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미술교육에서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의 전환 - ‘상호문화성’에 관한 현상학적 사유를 중심으로 -

        이은영(Lee, Eun you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1

        본 연구는 다문화미술교육에서 도출되는 난점을 상호문화 철학에서 주목한 ‘상호문화성’ 개념을 통해 풀 수 있음을 검토하고, ‘다문화성’ 중심의 다문화미술교육이 ‘상호문화성’ 중심의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 전환해야 함을 모색한 것이다. 연구자가 문화와 상호문화성에 접근하는 배경은 유럽을 중심으로 실현되어 온 상호문화 철학에 기반하며, 상호문화성에 대한 현상학적 사유를 중심으로 하였다. 다문화미술교육은 자문화중심주의에서 동화를 유도하거나 차이를 전제하고 다문화를 병존하는 데 머문다는 문제점을 드러낸다. 연구자는 문헌연구를 종합하여 다문화미술교육의 난점을 문화의 다차원적 속성과 사람 중심 다문화적 실존의 부재, 타자의 목소리가 배제될 수 있다는 점으로 요약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난점은 현상학적 관점의 ‘상호문화성’을 통해 극복이 가능함을 탐색하고, 다문화미술교육이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 전환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상호문화성은 중심과 경계를 설정하지 않은 동등한 문화들이 만나 타자의 목소리를 듣고 소통하는 사이 영역에서 벌어지는 교차적 경험으로, 상호주체의 문화적 생동과 창조를 실현할 수 있다. 연구자는 상호문화미술교육으로의 전환에 필요한 접근을 교육의 지향점과 기본 관점, 실천적 접근, 교육적 가치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상호문화미술교육은 학습자의 존재적 물음과 삶에 연계된 다문화적 문화 형성에 작동하여 자신과 타자의 실제적 변화를 이끌 긍정적 토양이 될 것이라 기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problems of current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Korea and explore new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based on phenomenological concept of interculturality. This study examines various researches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discourses in korea and finds some difficulties. It is that multicultural art education mainly has been focused on inducing assimilation in the ethnocentrism or stayed on cultural pluralism on the assumption the difference of cultures. These kinds of approach can occur problems of the absence of the presence of a multi-dimensional attributes in culture and the absence of presence of human beings and voices of the others in cultural process.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intercultural philosophy and concept of interculturality as alternative approach and explores meanings founded on phenomenology. The concept of interculturality can entail cultural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It can generate not only the conversation and communication in between diverse cultures but also new transcultural experience transforming cultural borders. To doing this, learners can create new cultural identity. Going a step further beyond, this study suggests that multicultural art education centered multiculturality has to be changed into intercultural art education centered interculturality. Finally,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intercultural art education.

      • KCI등재

        상호문화성과 윤리

        박인철(In-Cheol Park) 한국철학회 2010 철학 Vol.0 No.103

        최근에 학계에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킨 ‘상호문화성’이라는 주제는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소통과 결합이 어떻게 보편적으로 가능할 것인가 하는 철학적 문제로 귀결된다. 여기서 이제까지의 논의에서 간과된 것은 문화 간의 결합을 이루기 위한 인간의 실천적, 윤리적 의지의 측면이다. 후설 현상학은 자신의 본래적인 윤리적인 정신에 기반을 두고 상호문화성을 하나의 윤리적이고 실천적인 주제로 정립하려는 의도를 지니고 있다. 본 글은 이러한 후설 현상학의 상호문화성 이해에 공감하면서 상호문화성을 후설 현상학의 방법론에 근거해 윤리적으로 재해석하고자한다. 후설에서 상호문화성 해명의 출발은 그의 타자경험이론의 주축인 감정이입이론이다. 그런데 감정이입이 기본적으로 나를 넘어서서 타자에로 향하고 나아가 그를 이해하고 포용하려는 실천적 의지를 내포하고 있는 한 하나의 윤리적 태도로 해석할 수 있다. 후설에서 상호문화성의 해명은 이러한 감정이입적인 타자경험에 기초해 이루어진다. 그런 한에서 윤리성을 전제로 한다. 상호문화성은 이방문화를 인정하고 받아들임으로써 성립할 수 있는데, 이는 감정이입에서와 같이 이질성과 거부감에도 불구하고 이방문화를 적극 포용하겠다는 윤리적 의지가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호문화성의 윤리적 이해는 단순히 문화의 차이와 다양성을 인정만 할 뿐 사실상 이방문화에 대해 방관하는 다문화주의에 대한 실천적 대안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상호문화교육의 철학적 기반에 대한 고찰

        장한업(Han Up Jang) 한독교육학회 2016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현상학의 ‘상호주관성’ 개념과 상호문화철학의 ‘상호문화성’ 개념이 상호문화교육의정의와 기본 원칙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명확히 밝힘으로써 상호문화교육의 철학적 기반을 살펴보는데 있다. 상호문화교육에서 지금까지 나온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이 둘의 관계는 부분적이거나 간헐적으로만 언급되고 있어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상호문화교육의 출현배경과 발전 과정을 살펴보고, 상호문화교육의 철학적 기초라 할 수 있는 ‘상호주관성’과 ‘상호문화성’에대해서 알아본 다음, 이 둘을 좀 더 긴밀히 연결시켜 보기로 한다. Abdallah-Pretceille의 저서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듯이, 이 중에서 ‘상호주관성’의 영향은 분명해 보이지만 ‘상호문화성’의 영향은 그만큼은 아닌 것 같다. 이것은 현상학, 상호문화교육, 상호문화철학의 출현 시기와 관련이 있어 보인다. 20세기 초반에 출현한 현상학은 상호문화교육이 발전하는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지만, 1990년대 출현한상호문화철학은 상호문화교육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난 후 그 철학적 기반을 공고히 하는 데 기여했기 때문인 것 같다. 아무튼 사람들 간의 심리적 관계를 다루는 ‘상호주관성’과 문화들 간의 모든 상호작용을 다룬 ‘상호문화성’은 상호문화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 평가에 중요한 철학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이제 상호문화교육학자들에게 남겨진 과제는 이 두 철학적 기반을 모든 교육 영역과 과정에 충실히반영하여 지구촌 시대가 요구하는 ‘더불어 더 잘 살기’라는 시대적 과제를 가능한 효율적으로 실행하는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philosophical basis of intercultural education by clarifying how intersujectivity and interculturality are related to definitions and basic principl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Even though some education philosophers mention in their studies intersujectivity and interculturality which helped intercultural educators to build up their theoretical frame, it remains partial or intermittent. This paper will explain apparition and evolu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Germany and in France, define intersujectivity and interculturality as its philosophical basis and try to connect these two domains. It seems that the impact of intersujectivity on intercultural education is direct and obvious as can be seen in the work of Abdallah-Pretceille(1999) but the impact of interculturality is less obvious than that of intersujectivity. If the notion of intersujectivity, developed by phenomenologists in the early 20th century, provided philosophical basis to intercultural education, the notion of interculturality, appeared in the German speaking countries of Europe in the 1990s, helped to consolidate its posi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한국어 예비 교사의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인식 간의 상관성 연구

        김태라,정해권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7

        목적 : 한국어 예비 교사들의 상호문화성과 교사의 핵심 역량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현행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를 확인함으로써 상호문화 교육 실천에 필요한 예비 교사의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한국어 교육의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상호문화성과 핵심 역량 중요도를 측정하고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검증, 요인분석, 독립표본 t 검증,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상호문화성이 높을수록 교수학 지식, 문화 지식, 교육 공동체 참여, 교사 정체성, 문제 해결, 친화적 수업 관리, 활용 기술, 자기 관리 등의 역량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또한 상호문화 교육 관련 현재의 교육과정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만족도가 낮았다. 결론 : 상호문화성이 낮을수록 언어 지식과 언어 수행 역량에 주목하고 다른 역량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양상이 나타나므로 예비 교사들의 상호문화성을 높이면서 상호문화 교육 개념과 목표에 대한 이해를 돕는 상호문화 교육의 실천이 요구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rculturality of pre-service Korean teachers and their attitude toward Korean teachers' key competencies and estimate how much they a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teacher training course related to intercultural education. Methods : For this research purpose, the questionnaires were constru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 surveys were conducted by the students in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courses. The SPSS statistic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1)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 with high interculturality and the group with low interculturality were significantly explicit. 2) As the individuals' interculturality was getting higher, the importance of the instructional competency, cultural competency, communitive involvement competency, problem-solving competency, intimate teaching competency, various media competency, and self­reflection competency increased positively. 3) The satisfactions with the present cultural education courses from the respondents were mostly low. Conclusion : The implications for this study are that the lower teachers' interculturality is, the more unimportantly they considered some key competencies, therefore, improved intercultural education should be required.

      • KCI등재

        에비슨(Oliver R. Avison)의 교육행정가적 특징에 나타난 상호문화성 고찰: 연희전문학교 설립·운영을 중심으로

        김진영 한국선교신학회 2022 선교신학 Vol.65 No.-

        근대 고등교육 사립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운영에서 실무자로 직접적인 영향력을 보여준 에비슨(Oliver R. Avison)의 교육행정가적 인 특징과 상호문화성의 관련성을 고찰하여 현대적 시각에서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에비슨의 교육행정가적인 네 가지 특징은 상호소통 능력, 협업능력, 추진력, 통합능력이다. 이들은 상호문화성의 중핵적 요소들이 내재되어 실제적으로 교육 현장에서 개방성, 가능성, 공공성, 현재성의 네 가지 상호문화성으로 발현되었다. 따라서 에비슨의 교육행 정가적인 특징들은 곧 상호문화성으로 호환 가능한 자기 번역 능력을 가졌으며, 그 상호문화성이 곧 사립 연희전문학교 설립·운영을 주도한 숨은 공로자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호문화성이 내재된 에비슨의 교육행정가적인 특징들에 관한 연구는 한국의 다층적 삶을 살아가는 모든 구성원의 상생적 삶을 위한 대안적 모색임과 동시에 선교현장에서 교육행정가의 모범으로써 선용할 만한 또 하나의 모델을 발굴하는 일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 from a modern perspective the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culturality and Avison’s feature as an education administrator who contributed enormously to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Yeonhui College. It considers four characteristics of Avison as an educational administrator: the ability of mutual communication, collaboration, positive drive, and integration. These features include core elements of interculturality, and they have been practically manifested in the education field through the four features of openness, possibility, publicness, and nowness. Therefore, Avison’s features as an education administrator have self-translation competence for being compatible with interculturality. In addition, it has been verified that interculturality was a contributor leading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Yeonhui College.

      • KCI등재

        상호문화성에 근거한 다문화교육의 이해

        이화도(Lee, Hwado) 한국비교교육학회 2011 比較敎育硏究 Vol.21 No.5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의 흐름과 함께 다양한 문화들을 인정하고 소수문화에 대한 편견과 차별을 해소하여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사회에는 다문화교육이 무엇인지, 어떤 내용을 누구에게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 지에 대한 합의된 관점이나 개념규정이 없음으로 인해 많은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의 가치와 비젼, 정의, 목표와 함께 다문화교육에서 반드시 포함되어야 할 핵심가치에 대한 풍부하고 다양한 담론을 통한 개념적 합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문제인식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문화 간’ ‘개인 간’ 소통과 대화를 강조하는 상호문화성에 근거한 새로운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구성요소에 관한 교육적 논의를 통해 새로운 다문화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후설의 상호주체철학을 근거로 상호문화성의 개념의 현상학적 의미를 탐색하고 이를 근거로 결국 상호주관성에 근거한 다문화교육은 지적, 태도적, 가치적 측면에서 문화 간 소통과 관계능력으로서의 상호문화 능력(inter-cultural competence)을 갖춘 인재양성을 목표로, 폭넓게 이해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름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다문화적 지식(multicultural knowledge), 상호소통 할 수 있는 다문화적 태도(multicultural attitude), 그리고 인간존중의 윤리를 바탕으로 타자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받아들이는 다문화적 인성(multicultural personality)교육이 핵심가치로 다문화교육의 내용 속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Multi-cultural education is urgently requested that understands various cultures along with the flow of change as a multi-culture society and that can resolv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n minority culture, contributing to social integration. However, due to absence of concrete definition of concept on what multi-culture education is and to who and how it should be taught, our society is experiencing lots of confusion. Therefore, conceptual agreements through rich and various discussions on necessary core val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long with its value, vision, definition, and goal are needed. This research explored educational meaning and possibility of multi-culture education founded on inter-subjectivity that emphasizes on ‘inter-culture’ and ‘inter-person’ communication and conversation based on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diversity. After all, it is suggested that multi-culture education based on inter-subjectivity should be understood broadly with the basis of understanding on the culture as inter-subject (Hwado Lee, 2010) that realizes the ego by communicating and entering into friendly relations with each other with a goal of nurturing talents with inter-cultural competence as communication and relation ability between cultures from perspectives of behavior, intelligence and valu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multi-cultural knowledge that understands and accepts the differences, multi-cultural attitude that enables good communication and multi-cultural personality education that accepts other people as the way they are based on ethics of respect for man’s life and dignity should be included in the content of multi-culture education as a key value.

      • KCI등재

        상호문화성과 동질성

        박인철(Park, In-Cheol)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코기토 Vol.- No.82

        상호문화성은 문화적 다양성(타자성)과 동질성(보편성)의 두 요소로 이루어진다. 양자가 어떻게 조화를 이루고 관계를 맺고 있는지가 상호문화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그러나 현재의 상호문화성과 관련된 논의에서는 대체로 문화적 다양성의 보존에만 관심이 쏠려 있고 문화적 동질성의 측면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된 배경에는 이제까지의 서구의 전통철학과 지성사가 지나치게 보편성과 동질성만을 강조한 것에 대한 반발과 함께 동질화가 극단화될 경우 나타나는 획일화된 전체주의에 대한 경계심이 놓여있다. 그러나 문화적 다양성과 동질성은 서로 대립적으로 보아야 할 요소가 아니며, 동질성의 추구는 인간의 자연적 본성으로서 오히려 긍정적인 면을 지닌다. 공감과 놀이는 인간이 동질성을 지향하면서도 동시에 타자성을 포용함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인간의 본성적 능력이자 활동이다. 문화적 동질성의 추구는 그런 점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서 문화적 다양성 내지 타자성과 양립 가능하며 상호문화성을 형성하는 하나의 긍정적이고 필수적인 계기로 보아야 한다. Regarding the topic of interculturality, it is the common view in the current discussion that the cultural heterogeneity and diversity plays the central role in the formation of interculturality. This view might be right, but w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at the cultural homogeneity as well as the cultural heterogeneity would also build the basis for interculturality. On the contrary to the general opinion, this paper supports the thesis that the moment of homogeneity would be more fundamental and crucial for building the interculturality than the one of heterogeneity. We tend to naturally accept the homogeneous, similar properties to us, while instinctively denying or avoiding the heterogenous. The empathy as a natural, innate function of human being shows -so this paper argues- its typical tendency to identify the sameness or commonality between subject and object of the empathy. Moreover,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is empathy would not exclude the heterogeneity or otherness, but, on the contrary, acknowledge it very positively. Given that the empathy would be applied to the intercultural situation, we could say that it will make a decisive contribution for the interculturality, in so far as the interculturality lies in the harmonious combination of cultural heterogeneity and homogeneity. It follows from this that we should more concentrate in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cultural homogeneity than the one of cultural heterogeneity within the context of interculturality.

      • KCI등재

        상호문화주의의 원리와 과제: 다문화주의의 대체인가 보완인가?

        김창근 ( Chang Geun Kim ) 한국윤리학회 2015 倫理硏究 Vol.103 No.1

        이 논문은 다문화 시대의 사회통합 모델로서 갖는 상호문화주의의 원리와 과제를 분석하고 있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도 다문화주의는 실패 혹은 한계에 처했고, 그 대안으로서 상호문화주의가 중시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이 논문은 상호문화주의가 다문화주의를 대체했다는 시각보다는 상호보완적인 관점에서 양자의 역할에 주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상호문화주의는 여러 문화의 단순한 공존을 넘어 문화 간의 대화와 소통을 통해 공유하는 문화를 만들어내려는 이념이다. 문화간 의사소통과 상호관계가 핵심이다. 상호주관성에 기반하여 공유하는 새로운 정체성을 찾고 서로에게 문화적 다양성이 힘이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문화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문화간의 상호작용, 공유가능한 문화성 창출 등은 상호문화주의가 기반하는 원리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인간을 존중하는 윤리성이 전제되어야 하고, 다양한 문화를 적극 이해하고 포용하겠다는 의지가 기반되어야 한다. 이질성이 차이로 변질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공적 영역에서의 종교적 표현의 자유 논쟁 속에 소수집단의 종교적 정체성을 인정하고 공존하려는 노력도 고민해야할 과제다. 크게 보아 다문화주의의 초점이 ‘다름의 인정과 공존’에 있다면, 상호문화주의의 중점은 ‘상호 열린 대화와 소통’에 있다. 그것은 접근방식에서의 차이일 뿐이다. 본질적으로 상호문화주의나 다문화주의는 새로운 사회통합성을 위해 문화적 다양성을 관리하기 위한 공통의 이념이다. 우리가 주목할 두 이념의 본질은 다문화 시대의 갈등의 해소와 인정의 방식, 그리고 소통의 확장과 공유된 선의 증대이다. 양자는 다문화 시대의 사회통합을 위한 이념적 자원으로 함께 어우러져야 할 패러다 임이다. This article analizes the principle and problems of the interculturalism for social integration model in multicultural age. In our recent society, some insists that interculturalism should be concerned as an alternative of multiculturalism which faces in failure or reach the limit. But this article emphasizes to focus on the role of both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sm with complementary view rather than the view that the interculturalism replaces the multiculturalism. Interculturalism is the ideology that tries to creat a sharing common culture through a dialogue and mutual respect beyond the mere coexistence of diverse cultures. Communication and mutual relation of individual and cultural group are the core of the intercultural discussion. Interculturalism tries to find a new identity based on intersubjectivities and to be the energy that harmonized with cultural divisity. Interculturalism is based on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culture, interactions of cultures, and creation of sharable culturality. These factors of interculturalism need ethics about human respectivity and willingness to understand and embrace cultural diverisity. Interculturalism should avoid the change of cultural heterogeneity to differences and consider carefully the ethics that recognize and coexist on the religious identity of minorities. Multiculturalism focus the ‘recognition and coexistence of differences’. In contrast, Interculturalism empasizes ‘mutual and open dialogue and communication’. But interculturalism and multiculturalism are the ideological basis that manages the cultural diverisity for the new social intergration. The core things we should focus are the resolving conflicts, the way of recognition, the increase of communication, and the spread of shared good. Two isms are the paradigms which should be in harmony as ideological resources for the social intergration in the multicultural age.

      • KCI등재

        상호문화성의 현상학

        최재식(Choi Zaeshick) 한국현상학회 200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0 No.-

        본 연구는 자기 문화중심주의를 극복하고 현상학적 상호문화성을 전개시킨다. 문화중심주의의 문제점은 자기문화정초주의와 상하위문화론의 한계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방문화와의 만남에서 나타나는 문화의 창조성을 제대로 설명 못하는 데에 있다. 강릉문화, 한국문화, 동 ㆍ 서양문화에서 나타난 상호문화성의 구체적 예증을 통해서 문화 상호성의 계기와 문화다양성을 밝히고 이에 따른 철학적 대안을 찾는다. 이를 통해 수직적 문화보편성을 극복하고 방계적 문화보편성에 도달하며, 대안으로서 본고는 상호문화성의 망구조를 제시한다. 이 연구를 위해서 본고는 소크라테스-플라톤 철학과 근대철학이 문화상대주의를 극복하고 보편주의에 도달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고찰하고 동시에 이들의 한계를 조명한다. 이어서 본 연구의 철학적 토대를 제공한 후설 현상학이 타자(이방성)의 권리를 부여함으로써 상호문화성의 실마리를 제공했지만, 그가 타자의 패러독스를 극단화시키지 못함으로써 유럽중심주의 한계에 머무른다는 점을 밝힌다. 이 한계를 슈츠와 메를로-뽕띠 그리고 발덴펠스의 현상학을 통해서 극복하고 진정한 상호문화성을 찾는다. 후설 이후 현상학자들을 통해서 소위 ‘내적 이방성’과 ‘외적 이방성’을 밝히고 문화 간의 관계는 “얽힘”과 “교차’라는 교차배열법적 사유를 원용하면서 아방성 속에 이방성의 발견 계기를 밝힌다. 이를 통해서 문화중심주의를 극복하고 문화의 상호성에 도달한다.

      • KCI등재

        인간-비인간의 상호물질성 - 고도 모빌리티 시대의 기후위기 대처를 위한 제언

        김태희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3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4 No.3

        The imminent catastrophe of the climate crisis highlights the presence of non-human agenc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concept ‘intermateriality’ to encompass both human and non-human agencies in dealing with the climate crisis during the era of high mobility. This paper explores different discourses regarding intersubjectivity and interculturality in phenomenology and hermeneutics to provide theoretical support for this new concept that concerns multiple discourses in new materialism on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ntersubjectivity, interculturality, and intermateriality can be established through analogical interpretation based on the overlapping of different individuals, of cultures, or of material entities. Consequently, they can surpass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dimensions, extending to ethical and political dimensions. While transitioning from intersubjectivity through interculturality to intermateriality, this paper will examine the wide-spread phenomena of hatred directed towards individuals in non-places (individual scale), towards other cultures in multicultural societies (cultural scale), and towards other materials in times of climate crisis (global scale), resulted by ruptures in intersubjectivity, interculturality, and intermateriality. By engaging with the concept of intermateriality, forthcoming research can advance the understanding of ontological (a)symmetry, epistemological communication, ethical responsibility, and political representation of humans and non-humans. 파국으로 치닫고 있는 기후위기는 비인간의 행위성을 누설한다. 본고는 고도 모빌리티 시대의 기후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신유물론의 다양한 담론을 참조하여 인간과 비인간의 행위성을 포괄하는 ‘상호물질성’ 개념을 제안하고, 이 개념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현상학과 해석학의 상호주관성 및 상호문화성 논의를 고찰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상호주관성, 상호문화성, 상호물질성이 모두 존재론적으로나 인식론적으로 중첩에 기반한 유비적 해석에 의해 성립하고, 이러한 존재론적이고 인식론적인 차원을 넘어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차원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확인한다. 본고는 이 점을 구체적으로 보이기 위하여 상호주관성, 상호문화성, 상호물질성을 각각 고도 모빌리티 시대의 비장소, 다문화, 기후위기에 있어서의 타자 혐오, 타문화 혐오, 물질 혐오와 관련하여 고찰할 것이다. 이를 통해 상호물질성 개념은 향후 인간과 비인간의 존재론적 비/대칭성, 인간과 비인간의 인식론적 소통 가능성, 인간의 윤리적 책임, 인간-비인간의 정치적 대의 등에 관한 정밀한 연구의 토대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