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남 외연도 산림관리를 위한 지역주민의 인식 분석

        이호상 ( Lee Ho-sang ),현창석 ( Hyun Chang-seok ),정수영 ( Jung Su-young ),이광수 ( Lee Kwang-soo ),강경식 ( Kang Kyeong-sik ),김용구 ( Kim Yong-gu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2

        산림은 우리나라 외형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간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지대하다. 특히 전 국토의 64%가량을 점유하고 있는 산림을 미래의 삶의 터전으로 가꾸어 나가야 하는 필요성은 절실하다. 또한, 도서 지역의 산림도 생태적으로나 지역주민의 경제활동 장소 및 환경자원으로서 그 가치를 발휘하고 있다. 산림청은 도서 지역 산림관리를 위하여 도서 지역 산림 가꾸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예산의 한계 등으로 사업 범위는 매우 협소한 수준이며,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도서 산림관리에 대한 방안도 부족한 현실이다. 또한, 도서 지역 산림은 지역주민의 사회ㆍ경제적 특성에 따라 기능이 다르게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획일적인 계획에 의한 산림관리로는 도서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산림기능을 발휘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도서 지역 산림에 관한 관심과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산림관리를 위해 외연도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지역 산림에 대한 인식과 산림사업에 대한 중요도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도서 지역 산림에 대한 활용은 취미 생활(산책, 등산 등)이 48.9%, 산나물이나 약초 채취 19.1%, 산림휴양과 치유 14.9% 순으로 나타나, 휴양문화 및 치유의 공간으로 이용(63.8%)되고 있었다. 외연도 주민들은 산림 이용에 대한 만족도(2.87)는 낮게 나타났으며, 도서 지역 산림 보전이 도서가치 증진에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72.3%) 있었다. 지역주민들은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의 도서 지역 산림보호에 대한 대응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46.8%) 있으며, 도서 지역 산림 위기에 대한 심각성(57.5%)을 인식하고 있었다. 산림사업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값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모두 양(+)의 값이 나와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IPA 대각선모형 분석결과 지속적 유지관리영역에는 등산로ㆍ둘레길 조성이 포함되었고, 중점적 개선 영역에는 숲 가꾸기 사업, 산림휴양조성 사업, 산림재해 방지, 산림생태계 보전 및 관리가 포함되었으며, 저 우선순위로 분류된 것은 없으며, 과잉노력 지양에는 조림사업, 산림자원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사업이 포함되었다. 연구결과는 지역주민의 의견을 반영한 도서 지역 산림사업 추진 필요성을 시사한다. Forests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 of Korea's terrain a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uman life. In particular, it is imperative that forests, which account for 64 percent of the country, should be cultivate and managed into a sustainable future home for life. In addition, forests in the island areas show their value as places of economic activity and environmental resources for local residents. The Korea Forest Service is promoting forest conservation projects in the island areas for forest management, but the scope of the project is very narrow due to budget limitations.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plans for forest management in the island areas where local residents participate. This study analyzed the awareness of local forests and the importance-satisfaction correlation of forest projects for forest management in which local residents participate. With the residents on Oeyundo, the interest and importance of forests in the island area increased. According to the survey, the local residents' use of island forests was found to be 48.9% for hobbies (walking, hiking etc.), 19.1% for picking wild herbs and plants, and 14.9% for general forest recreation and healing. It was used as a space for recreational culture and healing using forest resources(63.8%). The island residents are not satisfied(2.87) with the use of forests, and the preservation of forests in the island area is very important and recognized(72.3%) in improving the value of the island. The island residents recognized that the local governments had insufficient resources and funding to cope with forest protection in the island area(46.8%), and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the forest crisis in the island area (57.5%). The importance-satisfaction value of forest proj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all of them showed positive(+) values and satisfaction was lower than import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PA diagonal model, the “Keep UP the Good Work” area includes 'mountaineering trails and dulle-gil'. The ‘Concentrate Here’ area includes 'forest tending operation', 'recreational forest', 'prevention of forest disaster', and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ecological system'. There is no classification in the ‘Low Priority’ area, and the ‘Possible Overkill’ area includes 'afforestation of forest resources' and 'regional specialization using forest resour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promoting forest projects in the island areas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local residents.

      • KCI등재

        빅데이터를 활용한 산림치유 이슈 네트워크 분석 - 2005~2019년까지의 국내 뉴스 기사를 중심으로 -

        박진석,연평식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0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rive issues related to forest healing by dividing them into three periods from 2005 to 2019. Naver News Big Data was used to collect data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of the frequency analysis, the top 35 keywords were derived, and by time, the top keywords were found to be the creation, arboretum, Gyeongsangbuk-do, and II forest healing instructors, and the National, Healing Center, and Welfare Promotion Agency. However, these keywords are not independent but related to each other. Therefore, the structural isometric analysis (CONCOR) was conducted for the top 35 keywords for each period, and issues were drawn for each period. During I period, issues such as the importance of forest healing,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National Forest Therapy Complex, the effect of phytoncide on stress, etc. and The II period is 'Promotion of the Creation of National Baekdu National Forest Healing Complex', 'Early Forest Healing, Forest Education, and Forest Welfare Policies' 'Selection of Forest Healing Instructor', 'Creation of Forest Healing Space and Operation of Forest Healing Program' and III period is 'Promotion of National Forest Welfare Complex', '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National Forest Healing Infrastructure' and Marine Healing'.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indicated the flow of forest healing issues by time and hope to be used for the establishment of forest healing polic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9년까지 3시기로 구분하여 산림치유 관련 이슈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네이버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한 결과로 상위35개의 키워드를 도출하였으며 시기별로, Ⅰ 시기는 조성, 수목원, 경북, Ⅱ 시기는 산림치유지도사, 백두대간, 복지, Ⅲ 시기에서는 국립, 치유원, 복지진흥원 등이 상위키워드로 나타났다. 그런데 이러한 키워드들은 각각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다. 따라서, 시기별 상위35개의 키워드들을 대상으로 구조적 등위성 분석(CONCOR : COvergence of iterated Corelation)을 실시하였으며 각 시기별 이슈를 도출하였다. Ⅰ 시기는 ‘산림치유의 중요성’, ‘국립산림테라피단지 타당성 연구’, ‘스트레스에 대한 피톤치드의 효과’, 등이 이슈로 나타났고 Ⅱ 시기는 ‘국립백두대간산림치유단지 조성추진’, ‘초기 산림치유, 산림교육, 산림복지 정책의 전개’, ‘산림치유지도사 양성기관 선정’, ‘산림치유공간 조성 및 산림치유프로그램 운영’ 그리고 Ⅲ 시기는 ‘산림복지단지 조성 추진’, ‘국립 산림치유 기관 설립 및 운영’, ‘지역단위 산림치유 인프라 구축’, ‘산림치유와 해양치유의 연계 ’ 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시기별 산림치유 이슈의 흐름을 나타냈고 향후 산림치유 정책수립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산림휴양이 기독교인의 신앙 몰입과 치유ㆍ회복에 미치는 영향

        정승록,박병화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9

        본 연구는 기독인의 건강한 신앙생활에 있어 산림휴양의 효과와 필요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휴양 만족이 신앙몰입과 치유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조사는 서울지역 소재 10개 교회 소속 기독교인들 가운데 산림휴양을 경험한 기독교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총 150부를 배포하였으며 자기기입 방식으로 응답하도록 하였다. 산림휴양 이용행태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가설은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산림휴양 만족은 신앙몰입의 ‘행위몰입’에, 영적 안녕감의 ‘실존적 안녕감’에,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의 ‘자아수용’과 ‘긍정적인 타인과의 관계’에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산림휴양은 ‘자존감’에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신앙몰입의 ‘행위몰입’과 ‘인지몰입’은 영적 안녕감의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보였다. 신앙몰입의 ‘행위몰입’이 심리적 안녕감의 ‘자아수용’에 유의하게 그리고 ‘인지몰입’은 ‘긍정적인 타인과의 관계’에 근사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신앙몰입의 ‘행위몰입’과 ‘인지몰입’ 모두 ‘자존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휴양은 신앙생활의 몰입을 높이고, 영적·심리적 안정감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관계의 회복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림휴양은 신앙생활의 치유에 있어서도 기독교 산림복지 차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and the necessity of forest recreation for the more healthy and peaceful faith life among christians. For this purpose, it examined causal relations among variables, that is, ‘Forest recreation satisfaction’, ‘Faith commitment’, ‘Spiritu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It was surveyed to christians who had experienced forest recreation from about 10 churches in seoul.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were sent out for the survey an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It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users activities, and di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hypotheses. The result was that, first, Forest recreation’s Satisfaction had an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commitment’ of Faith commitment, ‘Existential well-being’ of Spiritual well-being and ‘Self-acceptance’ and ‘Positive relation with othe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ut Forest recreation had not an significant effect on ‘Self-esteem’. Second, ‘Behavioral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of Faith commitment all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of Spiritual well-being, respectively. ‘Cognitive commitment’ of Faith commitment had an approximately positive effect on ‘Positive relation with othe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Behavioral commitment’ of Faith commitment had an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Self-acceptance’ of Psychological well-being. Finally, ‘Behavioral commitment’ and ‘Cognitive commitment’ of Faith commitment all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Self-esteem’. To conclusion, forest recreation among christians would raise the degree of faith commitment, enhance the sense of spirit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furthermore, have an positive effect on a restoration of social relationship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sider forest recreation in healing and restoring christian’s stressful faith life from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Forest Welfare.

      • KCI등재후보

        GIS와 항공정사사진을 이용한 산림정보 관리시스템 구축

        김준범,조명희,권태호,김인호,조윤원,신동호 한국지리정보학회 200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7 No.2

        우리나라 산림행정 업무의 대부분은 서류 및 대장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신속, 정확하고 다양한 업무 처리를 위해서는 첨단의 공잔정보기술을 이용한 과학적인 산림정보 관리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다. 특히 지리정보시스템(GIS)과 항공사진 활용기술의 도입은 산림이용기본계획이나 산지개발, 산림자원 관리 및 산림보호 정책 등의 의사결정지원에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GIS와 항공사진(1998년도 촬영)을 기반으로 주요 산림정보인 수치지도, 수치임상도, 임야도 및 관련 속성데이터 둥을 가공하여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 내에 저장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세부 응용시스템인 지번별 임야정보 검색, 산지이용개발 정보관리, 법정제한림 정보관리, 산림자원 정보검색 등의 인터페이스를 개발함으로써 산림 관련 실무자가 산림정보의 종합적인 공간분석 및 질의 검색이 가능한 산림정보 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본 시스템의 구축으로 산림의 효율적 관리는 물론, 경제적인 산림자원 및 임산업 육성과 쾌적한 산림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련 부서들 간의 표준화된 공간 자료 공유와 과학적인 정보체계의 연동으로 산림자원 관리를 위한 집약된 공간 및 전자 정보화 인프라 구축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in order to more effectively and scientifically process forest official tasks, which have been focused on documents and inventories, they should be applied with the up-to-date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ies. Especially, the forest resource information management based on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aerial orthophoto is expected not only to play an important role as DSS (decision support system) for domestic forest conservation policy and forestry development industry but also to service forest resource information toward people such as the owners of a mountain rapidly. In this study, the important forest information such as digital topography map, digital forest type map, digital forest cadastral map, digital aerial photographs and attribute data were first reprocessed and constructed in DBMS (data base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forest officials could analyze and retrieve forest information by using detail sub-application systems such as forest cadastral retrieval, forest land development information management, reserved forest information management and forest resource information retrieval. For this, the user interface is developed by using Visual Basic 6.0 and MapObjects 2. 1 of ESRI based on CBD (component based development) technology. The result of developing this system will not only perform constructing economical forest and better environment but also be the foundation of domestic spatial technology for forest resource management.

      • 산림병해충 주요 이슈와 대응 연구

        이창재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10

        2017년은 산림청 개청 5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산림정책의 파트너인 국립산림과학원은 1922년 임업시험장 설립으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단일연구기관으로서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산림이 전 국토의63%인 대표적인 산림국가입니다. 지난 40년간 녹화성공으로 산림자원은 14배 이상 증가하였고 산림의 공익적가치는 126조원에 달하고 있습니다. 우리 과학원은 산림과학기술개발에 연구역량을 집중하여 세계가 인정하는치산녹화라는 국가브랜드를 만드는데 큰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산림관련 메가트렌드가 변화하고 있습니다.기후변화 대응 산림의 역할 확대, 친환경 소재인 목재자원 이용 활용 촉진, 과학적 산림재해 방지체계 구축, 산림생태계보호 및 기능 증진, 산림복지서비스 확충, 국제산림협력 강화 및 북한 산림복구 분야의 연구 강화가 필요합니다.산림의 사회적・경제적・생태적・문화적 그리고 정신적 수요를 충족시키는 한국형 산림경영 모델로 제2의 국가브랜드를만들겠습니다. 산림병해충 분야에 대한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 KCI등재

        알코올 의존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 및 요구도 분석

        노희주,최정기,김소연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ferences and needs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 targeting 431 adult men and women with abstinence from nationwide.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self-alcoholism scale was used to classify subjects into normal, risky, and dependency group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high in 50~59, graduate from college, secretary·administration·executive, more than 5 millions, and married. 30.4% of the subjects had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forest healing program, and 87.9% said that forest healing was effective. Will of participating forest healing program was 55.5%, and they wanted a forest healing program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bili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drinking, the type of companion participating with preferred family and friends/lovers, the price and the days of the weeks were preferred 10,000 won, and weekends. The appropriate number of participants was 6-10 people, the duration was 1 night and 2 days, the season was autumn, and the location was a forest or forest path with a valley. In addition, phytoncide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said to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The program type was preferred in the order of walking in the wood, bathing, and therapy food experience, and it was the same in all groups. In order to properly organize dynamic and static activities in the forest, and to reduce alcohol dependence, a forest healing program that can enhance psychological stability was preferred. 본 연구는 전국의 금주 의지가 있는 성인남녀 431명을 대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 및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정상, 위험, 의존 음주군으로 구분하기 위해 자가 알코올 중독 측정 척도를 이용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은 50대, 대학 졸업, 사무·행정·관리직, 500만 원 이상 가계소득, 기혼자 등으로 나타났다. 30.4%가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참여 경험을 갖고 있으며 87.9%가 산림치유에 대한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지는 55.5%였으며, 심리·정서적 안정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원하였다. 음주군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참가동반 유형은 가족 및 친구/연인, 참가비는 1만 원, 참여 요일은 주말을 선호하였다. 참여 적정 인원은 6-10명, 진행기간은 1박 2일, 계절은 가을, 장소는 계곡이 있는 숲 및 숲길을 선호하였다. 또한, 피톤치드와 산림치유 프로그램 내용을 산림치유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하였다. 프로그램 종류는 숲길 걷기, 산림욕, 명상, 치유 음식 체험 순으로 모든 군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산림에서 동적과 정적인 활동의 프로그램을 적절히 구성하고, 알코올 의존도 감소를 목적으로 심리적 안정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선호하였다.

      • KCI등재

        난임여성의 정서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구 분석

        부서윤,신창섭 한국환경생태학회 202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 여성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 난임 여성의 정서적 특성과 정서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가 무엇인지 밝혀내어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 난임 전문병원에 내왕하는 난임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난임 여성의 정서적 특성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구도에 대한 33항목을 설문한 조사연구이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난임여성의 정서적 특성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사이의 상관관계와 중요도를 파악하고자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진행하였다. 난임 여성들의 정서적 특성은 임신에 대한 압박감, 불안 및 두려움, 우울, 절망감, 무기력, 외로움, 슬픔, 수치심 및 죄책감, 조급함과 답답함, 분노 및 과민함 등으로 나타났다. 난임 여성의 임신에 대한 압박감, 우울, 절망감, 무기력, 외로움, 슬픔과 분노와 과민함, 불안 및 두려움이 높게 나타났다. 난임 여성의 정서적 특성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요구도 차이를 알 수 있었다. 임신에 대한 압박감과 수치심 및 죄책감에 따라서 난임 부부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운영 형태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과 두려움에 따라서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우울, 절망감, 무기력, 외로움, 슬픔에 따라서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급함과 답답함에 따라서는 희망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동반 참여자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와 과민함에 따라서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경험 및 난임 여성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한 자조모임의 효과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난임 여성의 심신건강 증진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therapy programs for subfertile women. This exploratory study identifies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ubfertile women and the demands for forest therapy according to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forest therapy programs. This study surveyed 200 subfertile women who visited a subfertility hospital in Seoul on 33 items of subfertile women's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of forest therapy programs. We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cross-analysis, and one-way ANOVA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and importance between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ubfertile women and the demands for forest therapy programs using the SPSS 21.0 program. Emotional traits of subfertile women included pressure on pregnancy, anxiety/fear, depression, hopelessness, helplessness, loneliness, sadness, shame/guilt, impatience/frustration, and anger/hypersensitivity. Of these traits, pressure on pregnancy, depression, hopelessness, helplessness, loneliness, sadness, anger/hypersensitivity, and anxiety/fear were particularly high among subfertile women. The demands for forest therapy programs also differed according to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ubfertile wom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peration mode of the subfertile couple's fores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sure, shame, and guilt of pregnan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a program according to anxiety and fear and in the reason for not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depression, hopelessness, helplessness, loneliness, and sadne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uples participating the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ccording to impatience and frustr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and the effect of self-help groups through the forest therapy program for subfertile women according to anger and hypersensitivity.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as the reference data for developing forest therapy programs for the improvement of the mental health of subfertile women.

      • 산림경영사업지의 개발용지 전환 사례조사 및 개선사항의 도출

        방상원 ( Sang-weon Bang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7 No.-

        최근 들어 국내의 일부 사유림에서 산림경영계획 인가를 받아서 벌채한 이후에 산림경영을 지속적으로 이행하지 않은 채 골프장, 농공단지, 산업단지, 관광지 등의 개발용지로 전환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 경우 산림경영지의 기존 식생은 벌채되어 유령림 조림지, 나대지 또는 초지 등으로 전환되게 되고, 그 결과 환경영향평가제도상 개발이 용이해지는 부지로 전환되게 된다. 산림경영지의 개발용지로의 전환 사례로는 골프장용지로의 개발 전환, 수련원용지로의 개발 전환, 복합테마파크부지로의 전환을 비롯하여 거의 모든 개발사업에서 개발용지로 편입·전환되고 있다. 산림경영계획의 계획내용에 따라서 산림경영계획 인가 후 모두베기, 솎아베기 등을 실시하여 기존 식생을 벌채하고 난 후에 유령림을 식재하여 육성하던 산림경영지와 우량 대경목생산 목적의 천연림보육 산림경영지 및 불량임분 개량 목적의 천연림개량 산림경영지 등이 이에 속한다. 이 경우, 산림경영지는 기존 식생이 벌채 또는 개량되어 기존의 식생보전등급보다 등급이 하락한 나대지, 초지 등으로 전환되어 환경영향평가제도상 개발이 용이한 부지(식생보전 IV등급 또는 V등급)로 전환된다. 산림경영지의 개발용지 전환 사례 유형은 크게 3가지이다. 첫째는 산림경영지 식생을 벌채한 후 산림경영을 1~3년 동안 실행하다가 개발용지로 전환되는 경우, 둘째는 산림경영지를 대상으로 천연림보육 또는 천연림개량을 3~10년 동안 실행하다가 개발용지로 전환되는 경우, 셋째는 수종개량사업 등으로 산림경영지의 식생을 벌채한 후 경제수종을 식재하여 운영하다가 특정 사유로 인하여 산림경영을 지속하지 못하게 될 시에 개발용지로 2차적으로 전환되는 경우이다. 이렇듯 산림경영지가 개발용지로 전환되는 사유로는 산림경영제도의 근간이 되는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제도적 미비점이 존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즉, 관계 법령에 산림경영계획 미이행 시에 대한 벌칙 조항이 부재하고, 산림경영계획 미이행시의 부과 과태료가 현실성이 낮은 금액으로 부과되고 있기 때문이며, 또한 산림경영계획서의 인가 시에 산림경영지가 개발용지로 전환되는 사례를 억제하기 위한 계획 검토사항이 충분히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림경영지의 지속가능한 이행 진작과 산림경영지의 개발용지로의 전환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관련 조항을 신설하거나 기존 조항을 보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한편 현행 환경부의 식생보전등급 판정기준 또한 개발용지로 전환된 산림경영지에 대해 적정한 보전의 기능과 억제 기능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점도 존재하고 있는바, 식생보전등급의 판정기준을 갱신하거나 새로운 판정기준을 제정하는 것이 시급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3개의 환경영향평가 기초방안을 도출하였다. 동 기초방안은 1) 모두베기 또는 솎아베기 등을 실시하여 벌채가 광범위하게 실시된 산림경영지의 경우 벌채 이전의 과거 식생현황을 유추하여 현재의 식생현황으로 간주하여 평가하는 방안, 2) 우수 대경목 생산을 위해 잔풀베기, 가지치기 등을 실시한 천연림보육지 또는 불량임분 개량작업을 실시한 천연림개량지의 경우 현행 식생보전등급 판정기준의 일부 갱신을 통하여 산림경영지의 식생등급을 판정하는 방안, 3) 모두베기 또는 솎아베기 등 벌채가 광범위하게 실시된 산림경영지와 천연림보육 및 천연림개량 작업을 실시한 산림경영지 이외에도 산림경영이 미실시된 모든 식생지를 대상으로 할 수 있는새로운 식생보전등급 판정기준을 제정·적용하는 방안이다. 결과적으로, 산림경영지의 개발용지로의 전환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현행 산림경영제도상의 제도적 미비점을 보완하고, 개발용지로 전환된 산림경영지에 대해서는 새로운 식생보전등급 판정기준을 마련하거나 기존의 기준을 일부 갱신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산림경영계획의 지속적인 이행을 진작하여 산림경영제도의 당초 목적과 취지를 최대한 달성하고, 동시에 산림경영지가 개발용지로 전환되는 사례를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보전가치가 높은 산지 산림식생을 온전하게 보전하고 당초의 산림경영 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re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the conversion of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s into the development sites such as golf courses, industrial parks, tourist complex and etc. without continuous implementation of the forest management. Mostly, the existing trees of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s of high conservation value are all cut down and the areas are subsequently transformed into either bare grounds or vegetation fields of low conservation value. When this happens the forest management area is easy to converted into a development sites due to the demotion of vegetation conservation rating in the curren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tocol. This study investigates case study of the conversion of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s into the development sites. It is found that the conversion case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fter getting permission of forest management plan from a relevant authority, the land owners do as follows; first, the land owners cut down all trees in the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s, and economic trees are planted instead and cultivated for several years according to the forest management plan permitted. At some points, the owners no longer cultivate the economic trees, and cease the forest management plan. Subsequently, the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 is sold to land developers, resulting in the conversion of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 into a development site. Second, the owners cut down and trim the weeds, shrubs and younger trees except well-grown indigenous trees for several years according to the forest management plan. At some points, when the owners cease the forest management plan, the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 is sold and converted into a development site. Third, the owners plant and cultivate the economic trees, and make profits out of the economic trees by implementing the forest management plan. However at some points the owners give up the cultivation, and cease the forest management plan due to personal reason like aging. Subsequently, the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 is sold and converted into a development site. The reasons why these kinds of conversion are getting more frequently based on the loopholes resided in CRE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ACT. The loopholes are as follow; first, there are no penal provisions for incompletion of a 10-year forest management plan even though the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 is exploited and converted into a development site. Second, the amount of administrative fines for incompletion of a 10-year forest management plan is too low and impractical so that it is more profitable to sell the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 of the deforestation to a developer rather than paying fines of reforestation costs. Third, when a relevant authority is to review a forest management plan for a permission, there are insufficient reviewing criteria in order to prevent the conversion of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s into the development sites such as checking a possibility of whether the proposed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 indeed is included in the sites in the local development plan or located in a proximity to the sites of local development plan which is vulnerable to the conversion. In order to discourage conversion of the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s into the development sites further, new systems of vegetation conservation ranking are devised in this study. The new systems are as follows; for a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 of deforestation, previous vegetation conservation ranking is analogized from the available relevant data such as MOE’s ecosystem-naturality map and land-environment evaluation map, KFS’s forest type map, the petition documents of forest management plan, and vegetation conservation ranking map of the surrounding areas of the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 Second, for permitted natural forest cultivation and improvement areas, several ranking criteria should be either excluded or less graded such as poorness of lower vegetation, incompleteness of vegetation layer structure, plant diversity, rarity, naturality and completeness of vegetation structure. Third, a whole new vegetation conservation ranking system should be designed not only for a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 of deforestation but also for other mountain areas in general. To do this, new ranking criteria should be reflected into the current ranking. These include carbon sequestration value, vegetation-landscape value, aesthetic value, level of biodiversity promotion, values of supporting wildlife conservation such as providing breeding place, food suppling and nest and future potential value of artificial forest as well as natural forest. In conclusion, it is strongly needed to plug up the loopholes in CRE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RESOURCES ACT for the conversion of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s into the development sites. Meanwhile, a new vegetation conservation ranking system should be devised in order to cope with the recently increasing cases. In this way, this study can discourage the conversion of forest management mountain areas into the development lands and promote implementation of 10-year forest management plan so as to its original purpose.

      • KCI등재

        산림이용객 중심 주관적 산림치유자원 인식정도 및 효과검증 척도개발 연구

        조성희,이효정,이경민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4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8 No.1

        산림치유는 다양한 자연의 요소를 활용하여 인체에 면역력을 높이는 건강증진 활동이다. 산림치유는 스트레스 해소, 삶의 질 향상, 심폐기능 향상, 혈액순환 등 심리적·생리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 로 밝혀졌다. 그러나 산림치유 연구는 대부분이 프로그램 효과검증 위주의 연구로 산림치유자원 효과에 대한 검증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산림치유자원의 효과검증을 위해 숲 방문 이용객이 느끼는 산림치유자원인 피톤치드, 음이온 등을 측정하는 척도개발과 이에 따른 치유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효과검증을 위한 척도개발을 위해 선행연구 분석 후 산림치유자원과 치유효과를 선정하고 척도를 구성하였다. 명품숲 방문객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531부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 분석결과 문항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 산림치유자원 항목 0.928, 치유효과 항목 0.908로 신뢰할만한 내적일치도로 나타났다. 선정된 14종의 치유효과는 신체, 생리, 심리, 사회요인으로 구성되어 내용의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델을 검증하여 적합성을 확인하고 산림이용객이 느끼는 산림치유자원의 효과 검증과 인식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첫 척도를 개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를 사용해 데이터를 축척하고 분석한다면 산림치유자원과 치유효과 구명의 기준 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실제 산림에서 측정한 자원 값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척도의 신뢰도 타당도를 더 높인 척도로 보완할 것을 제언한다. Forest healing is a health promotion activity that uses various natural elements to increase immunity in the human body. Forest healing has been found to have positiv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including relieving stress, improving quality of life, improving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blood circulation. However, most forest healing research is focused on verifying program effectiveness, and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forest healing resources is insufficien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forest healing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to measure forest healing resources such as phytoncide and anions felt by visitors to the forest and to verify the resulting healing effect. To develop a scale to verify effectiveness, forest healing resources and healing effects were selected after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nd a scale was constructed. A survey was conducted on visitors to Luxury Forest and 531 pieces of data were collected.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item reliability showed reliable internal consistency with Cronbach's alpha values of 0.928 for the forest healing resources item and 0.908 for the healing effect item.The 14 selected healing effects consisted of physical/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nd the validity of the content was confirm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s the suitabilit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develops the first scale that can verify the effectiveness of forest healing resources and measure the level of awareness felt by forest users. If the data is accumulated and analyzed using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o become standard data for elucidating forest healing resources and healing effects.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be supplemented with a scale that is higher through comparative studies with resource values measured in actual forests.

      • KCI등재

        괴산 산림복지단지조성에 따른 인식 및 요구분석에 대한 연구

        최순남,신창섭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22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6 No.1

        In recent years, the increase in income levels and leisure time has diversified recreational activities, and the level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demand analysis of the prospective applicants for the Gösan Forest Welfare Complex, which is actively addressing this demand and is created for the realization of forest welfare by life cycle, to create a failure-free composition. To this end, 800 members of the public were surveyed in the over-20sin three regions: Cheongju, Chungju, and Goesan County. The survey showed 43.3% awareness of the Goesan Forest Welfare Complex. Also conducted surveys on facilities that hope will be introduced into natural recreation forest, healing forest, forest leisure sports facility, and forest campsite. An analysis of the introduced facilities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accommodation (22.8%) in natural recreation forest, healing forest path (24.2%) in healing forest, indoor forest leisure sports facilities (23.3%) in forest leisure sports facility, and cookroom (19.5%) in forest campsite. After the creation of the Goesan Forest Welfare Complex, it was found to be 75.6% willing to use it for the intention of use. The most family members(73.5%) wanted to use it together. The purpose of use was 34.0% health promotion. The use time was highest at 49.5% for 2 days or 3 days per night. 37.3% said they would use less than 50,000 won from 20,000 won. To date, there has been no case in which the construction of a forest welfare complex has been completed in Korea, and related research is also lacking.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actical research for the creation of forest welfare complex that are compatible with the increase in forest welfare services.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여가시간 증가로 휴양활동도 다양해지고, 수준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이러한 수요에 적극 대처하고 생애주기별 산림복지 실현을 위해 조성되는 괴산 산림복지단지에 대하여 이용예정자들의 인식 및 요구분석을 파악하여 실패 없는 조성에 있다. 이를 위해 청주시, 충주시, 괴산군 3개 지역 20대 이상일반인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괴산 산림복지단지에 대한 인지도는 43.3%로 나타났다. 또한 괴산 산림복지단지 내 조성예정인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산림레포츠시설, 숲속야영장에 도입되기를희망하는 시설에 대한 설문도 실시하였다. 도입시설물 설문 분석 결과 자연휴양림에는 숙박시설(22.8%), 치유의 숲에는 치유숲길(24.2%), 산림레포츠시설에는 실내 산림레포츠 체험시설(23.3%), 숲속야영장에는 취사장(19.5%)이가장 높게 나타났다. 괴산 산림복지단지 조성 이후 이용의향에 대하여는 이용할 의향이 있다가 75.6%로 나타났다. 함께 이용하고 싶은 사람은 가족(73.5%)이 가장 많았다. 이용목적은 건강증진이 34.0%로 나타났다. 이용시간은 1박2일이나 2박3일이 49.5%로 가장 높았다. 소요경비는 2만원에서 5만원 미만을 사용하겠다는 응답이 37.3%로 가장많았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산림복지단지로 조성이 완료된 사례가 없으며, 관련연구 또한 부족하다. 본 연구는산림복지서비스 증대에 부합하는 산림복지단지 조성을 위한 실천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