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사 김정희의 서독(書牘)에 담긴 사유양식과 정신세계에 대한 일 고찰

        심경호 ( Kyoung Ho Sim ) 민족어문학회 2008 어문논집 Vol.- No.58

        본고에서는 추사의 서독(간찰)이 지닌 사유양식과 정신세계를 탐색하기 위해 경학 연찬의 논리적 서독, 선사상을 담은 서독, 인간적 특성을 드러낸 서독 등의 세 부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추사는 대개 초기에는 경학을 연찬하면서 고증학적의 인식을 매우 명료하게 제시하고 상대방을 설복시키는 언사를 구사했다. 그리고 뒤에는 선사상을 수용하면서 대상에 대한 조망적 관점을 확보하여 여유와 해학의 언어를 구사했다. 그리고 일부 서찰에서는 현실의 모순을 우회적으로 비판하거나 소외를 경험하는 타자에 대한 동정의 뜻을 완곡하게 담기도 했다. 특히 추사의 경학설을 담은 서독은 ① 사설(師說)과 가법(家法)의 중시 ② 박종(博綜)의 추구 ③ 집일(輯佚)의 방법에 대한 관심 ④ 단주(段注)에 대한 비판적 검토 ⑤ 고체(固滯)함과 고체(固滯)하지 않음의 절충 등의 면에서 청대 고증학의 방법을 받아들이면서도 그것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것은 추사가 초기부터 선험적 논리를 준용하고 기성의 개념을 조작하는 방법이 아니라 경문의 자구를 문헌 교합을 통해 의미 해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경문의 의리를 탐색하는 방법을 추구했음을 잘 말해 준다. 그리고 청대의 고증학에서 영향을 받아 사설(師說)과 가법(家法)을 중시하고 집일(輯佚)의 방법에 대해 관심을 두었지만, 청대의 학술도 상대화해서 박종(博綜)을 추구하고 고체(固滯)함과 고체(固滯)하지 않음의 절충을 선언하였다는 점에서 독자적 학문방법을 모색하려는 고심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에 비해 선사상을 담은 서찰은 객관 사물과 사실의 외관에 구애받지 않고 객체를 종람(縱覽)하면서 주관적 이해를 침투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일견 학문적 담론을 주로 행한 초기의 서독과 무관한 듯 보이지만, 실은 독자적 사색을 추구하는 의식이 그러한 글쓰기에 잘 나타나 있으며, 그 점에서 초기의 학문 담론의 서독이 드러낸 사유방법 및 정신세계와 일맥상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한편, 추사는 현실에 대한 문제를 언급한 서독이나 지인 등에게 부친 서독에서 결코 스스로의 감정을 억제하고 객관과 거리를 둔 `목석`으로서가 아니라 현실이나 타자의 존재를 주체와의 진정한 관계 속에서 재구성하였다. 이 점도 역시 초기의 서독에서 나타난 독자적 사색의 사유방법 및 정신세계와 연관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앞으로 추사의 서독(간찰)들을 계년화(繫年化)하고 관련 사실을 고증하며, 수수자(收受者)의 서한을 집록하여 추사의 예술세계와 정신세계에 대한 연구를 심화시켜 나아야 할 것이다. 또한 언문 간찰에 대한 연구도 새롭게 진행시켜, 한문 서독과의 관련성 및 그 독자성을 면밀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I studied on Kim jeong hee`s thought and life in his` letters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For this work, I divided into three classes his letters: the logical letters, the letters expressed his thought of Zen(禪), and the letters displayed his humanity. In the early years, he mainly researched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Then, he very logically explained his thought of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research, and he attempted to persuade a recipient in letters. The logical letters show us that he adopted a Ching(淸)`s methodology of historical and bibliographical research that take a serious view of interpretation founded close investigation of word and literature, at the same time, he tried to surmount Chings methodology and construct his own methodology. After that time, he displayed inclination toward contemplation and expressed composure and humorous words, because he adopted thought of Zen. Meanwhile, In some letters, he criticized contradictory society in a roundabout way, and he circumambulated sympathy for people became estranged from society. These letters is likely to irrelevant to the logical letters. But, This letters show us that he pursued and expressed process of his own thinking and speculation of oneself-world relations by writing letter. Then, We can understand these letters have a thread of connection with the logical letters in this point Hereafter, we have to rearrange his letters and addresser or recipient`s letters in regular sequence and investigated matters relevant to his letters so that we study his thought and life in depth. In addition to, we have to research the relation and originality between his` letters written by classical chinese and one written by korean(hangeul).

      • KCI등재

        독일 통일 후 구동독 출신 여성의 서독 이주와 서독화의 다양성

        홍찬숙(Hong Chan-Sook) 한국여성학회 2011 한국여성학 Vol.27 No.4

        급격한 사회변동의 시기에, 사회적으로 주변화된 위치에 있는 여성들은 정치적 통로를 통해 ‘발언’하기보다는 ‘탈출’하는 경향이 강하다. 독일통일 과정에서도 예외가 아니어서, 여성들이 서독 이주의 주도세력으로 이해된다. 양성평등 의식이 강하고 또 서독 남성 중심으로 재편되는 구동독 지역에서 전망을 찾지 못하는 구동독 출신 여성들이, 구동독보다 한층 더 가부장적 성격이 강한 서독지역으로 이주한다는 사실은 역설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두 방향에서 서독으로 이주한 동독출신 여성들에 대해 연구했다. 하나는 그들의 이주배경 및 실태 파악을 위한 연구로서, 서독 이주 현황 및 서독 이주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검토했다. 다른 하나는 세 명의 서독 이주 여성 성공사례를 심층 인터뷰하여 ‘서독화’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분석했다. 현재 서독사회에서 여성지위가 유동적이 되고 있으며 그러한 여성지위 변화에서 일/가족 양립 또는 가족형성의 문제가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가족전략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방법을 취했다. 분석결과 세 여성의 다양한 가족전략이 의미하는 것은 서독화의 정도 차이가 아니라 서독화의 양태 차이라고 보았다. 그와 유관되는 요소들을 사례별로 비교분석하였으며, 결론적으로 사례 여성들의 젠더의식 및 가족 전략은 가족의 사회경제적 성공과는 비교적 별개의 문제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했다. From modern urbanization to ‘postmodern’ transnationalization women’s mobility is one of the key issues. This is not different in the case of east-to-west mobility after German reunification. Good-educated young women consist of the main stream of the mobility. In the modernization of east German areas after the reunification young women find little chances for better life. They are moving out to west for better job training chances above all. But this shows a paradox, for in west German areas the institutions and culture are more patriarchal. So we can assume that the women from east have to handle the paradox between the socioeconomic merits and the sociocultural gaps. In this study I analyse 3 cases of women, who developed various family strategies after moving out to west. The notion of ‘family strategy’ includes 1) a constitution of gender roles in the family, and 2) a social embeddedness of the family, i.e. the kind of networks around the family.

      • KCI등재

        1978년 서독 통일교육지침 결정 이후 중등 역사교과서의 동․서독 서술 비교 연구

        김상무(Kim Sang Mu)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3

        본 연구는 1978년 서독의 통일교육지침이 발표된 후 중등학교 역사교과서에서 동독과 서독에 대해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이로부터 한국의 통일교육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추출하고 있다. 연구 대상은 1980년대 중등학교 역사교과서 15권으로, 동․서독 서술 분량, 주제영역, 강조주제, 동․서독 서술 관점, 동․서독 비교, 역사적 쟁점 서술의 측면에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우선 서독사의 비율이 대체로 두 배 이상 높았고, 정치, 외교, 경제영역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었다. 둘째, 서독에 대해서는 객관적 사실위주의 서술을, 동독에 대해서는 뚜렷한 가치판단을 하거나 부정적 인상을 갖게 하는 서술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셋째, 양 국의 비교는 경제와 정치 분야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서독의 우월감을 심어줄 가능성이 컸다. 넷째, 역사적 쟁점에 대해서는 대체로 역사적 자료와 사실 제시, 그에 대한 해석은 유보하는 방식으로 서술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북한 관련 서술 분량의 증대 필요, 북한의 사회구조적 특징과 그 속에서의 삶이라는 관점에서 내용 구조화, 객관적 사실뿐만 아니라 그 배경까지 성찰하는 비교방식, 역사적 쟁점 서술 방식에 대한 사회적 합의 필요, 정권변화에도 지속되는 통일교육지침 필요,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와 독자적 안목을 고양시키는 방향으로의 통일교육 추진 등이다.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escrip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in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after publication of the guidelines on education for German reunification in 1978. It also draws some suggestions for education for reunification in Korea from this anlaysis. Research objects are 15 secondary school history textbooks in 1980 s. The analysis categories are the quantity, field and emphasizing themes of description of East- and West Germany, perspective of description, comparison of East- and West Germany and description of historical issue in dispute. The results are following: 1. the quantity of description of West Germany is more than twice as much as East Germany s and the description focuses on politics, foreign affairs and economy. 2. The textbooks describe West Germany laying stress on historical facts and East Germany with relatively distinct value judgement. 3. The comparison of two Germanies focus on politics and economy and its results may lead to feel students in West Germany their superiorty to East Germany. 4. The textbooks carry historical materials on historical issue in dispute, but authors avoid historical evaluation on it. From these results we can suggest the enlargement of description on North Korea in history textbook, restructuring of description contents, comparison of North- and South Korea reflecting objective facts and their background, social consent on describing methode on historical issue in dispute, guidelines on education for Korean unification which is valid in spite of government changes, and redirectioning of education for Korean unification.

      • KCI등재

        1960년대 언론보도를 통해 본 서독의 한반도 분단문제 인식 - 동백림사건, 푸에블로호사건을 중심으로 -

        이정민 한국독일사학회 2020 독일연구 Vol.- No.43

        남한과 서독은 같은 분단국가였지만 이들이 처한 분단현실은 많은 부분에서 달랐다. 동서독은 남북한과 같이 한국전쟁 같은 ‘내전’을 경험하지도않았고, 특히 서베를린의 존재는 1961년 베를린장벽이 세워진 이후에도 제한적으로나마 동서독 간에 인적·물적 교류가 이어지게 만들었다. 동독을 승인하거나 동독과 수교하는 나라들과 관계를 설정하지 않는 할슈타인 독트린(Hallstein–Doktrin)이 1967~1968년 시점에서 서독에서 아직 건재했음에도불구하고, 서독이 처한 분단환경의 차이는 남한보다 ‘유연한’ 반공주의를만들어냈다. 1960년대 중반 한반도에서는 남북한 간에 정치적·군사적 긴장이 극대화되고 있었다. 북한은 남조선혁명론에 입각해 대남침투와 군사적 도발을 강화하는 한편, 베트남전쟁에서 북베트남을 지원·참전하기도 하였다. 한반도의 긴장상황은 1968년 1·21사태와 푸에블로호사건이 연이어 일어나면서 전쟁위기로까지 극대화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박정희 정권은 남한사회내에서 반공주의를 강화하는 한편, 동백림사건과 같은 공안사건들을 만들어내어 집권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는데 이용하였다. 1967년 6월 중앙정보부 요원들의 동백림사건 해외관련자 연행사건을 계기로, 게다가 이듬해 일어난 푸에블로호사건과 그로 인한 전쟁위기를 바라보며 서독사회는 자신들과 다른 한반도 분단상황과 반공주의에 대해 새롭게 인식한 것으로 보인다. 언론보도를 통해 나타난 서독의 한반도 분단문제 인식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로 서독사회는 1960년대 초반까지 북한이 소련과 중국의 ‘꼭두각시’ 라고 인식해왔지만, 소련 및 중국과 관계 악화 이후 독립적인 행보를 보이기 시작했다고 인지하게 되었다. 이는 1960년대 중반 이후 강화된 북한의군사적 공세가 소련이나 중국의 사주로 일어났다고 보았던 서구세계의 일반적 인식과는 차이를 보이는 것이었다. 서독언론들은 북한이 같은 사회주의 진영 국가이면서 강대국 사이에 둘러싸여 있던 북베트남과 연대하며, 한반도에서 이른바 “아시아 제2전선”을 형성해 자신들이 처한 위기를 돌파하고자 하는 모습에 주목하였다. 둘째로 서독언론들은 박정희 정권이 경제성장을 이루었지만 강력한 반공정책으로 인해 부작용이 일어나고 있다고 보았다. 남한 반공주의의 경직성은 개인적 차원의 국가보안법·반공법 위반에 해당되는 동백림사건 관련자들의 행위를 간첩죄로 단죄하고자 한 데에서 잘 드러난다. 박정희 정권은북한과 모든 형태의 접촉을 금지하는 한편, 4월혁명 이후 남한사회 내에서활발하게 일어나던 통일논의 자체를 억제시키고 있었다. 서독언론들은 박정희 정권이 강경하고 경직된 반공주의를 추구하게 된 요인으로 “두려움” 에 주목했다. 셋째로 박정희 정권이 공동의 반공투쟁이라는 명목 아래 서독 측이 중앙정보부의 동백림사건 해외관련자 연행에 대해 이해해주기를 바랐던 반면, 서독사회는 소위 진보와 보수를 막론하고 이를 “범죄”로 규정하면서 그러한 행위가 오히려 진정한 반공투쟁을 방해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게다가 남한이진정으로 한반도 통일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와 인권에도 집중해야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은 이러한 서독의 언론보도들을자신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취사선택하며 여전히 반공투쟁에만 몰두하였다. Both West Germany and South Korea were divided nations, but their reality and experience of division were different in many ways. There was no war such as the Korean War in Germany, and mutual exchange between two Germanys continued especially due to the existence of West Berlin. In spite of ‘Hallstein– Doktrin,’ the anticommunism of West Germany was different to that of Korea. In the mid–1960s the military crisis continued in the Korean Peninsula. Particularly the Pueblo Incident in January 1968 led to the situation to the brink of war. Park Chunghee Regime fabricated many spy ring cases such as the First People’s Revolutionary Party Incident(1964) and East Berlin Spy Ring Incident(1967), to reinforce the anticommunism in South Korean society and overcome the political crisis of the regime. Meanwhile, West German society newly realized the division situation and anticommunism in Korea during the political and military crisis in 1967~1968. West German society recognized that North Korea was the ‘puppet regime’ of Soviet Union and China until the early 1960s, but became ‘independent’ after the relationship with them worsened. It was different to usual recognition of the Western World, that North Korea is still the ‘puppet regime’ of Soviet Union and China. Specially West German press paid attention to “the Second Front in Asia” between North Korea and North Vietnam, as a way for North Korea to overcome their crisis. West German press defined the anticommunism of Park Chunghee Regime as “Authoritarian cruel anticommunism” and “Uncompromising hateful anticommunism.” Park Chunghee Regime tried to convict the suspects of the Fabricated East Berlin Spy Ring Incident as espionage agents of North Korea, even though they violated the National Security Law and the Anticommunist Law only on the individual scale. They also prevented all discussions about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and any type of the contacts to North Korean people. West German press pointed out that “the fear of the communism” was the cause of the firm and rigid anticommunism in South Korea. Park Chunghee regime believed that West German government and society would tolerate the illegal taking of the Korean suspects of the Fabricated East Berlin Spy Ring Incident from West Germany by KCIA, under the name of the joint anticommunist struggle. But the whole West German society defined it as a “crime” and insisted that such actions would disturb the ‘real’ anticommunist struggle. And they pointed out that the improved democracy and human rights are important in South Korea to prepare the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한국전쟁의 발발과 독일 개신교회(EKD)의 재무장 논쟁

        강혁 한국교회사학회 2021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0 No.-

        본 연구는 먼저 국가 안보 위기와 급변하는 정치 상황에서 교회가 평화를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전쟁 발발의 국제적 영향과 냉전체제 내에서 전쟁의 위협에 대응하여 서독의 외교정책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본다. 또한 서독 총리 아데나워가 추진한 서독 재무장 정책이 서독 사회와 독일 개신교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졌는지를 추적한다. 한국전쟁이 발발했을 때 독일인들은 독일에서 새로운 전쟁이 일어날까 두려워했다. 이러한 이유로 서독 수상 아데나워는 서독의 재무장을 추진했다. 재무장 정책에 대한 서독의 의견은 엇갈렸다. 독일 개신교회 내부에서도 서독의 재무장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마틴 니묄러와 그의 그룹은 아데나워의 재무장 정책에 강력하게 반대했다. 그러나 다른 그룹은 먼저 서독이 재무장하고 유럽 안보에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독일 개신교회의 논쟁 속에서 이 연구는 교회가 평화를 위해 무엇을 했고, 무엇을 할 수 있었는지를 연구한다. First of all,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What roles of the church for peace in the face of a national security crisis and rapidly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So, this study examines how the foreign policy of West Germany has changed in response to the international impact of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the threat of war within the Cold War system. It also traces how the West German rearmament policy promoted by West German Chancellor Adenauer was accepted by West German society and German Protestants.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Germans feared that a new war would break out in Germany; for this reason, West German Chancellor Adenauer promoted the rearmament of West Germany. Opinion in West Germany on the rearmament policy was divided. Even within the German Evangelical Church, a debate arose over West Germany's rearmament. Martin Niemoller and his group strongly opposed Adenauer's rearmament policy. Another group, however, argued that peace was what West Germany would rearm and contribute to European security. This study examines what the church has actual done and could have done for peace within these German church controversies.

      • KCI등재

        냉전기 소련과 서독의 통상 관계 발전과 독일 통일, 1953~1985

        김동혁 역사문제연구소 2020 역사비평 Vol.- No.133

        This paper observes the Long Détente, given the trade patterns between the Soviet bloc and the West since 1945.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trade relations between the USSR and West Germany is an example of the case. With the easing of the confrontation of the global Cold War from 1953, the two governments entered into discussions towards diplomatic and trade ties. When Konrad Adenauer, Chancellor of West Germany, visited Moscow in 1955, the two countries normalized diplomatic relations as well as establish formal trade relations, which endured the drastic fluctuations of international Cold War of the 1960s. They gathered momentum for further progress with the easing of the geopolitical tensions between the Soviet Union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introduction of ‘Neue Ostpolitik (new Eastern policy)’ by Billy Brandt by the end of the decade. In the Moscow Treaty of 1970, the Soviet Union and West Germany reached an agreement on several political issues and greatly expanded bilateral trade. Also, it met the mutual needs of the two countries: the Soviet Union supplied crude oil in return for Western German capital goods such as machinery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And the trade relations survived the escalation of the crisis of the New Cold War since 1979 and remained to be a driving force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1945년 이후 소비에트 블록과 서방 사이의 무역 양상을 살펴보면 적어도 유럽에서는 장기 데탕트의 모습이 관찰된다. 특히 소련과 서독 사이의 통상 관계 발전 과정은 이러한 특징을 가장 잘 보여준다. 1953년 이후 국제적인 냉전 대립이 완화되면서 소련과 서독 정부는 외교 관계 수립과 통상 재개를 위한 접촉을 진행했다. 1955년 서독의 아데나워 총리가 모스크바를 방문함으로써 소련과 서독 양국은 외교 관계 정상화와 함께 공식적인 통상 관계를 수립하게 되었다. 이후 소련과 서독 사이의 통상 관계는 1960년대 급격한 정세 변화 속에서도 지속되었다. 1960년대 후반 이후 국제적으로 미·소 데탕트 분위기가 조성되고 서독에서 브란트가 이끄는 사민당-자유민주당 연정에 의한 신동방정책이 표명되면서 소련과 서독 사이의 통상 관계는 또 한 번의 진전을 이루게 되었다. 소련과 서독 정부는 1970년 모스크바 조약을 체결함으로써 중요한 몇 가지 정치적 쟁점들에 대한 타협을 보았고, 양국 무역을 크게 확대시켰다. 또한 소련은 원유 및 천연가스 공급하고 서독은 기계와 운송 장비 등의 자본재를 공급하는 무역구조를 공고화시킴으로써 양국의 필요를 충족시켰다. 이러한 양국 통상 관계의 확립은 1979년 이후 신냉전의 위기에도 소련과 서독 관계를 유지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

      • KCI등재

        한국군의 초기 서독 군사유학 경험과 그 영향

        김도민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0 군사 Vol.- No.115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the early Korean military officers who went to study in West Germany in the 1960s and the impact of their experiences on the Korean military. Under th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Germany in 1964, from 1965, the 2 cadets of Korea military academy sent to West German Army Academy as a status of military cadet, and at the same time, officers attended the West German Command and Staff college. Looking at the related research papers, there is only research on the study of Korean military to the United States. In the situation where there was little literature on Korean military's study abroad in West Germany, this article revealed the specific types and experiences of military study in West Germany by analyzing the oral records related to the Korean military collected by the Contemporary Korean Oral History Research Group of the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yujanggak Korean Studies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the early days, 10 ROK military officers were dispatched to three locations, including a military academy, a commanding and staff college, and a general university in West Germany. Furthermore, this article revealed how ROK military West German students tried to apply the German military system within the Korean military since the 1980s, when military officers or officers at the level of military officers experienced military study abroad in West Germany and promoted up to become a Korean military general. For example, the German mission-based tactics were included as an FM(Field Manual) and the German decree on military service were not only translated and but applied to some ROKA units. Not only did some of the Korean military officers who had experienced studying in West Germany studied American military at the same time, they were also able to confirm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American military system and German one. It is expected that the concrete situation of West German military study by the Korean military will be restored through the voices of experienced peoples, as well as fill the gap of histo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Germany 본고는 1960년대 서독으로 군사유학을 갔던 초창기 한국군 장교의 경험과 그들의 경험이 한국군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1964년 한국과 독일 간 협정에 따라 1965년 한국군은 처음으로 서독에 육군사관학교 생도 2명을 파겼했으며, 이후 한국군의 위관급 및 영관급 장교들도 서독 지휘참모대학에서 수학했다. 그동안 한국군의 해외 군사유학에 관련한 연구는 미국 지역에만 한정되어 있었다. 본고는 처음으로 한국군의 초기 서독 군사유학의 양상과 실태를 밝히고자 했다. 특히 본고는 한국군의 서독 군사유학 관련한 문헌자료가 거의 존재하지 않은 상황에서,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현대한국구술사연구사업단이 수집한 한국군 관련 구술자료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서독 군사유학의 유형 및 경험을 밝힐 수 있었다. 초창기 한국군 장교들의 서독 군사유학은 육군사관학교·지휘참모대학·일반대학 등 세 곳에 10명 남짓 파견되는 형태를 보였다. 특히 한국군의 사관생도이거나 위관급 수준의 장교들이 초기 서독 군사유학을 경험한 후, 1980년 전후부터 한국군 내에서 장성으로 성장했기 때문에 이들은 한국군 내에 독일식 군사 시스템을 적용하려고 했다. 특히 독일식 임무형 전술이 교범 내용으로 중요하게 포함되거나 독일군의 복무규율이 그대로 번역되어 한국군 일부 부대에서 적용되는 사례 등이 있었다. 흥미롭게도 독일 군사유학을 경험한 한국군 장교들 중 일부는 미국 군사유학도 동시에 했다. 따라서 미국과 서독의 군사유학을 모두 경험한 인물들은 미국식 시스템과 독일식 시스템의 비교 및 평가하는 구술을 남기기도 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기존에 전혀 밝혀지지 못했던 한국군의 초창기 독일 군사유학의 구체적인 실태를 실제 경험한 구술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복원했을 뿐 아니라, 군사적 차원의 한독관계사의 양상을 밝힘으로써 기존 한독관계사 연구의 공백도 채울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1970년대-80년대 한국과 서독의 기독교 연대 : 한국 디아코니아자매회를 중심으로

        윤정란(Yoon Jungran)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0 역사문화연구 Vol.73 No.-

        This analyzes, by the methodology of the historical sociology, the stories of the Diaconia Sisterhood in South Korea(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isterhood), which was established in 1980 in Korea and West Germany Christian Solidarity. At the same time, it was examined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ld War, Christianity, and Sisterhood. Sisterhood emerged because of the solidarity of the international liberal anti-communism between West Germany and the Korean Christian Church under Third World Liberal Anti-Communism strategy of the World Councils of Churches (WCC). The WCC launched the Third World Liberal Anti-Communism Strategy of “Indigenization and Contextualization” in order to win the regime confrontation with the Soviet communist camp. Subsequently, the West German Christian Church confronted East Germany through development assistance to the Third World. In this atmosphere, the Korean Christian Church received huge development support from the West German Christian Church. Mainly, it was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women s resource development, urban industrial mission, poor mission, birth control and so forth. The West German Christian Church sent missionaries to the Korean Christian Presbyterian Church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hn Byung-mu, who led the Sisterhood, insisted on people s theology as a firm anti-communist. Minjung theology was a theological theory aimed at standing politic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superior to North Korea in confrontation with the communist camp. What was noted in folk theology was the victimized neighbors. He thought the “victimized neighbor” that communism was the most suitable soil for self-sustainment, and emphasized the people as the subject of history so as not to deprive the “victimized neighbors” of the communist camp. Ahn Byung-mu proposed to a single female disciple who listened to Minjung theology to a community of faith that could be a colleague of a victimized neighbors. It was a new Cold War Crusade organization best suited for development projects to save “neighbors” who suffered from poverty by their ignorance. A West German missionary, Schweitzer was interested in the women s faith community proposed by Ahn Byung-mu as one of the third world development aid projects in West Germany. Hence Schweitzer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is Women s Faith Community. The reason why the members of Sisterhood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faith community was the situation of Korean women at that time. The women had professional higher education, but it was very difficult for them to have a professional career to exercise their abilities. Ahn Byung-mu and Schweitzer suggested ways to solve their difficult situation. The women s faith community was a new profession that promised them a future. Armed with Christian mercy, the Women s Faith Community was the best cultural content that could be supported at home and abroad. The members of Sisterhood actively participated in health and development projects in rural area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isterhood and its activities in rural areas were introduced through national and international media. This has been an important example of how Western Christian countries, including the WCC and the West German Christian Society, should approach third world countries and advance development projects. 이 논문은 한국과 서독기독교 연대로 1980년에 설립된 한국 디아코니아 자매회(이하 자매회)를 역사사회학적으로 분석하면서 세계 냉전체제와 기독교, 그리고 자매회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 디아코니아자매회는 세계교회협의회(World Councils of Churches, WCC)의 제3세계 자유반공주의 전략에 따른 서독 기독교회와 한국 기독교회의 국제 자유반공주의 연대에 의해서 출현하였다. WCC는 소련 공산주의 진영과의 체제대결에서 승리하기 위해 토착화와 상황화라는 제3세계 자유반공주의 전략을 구사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발맞추어 서독 기독교회도 제3세계에 개발지원을 통해 동독과 체제대결을 벌였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한국기독교회는 서독 기독교회로 부터 막대한 개발지원금을 받았다. 주로 여성자원개발, 도시산업선교, 빈민선교, 가족계획사업 등의 개발프로젝트 등이었다. 서독 기독교회는 한국에 처음으로 한국기독교장로회로 선교사를 파견하였다. 자매회를 주도한 안병무는 확고한 반공주의자로서 민중신학을 제창하였다. 민중신학은 공산주의 진영과의 체재대결에서 북한보다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우위에 서기 위한 신학 이론이었다. 민중신학에서 주목한 것은 ‘수난당하는 이웃’이었다. ‘수난당하는 이웃’은 공산주의가 자생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토양이라고 믿었고, 공산주의 진영으로 ‘수난당하는 이웃’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민중을 역사의 주체라고 강조하였다. 안병무는 민중신학을 경청하던 독신의 여성제자들에게 ‘수난당하는 이웃’의 동료가 될 수 있는 신앙공동체를 제안하였다. 그것은 무지로 인해 가난에 시달리는 ‘이웃’을 구원하기 위한 개발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형태의 새로운 냉전 십자군 조직이었다. 서독 선교사 슈바이처는 안병무가 제안한 여성신앙공동체를 서독기독교의 제3세계 개발원조프로젝트의 하나로서 주목하였다. 그래서 슈바이처는 이 여성신앙공동체를 설립하는 과정에서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자매회 회원들이 신앙공동체 창립에 적극 동참한 것은 당시 한국여성들이 처한 현실에 있었다. 그들은 전문적인 고등교육을 받았지만 자신들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직업을 가지기가 매우 어려웠다. 안병무와 슈바이처가 그들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해주었던 것이다. 여성신앙공동체는 그들에게 미래가 보장되는 새로운 전문직업이었다. 기독교의 자비로 무장된 여성신앙공동체는 국내외에서 후원을 받을 수 있는 최고의 문화컨텐츠였다. 자매회 회원들은 농촌에서 보건사업 및 개발 사업에 적극 뛰어 들었다. 자매회의 설립과정, 그들의 농촌에서의 활동 등은 국내외 언론을 통해 소개되면서 WCC, 서독 기독교회 등을 비롯한 서구 기독교국가에서 제3세계 국가에 어떻게 접근하고 개발 사업을 전개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사례로서 제시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동독에서 온 방문객 - 서독의 허구적 TV프로그램에 나타난 독일의 분단

        자이페너크리스토프 ( Seifener Christoph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9 독일어문학 Vol.87 No.-

        독일의 분단과 분단 후 동독과 서독의 관계 전개로부터 빚어진 결과들은 1950년 대부터 서독의 허구적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인기 있는 주제였다. 텔레비전은 서독 사회에서 오랜 시간 주도적 매체였고, 동서 이야기 장르야말로 큰 대중적 반향을 불러 일으켰음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분단을 다룬 TV영화와 TV 시리즈는 같은 주제를 다루는 극장용 영화나 소설과는 달리 지금까지도 학문적 연구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TV 프로그램에는 동독인들과 서독인들의 관계가 어떻게 전개되어 갔고, 그들이 지닌 자신의 나라와 다른 쪽의 나라에 대한 시각이 시간이 흐르며 어떻게 변화해 갔으며 서독인들이 분단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했는지가 드러난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그램의 분석은 서독의 정신사에 대한 통찰을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동독 시민이 서독을 방문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는 세 편의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고찰한다. 1959년의 TV방송극 < 동독에서 온 방문객 Besuch aus der Zone >, 1974년의 < 한 마음 한 영혼 Ein Herz und eine Seele >이라는 코미디시리즈 중 < 동독에서 온 방문객 Besuch aus der Ostzone >편, 1989년의 TV영화< 슐츠씨와 슐츠씨 Schulz und Schulz > 인데, 이들은 각각 15년의 간격을 두고 제작되었다. 이 프로그램들에는 분단의 결과를 받아들이지 않고 동독에 무관심한 경향이 강한 서독 사회의 모습과, 동독이라는 국가와는 동일시하지 않으면서도 그들만의 고유한 ‘우리’라는 연대감을 키워나가는 동독인의들의 모습이 그려진다. 이러한 현상은 TV 프로그램 내용에서 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동독인들과 서독인들 사이의 거리를 점점 더 멀어지게 하는 기능을 한다. Die Folgen, die die Teilung Deutschlands nach dem Zweiten Weltkrieg und die Entwicklungen in den Beziehungen der beiden deutschen Staaten zueinander fur das Alltagsleben der Menschen in Ost und West hatten, waren seit den 50er Jahren ein beliebtes Thema in fiktionalen Fernsehsendungen der alten Bundesrepublik. Eine Analyse dieser Sendungen ermöglicht Einblicke in die westdeutsche Mentalitätsgeschichte. Sie kann aufzeigen, wie sich aus westdeutscher Sicht das Verhältnis von Ost- und Westdeutschen zueinander entwickelte, wie sich der Blick auf das jeweils eigene und das Land des anderen im Laufe der Zeit veränderte und welche Einstellungen die Westdeutschen zur Teilung des Landes während der Jahre der Trennung hatten. Unter dieser Perspektive werd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drei ausgewählte westdeutsche Fernsehproduktionen, bei denen jeweils die Besuche von DDR-Burgern in der Bundesrepublik im Mittelpunkt der Handlung stehen, untersucht. Neben dem Fernsehspiel Besuch aus der Zone aus dem Jahr 1959 handelt es sich um die Folge Besuch aus der Ostzone aus der Comedyserie Ein Herz und eine Seele von 1974, sowie um den Fernsehfilm Schulz und Schulz aus dem Jahr 1989.

      • KCI등재

        서독의 대한(對韓) 개발원조와 1970-1980년대 보건의료지원의 성격

        정다혜 의료역사연구회 2022 의료사회사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1970-80년대 서독 정부의 한국에 대한보건의료 원조양상을 공적원조와 민간원조 차원을 포괄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성격과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서독은 ‘사회정의’를 내세우며 사회개발 분야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였고, 공적원조와 민간원조 모두에서 이전시기와 비교해 보건의료에 대한 원조비중이 늘어났다. 보건의료 영역에서 사회정의는 지역별⋅ 계층별 의료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민간 차원에서 서독의 보건의료 원조를 적극적으로 확보한 것은 천주교 및 개신교 네트워크를 활용한 보건의료인들이었다. 그들은 한국의 보건의료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의료취약계층을 위한 병원을 설립하거나 지역사회보건사업을 실시하고자 했고 서독 기독교개발원조기구에 원조를 요청했다. 한국정부는 이러한 보건의료 활동이 정치적저항운동으로 발전하지 않는 선에서 협조하고자 했다. 한편 서독정부는 한국의 민간 의료기관에 병원건립과 보건사업을 위해 재정차관과 기술원조를 제공했다. 서독의 공적원조가 표방한 지향성은 민간 기독교개발원조기구들의 지원 원칙과 유사했다. 하지만 서독정부의 의료원조는 한인간호사와 관련한 국내문제를 해결하려는 현실적인 목표에서 시작된 것이었고, 한국정부는 차관을 통해 세워진 민간의료기관들의 역할과 운영에 대한 구체적 대책이 부재했다. 보건의료 지원을 둘러싼 ‘사회정의’라는 명분은 의료공공성에 부합하는 것이었지만, 현실적으로 정부의보건의료 문제 해결에 대한 낮은 책임성과 의료 시장화의가속화 속에서 그 의미는 형해화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