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심상담자와 경력상담자의 공감유형의 차이 분석

        송재영,이윤주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frequency of empathy, empathic pattern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empathic contents in counseling session by novice and experienced counselors. According to the operant definition, the empathic patterns consist cognitive, emotive, communicative, and combinative empath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counseling cases, 5 by novice and 5 by experienced counselors. 10 cases were analysed in form of verbatim of counseling between November, 2012 to March, 2013. The selected 10 cases were analysed by domain coding, core-idea coding, cross analysis, balanced method of inspection according to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1 assessors including the author and 2 inspectors took part in the study in this cour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d counselors showed higher empathic quotient as compared with novice counselors. Second, in comparison of empathic patterns, both group showed the most proportion of communicative empathy, followed by cognitive, emotive, and combinative empathy. The analysis of empathic contents was made to clarify qualitative differences of empathic responses between experienced and novice counselors. The experienced counselors improved their empathy ability through the awareness in empathy for other people’s situations. They noticed client’s meaningful arguments faster and have showed more abilities to apprehend client’s structure of cogn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experiential research about counselor’s empathic reflection in empathic patterns. The experienced counselors had to acquire practical knowledge of empathy to deal flexibly with various problematic situation in counseling. It was confirmed by that practical knowledge empathy can be acquired by constant reflection of experience of empathy. Especially, it is significant that various aspects of empathy of counselors was revealed by confirming reflections from concrete empathic pattern. Also, this study revealed positive ground of counselor’s development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group counselor education, by focusing on the different patterns of empathy and characteristics of empathy following the experience level of counselor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ounselor training and supervision. 본 연구에서는 상담회기 중에 초심상담자들과 경력상담자들이 어떤 공감유형을 하는지 그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초심상담자와 경력상담자 각 5명씩 모두 10명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6개월 이내에 심리상담을 진행 중인 수퍼비전경력 10학기 이하의 초심상담자와 수퍼비전학기 10학기 이상의 경력상담자의 상담 사례를 전사축어록 형태로 수집하였다. 공감 유형의 조작적 정의를 위해 연구자를 포함한 상담전문가 3인이 평정작업에 참여하였고, 또 다른 1명의 상담전문가가 감수자로서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상담사례를 분석한 결과 경력상담자는 초심상담자들에 비해 인지적, 표현적, 복합적 공감유형 모두에서 높은 비율의 공감 반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심상담자와 경력상담자들 모두 표현적 공감을 가장 많이 사용했고 다음으로는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복합적 공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사례의 경력별 내용분석을 통하여 깊고 정확한 공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자, 교육 및 훈련과 수퍼비전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의 상담경력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자 특성의 조절효과

        조민경,장유진 한국상담학회 2018 상담학연구 Vol.19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상담경력이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의 관계에서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자 특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 대학상담센터와 청소년상담센터에서 개인상담을 하고 있는 133쌍의 상담자-내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상담경력은 작업동맹과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아, 상담경력이 작업동맹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담자가 상담자의 전문성을 높게 지각한 경우 상담자의 상담경력이 높아지면 내담자가 지각한 전반적인 작업동맹의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내담자가 상담자의 호감도, 전문성, 혹은 신뢰성을 높게 지각한 경우, 상담자의 상담경력이 많을수록 상담과정에서 과제가 합의되었다고 지각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유사하게, 자신의 상담자를 보다 전문적이거나 신뢰롭게 지각한 내담자들의 경우, 상담자의 상담경력이 많을수록 목표가 합의되었다고 지각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작업동맹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로서, 연구결과를 통해 객관적/범상황적 요인으로 간주되는 상담자의 상담경력과 주관적/사례특정적 요인으로 간주되는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자 특성 간의 상호작용 양상을 구체적으로 조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experience and client-rated working alliance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unselor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cli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33 counselor-client dyads who had engaged in individual counseling at a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or a youth counseling institut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unselor experienc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lient-perceived working alliance. Second, when the client is highly aware of the counselor’s expertise, a higher level of counselor experience was associated with higher ratings of overall working alliance. Specifically, for the clients who perceived their counselor as more attractive, more expert, or trust-worthier, counselor experi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perceptions of agreement on tasks. Likewise, for the client group who saw the counselor more expert or trust-worthier, counselor experi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lient ratings of agreement on counseling goal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hed light on dynamic interactions of factors affecting the counselor-client working alliance, particularly the interplay between counselor experience, categorized as one of objective/cross-situational traits, and client-perceived counselor characteristics, as one of subjective/therapy-specific states.

      • KCI등재

        상담경력에 따른 상담자 발달수준과 소진의 관계: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백미현,유현실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difference in counseling development level, counselor burnout, and resilience among different counseling experience groups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unselor development level and burnout. For this purpose, 219 counselors were surveyed working for public sectors, schools, universities and private counseling institutions located at Seoul and Kyonggi province and the psychological inventories measuring counselor development level, resilience, and burnout were administered. Major study results are following. First, the longer the year of counseling experience, the lower the level of burnout perceived by counselors, but the figured showed non-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In addition, the level of resilience was higher in the group of longer year of experience, Specifically, counselors having more than six year of counseling experiences had the highest scores in sub-factors of resilience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efficiency, optimistic attitude and anger control. It also showed that counselors having more counseling experiences perceived themselves in significantly higher development level. Second, the moderating effects of resilience were foun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urnout and counselor development level perceived by counselors in the group of over three years less than six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Implications of the study results on the counselor education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y topic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상담경력에 따라 상담자 지각하는 발달수준과 상담자 소진, 적응유연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상담자 발달수준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 지역의 공공기관, 학교, 대학교, 사설상담센터 등 상담기관에서 실무상담 업무에 종사하는 상담자 219명을 대상으로 상담자발달수준척도, 적응유연성척도, 소진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경력연수가 오래될수록 전반적으로 소진을 낮게 지각하지만 이 수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적응유성 수준은 상담경력이 오래된 집단일수록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특히 대인관계 효율성, 낙관적 태도, 분노 조절 등 적응유연성 하위요인에서 상담경력 6년 이상 집단이 다른 경력수준의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담자 경력이 높을수록 상담자가 스스로 지각하는 발달수준도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 3년 이상 6년 미만의 집단에서 상담자가 지각하는 발달수준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적응유연성이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자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초심상담자와 경력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조절효과

        박지영,박희현 한국놀이치료학회 2022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ca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experienced by counselors according to their counseling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mprised 179 counselor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a simple slope test of variance was then us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the novice counselo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self-car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work-related stress and whole job stress levels. It also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the job stress of the experienced counselor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and self-car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burnout. Third, self-care did not show any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the novice counselors. Fourth, self-care showed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sub-factors(work-related stress, counseling-related stress), whole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the experienced counselors. This study, reveals indicates that the higher the self-care of the experienced counselor, the lower the effect of stress on burnout. Therefore, self-care has been proven to have a mediating moderating effect and self-care has been suggested as a significant moderating variable.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valuable theoretical data which can be used when developing programs designed to prevent burnout in experienced counselors. 본 연구에서는 상담경력에 따른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심상담자 72명과 경력상담자 107명으로 총 179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분석을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Aiken과 West(1991)의 단순기울기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심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상담자의 심리적 소진과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돌봄은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업무관련 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 전체에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심리적 소진과도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경력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과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돌봄은 심리적 소진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초심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은 조절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넷째, 경력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업무관련 스트레스, 상담관련 스트레스)과 직무스트레스 전체,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이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경력상담자의 자기돌봄이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돌봄이 의미 있는 조절효과 변인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경력상담자의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경력기간에 따른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역할갈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구본용(Khu Bon Young),임애자(Lim Ae J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이 상담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전문상담교사의 경력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상담교사 경력에 따라 전문상담교사 역량이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을 선정하여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상담자 268명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전문상담교사 경력에 따른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상담자 소진은 전문상담교사 경력에 상관없이 전문상담교사 역량과는 부(-)적 상관을, 전문상담교사 역할갈등과는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는 경력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5년 미만 경력의 전문상담교사들은 직무역량이 직접적으로 상담자 소진을 감소시키고, 전문상담교사 역량이 높을수록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은 상담자 소진을 증가시키고,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이 간접매개효과가 있었다. 반면, 5년 이상 경력의 전문상담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역할갈등의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아 전문상담교사 역량과 상담자 소진 간의 관계에서 전문상담교사 역할갈등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결과가 연구에 주는 의의 및 실제 상담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s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role conflict on counselor burnout are dependent on the length of career. Methods Based on prior research, the role conflict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 was selected as a variable affec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depending on the length of career, and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role conflict is the mediating variable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8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with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which the study analyzed correlations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us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according to the length of career.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ole conflict of the counselor was confirmed.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role conflict showed a dependency on the length of professional counselor career. It was confirmed that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with less than 5 years of experience directly reduced the counselor burnout depending on their job competency, derived from the analysis that the higher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the less the role conflict of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 Furthermore, the role conflict of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 increased the counselor burnout, and the role conflict had an indirec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the counselor burnout. On the other hand, for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with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 th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counselor teacher’s competency and role conflict was observed to be insignificant, from which we can conclude the role conflict does not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y and counselor burnou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of the study to the research and implications in the field of consult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상담자 상담경력에 따른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 상담목표설정 구체성, 상담자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구본용(Khu Bon Young),박은희(Park Eun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상담경력,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 상담목표설정 구체성, 상담자 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과 상담자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상담자의 상담경력이 상담자 만족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과 상담목표설정 구체성을 선정하여 상담자의 상담경력이 상담자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과 상담목표설정 구체성의 이중매개경로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상담자 482명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변인들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를 보면, 첫째, 상담자 상담경력과 호소문제 명확성, 상담목표설정 구체성, 상담자 만족도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은 상담목표설정 구체성, 상담자 만족도는 정적 상관, 상담목표설정 구체성과 상담자 만족도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상담자 상담경력이 높을수록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이 높아지고,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이 높을수록 상담자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상담자 상담경력와 상담자 만족도 간에 상담자의 호소문제 명확성과 상담목표설정 구체성의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연구에 주는 의의 및 실제 상담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specification of counseling objectives and the level of counselor s care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 s clarity of appeal and the counselor s satisfaction. Methods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ounselor s clarity of the appealed problem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counseling objective setting were selected as factors that influ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s satisfaction and counselor s career, verifying the dual mediation path of the counselor s clarity of the appealed problem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counseling objective in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s satisfaction and counselor s career. The study subjects were 482 counselors and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confirming the dual mediation effect in structural equation.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of counselor, the specification of the counseling objective setting and the satisfaction of counselor have static correlation and the clarity of couselor’s appealed problem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more the career of counselor, the higher the clarity of counselor’s appealed problem, and the higher the clarity of counselor’s appealed problem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couselor. Also, it was verified that there is an dual mediation effect of the clarity of counselor’s appealed problem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counseling objective setting between the career of the counselor and the satisfaction of counselor.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ese research results for research and actual consel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투사적 심리검사자료를 활용한 초보상담자와 경력상담자의 사례개념화 비교연구

        박현주,서명옥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ase conceptualizations of beginning and experienced counselors through projective psychological test materials, and to investigate possi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extend their case conceptualizations are consistent with the actual information of the client in case. To this end, 10 beginning and 10 experienced counselors were recruited through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from private and public counseling institutions such as the College Student Counseling centers, Adolescent Counseling Centers in the B and G city. These two groups of subject were presented with various data of anonymous client, such as her personal and family information, and her test results of projective psychological tests like Kinetic Family Drawing, Thematic Apperception Test, and Sentence Completion Test. These case conceptualizations were coded and rated by 3 raters including the researcher on the rating guidelines by Kim(2001) and Lee(2001). Besides, the case conceptualizations were rated by the client concerning how much their contents reflect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l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d counselors included more elements in their case conceptualization than beginners. Second, the experienced counselors had broader understanding of clients' current problem and symptoms and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nterpersonal factors of the client, than beginners. Third, the client rated the experienced counselors as excelling the beginners in that the case formulations of the experienced helped her explore more into unknown parts of the personality and represented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er real person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투사적 심리검사자료를 활용한 사례개념화에 있어서 초보상담자와 경력상담자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두 집단의 사례개념화 내용이 내담자의 사실적 정보에 합치하는 정도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B와 G시 대학상담기관, 청소년 상담기관, 사설 상담기관 등에서 상담을 수행하고 있는 초보상담자와 경력상담자를 눈덩이 표집의 방식으로 각각 10명씩 선정하였다. 이 두 집단에 익명의 한 여성 내담자의 기본적인 인적 사항과 동적가족화, 주제통각검사, 문장완성검사 등의 투사적 심리검사의 원자료들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사례개념화의 내용은 연구자를 포함한 3인의 평정팀에 의해서 이윤주(2001)의 사례개념화 요소목록표, 김은혜(2001)의 평정매뉴얼과 평정지침서에 의거하여 두 차례 평정되었다. 또한 두 집단이 작성한 사례개념화의 내용은 내담자의 사실적 정보와 얼마나 합치되는지에 관하여 내담자에게 평정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상담자는 초보상담자에 비해 사례개념화에 더 많은 요소들을 포함시키고 있었다. 둘째, 경력상담자는 초보상담자에 비해 내담자의 현재 문제 및 증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와 내담자의 개인적 요인과 대인관계 특성을 잘 파악하여 더욱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담자는 경력상담자의 사례개념화 내용에서 자신이 미처 깨닫지 못했던 부분을 더 많이 탐색할 수 있었고, 경력상담자가 자신을 좀 더 종합적으로 파악한다고 보았다.

      • KCI등재

        상담자의 애착유형과 공감능력: 초심상담자와 경력상담자와의 비교를 통해서

        박지영,김주연 한국상담학회 2016 상담학연구 Vol.17 No.2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attachment type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and empathy through the comparison of novice counselors and seasoned counselors. Psychological counselors who had practical experience at various counseling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this research. Total 274 were analysed using SPSS version 22.0, and used 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o estim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variabl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of novice counselors were significant associated with novice counselors’ empathy in counseling process. Novice counselors’ attachment anxiety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pathy, whereas attachment avoidanc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novice counselors’ empathy. Secondly, in seasoned counselors, attachment anxiety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asoned counselor’s empathy, however, attachment avoidanc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asoned counselor’s empathy. From research findings, the meanings of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interventions to improve counseling alliance with counselor and client, by means of counselors therapeutic factor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와 경력상담자와의 비교를 통해서, 상담자의 애착유형이 상담과정에서의 내담자를 향한 공감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하는 상담지원복지센터, 사설상담센터, 각 학교 부설상담실 등에서 상담관련 대학원 졸업 후 상담경력을 가지고 있는 상담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설문조사 후, 총 27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상담자의 애착유형과 공감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서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심상담자의 경우, 상담자의 두 애착유형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 모두 초심상담자의 공감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심자의 애착불안의 경우, 공감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초심자의 애착회피는 상담자의 공감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경력상담자의 경우, 애착불안은 경력상담자의 공감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애착회피만 공감능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의 경력과 사례개념화수준 간의 관계: 인지적 지혜의 매개효과

        오효정,오은경,김봉환 한국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경력과 사례개념화수준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인지적 지혜가 매개효과를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상담 및 심리치료를 수행하고 있는 상담자 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 응답이 부실한 30명의 자료를 제외한 17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상담자의 경력과 사례개념화수준 및 인지적 지혜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인지적 지혜 척도, 상담자 발달수준 척도를 사용하고,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상담자의 경력과 사례개념화수준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지혜의 매개효과를 밝히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매개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상담자의 경력과 사례개념화수준 및 인지적 지혜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담자의 경력이 사례개념화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적 지혜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담자의 경력이 높아질수록 인지적 지혜와 사례개념화수준이 높아지고, 인지적 지혜가 사례개념화수준에 매개요소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wisdom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experience of professional counselors and psychotherapists and case conceptualization in Korea. One way ANOVA was conducted to test mean differences in case conceptualization level and cognitive wisdom across levels of counselor's experienc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wisdom. In particular, Sobel test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1)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counselors’ experience, case conceptualization level, and cognitive wisdom was found, and that (2) the effect of counselors' experiences on case conceptualization was partially mediated by cognitive wisdom. Limitation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KCI등재

        내담자의 상담에 대한 부정적 반응에서의 상담자 자기대화: 상담자 경력에 따른 차이 분석

        김혜인,최한나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difference of self-talk between novice counselors and expert counselors in the situation where the client has a negative reaction to the counseling. A video stimulus with circumstances that clients made negative complaints expressing dissatisfaction with the counselors was produced to collect the counselors’ self-talk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0 counselors; 15 novice counselors and 15 expert counselors. They empathized the position of the counselor in the video and watched the video and reported their self-talks. Total 1,067 self-talk were selected based on the counselor’s self-talk category created by Hae-Won Shim(2005) Participants' self-talk frequency and ratio of those two groups were analyz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counseling experience, the frequency of self-talk for novice counselors was higher than that of expert counselors. Second, in the superordinate categories of counselor’s self-talk, self-talk frequency of the novice counselor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t counselors especially in ‘oneself’ and ‘client’ categories, but in the ‘counseling plans or intention’ category, the expert counselors showed higher frequency in comparison to that of the novice counselors. Expert counselors, in comparison to the novice counselors, showed less self-talk related to ‘oneself’ category, but showed that there is a lot of self-talk related to therapeutic techniques and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to clarify client’s understanding or to bring out client’s insight and chan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spect of self-reflection according to the career of counselor was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effective supervision and counselor education were suggested. 본 연구의 목적은 내담자가 상담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상황에서 초심상담자와 숙련상담자의 자기대화 내용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내담자가 상담에 대한 불만을 표하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상황이 담긴 동영상 자극을 제작하였고, 상담자 30명(초심 15명, 숙련 15명)이 동영상 속 상담자의 입장으로 이입하여 동영상을 시청하면서 자기대화를 말로 보고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1,067개의 자기대화에 대해 심혜원(2005)의 상담자 자기대화 평정 목록을 바탕으로 유목 분류 및 평정을 실시하고 초심상담자 집단과 숙련상담자 집단의 자기대화 빈도 및 비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상담자 경력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초심상담자가 숙련상담자보다 자기대화의 총 빈도가 더 높았다. 둘째, 상담자 자기대화 평정 목록의 상위 범주 중 ‘자기’, ‘내담자’ 범주에서 초심상담자가 숙련상담자보다 더 높은 자기대화 빈도를 나타냈고, ‘상담 계획이나 의도’ 범주에서는 숙련상담자가 초심상담자보다 더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이는 숙련상담자일수록 상담자 자신에 대한 자기대화 내용보다는 내담자 이해를 명료화하거나 내담자의 통찰과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상담 개입 전략과 치료적 기술과 관련된 자기대화의 내용이 많은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자 경력에 따른 자기성찰의 양상에 대해 논의하였고, 효과적인 수퍼비전과 상담자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