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술과 교육과정에서의 ‘빅 아이디어’와 ‘핵심 개념’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류지영(Jiyeong RYU)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5

        본 연구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핵심 개념’의 배경 개념으로서 ‘빅 아이디어(big idea)’의 의미를 미술과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역할을 탐색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핵심 개념’에 대한 기존논의를 그 평가 및 비판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핵심 개념’ 용어의 적절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중심이 되며, 특히 교과의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의 의미의 변화 및 용어 자체의 문제점 등으로, 이를 ‘빅 아이디어’의 관점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빅 아이디어는 교과의 근본적 관념이다. 이에 대한 인식 및 지향은 미술교육이 추구하는 방향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교육과정총론 및 타 학문 분야의 교육과정과도 연계된다. 빅 아이디어를 미술과 교육과정의 중심으로 다룬다면 교육과정 및 수업설계를 위한 기초적 측면을 이해하고 교육적 도움이 클 것으로 본다. 이러한 관점에서 빅 아이디어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해인식하고 이에 의한 핵심 개념의 재개념화와 더불어 빅 아이디어를 미술과 교육과정에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consider the ‘key concept’ in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and to examine and embody the meaning of ‘big idea’ from the perspective of art as the background concept of key concept . Looking at the existing discussion of ‘key concept’ from the perspective of assessment and criticism, it is necessary to percept them from point of view on the ‘big idea’, particularly with the question of the adequacy of the ‘key concept’ term, especially with changes in meaning and problems with the term itself in the course of developing the curriculum. A big idea is the fundamental idea of teaching. The perception and orientation of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direction pursued by art education and is also linked to the general curriculum and other academic curricula. If the big idea is dealt with as the center of art curriculum, it will understand the basic aspects of the curriculum and curriculum design.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role and potential of big ideas and to use them in the national art curriculum along with the re-conceptualization of key concepts.

      • KCI등재

        감성학으로서의 미술교육 - 미술교육에서 심미성의 재개념화 -

        류지영(Jiyeong RYU)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4

        본 연구는 미술을 대면하는 인간의 미적 실천으로서의 미학에 대해 감성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성의 관점에서 미적 인식으로서의 심미성을 중심으로 미술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인간의 실천적 행위인 예술을 둘러싼 인간 교육 및 활동의 핵심으로서 심미성의 의미와 성격을 살펴볼 수 있다. 미술은 대상과 주관이 역동적으로 상호 소통하는 실천이며 그 실천은 대상의 미적 속성의 능동적이며 구체적인 실천으로서 심미성을 바탕으로 한다. 감성학은 과거 ‘미학적 접근’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미적 태도와 심미적 실천으로서 이제는 심미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미술교육인 것이다. 단순히 감각이나 감성적 접근이 아니라 심미가 중심이 되는, 즉 미적 태도와 미적 관계 맺음을 전제로 하는 감성적 접근은 미적 감각을 내재화한 감성이다. 지성과 더불어 감성의 작용을 통해 이루어지는 미술의 체험은 일상적인 실천이면서 동시에 일상과 차별되는 것으로서 역사적·사회적 관습과 맥락을 반성적 으로 성찰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그리하여 인간의 활동과 삶으로 다시 확장 가능하다. 지성을 관통하는 감성, 감성을 기르는 지성, 인간에 대한 접근으로서의 미술교육에서 감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aesthetics as a human aesthetic practice facing art from the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I would like to explore the new possibilities of art education, focusing on aesthetics as aesthetic perception.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nature of aesthetics as the core of human education and activities in art can be examined. Art is a practice in which objects and subjects dynamical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practice is based on aesthetics as an active and specific practice, not a passive acceptance of the aesthetic attributes of the object. What makes this possible is art education. It is not just a sense or emotional approach, but an aesthetic approach that presupposes an aesthetic attitude and an aesthetic relationship centered on aesthetics. The experience of art through the action along with intelligence is both daily practice and differentiated from daily life and has the power to reflect on historical and social customs and contexts. Thus, it can be expanded to human activities and lives.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aesthetics in art education as aesthetic that penetrates intelligence, intelligence that develops aesthetics, and a holistic approach to humans.

      • KCI등재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술교과 역량 탐색을 위한 미술 이론과 실천 연계의 재개념화

        류지영(Jiyeong RYU)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80

        최근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서 핵심역량과 교과 역량, 빅 아이디어로 서의 영속적 이해를 위한 핵심개념을 비롯한 교육과정 논의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및 교과 역량과 OECD의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21세기 학습 틀 등을 통해 미술과에서도 역량과 교육과정 틀을 재개념화하고 구상할 필요가 있으며 교과의 본질로서 교과 역량 탐색이 필요하다. 현재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에서 지식과 기능, 가치 및 윤리 측면의 균형이 더 고려되어야 하며 또한 역량 개념에 대한 재정립의 필요성과 함께 교과의 본질 및가치의 측면에서 미술 이론과 실천의 밀접한 연계가 더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지와 실천적 지, 행동주의적 접근과 인문주의적 접근 및 존재론적 접근 등을 통해 미술교과 역량에 대한 다원적 이해와 탐색을 목적으로 현행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미술교과 역량에 대해 살펴본다.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술적 역량(예술적 역량)의 모색 으로서 미술교과의 존재론적 접근과 지식으로서의 미술이론을 보는 관점, 미술 이론과 실천의 핵심으로서 조형성의 원칙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물질성에 대해 탐색하고, 미술지의 탐구로서 미술 이론과 실천 연계를 예술적 사고와 진선미의 통합의 관점에서 다루며 이를 바탕으로 미술과 교육과정 담론에서의 쟁점을 모색한다. Recently, curriculum studies, including key competencies, curriculum competencies, and key concepts for enduring understanding as big ideas, are underway. Through the key competencies and curriculum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21st century learning framework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it is necessary to re-conceptualize and conceive the competency and curriculum framework. Thus, it is necessary to explore subject competency as the essence of the subject. In the current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balance of knowledge, function, value and ethics should be considered more, and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art theory and practice should be more important in terms of the nature and value of the subject. This study examines art subject competencies focusing on the current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pluralistic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of art subject competencies through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activist approaches, humanistic approaches, and ontological approaches. In conclusion, the national art curriculum should explore the ontological approach and art theory as knowledge through new educational changes, the principle of formability as a subject competency, and the materiality that enables it.

      • KCI등재

        인류세 시대의 미술교육: 인간과 비인간 사이 관계성으로서의 예술

        류지영(Jiyeong RYU)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71

        오늘날 포스트휴먼 시대에 ‘인류세’는 기후 변화에 초점을 두고 인간이 만든 지질 시대로서 현대 사회에서 문제가 되는 새로운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류를 둘러싼 문제로서 인류세 담론을 다루며 예술을 중심으로 인간과 주변 환경, 그 사이의 상호작용을 다루었다. 인류세 담론을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다루는 것은 미술교육에서 인간과 사물의 관계 및 연결망, 어셈블리지들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가에 대한 관심과 함께 예술 주체로서 ‘인간’의 재인식에 이르게 한다. 다양한 물질과 기호적 힘, 실천들에 주목하며, 관계성의 미학과 제도 등에 의해 약화되어 온 물질, 매체와 오브제 개념 및 그 중요성에 대해 재인식하도록 한다. 인간을 특권화하지 않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접근으로, 관계적 사고와 홀리스틱적 관점에서 예술을 통한 다양한 사고를 함양하도록 한다. 예술은 특정 주체나 객체가 아니라 ‘관계’ 자체의 문제라는 인식에 이르며 근대와 근대성, 사회와 문화, 인간을 보는 제 시각 전체에 대해서 돌아보며 근본적인 자기성찰을 요구하는 것이다. In today’s post-human era, the ‘Anthropocene’ is a man-made geological era with a focus on climate change, a new concept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deals with the Anthropocene discourse as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their surroundings, focusing on art. In art education, we focus on how human beings and objects relate to each other, assemblies influence each other, and the re-recognition of ‘human’ as artistic entities. Attention is paid to various substances, symbolic forces and practices, and re-recognize materials, media and object concepts and their importance. A post-human approach that does not privilege human beings in relation to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to cultivate various thoughts through related thinking and through art from a holistic approach. It reaches to the perception that art is a matter of relationship itself, not a specific entity or object, and calls for fundamental self-reflection, looking back at modernity, society, culture and the whole view of human beings.

      • KCI등재

        미래교육으로서의 물질적 상상력과 미술교육 미술교육에서 물질과 시각성의 재개념화: 바슐라르의 이론을 중심으로

        류지영(Jiyeong RYU)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9

        본 연구는 팬데믹 이후 온라인 수업이 일상화된 오늘날, 기존의 미술교육에서 불가결했던 재료와 매체 등 물질에 의한 미술의 물질성과 상상력에 대해 변화된 학교 미술교육의 관점에서 재검토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따른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미술교육을 통한 교육의 중요한 의의 가운데 예술적 능력, 예술적 상상력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며, 그 과정 에서 창의성과 물질적 상상력의 기초로서 물질의 개념과 이론에 대한 접근이 필수적이다. 물질에 대한 인식, 물질로 이루어 지는 미술교육의 문제, 온라인시대에 물질로서 물리적인 재료와 매체의 인식과 의의, 과제 등 기존의 접근에 대한 재검토와 고찰, 이에 의해 물질성으로서 미술교육의 재개념화가 요청되는 것이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물질을 기초로 하여 가능한 상상력인 물질적 상상력을 미술교육의 중요한 의미로 두고 바슐라르의 상상력 이론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본 연구에서는 가스통 바슐라르의 물질과 상상력의 개념을 파악하고, 상상력과 이미지의 관계를 중심 으로, 미술교육의 근간을 이루는 창의성의 중요한 동력으로서 물질적 상상력에 대해 고찰한다. 이를 기초로 하여 미술교육에 서의 물질적 상상력, 시각성과 미래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탐색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teriality and imagination of art and to re-examine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in post-corona era. Among the important significance of education through art education is the search for artistic ability and artistic imagination, and in the process, access to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matter as the basis of creativity and material imagination is essential. It is requested to reconsider and consider existing approaches such as material recognition, art education problems made of materials, recognition, significance, and tasks of physical materials and media as materials in the online era, and re-conceptualization of art education. In order to materialize this study, the material imagination, which is a possible imagination based on materials, is an important significance of art education and focuses on Bachelard s theory of imagination.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identifies the concept of material and imagination of Gaston Bachelard, and examines material imagination as an important driver for creativity that forms the basis of art educa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ination and image.Based on this, I explore material imagination, creativit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in art education.

      • KCI등재

        학교미술교육 강화를 위한 미술 교과서 내용 개선 제안: 동시대 미술,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 미술 감상·미술관교육의 3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이주연(Jooyon LEE),류지영(Jiyeong RYU),고황경(Hwanggyung KO)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3 core themes(‘contemporary art’, ‘community-linked art(public art)’, ‘art appreciation·museum education’) proposed by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enhancement of school art education. This study was done as the base research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school art education’ and ‘happy life with art’ promoted through a set of School Arts Education Plans(MOE, 2018; 2019; 2020) and Art Promotion Plan(MCST, 2018) by the governmen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64 elementary to high-school art textbooks by 2015 revised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MOE, 2015a) were analyzed. The standard of analysis for screening art textbooks was reviewed and verified by 7 school art-education experts. The result and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 next national art curriculum and art textbooks, and would bring about the effect of leading the advance of school art education. 본 연구는 현 정부가 ‘학교예술교육중장기계획’(교육부, 2018), 학교예술교육활성화기본계획(교육부, 2019; 2020) 및 ‘미술 진흥중장기계획’(2018-2022)(문화체육관광부, 2018)을 통해 추진하는 ‘학교예술교육의 질적 제고’ 및 ‘미술로 행복한 삶’을 위한 기반 연구의 하나로, 학교미술교육 강화를 위하여 주목해야 할 3가지 핵심 주제, 즉, ‘동시대 미술’,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 ‘미술 감상·미술관교육’이 학교미술교육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학교미술교육 전문가 7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자문회의를 통해 교과서 분석을 위한 주제별 필수 내용 요소로서의 분석기준을 점검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교육부, 2015a)에 따라 개발된 초·중·고 미술 교과서 총 64권을 분석하였다. 학교미술교육의 강화를 위한 본 연구의 제안들은 우리나라 미술교육 정책을 비롯하여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 및 학교급별 미술 교과서 개발 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학교미술교육 전반에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올 것이라 기대된다.

      • PET/CT 업무환경 내 방사성의약품 취급 시 Apron의 실효성 평가

        허성용(Seongyong Heo),김윤환(Yunhwan Kim),김재현(Jaehyeon Kim),김희수(Heesoo Kim),류지영(Jiyeong Ryu),성민제(Minje Seong),장현지(Hyunji Jang),고성진(Seongjin Ko) 한국방사선학회 2015 한국방사선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추계

        본 연구는 선량 측정 장비를 통한 실측과 몬테카를로 기법을 기반으로 한 모의실험을 통해 핵의학 분야의 PET/CT 업무환경 내 선원 취급 시 Apron의 실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현재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공간선량계와 보조선량계를 이용한 실측을 통해 선원과의 거리별 Apron의 납 당량 (Non apron, 0.25, 0.5, 0.75, 1.2, 1.25 mm)에 따른 공간 선량률을 측정하였고, MCNPX 모의실험을 통해 동일한 기하학적 조건 내에서 선원과 인체 팬텀과의 거리별 Apron 납 두께 (Non apron, 0.25, 0.5, 0.75, 1.0, 1.25 mm)에 따라 팬텀 내 피부 및 생식선에 흡수된 선량 분포를 측정하여 상호간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 장비를 통한 실측 결과, 납 당량이 증가할수록, 선원과 접촉하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공간 선량률이 지수함수 분포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도한 모의실험 내 피부 및 생식선 선량 평가 결과, 생식선의 경우 피부보다 더 높은 선량을 나타냈으며, 거리별 납 두께에 따른 선량감소율은 실측에 비해 다소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Apron의 증가된 납 당량 사용과 동시에 적정 거리를 유지하여 업무를 수행한다면 종사자의 피폭 저감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나, Apron 납 당량을 무한정으로 증가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추후 연구를 통해 PET/CT 작업환경 내 핵의학 종사자의 피폭 저감화에 적절한 납 당량의 증가와 동시에 Apron 경량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imed at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n apron in handling the radiation source within the PET/CT work environment in the field of nuclear medicine through the actual measurement using does measuring equipment and a simulation based on Monte Carlo method. Space radiation dose rates according to the lead equivalent of an apron were actually measured with respect to the distance from the radiation source using a space radiation dosimeter and a supplementary dosimeter currently used in medical institutions, and through a MCNPX simulation, the dose distribution absorbed in the skin and genital glands of a human body phantom was measur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radiation source and the phantom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lead in an apron. Subsequently, both sets of measurement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In the actual measurement using the equipment, as the lead equivalent and the distance from the radiation source were both increasing, the space radiation dose was shown to decrease exponentially. Also, the evaluation of the dose in skin and genital glands in the simulation showed that the dose in the genital gland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skin, and the decreasing rate of the dos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lead by the distance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in the actual measurement. If a higher equivalent of lead is used in an apron and at the same time an adequate distance is maintained while the radiation work is underway, it is considered that the exposure of radiation worker will be reduced. However, the lead equivalent cannot be increased without limit. Thus, it is considered that further study on the increase of the lead equivalent adequate for reducing the exposure of radiation workers in the PET/CT work environment as well as the weight lightening of the apron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