimistic view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knowledge can improve human life. Thus the paper shows that Fisher’s narrative rationality utilizes itself as a tool for the rhetorical analysis of scientific writings. 이 논문은 음악 전문가들과 음악 애호가들을 대상으로 집필된 과학 교재인 진스의 『과학과 음악』을 피셔의 서사적 패러다임에 따라 분석한다. 정보를 전달하고 논리적인 내용 전개를 특징으로 하는 과학 저술을 서사의 일부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세상을 이야기로 인식하는 이야기꾼으로서 인간의 본성이 모든 담론에 서사적 합리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과학 저술의 표층적 담론이 형식 논리적일지라도 그것의 심층적 담론은 서사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사와 분야사의 맥락에서 과학 저술이 세상에 나오는 것은 결핍을 야기하는 환경 속에서 주인공이 결핍을 제거하기 위해 대안을 찾는다는 가설적 서사 모형에 들어맞는다. 『과학과 음악』의 내용은 피셔의 구도에 따라 서사적 개연성과 서사적 충실성을 충족시키려는 노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서사적 개연성을 충족하기 위해 최신의 과학 지식에 정통한 저자가 음향학의 지식으로 독자인 음악가들의 음악적 실행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입증한다. 또한 서사적 충실성을 충족하도록 저자는 발전하는 과학 지식으로 인간의 삶은 개선될 수 있다는 낙관적 과학관에 바탕을 둠으로써 독자에게 호소력 있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로써 이 논문은 피셔의 서사적 합리성이 과학적 저술에 대한 수사학적 분석을 위한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서사적 대화와 서사 교수-학습 모형 연구

        선주원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2

        This research examined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narrative dialogue, level and embodiment phase of narrative dialogue, narrative teaching-learning model utilizing narrative dialogue, emphasizing 'narrative dialogue' for the narrative teaching for embodiment of human education. Each phase of the model consists of 'awareing inner dialogue of text', 'outer dialoguing of text', 'integrating inner/outer dialogue and inspecting self', 'forming intertextuality', 'planning literature lifelong'. The narrative dialogue could make self reflection and self understanding, other understanding of dialogue participnat, and self growth. Therefore, narrative teaching must make student the identity forming plann by self understandind and self reflection. This has the same vein with literature teaching as a subject forming emphasizing in a narrative teaching. 이 연구는 인간교육의 구현을 위한 서사교육을 위해 ‘서사적 대화’를 강조하면서, 서사적 대화의 개념 및 필요성, 서사적 대화의 층위, 구현 양상, 서사적 대화를 활용한 서사 교수-학습 모형을 살펴보았다. 모형의 각 단계는 ‘텍스트 내적 대화 인식하기’, ‘텍스트 외적 대화하기’, ‘내ㆍ외적 대화 통합 및 자기 점검하기’, ‘상호텍스트성 형성하기’, ‘문학 생활화 도모하기’ 등이다. 서사적 대화는 대화 참여자의 자기 반성 및 자기 이해, 타자 이해, 그리고 자아 성장이 가능하게 한다. 그러기에 서사교육은 서사적 대화를 강조하면서, 학생들이 자기 이해 및 자기 성찰에 의한 정체성 형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는 서사교육에서 강조하는 주체 형성으로서의 문학교육과 맥을 같이 한다.

      • 과학과 음악의 융합: 서사적 패러다임으로 본 진스(James Jeans)의 『과학과 음악』

        구자현 한국수사학회 2016 한국수사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5

        이 논문은 음악 전문가들과 음악 애호가들을 대상으로 집필된 과학 교재인 진스의 『과학과 음악』을 피셔의 서사적 패러다임에 따라 분석한다. 정보를 전달하고 논리적인 내용 전개를 특징으로 하는 과학 저술을 서사의 일부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은 세상을 이야기로 인식하는 이야기꾼으로서 인간의 본성이 모든 담론에 서사적 합리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연구사와 분야사의 맥락에서 과학 저술이 세상에 나오는 것은 결핍을 야기하는 환경 속에서 주인공이 결핍을 제거하기 위해 대안을 찾는다는 가설적 서사 모형에 들어맞는다. 『과학과 음악』의 내용은 피셔의 구도에 따라 서사적 일관성과 서사적 충실성을 충족시키려는 노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최신의 과학 지식에 정통한 저자가 음향학의 지식으로 독자인 음악가들의 음악적 실행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입증한다. 또한 저자는 발전하는 과학 지식으로 인간의 삶은 개선될 수 있다는 낙관적 과학관에 바탕을 둠으로써 독자에게 호소력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성공한다. 이로써 이 논문은 피셔의 서사적 합리성은 과학 교재에 대한 수사학적 분석을 위한 도구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2인칭 서사 특성 연구: 말 걸기 모형을 중심으로

        김보민 ( Bomin Kim ) 인문사회콘텐츠학회 2023 인문사회콘텐츠학회지 Vol.1 No.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2인칭 서사의 특성을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Dennis Schofield의 2인칭 서사의 4가지 ‘말걸기’ 모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소설에서 나타난 2인칭 대명사 ‘너(당신)’가 누구를 지칭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 내용: 2인칭 서사의 정의는 너의 이야기를 너가 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서로의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서 ‘당신’은 2인칭으로 위장하고 자기의 이야기를 자신에게 직접 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일지의 ‘그는 나에게 지타를 아느냐고 물었다’에서 ‘너’는 작가나 서술자가 아니라 주인공을 지칭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인성의 ‘한없이 낮은 숨결’에서 ‘당신’은 서술자의 말걸기에 반응하는 피서술자로 나타났다. 넷째, 지요하의 ‘인형들의 합창’에서 서술자는 배이율로 대표되는 일반 농민들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았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2인칭 서사의 서술 특성을 말걸기 모형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앞으로는 여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2인칭 서사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질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person narrative. Focusing on Dennis Schofield’s four ‘talking’ models of second person narrative, this study examined who the second-person pronoun ‘you’ refers to in Korean novels. The definition of second-person narrative is that you are telling your own stor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one of the smallest ones’ by Yu Seoro, ‘you’ appears to be disguising himself in the second person, and telling his story directly to himself. Second, in Ha Ilji’s ‘He asked me if I knew Zither’, it can be seen that ‘you’ refers to the main character, not the author or narrator. Third, in Lee Inseong’s ‘Infinitely low breath’, ‘you’ appears as a person being narrated who responds to the narrator’s conversation. Fourth, in Chi Yoha’s ‘Chorus of the Dolls’, the narrator was seen as referring to ordinary farmers represented by Bae Yiyul. This study limitedly examined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second-person narratives, focusing on the speaking model.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various discussions about second person narratives will happen actively in going one step further than now.

      • KCI등재

        웹드라마를 활용한 디지털 서사 논증 교육 방안

        김성숙 ( Kim Sung-sook ) 한국작문학회 2016 작문연구 Vol.0 No.31

        이 연구에서는 드라마 활용에 대한 학습자 요구 분석 결과와 관련 선행연구물을 검토하여 웹드라마를 활용한 서사 논증 교수 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업 및 과제 목표 확인, 장르 사례 검토, 학습자 협업, 디지털 저자 정체성확립의 4단계로 진행될 이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장르 활동 체계와 비판적 담화 분석 이론, 맥루한의 테트라드 모형이 활용되었다. 구체적인 교수요목 구성을 위하여 2장에서 웹드라마 유통이 현대 사회에 끼친 영향을 테트라드 구조로 분석하였고 3장에서 드라마 수업에 대한 학습자 요구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4장에서 수업 모형을 개발하였다. 수업모형 개발 단계에는 학생들과 함께할 과제 유형들이 예시되었고 웹드라마한 편을 활용한 구체적 수업 자료를 소개하였다. 이 수업에서 학생들은 거절이나 불평 화행으로 기존의 권위적 담론에 이의를 제기하는 비판적 사유 방법을 배울 것이고, 웹드라마의 특정 회차별 소재와 관련하여 개인이 겪은 소수자로서의 경험을 성찰하고 분석할 것이다. 개인의 서사를 분석하는 경험을 통해 구조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관점을 수립하고 그렇게 도출한 주장을 한국어 담론 공동체에 설득적으로 논증하는 글이나 영상을 제작하는 것이 이 수업의 최종 과제이다. A teaching model for the digital narrative argument was developed basis on the demands of Korean learners and related researches. This course will be guided through 4 steps: conforming the goal of the course and tasks, examining the genre cases, learners` co-work, establishing the digital authorship. Various theories were referenced to develop this course, such as the Genre Activity System,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Tetrad scheme by McLuhan. In detail, there are the effect analysis of the web drama in chapter 2, the survey result of the students` demand for K-drama class in chapter 3, and the model of this course in chapter 4. Students will get the critical thinking opportunity to propose a counterargument against the main discourse belonged to the major community. They also analyze their own experience as minorities related to the topic of the specific episode in the drama series which this curriculum will present. It is the final goal of this course for students to establish a view to solve the structural problem through the experience analysing their personal narratives and to produce a piece of writing or an image file pursuing their own argument to persuade the Korean discourse community.

      • KCI등재

        내러티브 활용 인문융합치료 교수모형 적용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김영순(Youngsoon Kim),오영섭(Youngsub Oh)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0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를 활용한 인문융합치료 교수모형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예비임상치료사의 자질을 제고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Rita Charon의 서사의학을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하여 인문융합치료학 교수모형을 도출하고 15주차를 5단계로 구분한 구체적인 교수안을 구성하여, I대학교 대학원의 인문융합치료학 전공 수업에 적용하였다. 본 수업에서 활용한 내러티브의 원자료는 이혼과 자립을 경험한 결혼이주여성을 인터뷰한 전사록이다. 연구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를 채택했고, 연구참여자들은 수업을 수강한 석·박사과정 대학원생이며, 이들의 성찰일지 및 수업과제물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입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이야기의 힘과 내러티브의 본질을 이해하였다. 둘째, 전개 1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결혼이주여성 내담자의 심리에 대한 유사성과 특이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수 있었다. 셋째, 전개 2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조별활동으로 연구와 토론을 하면서 소논문이라는 결과물을 성취하고 치료사 간의 연대감을 경험하였다. 넷째, 정리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내담자에 대한 이해가 심화되고 배경지식이 확장하였다. 다섯째, 성찰단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개인의 서사능력의 성장을 확인하고 학문공동체 및 예비 상담사 자조모임과 같은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는 내담자의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의료인, 임상치료사 및 상담사, 연구자를 양성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사례와 모형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teaching model of humanities therapy using narrative in order to foster pre-clinical therapists. This study used Rita Charon"s narrative medicine as theoretical background to derive a teaching model of humanities therapy, and formulated a five-step plan in the fifteenth week. The class used interview narratives of married migrant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and become independent.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analyzed reflection journals and assignments of graduate students who took classe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first phase of introduction, participants understood the power and nature of narratives. Second, in the first stage of development, participant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similarities and specificities of married migrant women’s emotions. Third, in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engaged in the research and discussion as a group working towards their journal dissertations and experienced solidarity among one another. Fourth, the participants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lient and expanded their background knowledge. In the final stage of reflection, the participants confirmed individual growth of narrative ability and formed an academic and treatment communit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seen as a useful case and teaching model for nurturing medical professionals, clinical therapists, counselors, and researchers

      • KCI우수등재

        시나리오 창작을 위한 내러티브 생성 기본 모형 제안 -프로프의 기능 이론과 그레마스의 서사 이론을 중심으로-

        조은진,전형연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2

        In the meantime, the field of creation has been heavily dependent on the ability of creators such as scenario writers and novelists, and the creative process is considered to be a process that can not be learned by just experience or training.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making more and more people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narratives. Therefore, we aimed to propose a narrative generation basic model. This study assumes that the narrative is embodied on the basis of general and universal principles and the existence of a prototype structure that is the basis of narrative generation. This structure can be modified by adding, subtracting and rearranging the detailed steps of the narrative. In this study, the functions of the Propp were relocated based on the first narrative schema of Greimas, and the proposal of the narrative generation basic model proceeded in two dimensions: reduction and enlargement of the structure. In the process of reduction of the narrative structure through exclusion of functions, we derived five key steps of narrative structure and two conflicting functions constituting each step, namely, ten core function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narrative schema through the derivation and utilization of function pai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e tried to examine the course that the narrative can become enriched. In this study, the narrative of the movie A Taxi Driver (2017) was used to examine not only the narrative but also the process of creation. We expect that the narrative generation basic model proposed by this research will help to create various contents from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professional creators to reproduction of amateur creators who need to acquire creative process. 그동안 창작의 영역은 시나리오 작가나 소설가와 같은 창작자들의 능력에 크게 의존해 왔으며, 창조적 과정은 경험이나 훈련만으로는 습득할 수 없는 과정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은 더욱더 많은 사람들이 내러티브의 생산에 참여하도록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우리는 내러티브 생성 기본 모형을 제안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가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원칙에 근거하여 구체화된 것으로 보고 내러티브 생성의 기초가 되는 원형적 구조의 존재를 가정한다. 또한 이 구조는 내러티브의 세부 단계들의 가감, 재배치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그레마스의 첫 번째 서사 도식에 토대를 두고 프로프의 기능들을 재배치하였으며, 내러티브 생성 기본 모형의 제안은 구조의 축소와 확장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기능들의 배제를 통한 내러티브 구조의 축소 과정에서는 내러티브 구조 다섯 단계와 각 단계를 이루는 두 개의 대립 기능, 총 10개의 핵심적인 기능들을 도출하였다. 서로 대응하는 기능 쌍의 도출과 활용을 통한 내러티브 구조의 확장 과정에서는 내러티브가 풍부해질 수 있는 경로를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검토하고자 영화 〈택시운전사(A Taxi Driver)〉(2017)의 내러티브를 통해 내러티브의 분석뿐만 아니라 생성의 과정 또한 확인해 보았다. 본 연구가 제안한 내러티브 생성 기본 모형이 전문적인 창작자들의 기획과 제작뿐만 아니라 창조적 과정의 습득을 요하는 아마추어 창작자들의 재생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콘텐츠의 창작을 가능케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