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도희 ( Kim¸ Dohee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1 음악교수법연구 Vol.22 No.1
인간이 몸담은 사회의 여러 현상과 활동은 음악작품 속에 다양한 방법으로 묘사되어 왔다. 본 논문은 권력의 압제에 대항하는 항쟁의 모습이 서로 다른 장르의 음악작품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고찰하였다. 먼저 음악과 사회의 관계와 관련 이론을 살펴보고, 제프스키의 피아노 변주곡 <단결한 민중은 결코 패배하지 않는다!>, 로시니의 오페라 <윌리엄 텔>, 윤이상의 교향시 <광주여 영원히!>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각 작품의 작곡가, 작품과 관련된 사회사, 작품 속에 묘사된 항쟁의 다양한 표현기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결한 민중은 결코 패배하지 않는다!>는 칠레의 민주화운동과 관련된 저항가요를 주제로 작곡되었으며, 단결의 의미가 상징적으로 표현되었고, 항쟁 현장의 소리 모방과 항쟁과 관련될 수 있는 나타냄말이 쓰였으며, <윌리엄 텔>에서는 오스트리아의 압제에 전설의 명사수 텔과 스위스 민중이 함께 대항하는 내용이 등장인물들의 노래 가사로 표현되었고, <광주여 영원히!>는 한국의 5·18 민주화운동을 음악으로 형상화한 교향시로 저항, 애도, 재행진의 세 부분 구성 속에 항쟁의 여정이 묘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과 사회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가 더욱 촉발되고, 이와 관련된 작품의 이해와 해석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연구가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Various phenomena and activities in society in which humans are involved have been described in different ways in musical work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appearance of the resistance against the oppression of power was expressed in musical works of different genres. First of all,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society and related theories are examined and Rzewski’s piano variation < The people united will never be defeated! >, Rossini’s opera < William Tell >, and Isang Yun’s symphonic poem < Exemplum in memoriam Kwangju > a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 and composer of each work, the social history related to each work, and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on resistance described in each work a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 The people united will never be defeated! > is composed on the theme of resistance song related to the Chilean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meaning of unity is symbolically expressed, and imitation of the sound from resistance scene and terms and words which could be related to the resistance are used in the work. In < William Tell >, the story in which the legendary archer Tell and the Swiss people resist against Austria's oppression are expressed through the lyrics sung by characters. < Exemplum in memoriam Kwangju > is a symphonic poem that embodies musically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in Korea, and journey of resistance consisting of uprising, mourning and a re-marching is described in the work.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society will be more stimulated and multilateral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works related to this matter will be further expanded through this study.
베베른의 ‘피아노 변주곡 Op. 27’과 메시앙의 ‘음가와 강세의 모드’에 나타난 음렬기법과 총렬기법 연구 및 연주를 위한 제안
김도희 ( Kim¸ Dohee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5 음악교수법연구 Vol.15 No.-
본 논문은 베베른의 < 피아노 변주곡 Op. 27 >과 메시앙의 <음가와 강세의 모드> 연구를 통하여 음렬주의와 총렬주의 이론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연주에 나타나도록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렬주의와 총렬주의에 의한 피아노 곡들은 음렬이론에 대한 이해가 어렵고 강약, 주법, 리듬 등 음렬화 된 여러 음악요소의 미세한 차이를 연주에 반영하기 까다로워 실제 연주가 회피되는 경향이 있다. 음렬 및 총렬기법을 연주에 잘 반영하기 위해서는 음렬화 된 음고, 음가, 리듬, 강약에 대한 이론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베베른의 < 피아노 변주곡 Op. 27 >과 메시앙의 <음가와 강세의 모드>에 나타난 음렬과 총렬기법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기법들이 연주에 잘 반영되기 위한 방법들을 다각적으로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피아니스트들이 음렬기법과 총렬기법을 보다 폭넓게 이해해서 이러한 기법이 사용된 피아노 작품들을 연주무대에 보다 자주 올려 다양한 연주 레파토리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heory of Serialism and Total Serialism through researching Webern's Piano Variation Op. 27 and Messiaen's Mode de valeurs et d'intensités and to examine how the theory can be effectively appeared in performance. Performance of piano pieces based on Serialism and Total Serialism is tend to be avoided because understanding serial technique theory is difficult and hard to reflect subtle differences of various music elements such as dynamics, attack and rhythm in series in actual performance. For Serial and Total serial techniques to be brought out well in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ory of pitch, value of note, rhythm and dynamic in series in advance. To achieve this purpose, Serial and Total serial techniques in Webern's Piano Variation Op. 27 and Messiaen's Mode de valeurs et d'intensités are studied and methods to reflect these techniques well in performance are searched in various ways. It is expected that though this research, pianists would understand widely Serial and Total serial techniques and perform more often piano pieces based on these techniques at a stage building diverse performance repertoire.
민관협력파트너십을 통한 가족친화마을만들기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과제 - 울산시 북구사례를 중심으로
김도희(Kim Dohee)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8 No.2
The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project is regarded as necessary for expanding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realization of governance in pursuit of small government and implementation of local self-govern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examine activities of the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project in order to successfully promote building a living environment in which residents may live pleasantly and comfortably through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creating a beautiful landscape, and forming a community. Therefore, this study deeply analyzes the process of the project selected through public offering of the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project in Ulsan city (the joint child-care project of Buk-gu emco-town). Through the analysis, this study tries to point out the problem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project and what should be made to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focuses on case studies and therefore, relies more on qualitative analysis rather than quantitative analysis. To reflect realit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roject managers responsible for the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project and interviews with related officials and village activists in the case region, we tried to analyze the status of the family-friendly town development project and figure out problems due to actual operation of the project. This study proposes the policy tasks required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family-friendly town project that is performed by public-private partnership according to project execution phases. Therefore, this study may be considered to be worth being used as a reference for policy making to the self-governing organizations that want to promote similar projects.
지역차원의 에너지 분권확대를 위한 방안 모색 - 분권확대의 필요성과 지자체 역량증진을 위한 부서 에너지 센터의 필요성
김도희(DoHee Kim),오연지(YeonJi Oh)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21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7
2020년 10월 제2차 한국판 뉴딜 전략 회의에서 지역 균형 뉴딜은 한국판 뉴딜의 3대 축 중 하나로 채택되었다. 그린뉴딜 프로그램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새로운 양식의 경제발전을 이루어 내는 것이 뉴딜 정책의 핵심 목표이며 그 중심에는 지역 에너지전환이 있다. 에너지 전환이란 재생에너지와 에너지효율을 바탕으로 한 에너지 시스템의 분권화를 의미하며, (임성진 외 4인, 지역 주도 그린뉴딜과 에너지 분권) 이때 지역자치단체(이하 지자체)에 지역의 에너지에 대한 권한인 에너지 분권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지자체의 권한, 책임, 인력, 예산, 역량 그 어느 것 하나도 충분한 것이 없으며, 특히 에너지 분야 재무는 중앙 보조율이 52.0%로서 지역 에너지가 중앙정부의 주도아래에 있음을 시사한다. (2019 주요국 거버넌스 체계분석을 통한 에너지 분야의 지역분권 방향 연구, 김창훈) 이러한 시사점은 지자체의 주도성 쇠퇴, 민원해결 미흡 및 인력부족 문제로 이어져 최근 이격거리 규제를 강화하는 사태를 야기하기도 했다. 에너지 전환을 성공적으로 이루고 있는 국가의 경우 지방자치 상위법령에서 에너지 권한 명시, 에너지 정책과 관련한 중앙-지방협력체계 구축, 기본적으로 높은 지방재정의 특징이 나타났다. (2019. 주요국거버넌스체계분석을 통한 에너지 분야의 지역분권 방향 연구, 김창훈) 하지만 우리나라에서 지역 에너지 사업은 경직적인 재정지원을 보이며, 지역의 에너지 권한도 법적으로 명시해 놓지 않아 지역 주도 에너지전환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지역 에너지 분권 이양이 필요하다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분권 시 지역의 에너지 정책을 추진하는 핵심 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핵심 기구 또한 지자체로부터 지속적인 재정지원을 받는 데 한계가 존재하고, 정치적 요인이 개입되지 않게 하는 등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센터 유지 방안이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발표를 통해 지자체에 에너지 분권의 필요성을 알리며, 지역 에너지 센터의 지속가능한 확대방안을 제언을 해보고자 한다.
김도희(Dohee Kim),이민규(MinGyu Lee),오유정(Yujeong Oh),최종원(Jongwon Choi) 대한전자공학회 2023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6
With the development of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the industrial field to improve abnormal detection performance such as component defects. As an attempt to improve anomaly detection performance, this study assumed that performance would improve if features were extracted well from existing normal data, reconstructed images, and then added the reconstructed images to the learning dataset. We extract reconstructed images from existing images through the generative model. After adding only one reconstructed image to the existing learning dataset, an anomaly detection experiment is conducted using the FastFlow model and compared with the baseline score.
김도희(Kim, Dohee)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32 No.1
영성은 인간 누구나 지니고 있는 내면의 보편적인 본성이며, 영성의 핵심 기능은 회복과 삶의 의미 추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도 영성적 개입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더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성과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종교성과 영성의 차이를 규명하고 영성과 사회복지실천과의 관계성을 살펴보며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영성적 접근전략의 가치와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영성적 개입을 실천현장에 도입하여 효과를 거둔 사례로 평가되고 있는 마음챙김명상과 강점관점 실천 모델에 관해 고찰해봄으로써 영성 지향적 개입을 통한 임상 사회복지실천의 패러다임 구축에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들을 제언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영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에의 접목이 인간의 삶의 질 향상과 사회복지서비스의 효과성 증진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천에 있어서 영성적 개입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가능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국내에서 충분한 연구가 그동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영성과 사회복지 연구의 접점에서 효율적인 실천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들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영성에 대한 심층적 연구 및 영성 기반 실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은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이와 더불어 학문으로서의 사회복지학의 가치와 위상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The spirituality is the universal human nature. The core feature of spirituality is the recovery and seeking the meaning of life. On the basis of this perspective, the spiritual intervention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ssue in the social work practice fie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religiousness and spiritualit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pirituality and social welfare practice and to consider the spiritual approach for social welfare practic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topic, this study seeks to consider mindfulness meditation and strength perspectives model that is standing high in evaluation as effective case in social work practice field. Through these reflections,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for the spirituality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human beings and social welfare servic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mportant influence that it is the study of the tenets. But in practice, spiritual intervention is how specifically are possible did not have enough research in Korea come true as yet. Therefore, in the contact on social welfare and spirituality, the study on efficient plans to research the need to be in various aspects. It will be improving the quality of social welfare services that concentrate efforts in-depth studies in spirituality and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spirituality-based social work practicing program. In addition, it should result in the enhancing the value and status of the social welfare.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논문집 : 19세기 후반 스페인 피아노 조곡 알베니스의 스페인의 노래 (Chants d`Espagne) Op. 232 연구
김도희 ( Dohee Kim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1 음악교수법연구 Vol.7 No.-
본 논문의 목적은 바로크 조곡 양식에 스페인 민속음악 어법이 결합된 19세기 후반 피아노 조곡 알베니스의 스페인의 노래 (Chants d’Espagne) Op. 232에 대한 연구이며, 다섯 곡으로 구성된 이 작품이 콘서트에서 총체적으로 연주되어야하는 논거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곡의 시대적 발달과정, 알베니스의 작곡경향, 스페인 민속음악, 스페인의 노래 분석, 바로크 조곡과 스페인의 노래 비교, 각 악장간의 음악적 연계성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이 작품이 무용악장 모음곡으로 바로크 조곡양식의 전통을 일부 계승하였으며, 조성체계와 동기 및 기법의 순환적 사용으로 개별곡사이의 유기적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 작품의 다섯 곡이 총체적으로 연주될 때 하나의 완성된 모음곡으로서 보다 깊은 음악적 설득력을 가진다는 것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Chants d’Espagne Op. 232 which is the late 19th century Romantic piano suite combined by elements of Baroque keyboard suite and Spanish folk music and to examine why it is recommended to be performed at one sitting at concert. In this study, development of suite, piano music of Albeniz, some features of Spanish folk music, analysis based on key relationship and comparison between Baroque suite and Chants d’Espagne were discussed. There were clear connection with this work and Baroque suite in terms of a series of dance movements. Various musical links in specific key relationship, rhythm and melody among individual movements were found and flamenco, gypsy music, church mode, influence from orient were appeared in Chants d’Espagne. All the elements above suggest to build this work as one large piece. Therefore, when performed all movements, intention of the composer and musical effect would be maximized.
뇌병변장애를 가진 아동과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도희(Dohee Kim)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3
본 현상학적 연구는 뇌병변장애를 가진 아이들과 함께 작업한 미술치료사의 경험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뇌병변장애가 있는 아동과의 치료 경험이 갖는 의미를 이해하고, 미술치료사 교육과 임상적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5명의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일대일로 인터뷰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총 312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70개의 주제, 21개의 하위 구성 요소 및 7개의 상위 구성 요소가 결정되었다. 참여자들은 미술치료 회기 경험을 통해 아동이 가진 장애 및 개별적인 성향과 함께 그들을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게 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술작품을 완성하는 것보다 아동과 함께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서 미술치료와 장애 아동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경험은 치료사로서의 자기효능감을 발견하게 되는 과정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 재활에 중점을 둔 미술치료사 훈련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phenomenological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who have worked with children with brain lesion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reating children with brain lesions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art therapists’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To this end, five art therapists were interviewed one-on-one,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Follow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total of 312 semantic units were derived, based upon which 70 topics, 23 subcomponents, and eight parent components were determined. Participants were found capable of understanding not only children s disabilities and individual dispositions, but als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out the art therapy experi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erspective of art therapy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anged as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process of being with the children was more important than completing art works. Finally, these experiences were summarized as the process of discovering self-efficacy as a therapist. Based on participants’ experiences, this study makes recommendations for the training of art therapists, and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cusing on developmental rehabil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