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장년의 노후준비도가 재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황주경,강순희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중장년의 노후준비도가 재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노후준비도와 재취업 욕구 간에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총 263명을 대상으로 실시 한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타당도검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장년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경제적자립 욕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학력자일수록 재취 업을 통해 경제적인 안정 이외에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더 크게 나타났다. 중장년이 노년기 로 진입할수록 퇴직 이후의 삶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자신감이 낮아지는 것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또한, 중장년은 노후준비도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도와 재취업욕구의 영향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적, 사회적 노후준비도에 대한 수준이 높을수록 자기실현 재취업욕구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신체적, 경제적 노후준비도 순으로 상대적인 영향력이 큰 것으로 확 인되었다. 사회적지위 재취업욕구에 대해서는 사회적 노후준비도가 상대적 영향력이 컸으며, 그 다음으 로 경제적 노후준비도로 나타났다. 셋째, 중장년의 재취업과 관련하여 사회적지지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나 노후준비도는 사회적 지지를 통해 중장년의 재취업욕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장년은 개인의 노후준비도에 따 라 재취업을 하고자 하는 이유나 동기가 다양하며, 재취업을 하는 목적에 개인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 그리고 중장년의 노후준비도와 재취업욕구에 사회적지지가 부분매개 한다는 연구 결과는 중장년의 재 취업지원이 욕구를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중장년이 재취업하는 일자리는 만족도나 질이 낮기 때문에 중장년의 재취업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취업교육의 기회를 마련하 거나, 재취업에 대해 불안해하는 중장년이 적극적인 취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직업상담 장면에서 사회 적 지지와 같은 정서적인 지원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개입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sed the effect of the retirement readiness of the middle-aged on the desire for re-employment, and verified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between them.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for a total of 263 people was analyz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validity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iddle-aged women had a greater desire for economic independence than men, and tthe more highly educated they were, the greater their desire not only economic stability but also to be socially recognized through the re-employment. It means that the older the middle-aged, the greater anxiety about life after retirement and less confidence. In addition,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among the middle-aged, the greater the desire to be recognized socially in addition to economic stability through reemployment. Second, the higher the level of physical, economic, and social retirement readiness, the greater the self-realization desire. In addition, the relative influence was large in the order of social, physical, and economic retirement readiness. Social retirement readiness had a great influence on social status re-employment desire, followed by economic retirement readiness. Third, social support mediated partially the relation between the retirement readiness and the re-employment of the middle-aged. The fact that middle-aged people have various reasons and motivations for re-employment depending on their individual's retirement readiness, and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urpose of reemployment. an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s means that reemployment support should be based on individual's desire. In particular, since th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reemployment of the middle-aged are low, the support program for reemployment of the middle-aged should be provided based on emotional support such as social support.

      • KCI등재

        노년기 사회적 지지제공 및 지지받기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기본 심리 욕구의 매개효과

        이현서,정영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giving social support(GSS) and receiving social support(RSS)and subjective well-being(SWB) of the elderly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30 participants aged over 60 from Busan and Gyeongsangnam-do in South Korea including measuring degrees in GSS and RSS, BPN(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SWB. Results from mediating analyses showed that competence and relatednes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SS and SWB.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RSS and SWB. The effect of GSS differed slightly depending on the type of relationship. In the case of the family, there was partial mediation of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SS and SWB, and direct effect between GSS and SWB. In the case of non-family, there was complete mediation of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SS and SWB. This study’s results indicate the need to study psychological functions of GSS by showing the positive effect of GSS in the elderly. 본 연구는 노년기 친밀한 타인과 사회적 지지를 주고받는 것이 기본 심리 욕구를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 증진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부산·경남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330명을 대상으로 가족 또는 비 가족으로부터 노인이 받는 사회적 지지와 그들을 향한 사회적 지지제공, 기본 심리 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충족 정도,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였다. 매개 분석 결과, 가족이나 비 가족과 관계없이 사회적 지지제공은 유능성과 관계성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족이나 비 가족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기본 심리 욕구를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제공의 효과가 대상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가족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제공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능성 및 관계성의 부분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제공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직접 효과가 나타났으나 비 가족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은 유능성 및 관계성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적 지지받기와 지지제공의 차별적 효과와 노년기 사회적 지지제공의 긍정적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사회적 지지제공에 관한 심리적 기능의 연구 필요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사회적 지지와 규범적응, 수업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욕구충족의 매개효과 검증

        최희철,장지영,정민선,유순덕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5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social support theor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parents support, teacher support, peer support) and norm adjustment and class adjustment are mediated by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Data were collected from 578 adolescents(335 males, 243 females) who attend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For analyse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plays a role as a mediator variable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class adjustment. but didn't i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norm adjustment. Th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nd counselling practice derived from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결정성이론, 사회적 지지이론에 기초하여 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 기본욕구충족, 규범적응, 수업적응의 관계에 대한 구조적 모형을 검증하고, 사회적 지지가 기본욕구충족을 매개로 규범적응과 수업적응을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 소재의 중ㆍ고등학교 총 578명(남학생 335명, 여학생 243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규범적응, 수업적응과의 관계에서 기본욕구충족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전에 측정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기본욕구충족, 규범적응, 수업적응이 측정변인들에 의하여 타당하게 측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모형은 최대우도추정 방법으로 검증하였으며, 기본욕구총족과 규범적응 사이의 경로, 사회적 지지와 수업적응 사이의 경로가 유의미하지 않아 삭제하고 최종모형을 구성하였다. 최종모형은 구조모형에 내재되므로 모형비교를 한 결과 더 간명한 최종모형을 선택하였다. 즉, 기본욕구충족은 사회적 지지와 수업적응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고, 사회적 지지와 규범적응의 관계에 대해서는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이 사회적 지지(교사, 부모, 또래)를 받을수록 기본욕구충족(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 채워져 수업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교육적, 상담적 함의, 연구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문은식(Ehun-shik Mo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충남, 경기에 위치한 3개대학교의 유아교육과 여학생 331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친구의 사회적 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설문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은 LISREL 8.54를 이용한 경로분석이 이루어졌고,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첫째,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기본심리욕구(자율성, 유능감, 관계성)를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예측을 하고, 3개 예언변인들의 삶의 만족도 전체 변량에 대한 설명력은 약 49%로 나타났다. 둘째, 친구의 사회적 지지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에 비해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기본심리욕구 → 삶의 만족도) 더 많은 예측을 하고, 기본심리욕구는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예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를 촉진시키는데 기본심리욕구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기본심리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부모의 자율성지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autonomy support, friends’ social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life satisfaction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tests of autonomy support scale, social support scale, basic psychological need scale, and life satisfaction scale were administered 331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ere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hree universities in Kangwon province, Chungnam province, and Gyeonggi province, Korea. The statistical method employed for data analysis was path analysis by LISREL 8.54.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search model is appropriate in terms of goodness of fit and significant path based the validation procedu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wo exogenous(parents’ autonomy support, friends’ social support) and one endogenous(basic psychological need) variable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life satisfaction via three pathways, and the predictive power for the total variance of life satisfaction was approximately 49%. Also,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 had a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dictive variables(parents`` autonomy support, friends’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their friends’ social support had more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an did their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 had a 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life satisfaction, 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ir lif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결혼이민여성의 문화적응이 취업욕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로연구

        김도희(Dohee Kim),장재원(Jae Won Chang)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민여성의 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의 경로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응, 임파워먼트, 사회적지지 요인들로 구성하여 206명의 결혼이민여성의 응답결과를 통계프로그램 SPSS18.0와 AMOS 20.0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분석결과는 문화적응→임파워먼트, 문화적응→사회적지지, 문화적응→취업욕구, 임파워먼트→취업욕구, 사회적지지→취업욕구의 경로순으로 유의했다. 또한 문화적응과 취업욕구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를 통해 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 역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결혼이민여성의 취업욕구를 향상을 위하여 문화적응지원이 중요한 동시에 결혼이민여성의 임파워먼트와 사회적지지원 확대를 통해 취업욕구가 향상되도록 사회복지실천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study examined effects of employment needs for married women with moving abroad. This study of model was consist of acculturation, empowerment and social support to be related employment needs for married women with moving abroad. It was analysed by statistic programs SPSS18.0 and AMOS ver. 20.0 based on 206 cases. As result of this study was found following. The path of from acculturation to empowerment was the most significant statistically. Nextly, from acculturation to employment needs, from empowerment to employment needs, from social support to employment needs was the significant statistically. Also there were direct effect for fives path. Specially, indirect effect was found path acculturation to job-desire through empowerment, social support. Finally this study can be suggested enhancing alternatives for employment needs for married women with moving abroad.

      • KCI등재

        교사의 동기부여방식과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및 사회-정서적 행동과의 관계

        임창하,송용관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5

        이 연구는 교사의 동기부여방식이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및 사회-정서적 행동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P시 소재중학교 2곳과 고등학교 1곳에서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187명)과 고등학생(10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이 느끼는 체육교사의 동기부여방식, 심리적 욕구 만족과 좌절 그리고 사회적/정서적 행동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 기술, 신뢰도, 타당도, 상관 및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인 체육교사의자율성지지는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과 사회-정서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사회-정서적 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부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인 체육교사의 통제적 방식은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은사회적 기술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부적으로예측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동기부여방식은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뿐만 아니라, 사회-정서적 행동을 함양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체육교사의 통제적 동기부여방식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경험하게 하고, 자율성지지 방식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 경험을 감소 및 예방하는 동기부여방식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사회-정서적 행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욕구 좌절은 사회적 기술을 부정적으로 발달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자율성지지를 통한 체육교사의 긍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은 학습자의심리적 욕구 만족뿐 아니라 사회-정서적 행동을 발달하는데 실제적이고 중요한 동기부여방식이라는 것을 체육교육 현장에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teacher's motivating style on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as well as social and emotional skills in Physical Education (PE). Based on the cross-sectional, 27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87 middle school students and 100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their perceptions of PE using teacher motivating style (i.e., autonomy support and control),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psychological need frustration, social skill and emotional skill PE. Analyses showed that the teacher autonomy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social and emotional skills and teacher autonomy support but not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in PE. Specifically, teacher autonomy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hereas it was nega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need frustration.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and emotional skills. In conclusion, the teacher autonomy support on psychological needs among students social and emotional skills that PE teacher was the powerful predictor of creating by a social and emotional skills. More detail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지각된 사회적지지 및 기본심리욕구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서미정 ( Mi-cheong Seo ) 한국영유아아동정신건강학회 2015 영유아아동정신건강연구 Vol.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 기본심리욕구, 공격성 간의 관계를 알아본 후, 중학생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기본심리욕구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충남 및 경기도에 재학 중인 중학생 447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척도(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 기본심리욕구 척도(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공격성 척도(신체적공격성, 분노, 언어적공격성, 적의성)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처리를 위하여 SPSS 18.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함으로써 설명력과 상대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인 부모지지, 교사지지, 친구지지는 공격성과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기본심리욕구의 하위변인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도 공격성과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중 부모지지와 교사지지는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친구지지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기본심리욕구의 하위 변인 중 자율성과 관계성은 공격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유능성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지지의 변인에서는 부모와 교사가, 기본심리욕구의 변인에서는 자율성이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 of social support,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ggress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vestigate how social support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have an effect on aggression. A survey was conducted about social support (by parents, teachers, and peers),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nd aggression (physical aggression, anger, verbal aggression, and antagonism) with 447 middle school students in Choongcheongnam-do and Gyeonggi-do.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18.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rental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peer suppor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gression.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gression. Second, parental support and teacher’s suppor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ggression although peer support did not. In term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utonomy and related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ggression although competence did not. These findings imply that parental support and teachers’ support among the variables of social support influence aggression and autonomy and relatedness among the variables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ffect aggression

      • KCI등재

        사회적 지지, 기본 심리 욕구, 삶의 만족도의 관계:누구로부터의 지지가 중요한가?

        박채림,신희영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5 No.3

        본 연구는 청·장년 및 노인을 대상으로 관계 유형별 사회적 지지가 기본 심리 욕구의 충족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관계는 연령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30대-60대의 성인을 연령대에 따른 균등표집을 통해 807명(M=48.81세, 남성 50.4%)을 대상으로 배우자, 친구, 자녀 및 부모로부터의 사회적 지지, 기본 심리 욕구의 충족,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배우자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만족도와 높은 정적 관계를 보였다. 배우자의 지지는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과 정적 관계를 보인 반면, 친구의 지지는 유능성 및 관계성과 정적 관계를 보였다. 기본 심리 욕구 중 유능성과 관계성이 삶의 만족도와 정적 관계를 보였고, 배우자와 친구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는 연령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청·장년층에서 노인에 비해 배우자와 친구 지지, 유능성과 관계성의 충족, 삶의 만족도 간의 관련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 고령자를 포함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나 다양한 연령 집단에 따라 관계 유형별 사회적 지지가 기본 심리 욕구의 충족을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고려하고 상호작용의 빈도와 정서적 강도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서비스 욕구 및 문제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심경순(Kyung Soon Shim),박영준(Young Joon Park) 한국아동복지학회 2010 한국아동복지학 Vol.-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의 이용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서비스 욕구 그리고 아동청소년 문제 간의 인과모형이 적합하게 성립되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자료는 2009년 9월에 대구·부산지역에서 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청소년 198명을 본 연구의 기초자료로 삼았다. 이들에게 회수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후 상관관계분석, 공분산구조분석의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분석 내용은 지역아동센터의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서비스 욕구 그리고 아동청소년 문제간의 인과관계 모형을 검증하는 것으로,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연구변인들 간에는 서비스 욕구→아동청소년 문제, 사회적 지지→서비스 욕구, 사회적 지지→아동청소년 문제로 가는 모형은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수정모형에서 사회적 지지의 직접효과를 삭제하여 서비스 욕구를 통한 간접효과를 통해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적합도 지수와 인과모형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지역아동센터의 이용 아동청소년의 문제는 서비스 욕구에 기반한 사회적 지지 간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의 제시가 필요하며, 이용 아동청소년 문제에 대한 관련 변인 및 연구들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and validate the casual link between social support, social service program needs, and social problems of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in Daegu and Busan city), and analytic results were based on the data from 198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SS and AMOS statistical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data.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covariance structural analysis reveal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between social service program need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social support and social service program needs, and social support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However, the modified model reveals that social support indirectly affects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rough social service program needs. Thus to improve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are centers, strategies that could enhance social support based on social service program needs should be develop in addition to further studies that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ocial service program needs.

      • KCI등재

        중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잠재프로파일: 자율성지지와 심리적 통제의 예측효과와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의 차이

        한승수(Seungsoo Han),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욕구만족과 욕구좌절이 구별되지만 동시에 공존하는 구인이라는 가정에 따라 중학생의 기본 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잠재프로파일을 탐색하고, 잠재프로파일에 대한 부모,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심리적 통제의 예측효과와 잠재프로파일 별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중학생 435명을 대상으로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좌절형’, ‘만족형’, ‘평균형’과 함께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좌절이 모두 높은 ‘만족-좌절 복합형’이 도출되었다. 둘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높고 심리적 통제가 낮을수록 ‘좌절형’보다 ‘만족형’의 프로파일을 나타내었다. 특히 부모와 교사의 통제뿐만 아니라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높을수록 ‘만족-좌절 복합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좌절형’은 낮은 친사회적 행동과 높은 공격성을 나타낸 반면, ‘만족형’은 높은 친사회적 행동과 낮은 공격성을 나타냈다. 특히 ‘만족-좌절 복합형’은 친사회적 행동과 공격성 모두 높은 수준을 보였으며, 이는 ‘만족형’의 친사회적 행동, ‘좌절형’의 공격성과 비교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기본심리욕구의 만족과 좌절이 모두 높은 집단이 존재함을 밝혀냈으며, 이 집단의 복합적 적응 양상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기본심리욕구의 낮은 만족과 좌절은 구분되어야 하며,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을 높이고 공격성을 낮추기 위해서 욕구만족의 증진뿐만 아니라 욕구좌절의 예방을 위한 부모와 교사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are distinct but potentially co-occurring, this study explored the combined relations between them.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different combinations of need satisfaction and need frustration had different antecedents, including autonomy support and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teachers, and different outcomes, including prosocial behavior and aggression. Applying a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a sample of 435 middle school students, this study identified 4 groups of students with distinct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profiles; ‘frustrated’, ‘satisfied’, ‘average’ and ‘satisfied-frustrated’ profiles. The higher the autonomy support and the lower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teachers, the higher is a student’s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satisfied’ rather than ‘frustrated’ profile. Particularly, not only the higher psychological control of parents and teachers but also the higher parents’ autonomy support predicted the higher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satisfied-frustrated’ profile, which had both high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Further, the ‘frustrated’ and ‘satisfied’ profiles showed low prosocial behavior and high aggression, and high prosocial behavior and low aggression, respectively. More interestingly, the ‘satisfied-frustrated’ profile showed high levels of prosocial behavior besides high levels of aggression, which were as high as prosocial behavior of ‘satisfied’ and aggression of ‘frustrated’ profiles. The findings evidence that there are some students experience both the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highlighting that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are distinct but co-occurring with specific antecedents and outcomes. To enhance prosocial behavior and to mitigate the aggression of adolescents, parents and teachers are recommended to make active efforts for the promotion of need satisfaction and prevention of need frustration of the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