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속과의 연계를통한아동에 대한 부양의무의 강화

        최현숙 민사법의 이론과 실무학회 2013 民事法理論과 實務 Vol.17 No.1

        Once an inheritance becomes available following the death of a decedent, the inheritors can get the inheritance according to statutory inheritance system. Although there are various grounds for inheritors to receive the inheritance, a noteworthy one is that it is aimed at securing the livelihoods of remaining family members after the death of a decedent. In other words, the deceased has the responsibility to support the inheritors. According to the theory, even an inheritor who did not fulfill the obligation to support the decedent while he or she was alive is entitled to receiving the inheritance with no sanction. As a result, it would lead to an unfair outcome of being supported by the decedent, even though he or she did not fulfill the obligation to support the decedent. Thus, obligation of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by imposing judicial punishment on those who fail to fulfill the obligation to support by inheritance law. To deal with such individuals, other countries have various legislative measures by depriving inheritance rights according to inheritance disqualification system or inheritance rights loss system. In Korea, however, only contribution system exists as a way to strengthen obligation of support in connection with issue of support and inheritance. Therefore, Korea now needs to explore measures to strengthen obligation of support by imposing judicial punishment on the inheritance rights of those who fail to fulfill the obligation to support the decedent. Thus, this study involves discussion on which system should be adopted to deal with such issue. No matter what system is introduced, discussing the violation of such obligation should take place first, since the applicability of the system is a major issue. In particular, children require much more active support than any other dependents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s dependents, along with the content and degree of relevant support. As a way to strengthen obligation of support towards children by inheritance law, this study suggests adopting and implementing inheritance rights loss declaration system.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되면, 법정상속제도에 따라 상속인들이 상속재산을 취득하게 된다. 이처럼 상속인이 상속재산을 승계하게 되는 근거로는 여러 가지를 들고 있지만, 그 중에서 주목할 부분은 피상속인 사망 후 남겨진 가족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것 즉, 상속인에 대하여 피상속인이 부양을 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근거에 따르면 피상속인의 생전에 피상속인에 대한 부양의무를 다 하지 않은 상속인이 있더라도 상속이 개시되면 상속인이라는 이유로 어떠한 제재도 없이 상속을 받게 된다. 즉, 자신은 부양의무를 다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로부터 부양을 받게 되는 불공평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와 같이 부양의무를 다하지 않은 자에 대하여는 상속법적으로 상속을 제한함으로써 부양의무를 강화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대하여 각 국은 부양의무를 다하지 않은 경우 상속결격제도를 통하여 상속권을 박탈시키거나 유류분권 상실제도를 통하여 상속권을 박탈시키도록 하여 각기 다른 입법태도를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부양과 상속의 문제를 연계하여 부양의무를 강화하는 방법으로 기여분제도만을 두고 있을 뿐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피상속인에 대한 부양의무를 다하지 않은 자에 대하여 상속인의 상속권에 대한 사법벌을 부과하여 부양의무를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할 시기에 직면해 있으므로 어떤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어떤 제도를 도입하든지 부양의무를 위반한 경우에 그 적용이 있게 되므로 부양의무의 위반에 대한 기준에 대해서 먼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아동의 경우 그들이 갖는 특징으로 인하여 다른 피부양자보다 훨씬 더 적극적인 부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피부양자로서 아동의 특징에 대한 검토와 그에 따른 부양의 내용과 정도에 대하여 그 내용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아동에 대한 부양의무를 강화하기 위한 상속법적 해결방안으로 상속권 상실선고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대습상속제도의 입법론에 관한 제안

        안영하(An Young-Ha)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36 No.-

        대습상속이란 피상속인의 상속인이 될 직계비속 또는 형제자매가 상속개시 이전에 사망하거나 결격자가 되어 상속권을 상실하게 된 경우, 그 직계비속 또는 그 배우자가 사망하거나 결격자가 된 者의 순위에 갈음하여 상속인이 되는 것을 말한다(민법 제1001조, 제1003조 제2항). 그런데 대습상속제도를 운용하는데 있어서 몇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현행 법규정의 미비로 인한 해석상의 난점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인척상속의 형태인 배우자의 대습상속을 인정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논점과 관련된 해석론 및 입법론을 간단히 정리한 후 대습상속제도의 전체적인 입법론을 제시하기로 한다. Th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occurs a lineal descendant or a brother or sister who would become an inheritor has died, or has become disqualified before the commencement of succession.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is generally approved in most countries according to the idea of equity or expecting of succession. If an expected heir has not died nor has not become disqualified before the commencement of succession, he would have inherited the inherited property, and his lineal descendants also would have inherited him. That is Succession has been practiced among the family members, and it has been based on the inclinations for handing over their properties(personal property and real property) to either their close relatives or, at least someone who has consanguinity. In korea, about th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there are Article 1001, 1003 (2). Article 1001 (Inheritance by Representation) Where a lineal descendant or a brother or sister who would become an inheritor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 1000 (1) 1 and 3, has died, or has become disqualified before the commencement of succession, his or her lineal descendants, if any exist, shall become inheritors in the order in which the deceased or disqualified person would have become the inheritor. About the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there is Article 1001 Article 1001 (Inheritance by Representation) Where a lineal descendant or a brother or sister who would become an inheritor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of Article 1000 (1) 1 and 3, has died, or has become disqualified before the commencement of succession, his or her lineal descendants, if any exist, shall become inheritors in the order in which the deceased or disqualified person would have become the inheritor. The man gets the rights of Representation is generally the lineal descent of the expected heirs. Succession law is one of the part that remains the national character. Our Civil Law stipulates the representation by the spouse of the deceased or disqualified person. that is Article 1003 Paragraph 2. Article 1003 (Order of Inheritance of Spouse) (2) In the case mentioned in Article 1001, the spouse of the deceased or the disqualified person, before the commencement of inheritance, becomes a co-inheritor in the same order as the inheritors provided in the same Article. If there exists no inheritor, the spouse becomes the sole inheritor. This legislation is the only one in the world in view of the comparative law. Succession by Representation has som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compensate the defect.

      • KCI등재후보

        상속등기의 기본구조

        양형우 ( Hyung-woo Yang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홍익법학 Vol.9 No.1

        상속인은 상속이 개시된 때로부터 피상속인의 재산에 관한 포괄적 권리의무를 승계하고, 상속인이 수인인 때에는 상속재산은 그 공유로 한다. 상속으로 인한 부동산물권의 취득은 등기를 요하지 않지만, 등기를 하지 않으면 이를 처분하지 못한다. 등기는 등기권리자와 등기의무자 또는 대리인이 등기소에 출석하여 이를 신청하여야 하지만, 상속을 원인으로 한 이전등기신청은 등기권리자인 상속인이 단독으로 신청할 수 있다. 상속은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개시되고 현실적으로 등기를 신청하는 시점에 등기의무자인 피상속인이 현존하지 않으므로 성질상 공동신청이 불가능하고 또한 사망사실은 상속을 증명하는 서면에 의하여 명백하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속등기의 중간생략등기가 인정되는지 여부, 법인 아닌 사단·재단의 대표자나 관리자가 사망한 경우 또는 등기원인이 이미 존재하고 있으나 아직 등기신청을 하지 않고 있는 동안에 등기의무자나 등기권리자에 대하여 상속이 개시된 경우에 상속등기를 하여야 하는지, 공동상속인이 피상속인의 채무를 승계하는 경우에 그 상속채무는 어떤 형태로 각 상속인에게 귀속되며 소유권이전등기의무도 상속재산분할의 대상이 되는지, 상속의 승인·포기할 수 있는 기간 내에 공동상속인 중 1인이 상속등기를 할 수 있는지 여부 등이 문제되는데, 본 논문은 이점을 중심으로 상속등기의 기본적 사항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Mit dem Erbfall gehen die Rechte und Pflichten bezuglich des Vermogens des Erblassers als Ganzens auf den Erben uber. Die hochstpersonlichen Rechte und Pflichten des Erblassers sind jedoch von der Erbschaft ausgeschlossen(§ 1005 koreanisches BGB). Die Rechte und Pflichten des Erblassers gehen auf jeden Erben entsprechend dem Verhaltnis seines Anteils an der Erbschaft uber(§1006 KBGB). Gem § 1005 KBGB geht also die Erbschaft als Ganzes mit dem Erbfall auf den Erben uber. Der damit beschriebene Vorgang wird als Gesamtrechtsnachfolge oder auch Universalsukzession bezeichnet. Der Rechtsubergang des Erblasservermogens auf den bzw die Erben vollzieht sich kraft Gesetzes unmittelbar und von selbst, ohne dass es einer rechtsgeschaftlichen oder behordlichen Mitwirkung bedurfte. Die Eintragung ist deshalb nicht erforderlich, wenn ein dingliches Recht an einem Grundstuck durch Erbschaft erworden wird. Ohne Eintragung kann jedoch der Erwerber uber das Grundstuck nicht verfugen(§ 187 KBGB).

      • KCI등재

        공동상속인간의 유류분 반환청구에 관한 소고

        이은정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법학논고 Vol.0 No.43

        This paper will discuss the problems about the return of legally secured portion among co-heirs in the current law system. The discussion will be focused on these two questions: If the donee is also the heir who has contributed the inherited property, how can the court calculate the added value of the gifts? And whether an heir who has contributed the inherited property can make a plea for the contribution or not? When the donee is also the heir who has contributed the inherited property, his/her special benefit and contributory portions influence each other. Therefore the value of special benefits which is added to basic property for assessing the legally secured por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degree of his/her contribution. It is appropriate that the heir who has received the gift inter vivos or testamentary gift is not allowed to claim the contributory portion less than the amount of the value of the gift. As we have to regulate them in terms of the “equity of heirs.” The claim for a contributory portion is only possible along with the claim for the division of property inherited (Civil Code Art.1008-2 Para. 4). Thus, even when the donee is an heir who has contributed the inherited property, s/he cannot make a plea for the contribution to the property of received as a gift. It is not appropriate that the claim for contributory portion is not allowed where there is no inherited property to devide, while it is possible to make a claim for contributory portion if it is attainable to make a claim for division of property inherited. If the purpose of contributory portion system is to guarantee the equity of heirs, a legal procedure should be secured to make a claim for contributory portion in any kinds of dispute among the co-heirs. Accordingly, a revision should be made to Civil Code Art.1008-2 Para. 4, to allow the claim for contributory portion along with the claim for the return of legally secured portion. However, there is a limit to achieve the aim of the revision for the current law prescribes that the claim for the return of legally secured portion belongs to the jurisdiction of civil suit and contributory portion to Family litigation procedure. That makes it necessary to revise the law of procedure along with the civil code revision. 이 글은 공동상속인 간의 유류분 반환청구시 발생할 수 있는 현행법상의 문제점에 관하여 논의하였으며, 다만 그 주요 내용은 수증자가 기여상속인인 경우에 있어서 유류분 산정 기초재산에 산입되는 특별수익 가액과 유류분 반환청구시 기여의 항변에 한정하여 고찰하였다. 동일한 상속인이 수증자이면서 기여상속인인 경우에는 그 상속인의 특별수익과 기여분 산정은 서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류분산정 기초재산에 산입되는 특별수익 가액은 기여도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하고, 증여나 유증을 받은 상속인은 그 한도에서는 기여분을 청구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상속법의 원칙인 ‘상속인간의 실질적 형평’이라는 관점에서 양자의 관계를 해석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기여분 청구는 상속재산 분할을 청구하는 경우에만 가능한데(민법 제1008조의 2 제4항), 이와 같이 상속재산 분할 청구가 가능한 경우에는 기여분 청구를 할 수 있는데 비하여 분할 재산이 없어 분할 청구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는 기여분 청구를 할 수 없다고 명시한 규정은 ‘상속인간의 형평’이라는 관점에서 판단할 때 타당하지 않다. 상속인간의 실질적인 형평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 기여분 제도의 입법 취지라면 상속재산의 분배를 둘러싼 공동상속인간의 어떤 분쟁에서도 기여분을 주장할 수 있는 절차가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류분반환청구시에도 기여분을 청구할 수 있도록 민법 제1008조의2 제4항을 개정하여야 할 것이다. 그런데 민법을 이와 같이 개정한다고 하더라도 유류분반환 청구는 민사소송으로, 기여분 청구는 가사비송으로 규정하고 있는 현행법에서는 그 개정 목적을 실현할 수 없는 절차상의 한계가 있으므로 민법과 함께 절차법도 반드시 개정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이산가족의 재결합에 따른 상속문제와 그 해결방안

        이성우 법무부 통일법무과 2011 統一과 法律 Vol.- No.7

        Ministry of Justice gave notice of the legislation of "the exemption law on the family relationship and inheritanc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residents" on January 11, 2011. The law includes the content that the government will integrate and manage North Korean residents’ personal data and their detailed property given by inheritance, gift, and etc. in South Korea. And the key content of the law is to completely regulate the exercise of properties by the residents from North Korea while recognizing some parts of their property rights in South Korea. They are the political measures to prevent properties in South Korea from being turned over to North Korea without constraints in the reality of divided Korea, while protecting the rights of inheritance of those from North Korea. Like this, it is a crucial matter with a direct influence on the heirs’ interests of separated families to establish the range of legal force of the law of succession in North and South Korea in terms of the regulation of inheritance. With regard to this issue, the desirable measure for smooth inheritance procedures will be to regulate them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inherited property, that is, to regulate the inherited property located in South Korea according to the property law in South Korea, and that in North Korea according to that in North Korea, as mentioned in Article 4(Jurisdiction) and Article 6(Effects of Judgments by North Korea) of the exemption law. Not only the inheritance problem, but all different ones expected after unification can be solved not just by simple legal regulation but by values beyond laws, such as our will for the unification and performance of moral duty. and Family relationships and inheritance between North and South residents caused by such things as reasonably resolve several issues, while helpful to the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to be unified and, ultimately, is to contribute to. 법무부는 2011년 1월 11일 “남북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안을 입법예고하였다. 이 법안(이하 “특례법안”이라 한다)은 북한 주민의 인적사항과 상속·증여 등으로 물려받은 남한 내 재산내역 등을 정부가 통합·관리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북한 주민의 국내 재산권 행사를 일부 인정하면서도 재산 행사 등을 철저히 규제한다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한다. 그리고 북한 주민의 상속권을 보호하면서도 분단된 현실을 고려해 남한 재산이 제한 없이 북한으로 넘어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정책적 조치라고 볼 수 있겠다. 이와 같이 상속문제에 관한 규율에 있어 남북 상속법의 법적 효력 범위를 설정하는 것은 이산가족 상속인들의 이해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이다. 특례법안 제4조(재판관할권)와 제6조(북한판결의 효력)에 근거하여 상속재산의 소재지를 기준으로 남한 소재 상속재산은 남한상속법에 따라, 북한 소재 상속재산은 북한상속법에 따라 규율하는 것이 상속절차의 원활한 진행을 도모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안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남북 주민 사이에 가족관계 및 상속 등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면서도 남북간 화해협력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궁극적으로는 통일에 따른 私的 법률 분쟁이 발생하지 않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북한 거주 상속인에게 상속회복청구권 제척기간의 연장특례를 인정하는 것에 대한 헌법적 평가

        이인호 법무부 통일법무과 2011 統一과 法律 Vol.- No.8

        법무부가 2011. 1. 11. 입법예고한 「남북 주민 사이의 가족관계와 상속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안」은 남북 이산가족의 가족관계 및 상속 등에 관한 분쟁과 관련하여 현행의 민법으로는 포섭되기 어려운 문제들을 규율하고 있다. 그런데 법안 준비의 논의과정에서 위헌 여부 논란이 제기되어 위 입법예고안에서 빠진 헌법적 이슈가 있다. 즉 ‘분단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북한 거주 상속인에게 상속회복청구권의 제척기간을 연장해주는 특례를 인정해주는 것이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가 그것이다. 이 문제의 기본쟁점은, 남한의 부진정 혹은 참칭상속인에게 이미 발생되어진 제척기간·소멸시효·취득시효의 효력을 배제하고 북한의 진정상속인에게 상속권을 회복할 수 있는 구제수단을 소급적으로 부여해주는 것이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이다. 필자는 이 헌법적 문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논증을 통하여 합헌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첫째, 남한의 부진정 혹은 참칭 상속인이 완성된 제척기간 · 소멸시효 · 취득시효의 효력에 의하여 얻는 이익은, 소급입법에 의한 재산권박탈을 금지하는 헌법 제13조 제2항에 의해서 보호되는 재산권의 개념에 포섭되지 않는다. 따라서 헌법 제13조 제2항이 적용될 여지가 없다. 둘째, 제척기간이나 소멸시효를 연장시키고 취득시효의 원용을 배제하는 특례가안은, 남한의 부진정 혹은 참칭 상속인의 시효의 이익을 창설적으로 박탈하는 형성적 규정이 아니라, 제척기간제도 · 소멸시효제도 · 취득시효제도에 본질적으로 내재하는 법리를 확인하는 것에 불과한 확인적 규정이다. 다시 말해서, 북한주민인 진정상속인이 자신의 권리의 존재 자체를 알 수 없었거나 알지 못하였고 설령 알 수 있었다 하더라도 권리를 회복하기 위한 구제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능한 남북분단의 상황에서는 제척기간 · 소멸시효 · 취득시효의 법적 효력이 본질적으로 발생할 수 없는 것이고, 따라서 이런 상황이 지속되는 기간 동안에는 시효의 완성이 성립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셋째, 따라서 특례가안은 완성된 시효의 효력을 소급적으로 배제하는 진정소급입법이 아니라, 완성되지 않은 시효의 기간을 연장한 것에 불과하여 부진정소급입법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러므로 특례가안의 헌법적 평가에 적용될 심사기준은 완화된 형태의 신뢰보호의 원칙이다. 넷째, 결론적으로, 특례가안은 그를 통해 보호하고자 하는 공익이 남한상속인에 대한 신뢰보호의 필요성에 비해 더 커서 신뢰보호의 원칙에 위반된다고 보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The Korean Ministry of Justice gave public notice of a statutory bill concerning the family relations and right of inheritance between South and North residents in January 11, 2011. It is reported that a constitutional issue of importance has emerged in the process of bill drafting. The issue is whether it is unconstitutional to give the retroactive extension of statute of limitations concerning the right to relief to the north korean residents as heirs.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constitutional. The grounds for the argument are as follows. (1) The claimants of an intestate's estate cannot lose their right to relief by statute of limitations. The interests of pretended inheritors in South Korea by the expira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are not the vested rights that cannot be taken away by retroactive legisl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statutory privileges and vested rights must be borne in mind, for the citizen has no vested rights in statutory privileges and exemptions. So, there is no room for the constitutional clause against retroactive legislation to be applied to the above issue. (2) It is acknowledged that the legislature has power to revive a right of action barred by limitation or to revive an action which has abated by lapse of time, especially in case that the North residents as true inheritors originally could not recognize their rights of inheritance or take any actions to recover their rights due to the prolonged division of Korea into south and north. (3) It is not against the doctrine of confidence protection to give the retroactive extension of statute of limitations concerning the right to relief to the north korean residents as true heirs.

      • KCI등재

        공동상속인을 상대로 한 상속재산에 관한 말소등기청구의 소의 법적 성질 : 대법원 2011.3.10. 선고 2007다17482 판결

        김병선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1 法學論集 Vol.16 No.2

        연구대상판결은 공동상속인 중 1인인 원고가 협의분할에 의한 상속을 원인으로 하여 상속부동산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다른 공동상속인들에 대하여, 협의분할이 무효라는 이유로 그 원인무효등기의 말소를 청구한 사건에서, 상속재산인 부동산에 관하여 공동상속인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경우 그 등기가 상속을 원인으로 경료된 것이라면 그 등기명의인은 참칭상속인에 해당하다고 하여, 원고의 청구를 상속회복청구의 소라고 보고, 민법 제999조 제2항의 단기제척기간이 적용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역시 등기명의인인 공동상속인 중 일부는, 그들이 상속재산분할협의의 성립을 부인하고 있고 또 원고의 상속권을 다투고 있지 않다는 점을 들어, 그들에 대한 청구는 상속회복청구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단기제척기간도 적용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수인의 공동상속인 사이에서 상속재산인 부동산을 피고 C, J, K, L의 공유로 하기로 하는 상속재산분할협의가 행하여졌고, 그 분할협의가 민법 제921조의 이해상반행위에 해당하여 무효인 경우에, 그 분할협의의 무효를 주장하여 피고들 명의의 등기말소를 구하는 원고의 청구는, 원고의 상속권을 다투고 있는 피고 C에 대한 부분은 상속회복청구에 해당하고 단기제척기간이 도과하였으므로 부적법 각하되고, 반면 원고의 상속권을 다투고 있지 않은 피고 J, K, L에 대한 청구부분은 상속회복청구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단기제척기간의 적용도 받지 않고, 따라서 상속재산분할협의가 무효이므로 그들 명의의 등기는 원인무효의 등기로 되어 말소를 구하는 원고의 청구는 인용되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소유권이 귀속되었다는 주장이 상속을 원인으로 하는 것인 이상 그 청구원인 여하에 관계없이」이를 상속회복청구의 소에 해당한다고 하고, 나아가 「상속재산인 부동산에 관하여 공동상속인 중 1인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경우, 그 등기가 상속을 원인으로 경료된 것이라면 등기명의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경료된 것이라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등기명의인은 참칭상속인에 해당한다고 하여, 결국 공동상속인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속에 관한 다툼을 모두 상속회복청구로 취급하는 판례의 입장은 타당하다고 할 수 없다. 대상판결은 공동상속인 사이의 상속권에 관한 분쟁을 원칙적으로 상속회복청구의 문제로 다루려고 하는 종래 판례의 입장에 충실하게 판단하였고, 그리하여 공동상속인들 사이의 상속재산분할협의가 명백히 무효임에도 불구하고 각 피고들의 주장과 태도에 따라 상속회복청구의 소에의 해당여부, 나아가 단기제척기간 적용여부가 달라지고 그리하여 판결의 결론이 전혀 다르게 되는 판례이론의 모순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공동상속인 사이의 상속권을 둘러싼 다툼은 상속재산분할청구의 문제로 해결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를 상속회복청구의 문제로 해결하려는 것은 본 판결의 결론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상속재산분할협의가 무효임이 명백함에도 불구하고, 일부 당사자들에 대하여서만 분할의 무효를 전제로 한 재분할이 인정되고, 일부 당사자들에 대하여는 단기제척기간의 적용으로 인하여 재분할의 요구조차 할 수 없다고 하는 불공평하고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동상속인을 참칭상속인으로 인정하여 공동상속인 사이의 상속권 분쟁을 상속회복청구의 문제로 취급하는 종래 판례의 입장은 변경되어야 한다. Ins Koreanische Bürgerliche Gesetzbuch(zitiert K-BGB) betreffs des Erbschaftsanspruchs, ist nur eine Bestimmung d.h. sehr kurze Ausschlussfrist dieses Anspruchs (3 od. 10 Jahre) gefunden(der Artikel 999 K-BGB). Deshalb von diese Bestimmung ist nichts weiter als das Interesse des Erbschaftsbesitzers und die Verkehrssicherheit zu schützen. Weiterhin als Gegner des Erbschaftsanspruchs kommt nach der Rechtsprechung auch ein Miterbe des Anspruchstellers in Betracht. Es ist allgemeiner Meinung, dass er ist Erschaftsbesitzer, wenn der Miterbe für sich die Alleinerbenstellung reklamiert und deshalb Alleinbesitz begründet. Ganz überwiegend nimmt man darüber hinaus an, dass auch solche Miterben dem Erbschaftsanspruch ausgesetzt sind, die lediglich für sich höhere als ihnen zukommende Erbteile beanspruchen. So meine ich, dass um das Interesse des wahren Erben in Betracht zu nehmen eine Beschränkung des Kreis des Gegners dieses Anspruchs ist notwendig. Nach dem Artikel 1013 K-BGB kann jeder Miterbe jederzeit die Auseinandersetzung verlangen. Also Miterbe, der auf Grund angemassten Alleinerbrechts oder unter Beanspruchung eines zu weit gehenden Miterbrechts Nachlassgegenstände in Alleinbesits genommen hat, muss von des Kreis des Gegners dieses Anspruchs ausgeschlossen werden. Der Urteil koreanischen Höchsten Gerichts am 3.10.2011. (2007da17482) sheint, solchen Standpunkt der bisherigen Rechtsprechung übernommen zu haben. Meiner Ansicht nach ist die Entscheidung nicht richtig.

      • KCI등재후보

        遺留分 不足分의 計算方法에 관한 硏究 - 적용되어야 할 상속분에 관한 실증적 검토를 중심으로 -

        임채웅 사법발전재단 2010 사법 Vol.1 No.13

        We have two kinds of portion in inheritance legal portion(LP) and adjusted portion(AP). APs are the actual shares by which the inheritance porperty is divided among inheritors. APs are decided through the division process of inheritance property which could be done by all inheritors' agreement or litigation of the family court. In the litigation, APs are decided regarding special beneficiary and controbutory portion. The other important inheritance process is to decide the shortages of the right to legal reserve of inheritance(RLR). In the process of RLR, mostly LPs have been applied rather than APs. The Korean influential scholars have insisted that the APs should be applied in the process of RLR. But it has been ignored because many lawyers had no idea of the APs and they were very hard to calculate. But in May 2010, I made a computer program, 「Sangjaebunhal Ver. 1.0」, which is based on Exel 2007. Now the program makes it easy to calculate APs. This essay suggests that APs should be applied in the process of RLR rather than LPs. It tries to prove that through lots of simulation by the program. Many numbers from a real case are used for close analysis. It might be a new approach to it. By lots of simulation, it comes clear that LPs are not suitable in the process of RLR. For this essay's purpose, it explains the process of the litigation for the inheritance property division and how to calculate the shortages of RLR. And the simulations reveal many new aspects of Korean inheritance system. I wish lots of empirical study on Korean inheritance law could be accomplished by the program. * ‘Sangjaebunhal’ implies the process of inheritance property division in Korean language. 상속분에는 법정상속분이 있고 구체적 상속분이 있다. 구체적 상속분이란 상속인들의 합의 또는 재판상 상속재산분할절차를 거쳐 확정되는, 구체적으로 상속받아가야 할 몫을 정하는 지분인데, 재판상 상속재산분할절차에서는 특별수익과 기여분을 고려하여 정해진다. 상속에 관한 매우 중요한 제도중 하나인 유류분제도를 운영함에 있어, 그동안 구체적 상속분이 대부분 무시되어 왔고, 법정상속분이 적용되어왔다. 그간 우리나라의 주요 학설들도 유류분 부족분 산정에 있어 구체적 상속분을 적용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음에도 실무에서 대부분 법정상속분을 적용해온 것은, 구체적 상속분에 대한 이해부족도 있었지만, 이해하고 있다하더라도 이를 산정하기가 매우 까다로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2010. 5월경 필자가 구체적 상속분을 자동계산하는 프로그램 「상재분할 Ver. 1.0」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계산 자체는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게 되었다. 이 글은 유류분 부족분을 산정함에 있어 법정상속분이 아닌 구체적 상속분을 적용하여야 함을 주장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인데, 기존 문헌에서 법리에 의하여 설명하였던 것과는 달리, 이 글은 실제 사건에서 인정된 사실관계를 바탕으로 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시산해봄으로써 위 주장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법정상속분을 적용하면 발생하는 문제점이 명료해졌고, 따라서 법정상속분은 더 이상 적용할 수 없음을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논증을 위하여 상속재산분할절차 및 유류분 부족분 계산방법에 대해 비교적 상세히 설명하였고, 수치를 통하여 논증하면서 인식된 상속제도의 여러 면모를 소개하였다. 향후 상속법리에 관하여 위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하고 풍부한 실증연구가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