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육에서 본 상상력에 대한 교육적 탐색: 발달적 관점을 넘어서

        오채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학논집 Vol.2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literature related to philosophy, the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o search for the educational meaning of imagination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master and doctoral theses, articles, and books. As for the results, the discussion topics of imagination in early childhood area consisted of the meaning of imagination from early childhood, the possibility of imagination education and the practice of imagination education, and the teacher’s imagin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irst topic, I examined the concept of imagination in the early childhood and other academic areas and investigated the new concept of imagin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second topic, I examined the possibility and the practice of imagination education. In the third topic, I examined the concept and role of imagination and investigated the relevance of educational direc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fourth topic, I discussed the contents considering the curriculum when teachers practice the imagination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상상력과 관련된 철학 및 교육학, 유아교육 분야의 문헌을 고찰함으로써, 유아교육 분야에서 상상력이 갖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상력을 연구 주제로 삼은 철학, 교육학, 유아교육 분야의 석․박사 학위논문, 학회지, 저서 등의 문헌을 중점적으로 수집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 분야에서 상상력에 관해 논의가 필요한 내용을 상상력 개념의 유아교육적 의미, 상상력의 교육가능성과 유아교육 실천, 유아교사의 상상력이라는 3가지 주제로 설정하고 논의하였다. 첫째, 상상력 개념의 유아교육적 의미 주제와 관련해서, 상상력의 개념이 타 학문 영역과 유아교육 분야에서 어떻게 이해되어 왔는지를 검토하고, 유아교육 분야에서 새롭게 조명해볼 수 있는 상상력의 개념을 탐색하였다. 둘째, 상상력의 교육가능성과 유아교육 실천과 관련해서, 상상력의 교육 가능성 논제를 검토하고, 유아교육 분야의 상상력 교육 실천과 대안을 탐색하였다. 셋째, 유아교사의 상상력과 관련해서, 유아교사 상상력의 개념과 역할 등을 검토하고, 유아교육의 방향과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초로, 유아교육에서 상상력 가치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하고자 할 때, 교육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측면이 무엇인지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시적 상상력 계발을 위한 교육 방법 연구

        손예희(Son, Ye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시 교육에서 상상력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 교육에 있어 상상력 논의를 시를 해석하는 주체 입장에서의 실천적 활동으로 재개념화하고, 독자의 상상력이 시 해석에 있어 작용하는 양상과 상상력을 가능하게 하는 시 교육 방법을 본격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시해석 과정에서 독자의 상상력 양상을 살피고, 시를 경험하는 행위의 본질적 원리인 상상력을 기반으로 하여 시 교육을 받는 독자가 시를 해석하는 능력을 원활하게 증진해 갈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시 해석 과정에서의 상상력 양상을 지각적 재생의 상상력, 전이적 구성의 상상력, 창조적 생성의 상상력으로 살피고 이를 토대로 상상력 계발을 위한 시 교육의 방법을 유사성 발견하기, 차별성 분석하기, 형상적 표현하기, 타당성 검증하기로 구안하였다. 본 연구는 시 해석과정에 작용하는 독자의 적극적인 상상 활동에 주목하여 시 교육의 방향을 점검하였다는 데 의의를 지닌다. 이상의 논의들이 시 교육 현장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학습 독자 변인에 대한 보다 상세한 고찰이 필요하며 이는 후속 논의를 통해 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ducational method centered on the problem of imagination in poetry education. In poetry education, the imagination discussion was re-conceptualized as a practical activ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bject interpreting poetry, and the poetry education method that enabled the reader s imagination to act in poetry interpretation was attempted in earnest. To this end, I looked at the reader s imagination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poetry, and sought ways to smoothly improve the ability of readers who received poetry education to interpret poetry based on imagination, the essential principle of the act of experiencing poetry. Through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imagination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poetry as the imagination of perceptual reproduction, the imagination of transitional construction, and the imagination of creative creation. Based on this, the method of poetry education for developing imagination is to find similarity for the reproduction of experience, to analyze the differenti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xperience, to express for the creation of the experience, and to verify for the communication of the experienc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d the direction of poetry educ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ader s imaginative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poetry. In order for the above discussions to be applied to the field of poetry education, more detailed consideration of the variables of learning readers is needed, and this is to be supplemented through further discussion.

      • KCI등재

        미래교육으로서의 물질적 상상력과 미술교육 미술교육에서 물질과 시각성의 재개념화: 바슐라르의 이론을 중심으로

        류지영(Jiyeong RYU)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9

        본 연구는 팬데믹 이후 온라인 수업이 일상화된 오늘날, 기존의 미술교육에서 불가결했던 재료와 매체 등 물질에 의한 미술의 물질성과 상상력에 대해 변화된 학교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재검토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따른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미술교육을 통한 교육의 중요한 의의 가운데 예술적 능력, 예술적 상상력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며, 그 과정 에서 창의성과 물질적 상상력의 기초로서 물질의 개념과 이론에 대한 접근이 필수적이다. 물질에 대한 인식, 물질로 이루어 지는 미술교육의 문제, 온라인시대에 물질로서 물리적인 재료와 매체의 인식과 의의, 과제 등 기존의 접근에 대한 재검토와 고찰, 이에 의해 물질성으로서 미술교육의 재개념화가 요청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물질을 기초로 하여 가능한 상상력인 물질적 상상력을 미술교육의 중요한 의미로 두고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본 연구에서는 가스통 바슐라르의 물질과 상상력의 개념을 파악하고, 상상력과 이미지의 관계를 중심 으로, 미술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창의성의 중요한 동력으로서 물질적 상상력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기초로 하여 미술교육에 서의 물질적 상상력, 시각성과 미래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탐색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teriality and imagination of art and to re-examine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in post-corona era. Among the important significance of education through art education is the search for artistic ability and artistic imagination, and in the process, access to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matter as the basis of creativity and material imagination is essential. It is requested to reconsider and consider existing approaches such as material recognition, art education problems made of materials, recognition, significance, and tasks of physical materials and media as materials in the online era, and re-conceptualization of art education. In order to materialize this study, the material imagination, which is a possible imagination based on materials, is an important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and focuses on Bachelard s theory of imagination.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identifies the concept of material and imagination of Gaston Bachelard, and examines material imagination as an important driver for creativity that forms the basis of art educ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ination and image.Based on this, I explore material imagination, creativit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in art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과 교육목적으로서 상상력의 이해: 내러티브적 접근

        김유라,강현석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7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5 No.3

        상상력은 고대 그리스와 로마시대에서부터 논의되는 인간의 중요한 정신능력 중 하나 라고 볼 수 있다. 상상력은 흔히 인간의 상상력을 불완전한 혼란과 거짓된 것이라는 플 라톤과, 진리인식에 대한 중요한 정신능력으로 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으로 대비되 어 설명되면서 이러한 흐름이 계속되었고, 바슐라르에 의해 상상력에 관한 코페르니쿠 스적 전환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상력은 이제 더 이상 철학적 사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 목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타당한 교육방법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 점이다. 중요한 교육학자이자 교육과정 학자인 아이스너, 파이너, 브루너에게서도 교육의 목 적으로서 상상력에 대해 주목할 만한 언급을 발견할 수 있다. 교육과정에서 상상력은 하 나의 분리된 정신능력이나 특정 교과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의 전 과정 속에 스 며들고 구현되어야 하는 하나의 문화적 과업인 셈이다. 상상력을 교육한다거나 상상력 을 통한 교육이 아니라 교육한다는 것 자체가 상상력이 포함되어야 하고, 교육활동과 교 육목적 속에 상상력이 살아 숨 쉬어야 한다. 브루너의 용어로 보면 패러다임적 학교 문 화에서 훼손당하는 상상력을 이제 내러티브 문화 속에서 그 중요한 의미와 가치를 복원 해야 할 때이다. Imagin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mental abilities of humans, which has been discussed from the ancient Greek and Roman times. Regarding imagination, Plato called it something fake and incomplete confusion while Aristotle viewed it as an important mental ability for the perception of truth. This flow faced the Copernican change in imagination by Bachelard. Such imagination is not only the philosophical thinking any more, but also actively reflected to curriculum. Many pedagogists and curriculum scholars representing the 21st century such as Eisner, Finer, and Bruner emphasize the imagination in education. Instead of a separate mental ability or subject, imagination should be demonstrated in the whole processes of education. It is not the education of imagination or through imagination, but the education that includes imagination in its activities and goals.

      • KCI등재

        몬테소리 유아상상력 교육의 의미

        차상희(Sang Hee Cha)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는 몬테소리 교육사상에서 다소 제한적으로 연구되어온 상상력의 의미를 분석하여 몬테소리 상상력 개념과 교육적 의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몬테소리 저서와 강연집 뿐만 아니라 상상력과 관련되는 국·내외 자료를 탐색하여 몬테소리가 강조하고 있는 상상력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몬테소리의 상상력의 의미는 첫째, 정신적 능력의 확장으로서의 상상력 둘째, 내적 규율의 추상화로서 상상력 셋째, 자연적 실재의 표현을 강조하는 상상력 넷째, 삶의 궁극 목표인 사랑의 실현으로서 상상력을 나타낸다. 몬테소리는 상상력 발달을 위해 유아기 상상력 교육의 중요성과 유아상상력 교육은 자발적 활동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상상력은 이성과 정서의 종합적 특성으로 총체적 의미의 상상력 발달이 중요함을 제시한다. 또한 몬테소리 상상력은 자연적 실재의 표현을 강조하여 인위적이고 상업화된 형식적인 유아교육의 잘못된 방법들에 시사점을 준다. 몬테소리의 상상력은 오늘날 유아기에 적합하지 않은 과도한 조기교육, 폭력성이 난무하는 미디어 등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한다. 상상력은 교육의 궁극목적으로서 사랑의 차원으로까지 확대된다. 몬테소리는 교육은 자발적인 상상의 과정이며 이러한 상상은 선을 지향해야한다고 하였다. 몬테소리 교육에서 상상력은 ‘사랑’, ‘우주적 통일체’, ‘정상화’ 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유아중심교육에 의의가 있다. 뿐만 아니라 몬테소리 유아상상력 교육은 유아교사의 올바른 역할과 자연교육에 많은 영향을 준다. This study examines the nature of imagination in Montessori early childhood education. Imagination is a characteristically human capacity, an innate power of children to develop as their mental capacities are established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The imaginative ability to grasp the whole generates a sense of wonder and gratitude for the world``s large-scale diversity. Wonder is a magnet; it impels from within. Gratitude fosters well being and harmony; it bonds with the universe. First, Montessori``s Imagination is an extension of humans`` mental capacity, an extension further supported by scientific classification, as Montessori suggested when she said, “the world always repeats more or less the same elements.” Thus, it is with the aid of both imagination and abstraction that the elementary child can expand the idea. Second, it is Imagination as Love of Interdisciplinary Abstraction. The nature if the imaginative investigations is a passion demonstrated within and among all subjects, a way of experiencing the disciplines in a common world, a seamless web of interconnected knowledge to be explored uniquely by each teacher and child. Third, Imagination emphatically expresses nature``s reality. Montessori emphasized that the imagination of a six-year-old cannot take flight without prior grounding in sensory experience, without a well- articulated reality achieved in the first plane. Fourth, Imagination is the basis for philosophy of life and Service. Imagination is an engine that drives the elementary years; it powers the quest for knowledge across disciplines. The imagination, now a conscious resource in early childhood, forms a child``s life vision while integrating the child``s personality.

      • KCI등재

        비행청소년 교정교육에서 상상력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오승호 ( Seung Ho Oh ) 한국법교육학회 2012 법교육연구 Vol.7 No.1

        모든 인간은 상상하는 존재이다. 하지만 비행청소년 교정교육 차원에서 상상력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인식은 부족하다. 그 결과 상상력이 비행 청소년의 교정교육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다. 상상력은 비행 청소년의 탄력성을 증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탄력성은 위험 요인을 극복할 수 있는 역동적인 개인적 능력이다. 탄력성을 강화시키는 요인들은 교정교육의 주요한 목표가 될 수 있다. 교정교육의 주요한 목표가 될 수 있는 탄력성 요인들로는 자기 효능감, 문제해결능력, 감정과 충동조절, 공감과 수용,낙관주의, 목표와 희망, 의미추구, 종교적 영성, 사회적 능력, 자율성 등이다. 상상력은 이와같은 교정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데 유용한 수단이다. 상상력은 창조적 상상력, 관계적 상상력, 통합적 상상력, 신화적 상상력 형태로 탄력성 요인을 효과적으로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비행 청소년 교정교육에서 상상력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상상력 교육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현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All human is beings to imagine. But perception about the meaning and role of imagination is not enough in the dimension of juvenile correctional education. As a result there is little discussion on what role imagination can play in juvenile correctional education Imag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to promote the resilience of juvenile delinquent Resilience is a dynamic personal ability to overcome risk factors. Such resilience factors can be the main goals of juvenile correctional education Resilience factors to be the main goals of juvenile correctional education are self efficacy, problem solving ability, the regulation emotion and impulsiveness empathy and acceptance, optimism, goals and hopes, pursuit of meaning, religious spirituality, social competence, autonomy, and so on. Imagination is an useful means to effectively achieve the goals of juvenile correctional education. Imagination plays a role to strengthen resilience factors such as types of a creative imagination, a relational, a moral, an integrative, a myth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about imagination, and vitalize the discussions on how to realize imaginative education concretely in juvenile correctional education.

      • KCI등재

        역량 중심의 인성교육을 위한 도덕적 상상력 함양 방안

        이인재(Lee In Jae)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0

        도덕적 상상력은 특정한 상황에서 자기중심성에서 벗어나 가능한 여러 대안을 생각해 보고, 그 결과들의 옳고 그름, 좋고 나쁨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으로 도덕적 추론, 공감, 배려, 동정심이 발휘될 때 가능한 것이다. 최근 역량 중심의 도덕과 교육 및 인성교육이 강조되면서 학생들이 도덕적 상상력을 잘 발휘하여 주어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면 인성교육 및 도덕과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도덕적 상상력에 대한 연구는 도덕적 상상력의 의미 분석을 토대로 도덕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일반적인 방안을 탐구한 것이며, 최근 대두되고 있는 역량중심의 인성교육 또는 도덕과 역량이나 기능 함양과 관련하여 도덕적 상상력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의 근거를 찾고 이에 터한 도덕적 상상력을 기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덕적 상상력의 의미와 속성, 작동 기제 등에 대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역량중심 인성교육과 도덕과 역량 또는 기능 함양을 위해 적절한 요인을 찾아 이에 부합하게 도덕적 상상력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Moral imagination can generally be defined as the ability to escape from self-centeredness in a particular situation, to consider the possible alternatives, and to evaluate the right and wrong or good and bad of the results. Moral imagination therefore can be effectively exercised when moral reasoning, empathy, care and compassion are functioned properly. With the recent emphasis on competence-based character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if students have learned moral imagination to solve a given problem, it can help them achieve the goal of character education or moral education. However, existing researches on moral imagination have explored general methods that can be used in moral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moral imagination. There has been no research that finds a basis for how to be connected and suggests ways to develop moral imagination in relation to competencies. until now.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ompetence-based character education and its purpose is to explore the appropriate factors for developing competences or functions to cultivate moral imagination.

      • 슈타이너 교육사상에서의 상상력과 교육

        최숙연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09 발도르프교육연구 Vol.1 No.1

        본 논문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교육사상가 루돌프 슈타이너의 상상력의 개념을 탐색해 봄으로써 현재 우리의 교육에 던지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해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금까지 서구에서 상상력은 이성과 배치되는 열등한 개념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인간의 중요한 정신적 능력의 하나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최근 과도한 주입식 지식교육과 조작주의의 열풍이 교육에 몰아치고 있는 시점에서 보다 근원적인 입장에서 상상력을 논하는 것은 그것이 또 다른 조작주의의 도구가 될 개연성을 차단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한 측면에서 루돌프 슈타이너의 상상력은 근원적인 인간이해에서 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데, 인간의 몸(신체), 혼(영혼), 영(정신)과의 깊은 관련 속에서 이해되며, 특히 의지, 감정, 사고의 통합체인 인간의 혼(영혼)과의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슈타이너의 상상력은 여러 위계를 지니고 있는데, 본논문에서는 그 중에서 '일상적 상상'(die gewöhnliche Imagination)과 '형상적 상상'(Die bildliche Imagination)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일상적 상상'은 인간의 의지와 공감에서 유래하는 판타지(Phantasie)가 표상(사고)과 만나는 시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감각지각의 결과인 표상과 밀착되어 있으며, '형상적 상상'은 그 표상을 끊어내고 초감각적 영역, 순수사고의 영역의 실재가 자신을 드러내는 양상이다. 이와 같이 슈타이너의 상상력은 인간의 의지, 감정, 사고와의 깊은 관련 뿐 아니라 개별 인간을 넘어선 초월적 영역과의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놓아 상상력의 위상을 강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 지니고 있는 교육적 의미를 '통합의 매개로서의 상상력', '관계회복의 가능성으로서의 상상력', '행위이행의 기반으로서의 상상력'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는 상상력의 차원을 넘어 우리의 교육의 근원을 회복하는 단서가 되며 희망의 근거가 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초등교육에서 상상력을 활용한 생태교육의 가능성 모색

        홍서영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4

        Our society encounters ecological crisis; one of the solutions to overcome the crisis is to develop the ecological literacy of students. Since imagination is important asset for intellectual creation, application of imagination to ecological education can foster students’ ecological literacy and, eventually, can be a breakthrough in the crisis. In this study, I have investigated the importance of imagination as a tool of ecological education and suggested new strategies in elementary education using imagination. Specifically, this study introduced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of ecological literacy and reviewed the history of imagination. Further, the study revealed the interaction between imagin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and reconstructed Judson’s (2015) study to suggest the strategy of ecological education by exploiting imagination. Since this strategy includes both affective and cognitive aspects, it facilitates the process for students to acquire ecological literacy more efficiently. Therefore, this method will pave the way for providing optimized ecological education to students who are responsible for ecology in future. 현재 생태학적 위기 극복을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안은 학생들의 생태 소양을 함양시키는 것이다. 상상력은 인간의 지적 창조 작업에 있어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상력을 생태교육에 적용한다면 학습자의 생태 소양을 함양시킴과 동시에 현재 생태학적 위기를 극복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생태교육의 도구로서 상상력의 가치를 고찰하고, 상상력을 활용한 초등교육의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생태 소양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탐색하고, 상상력의 개념적 정의를 역사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상상력과 생태교육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상상력을 활용한 생태교육은 어떤 모습으로 실행될 수 있을지, 제시한 상상력을 활용한 생태교육을 초등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재구성하였다. 사고와 감정이 연계된 상상력을 이용한 생태교육은 정의적 측면과 인지적 측면 모두를 포괄하여 학생들이 효율적으로 생태 소양을 습득하는 데 도움을 준다. 따라서 초등교육에서 상상력을 활용한 생태교육이 이루어진다면 미래의 생태 시민인 학습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생태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시적 상상력을 통한 시 창작 교육 연구

        김영관(Kim, Yeong-gwa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1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5 No.1

        문학 교육에서 창작 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지만, 교실 수업에서 창작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태를 지적하고, 그 이유로 감상 위주의 교수-학습 형태와 창작을 개인의 천부적인 소질로 취급하여 교육의 대상에서 빼 버려도 무방하다는 분위기를 지적하였다. 또한 그 동안의 연구 성과가 ‘시 교육론’이나 ‘시 창작론’에 치우쳐 있어 ‘시 창작 교육론’에 대한 연구 성과가 미비함을 지적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전문 시인의 입장이 아닌, 시 쓰기 과정에 참여하는 학습자, 즉 창작 주체의 입장에서 상상력을 통한 시 창작을 논의하였다. 관찰과 체험을 통한 시적 상상력에서는 세상에 대한 세밀한 관찰과 체험을 통해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고, 남들이 들을 수 없는 것을 들을 수 있는 ‘개성적 안목’을 기를 것을 요구했다. 이것은 시적 상상력을 확장하기 위한 출발이며, 창작뿐만 아니라 다른 시를 감상할 때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명상과 체험을 통한 시적 상상력에서는 시 창작에 앞서 정제된 시상(詩想)을 이끌어 내는 데 있어 명상의 중요성을 말하고, 연상을 통해 상상력을 확장하고 극대화하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교사는 창작 주체로 하여금 명상과 연상을 통하여 상상력의 이미지를 자유롭게 기록하게 한 후, 시가 될 수 있는 것과 시가 될 수 없을 것을 해석해 주어야 한다. 기억과 재생을 통한 시적 상상력에서는 과거의 경험을 어떻게 현재에 재생하는지, 재생하는 과정에서 상상력의 확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과거와 현재의 시간적 간극은 상상력을 더욱 자극시킬 수 있으며, 그것은 현재의 상황에 맞게 재해석 되고 굴절될 수 있다. 기억이 갖고 있는 다양한 서사적인 요소를 창작 주체가 추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그것에 상상력과 여러 가지 시적인 요소가 어떻게 가미되는지 도와줄 필요가 있다. 필자의 의도와 고민은 시를 잘 쓰는 창작 주체를 양성하는 데 있지는 않다. 교사는 큰 고민이나 어려움 없이 시 창작을 교수-학습할 수 있고, 학습자는 시 창작이 특별한 것이 아닌 장르를 달리하는 단순한 글쓰기로 생각하기를 바라는 데 있다. 그래서 감상 위주의 문학 수업이 창작과 감상이 적절하게 균형을 맞추는 역동적인 수업이 되길 바란다. The introduction pointed out that writing education had not been provided properly in classroom lessons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writing education had increased in literary education every day and that the situation was derived from the atmosphere that considered appreciation-oriented teaching and learning and writing as parts of individuals’ innate talents and assumed it would create no problem to leave those areas behind in the field of education. It also pointed out that there had been poor research findings on “theories of education on poetry writing” as research efforts had been inclined toward “theories of poetry education” and “theories of poetry writing.” Taking a start in those issues, the study discussed poetry writing through imagination in the shoes of a learner in a poetry writing process or a subject of creation rather than a professional poet. Poetic imagination through observation and experience asked the students to develop “distinctive eyes” to see what others cannot see and hear what others cannot hear through the detailed observations and experiences of the world. It is a starting point in the expansion of poetic imagination and serves as an important factor in poetry appreciation as well as in poetry writing. Poetic imagination through meditation and association addressed the importance of meditation, which pulls purified poetical ideas out of an individual before poetry writing and discussed how to expand and maximize imagination through association. The teacher needs to let the subjects of creation write down the images of their imaginations freely through meditation and association and interpret them to tell which of them can be poetry and which of them cannot be poetry. Poetic imagination through memory and reproduction examined how past experiences could be reproduced in the present and what kind of role the expansion of imagination would play in the reproduction process. The time gap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may stimulate imagination further and be reinterpreted and refracted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The teacher needs to help the subjects of creation extract a variety of narrative elements contained in memory and add imagination and various poetic elements to them. The investigator did not intend to produce the subjects of creation that are good at poetry writing through those purports and contemplations and wanted to help the teachers teach poetry writing with no particular worries or difficulties and the students regard poetry writing as a different genre of writing rather than something special, hoping appreciation-based literary classes will be dynamic with proper balance between creation and apprec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