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문생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장희 ( Jang Hee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3

        본 논문은 한국의 국어국문학 분야와 국어교육학 분야에서 수행된 생활사 연구의 현황을 소개하고 그 연구의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따라서 새로운 역사학의 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는 서구의 ‘생활사’가 어떻게 ‘발생’하여 한국학계에 ‘도입’, ‘적용’ 되는지 제시했다. 이를 배경지식으로 한국 어문생활사 연구의 현황을 세 방향에서 살펴보았다. 첫째는 ‘생활사’의 개념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한국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 진 것과 서구 ‘생활사’의 그것을 따르는 두 가지가 있었다. 둘째는 언어와 문학연구에 적용된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생활사의 영역과 하위범주 그리고 진행방법 별로 기존 연구 현황을 제시했다. 셋째는 생활사의 이론에 따른 실제 연구 성과물을 일별하였다. 이상의 연구 현황을 참고하여 결론에서는 앞으로의 과제와 전망에 대하여 약술하였다. 과제로 세 가지를 제시했다. 첫째 서구 ‘생활사’ 이론 도입의 유용성 확인, 둘째 혼란된 ‘생활사’의 개념 정립, 셋째 혼란된 용어의 통일.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론의 통합으로 토착적 연구 방법이 견인될 수 있으며, 지금까지 축적된 수많은 고문서를 활용한다면 한국식 생활사 연구가 생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This thesis is to introduce the studying situation of life history done in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education and to look at the levels of such a study. The life history as a new historical method in a western society is to examine how it was originated and how it was applied to Korea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studying situation of every day usages of Korean is investigated from three directions. Firstly, when the concepts of a life history were investigated on the published literatures, they were made from two perspectives, one produced within Korea itself and another introduced from the life history of Western societies. Secondly, the realms and subcategories of life history and their studying methods are suggested based on the methodological study of life history mainly applied to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irdly, the results of empirical study of life history are enumerated from its theoretical perspectives. The prospect and research subjects of life history relate to Korean literature and language are also suggested as three aspects, the conformation of the theoretical utility of life history,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life history, and the unification of confused words of life history. In sum, it is expected that the theory and method of life history embedded in Korean society and history will be created if the numerous old documents accumulated till now are well utilized.

      • KCI등재

        역사교육 내용구성을 위한 생활사의 재개념화

        김한종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1 사회과교육연구 Vol.28 No.1

        이 연구에서는 생활사의 개념이나 성격이 다양한데도 기존의 생활사 교육이 이를 구분하지 않은 채 사례 중심의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 문제점에서 탈피하여, 생활사의 유형에 따른 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생활사를 보는 관점에 따라 일상생활사, 생활문화사, 생애사의 3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일상생활사는 일반 민중의 일상적인 삶을 보여준다. 생활문화사는 정치나 사회구조가 사회구성원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및 개별 주체의 대응에 주목한다. 생애사는 개인의 삶 자체를 생활사의 대상으로 하되, 경우에 따라서는 개인의 경험에 비추어 사회의 특정 주제를 이해한다. 이 중 ‘어떤’ 생활사를 염두에 두느냐에 따라 접근 방법과 교육의 목적이 달라지며 학습활동도 차이가 난다. 생활사는 새로운 원천과 성격을 가지는 역사적 사실이며, 다양한 역사 행위 주체, 역사 생산자 주체를 드러낸다. 생활사 교육은 교사와 학생을 역사 내러티브의 소비자뿐 아니라 생산자로 자리매김 할 수 있다. This study suggested teaching strategies based on the type of life history, which would solve problems of the present life history instruction because of not distinguishing its concept and character. There are three types of life history such as daily life history, living culture history and life-span history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life history. Daily life history shows the everyday life of the public people. Living culture history focuses on the impact of politics or social structure on individual people of society and their response. Life-span history essentially research an individual’s life itself, but in some cases, he/she shall understand specific themes of society in the light of personal experience. The approach to life history,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and learning activity shall vary depending on ‘what’ life history is applied. Life history is a historical fact with new sources and personalities, revealing various historical agencies and producers of historical facts. Life history education may enable teachers and students to establish themselves as producers as well as consumers of historical narratives.

      • KCI등재후보

        생활사의 시각에서 본 조선시대 한문학연구의 성과와 과제

        최은주 ( Eun Ju Choi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3

        본고는 생활사 연구 분야로서 한문학을 어떻게 바라보고 또 무엇을 연구할 것인지 생각해 보기 위해 기왕의 관련성과들을 검토해 본 것이다. 검토의 과정 속에서 생활사 연구시각과 방법론을 문학연구에 어떻게 응용할 것인지 고민하고, 아울러 연구지향 · 연구대상 · 연구의 구체적 실천을 전망해 보려 시도하였다. 생활사의 시각에서 조선시대 한문학연구의 성과를 살펴보기 위해 ① 한문학 유산에 근거하여 미시적 일상생활사에 접근한 연구 사례들, ② 여성문학이론과 미시적 일상생활사가 만난 여성한문학 연구의 성과, ③ 일상생활 속의 문학향유와 독서체험을 탐색한 연구 사례, ④ 창작행위와 일상생활과의 상관성을 주목한 연구 사례 등으로 기준을 설정하였는데, ①과 ②는 한문학 연구자들이 ‘생활사’ 담론을 의식하거나 또는 화두로 삼은 연구 사례들이며, ③과 ④는 ‘생활사 연구 분야로서의 한문학’과 관련된 성과를 살펴보기 위해 필자가 나름대로 설정해 본 기준이었다. 이에 따라 관련될 수 있는 직간접적 연구 성과들을 구체적으로 예시하였다. 살펴 본 결과, 생활사 연구 분야로서의 한문학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는, 인간의 삶 속에서 다양하게 기능하는 문학과 관련될 수 있는 전반적 ‘행위’를 연구하는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동시에 생활사 재구의 수단이 아닌, 문학의 타자를 아울러 보되 그 초점은 여전히 문학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하게 인식하게 되었다. 문학생산자로서의 삶이든, 문학소비자로서의 삶이든, 텍스트 위주도 지금의 논리도 아닌 인간의 삶 자체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 결국 통합적 유기적 생활사에 문학 분야로서 충분히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연구지향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의 확장과 연구시각 · 발상의 전환 등이 요구된다. 일기류나 고문서자료 등 관심밖에 있던 여러 자료로 시야를 확대하면, 이제껏 소외되었던 보통사람의 문학세계 즉 평범한 개인들이 나날의 일상생활 속에서 주고받는 갖가지 형태의 문학행위를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있는 그대로 보기에 충실하거나 또는 시각의 전환을 통해 다르게 접근해 봄으로써, 그 동안 알지 못했던 미시세계의 실체에 가까워 질 수 있고, 더불어 우리가 과장되게 해석하거나 또는 보려하지 않았던 부분들까지 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 and studying contents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s a living history through the review of the studies already done. It also examines how the perspective and methodology of a living history can be applied to the study of literature. To look at the studying results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in a Choson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a living history, I used four criteria, 1) a living history based on heritages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2) the feminism on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of combining female literature and living history, 3) the case studies of dealing with the enjoyment of literature and reading experience in daily life, and 4) the case studies of dealing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creative behavior and daily life. Criteria, 1 and 2 were used to review the studies dealing with the discourses of living history and the consciousness of a student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nd criteria, 3 and 4 were personally established to look at the studying results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s a living histor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it is concluded that the meaning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s a living history can be founded through the comprehensive behavior related to the literature functioned in daily life. It is also recognized that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s a living history focuses on literature, not the means of reconstructing living history. If it focuses on people's life itself, not text-oriented contents and present perspectives,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as a living history can be contributed as a literature discipline dealing with comprehensive and organized life. To do this in practice, it is needed to extend the objects of research and to greatly change a research perspective. If we are concerned with diaries, old documents, and so on, the interactions and behaviors done in common persons' daily life can be interpreted as the variety of literature. If we look at a reality itself and also change our perspective, the entity of micro world not recognized previously may be appeared. It is also expected that we look at the reality largely interpreted and avoided previously.

      • KCI등재후보

        생활사 연구와 아카이브의 활용

        함한희 ( Han Hee Ha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4

        This study reviews a recent development of history about people`s everyday life in Korea, so called saenghwalsa or `Life History` by literal translation, which various scholarships amo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ave been increasingly drawn attention to. The major goal of the `life history` is to put people who have long been marginalized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back the right places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through the recognition of realities rather than ideological reassessment. The 20th century minjung saenghwalsa (people`s everyday life history) research group has taken the historiographical initiatives with the agenda of a return to historical democratization. It means that historical subjectivities are reconsidered by studying lives of those who were known to be `the people without history.` To accomplish its agena, first, the concrete features of people`s everyday lives are studied and second, the ethnographic history of people`s life are portrayed in detail and precision. The new historiography influenced by anthropologists` ethnographic writing which describes not only every details of people`s life but also the meanings and symbols imbedded in it. The research method has given much insights to historians who tried to establish a new method of historial narratives. Third, the new historiography based on people`s life also attempts to reveal the aspects of societal changes as well. This must be one of goals that any historical studies are supposed to accomplish. As such, the new subject matters are introduced and new methodology and historical perspectives are intensively exploited by the research group. The researchers are collecting people`s narratives through intensive interviews with those individuals who can tell their life histories or their memories of specific incidents. Writing their history and culture with objectivity and impartiality is a necessary and urgent mission. Otherwise such data will disappear in the near future. Based on the historical data collected, the Minjung Life Archives (MLA) are established.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archives is to rewrit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of history of Koreans through the study of primary sources. In MLA, about 500 individuals` life histories as primary data have been accumulated and analyzed. The group has so far endeavored to collect precious primary sources and develop the best technical environment for preserving and using those data in order to expand in the level of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ordinary people`s life history and culture. In sum,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of the people`s life history carried by the research group in particular, and the ethnographic history on people`s life in general lies in the urgent need to rewrite about Korean history and culture since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s, people and their life styles have rapidly changed. 최근 생활사가 여러 학문분야에서 새로운 연구경향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필자는 이 글을 통해서 생활사를 위한 기초자료수집의 중요성과 아카이브구축의 필요성을 이야기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심층적인 문화기술로서의 생활사를 서술하기 위해서 아카이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도 소개하고 있다. 생활사는 `역사가 없는 사람`들을 역사의 무대로 올리기 위한 작업이기 때문에 이들을 위한 역사적인 기록을 만드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 일차적으로는 민중들의 일상적인 삶의 구제적인 모습을 담아내야 하고, 그것을 아카이브화하여 자료로 만들어야만 한다. 본고에서는 사라져가는 근현대의 생활세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서 2002년부터 연구를 시작한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의 연구방법과 아카이브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이 연구단에서는 시대의 주인공으로 살아왔으면서도 목소리를 내지 못한 이들에게 역사를 복원시키고, 그들의 문화를 기록해 두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한 사람의 이야기를 생애주기를 따라서 펼쳐 보이는 방법으로 구술생애사를 수집하여 그 자료들을 아카이브에 축적하게 된다. 그리고 나면, 그 역사적 기록을 잘 활용하여 심층적인 생활사를 기술할 수 있게 된다. 민족지적 성향의 역사를 기술할 때는 `특별한 것이 없는 보통사람`들이 의미를 만들어내는 방식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러면서도 사회의 변화를 동시에 보여줄 수 있는 역사학 본연의 임무도 달성해야 한다. 아무리 일상생활을 중심으로 미시적인 역사서술에 관심이 있는 역사가라고 하더라도 인간사회와 문화의 변화를 설명하는 일을 소홀히 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사적 관점을 가지고 필자는 생활사 연구방법의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작업의 일환으로 아카이브의 유용성을 설명하였다. 첫째는 점차 사라져가는 자료의 복원 또는 재현을 하기 위해서 아카이브가 필요하다. 둘째는, 자료의 종합관리 시스템으로 구축한 원자료관과 디지털아카이브를 통해서 생활사연구의 방법론적인 모색이 가능하다. 세 번째로는 생활사아카이브가 역사의 민주화를 위한 작은 출발이 될 수 있다. 민중들로 하여금 스스로 말할 수 있는 장이 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체계적인 생활사아카이브의 구축은 역사연구를 위한 기초적인 장이며 궁극적으로는 역사의 민주화를 달성시킬 수 있는 매개가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사회사와 생활사의 조우

        손숙경 ( Suk Kyung So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9 嶺南學 Vol.0 No.15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ademic tendencies on life history paid great attention lately in history circles, relating to social history. I, therefore, would concentrate on the subjects rather than general tendencies of both circles and bring about discussions to those matters, relying upon the macroscopical structures. The active attentions and discussions over life history arose earlier in history circles. The studies have had close relations with the academic trends in Western, such as new cultural history, history of everyday life, microhistory and so forth. They have great interests in history on insignificant subjects which have been treated with disregard so far. Social history also do. Because of this feature, both may be considered to have continuance. Many of social history study of Korea has been subject to social economic history. To resolve the limits and the defects caused by, new social history should be needed, not diversion to life history. The attentions for new cultural history are also getting stronger against the problems caused by study of focusing on the structure which social history have been serving recently. But danger toward new cultual history, which must be considered as a determined goal to be accomplished by all cultural phenomenon just beyond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culture, should be kept cautious. The concept of culture has meaningful fields never to be ignored for multiple approaches. New cultural history should be located as a viewpoint, recognizing all over the society through a culture. In this context, life history would try to proceed in so-called socioculture history, combining society and culture, though life history has put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culture against ignorance by social history. An inclination toward socioculture history may be reasonable for historical approaches and it will be accomplished after the study of life history overcome tendencies depending upon the discussion of macro theory. The achievements of life history study need to confront with defects of social history in Korea circles, and considering this aspect, I think sociocultural approaches, the encounter of social history and life history mentioned above, timely and appropriate on this study. But although these kinds of studies have paid more attentions to individual persons and particular time and space, it doesn`t mean to make light of our important critical discernment on history studies. Life history study would develop as a new viewpoint, containing new critical discernment, not as a new field through these concerns. 이 글은 최근 한국 역사학계의 중요 관심 주제로서 논의되고 있는 생활사 연구 동향을 종래 사회사에 대한 문제 의식과 결부하여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사와 생활사의 연구 동향을 문제 중심으로 보다 거시적인 구도 위에서 논의하였다. 한국의 생활사, 연구는 신문화사, 일상사, 미시사라는 서구학계의 동향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출발하였는데, 기본적으로 아래로부터의 역사를 지향하고 있다. 이것은 사회사 연구 역시 마찬가지이며 이런 측면에서 사회사와 생활사는 일면 그 경계가 애매하다고 할 수 있다. 종래 한국의 사회사는 사실상 사회경제사에 예속되어 있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점에서 사회사에 대한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생활사로의 전환이 아니라 오히려 새로운 사회사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 필자의 입장이다. 한편 사회사가 구조 중심의 역사서술을 지향함으로써 야기된 문제들에 대응하여 새로운 문화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것도 여기에서는 문제로 삼았다. 특히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을 넘어서서 모든 것을 새로운 문화사로서 치환하려는 위험성을 경계하는 것이다 문화라는 개념은 역사 현실에서 다각적 접근을 위해 소홀히 할 수 없는 의미 있는 `차원`이다. 신문화사는 이러한 문화를 매개로 하여 사회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시각`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생활사가 종래 사회사에서 간과한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더라도 그 방향은 사회와 문화를 결합한 이른바 사회문화사를 지향하여야 한다고 강조한다. 한국에서 생활사 연구는 한국 특유의 사회사의 연구들이 갖는 한계를 직시하여야 하며 이러한 면에서 사회사와 문화사의 조우를 기대하는 사회문화사적 관점이 한국학계의 생활사 등의 연구에 시의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생활사 연구가 개별 인간이나 특정 시공간에 관심을 가지고 있지만 역사 연구의 중요한 문제 의식을 간과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도 이 연구에서는 덧붙였다. 이러한 고민을 담을 때 생활사는 새로운 영역이라기보다는 새로운 전망, 즉 새로운 문제의식을 담은 성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역사교육에서 생활사의 도입과 담론 형성

        문재경 한국역사교육학회 2019 역사교육연구 Vol.- No.3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roduction of life history and the embodiment of the discourse of life history in the elementary school history area. First, the introduction of life history in the elementary school history area started as a history teaching strategy considering the reflection of problems of history education by rote centering on the complete history during the Imperial Japan occupation period and the concern and interest of children, and the life history taught was conducted with the integration of the history subject into the social life subject and the influence of the child, life, and experience‐centered history education of Dewey’s Experimental School since the syllabus period.To examine the discourse of life history education, during the syllabus period, under the influence of Hwang Ui‐don's Culture Nationalist view of history, the chronicles in Grade 6 consisted of life history related cultural history, and under the influence of Dewey's life‐centered history education perspective, it consists of the contents of industrial history and intellectual history in Grades 4 and 5. It can be said that the meaning of life history education in this period is to teach history with contents related to children's life and interest to understand the present life.The discourse of life history established in the syllabus period continued until the 1st and 2nd curriculum period, and the history education centering on life history was conducted from the 3rd to the 6th grade. 이 논문은 초등학교 역사영역에서 생활사의 도입과 생활사 담론의 형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초등학교 역사영역에 생활사의 도입은 일제시기 통사 중심의 암기식 역사교육이 갖는 문제의 반성과 아동의 관심과 흥미를 고려한 역사교육 방안으로 출발하면서 사회생활과에 역사과가 통합되는 것과 Dewey 실험학교의 아동, 생활, 경험중심 역사교육의 영향 등으로 교수요목기부터 이루어졌다. 생활사 교육의 담론을 살펴보면, 교수요목기에 6학년 연대사에서는 황의돈의 문화민족주의 사관의 영향으로 생활 관련 문화사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었으며, 4~5학년에서는 Dewey의 생활중심 역사교육관의 영향으로 산업사, 지성사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 시기 생활사 교육의 의미는 현재의 생활을 이해하기 위해, 아동의 생활과 관심에 관련된 내용으로 역사를 가르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수요목기에 형성된 생활사 담론은 1차와 2차 교육과정기까지 이어졌고, 3~6학년까지 생활사 중심의 역사교육이 이루어졌다.

      • KCI등재

        생활사 중심 유아역사교육의 내용과 접근방법 탐색

        현은순,안상화,김영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approach of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centered on living history. Questions to be explor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What are the contents in the living history centered on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What are application methods in the living history centered on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We reviewed and explored preceding research related to history education and living histor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living history centered on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include daily life areas such as eating and clothing habits, housing, family and leisure life, activities of the community, evryday goods and life customs. Second, the teaching-learning stage of life history based on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to connect with history, to inquire history, to reenact history and to evaluate it. The practices and application methods in the life history include teaching-learning methods using objects, teaching-learning methods using illustration, historical narrative, people resources, and picture timelines. Thus, this research helps to increase the content area of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and propos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life history centered on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proper for children’s developmental features. Therefore, it has various suggestions about early childhood history educ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역사교육의 일환으로 생활사를 중심으로 한 교수 방법을 탐색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생활사 중심 유아역사교육의 내용은 어떠한가? 둘째, 생활사 중심 유아역사교육의 적용방안은 어떠한가? 이다. 우선 역사교육과 생활사 관련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탐색하였으며, 연구결과 첫째, 생활사 중심의 역사교육의 내용은 사람의 생애, 의식주 생활, 가족생활, 더불어 생활하기, 여가생활, 생활도구, 생활풍속 등을 비롯한 일상생활의 영역이 포함되었다. 둘째, 생활사 중심 유아역사교육의 교수학습 단계는 역사에 연결하기, 역사 의미 찾기, 역사 재현하기, 평가하기이다. 생활사 중심 유아역사교육의 실제와 적용방법에는 실물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그림․사진 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역사적 내러티브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자원인사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연표 구성의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새로운 유아역사교육의 내용 영역을 확대하고, 유아의 발달적 특성에 적합한 생활사 중심 유아역사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여 현장의 유아역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정치생활사 연구의 현황과 전망

        김성윤 ( Seong Yun K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08 嶺南學 Vol.0 No.13

        이 글은 1970~80년대 이후 서구 역사학계에서 일어난 역사학의 새로운 흐름(미시사ㆍ일상사ㆍ신문화사ㆍ사생활의 역사)을 탈근대 사회에 부응하는 역사학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으로 긍정적으로 이해하면서 이를 조선후기 정치사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검토한 것이다. 기존의 조선후기 정치사 연구에서 미시사 혹은 일상사 연구에 근접한 논문들을 검토해 본 결과, 제도사 위주의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을 세밀하게 규명한 성과가 있었고, 관심영역도 다소 확장되었다. 부임의례나 신참례 같은 의례부분과 수령의 일상업무, 稱念이나 膳物經濟와 같은 양반층의 일상적 정치문화, 유배생활, 여성의 권익 주장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연구방법상으로도 古文書와 日記類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면에서 진전된 측면이 있었다. 그러나 생활사를 이전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세세한 영역을 보완하는 일종의 ‘공백메우기’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고, 새로운 역사학으로서의 패러다임의 전환은 전망에 넣지 않는 한계도 있었다. 향후 정치생활사가 추구해야할 주제와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시론을 제시해보았다. 연구목적과 관련하여 일상생활사를 한국 사회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적 전망으로 지향해 나갈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일상생활사 연구는 단순한 일상생활의 재구성 이상이어야 하며, 단순히 영역사 (미개척 생활세계에 대한 실증사학적 연구)로만 다룰 것이 아니라 한국 역사현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역사학적 대안으로 추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향후 연구가 필요한 주제는 다음의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朋黨의 生活史’이다. 붕당의 생활사(혹은 문화사)란 붕당간의 갈등ㆍ대립ㆍ견제ㆍ융합이라는 조선후기의 정치적 양태가 당시인의 생활의 영역에 어떤 모습으로 나타났는지, 그것이 기존의 정치문화를 어떻게 변용시켰고 그 의미는 무엇이었는지, 당쟁의 일상화에도 불구하고 붕당정치가 그토록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었던 문화적 배경이 무엇인가를 추적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에 접근할 실마리는 ① 붕당정치기의 山林이나 師弟관계를 사회교환이나 정치행동이론의 맥락에서 재해석하는 것, ② 당대인의 의식을 지배했던 집단심리적 현상들에 내포된 권력이데올로기를 분석하는 문제, ③ 특정 정치 신조와 정보를 동일 문중이나 학맥끼리만 유통시키던 폐쇄성이 정치사회화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의 문제, ④ 가문ㆍ학맥ㆍ붕당의 층위에서 특정한 정치신조를 위반하거나 동조할 경우 어떠한 징계나 포상이 강제되었는지의 문제, ⑤ 주요 정치 사건이나 인물들을 당대인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고 지역이나 기타 층위에서 그 인식들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발굴하는 작업 등을 들 수 있다. 둘째, ‘공간’도 정치생활사의 주요 주제가 된다. 관아와 같은 정치가 일상화된 공간은 말할 것도 없고, 정치적 상징성을 갖는 공간이나 기념물, 예들 들어 華城이나 조선 유자들의 尊華意識의 상징이었던 萬東廟, 戊申亂을 평정하고 세운 平嶺南碑같은 것은 조선 유자들의 정치담론의 소재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셋째, 정치현상과 기층문화를 연결하는 주제이다. 이러한 주제의 예로는 한국 민속에서 광범하게 나타나는 ‘3의 문화’가 조선 정치에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가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연구방법과 관련해서 ‘정치문화’ 혹은 ‘정치를 문화로 읽기’를 실현하기 위해 세 가지 점을 지적한다. 첫째, 민담ㆍ야사ㆍ참요와 함께 민중의 정치인식이나 담론적 기능을 담고 있는 설화와 중대 정치사건의 취조기록인 『推案及鞠案』이 갖는 자료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문제 둘째, 자료분석과 연구대상 설정에 있어서의 지역성 혹은 공간성의 문제 셋째, ‘상징’과 ‘의미’분석의 중요성이 그것이다. This study is to examine a new trend of history done in Western countries after the 1960's ~ 1970's which positively understands the history of post-modern society and its application to the political history in the late Choson Dynasty. If we analyze the studies of micro history and everyday life related to the political history in the late Choson Dynasty, the new results not covered in the institutional oriented studies already done are founded and the realms of study are extended. It is also founded that old documents and diaries have been used in a historical study. Living history related to political history should be dealt with as an alternative perspective. It is not confined to the reconstruction of everyday life, but it ought to make an alternative of solving real problems. The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of life history pursued in political history in the future are suggested in the followings. Firstly, there is the life history of divided party(朋黨). It ought to be founded how the conflict, contrast, check, and harmony among divided parties were appeared in everyday life related to political patterns in the late Choson Dynasty. It is also needed to study how they affected the political culture already established. What are the cultural backgrounds to sustain the politics of divided party(朋黨) so long despite of the everyday life of struggle among political parties(黨爭). Secondly, there is a research subject of dealing with the political space in life history. Such a political space is official building(官衙), politically symbolized space and souvenir, and so on as a discourse field of the literati class in the Choson Dynasty. Thirdly, there are the subjects of relating political phenomenon to fundamental culture. For example, it is needed to study how the Third culture extensively appeared in Korean folk culture reflects politics in the Choson Dynasty. Three aspects are mentioned to realize political culture or its reading from research methods. Firstly, it is needed to utilize traditional narrative(說話), the trial records of political events, and so on as a valuable source. Secondly, there is a problem to define regional feature or spatiality associated with data analysis and the selection of research objects. Thirdly, it is important to analyze symbols and meanings in life history.

      • KCI등재

        조선시대 생활사 연구와 일기 자료

        이성임 조선시대사학회 2023 朝鮮時代史學報 Vol.- No.107

        조선시대 생활사 연구는 1990년 중후반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자본주의 맹아론에 집중하던 연구들은 대폭 줄어들고 생활사로 방향 전환이 이루어져서 이제 생활사는 하나의 분야사로 자리 잡았다. 생활사 연구에는 다양한 자료가 활용될 수 있지만, 이 중에 활용도가 높은 것은 고문서와 일기 자료이다. 여기서는 생활사에 대한 개념 문제와 일기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일기를 통한 생활사 연구가 양산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이에 대한 정론이 없는 실정이다. 연구자 별로 인식의 차이가 있으나, 생활사는 전통시대를 살아간 다양한 사람들의 반복되는 일상적 삶과 행동 양식 및 그들의 의식세계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라고 하겠다. 그러한 의미에서 생활사는 인간들이 어떠한 삶의 방식을 추구했는가를 탐구하는 학문 분야이면서 연구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상으로는 남성 위주의 상층보다는 하층ㆍ노비ㆍ여성ㆍ기생ㆍ승 등 역사의 주변부 인물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일기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서는 일기가 갖는 자료적 성격 문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일기는 현장성과 즉시성을 갖는 자료라고 인식되었고, 이것이 생활사 연구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그러나 일기는 전해 내려오는 과정에서 후손들에게 노출되었고 이로 인해 변개 될 가능성이 열려 있었다. 후손들은 선대의 일기를 활용하여 자신들의 입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그러므로 일기의 활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서는 일기의 전존 과정을 면밀히 살펴야 할 것이다. Research on life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began in earnest in the mid-to-late 1990s. Studies that focused on the theory of capitalist blindness have been drastically reduced, and the direction has been changed to life history, and life history has now become a field history. Various materials can be used for research on life history, but the most utilized among them are torture and diary data. Here, the thesis will be developed focusing on exploring the conceptual issues of life history that can be discussed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diary. Here,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concept and research status of life history in the Joseon Dynasty were examined, and the nature of the diary data used for research on life history was examined. If the diary data of the Joseon Dynasty did not exist,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to study the current life history. The diary began to be published by the Japanese colonial era Joseon History Compilation Association, and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centering on local governments and various universities as well as national research institutes. Currently, the diary is emerging as a research topic encompassing not only the Joseon Dynasty but also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There are more than 1,600 known diaries, so there is not a lot of possibility to use them.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diary, it is compelling to mention the problem of the data nature of the diary. Until now, diaries have been recognized as data with realism and immediacy, and this perspective has been reflected in the research on life history so far. In some cases, the diary as it is is being conveyed as it is, but many of the diaries were exposed to descendants in the process of being passed down to the house and had the possibility of being laid and altered by the descendants. This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diary data. The descendants were using the diary of their ancestors as a means to secure their position.

      • KCI등재

        生活史 敎育의 來歷과 방향 :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역사 영역의 내용 구성을 중심으로

        姜鮮珠(Kang Sun-Joo) 역사교육연구회 2005 역사교육 Vol.95 No.-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history organized with a theme, "lives of people" in the 7th national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its development. This study explores the limits of history organized around lives of people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suggests a new direction that it should take in the light of Korean history scholarship in the fields of Korean history and Western history. This study maintains that history organized around lives of people in the social studies has been developed as an abstract configuration of interlinked idea of "life" in the life adjustment curriculum theory and history in the 1950s. The theme, lives of people came to be adopted to the organization of social studies including history because educators claim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uld easily understand social studies as well as history if they had been organized with the theme, everyday life around them. In order to give students an opportunity to appreciate various aspects of life in the past and to practice historical thinking, history organized around live of people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be reconceptualized and reorganized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