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베베른의 ‘피아노 변주곡 Op. 27’과 메시앙의 ‘음가와 강세의 모드’에 나타난 음렬기법과 총렬기법 연구 및 연주를 위한 제안

        김도희 ( Kim¸ Dohee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5 음악교수법연구 Vol.15 No.-

        본 논문은 베베른의 < 피아노 변주곡 Op. 27 >과 메시앙의 <음가와 강세의 모드> 연구를 통하여 음렬주의와 총렬주의 이론을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연주에 나타나도록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렬주의와 총렬주의에 의한 피아노 곡들은 음렬이론에 대한 이해가 어렵고 강약, 주법, 리듬 등 음렬화 된 여러 음악요소의 미세한 차이를 연주에 반영하기 까다로워 실제 연주가 회피되는 경향이 있다. 음렬 및 총렬기법을 연주에 잘 반영하기 위해서는 음렬화 된 음고, 음가, 리듬, 강약에 대한 이론을 먼저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하여 베베른의 < 피아노 변주곡 Op. 27 >과 메시앙의 <음가와 강세의 모드>에 나타난 음렬과 총렬기법을 분석하였고 이러한 기법들이 연주에 잘 반영되기 위한 방법들을 다각적으로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피아니스트들이 음렬기법과 총렬기법을 보다 폭넓게 이해해서 이러한 기법이 사용된 피아노 작품들을 연주무대에 보다 자주 올려 다양한 연주 레파토리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theory of Serialism and Total Serialism through researching Webern's Piano Variation Op. 27 and Messiaen's Mode de valeurs et d'intensités and to examine how the theory can be effectively appeared in performance. Performance of piano pieces based on Serialism and Total Serialism is tend to be avoided because understanding serial technique theory is difficult and hard to reflect subtle differences of various music elements such as dynamics, attack and rhythm in series in actual performance. For Serial and Total serial techniques to be brought out well in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ory of pitch, value of note, rhythm and dynamic in series in advance. To achieve this purpose, Serial and Total serial techniques in Webern's Piano Variation Op. 27 and Messiaen's Mode de valeurs et d'intensités are studied and methods to reflect these techniques well in performance are searched in various ways. It is expected that though this research, pianists would understand widely Serial and Total serial techniques and perform more often piano pieces based on these techniques at a stage building diverse performance repertoire.

      • KCI등재

        음악작품 속에 나타난 항쟁 묘사의 표현기법 연구

        김도희 ( Kim¸ Dohee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21 음악교수법연구 Vol.22 No.1

        인간이 몸담은 사회의 여러 현상과 활동은 음악작품 속에 다양한 방법으로 묘사되어 왔다. 본 논문은 권력의 압제에 대항하는 항쟁의 모습이 서로 다른 장르의 음악작품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고찰하였다. 먼저 음악과 사회의 관계와 관련 이론을 살펴보고, 제프스키의 피아노 변주곡 <단결한 민중은 결코 패배하지 않는다!>, 로시니의 오페라 <윌리엄 텔>, 윤이상의 교향시 <광주여 영원히!>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각 작품의 작곡가, 작품과 관련된 사회사, 작품 속에 묘사된 항쟁의 다양한 표현기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단결한 민중은 결코 패배하지 않는다!>는 칠레의 민주화운동과 관련된 저항가요를 주제로 작곡되었으며, 단결의 의미가 상징적으로 표현되었고, 항쟁 현장의 소리 모방과 항쟁과 관련될 수 있는 나타냄말이 쓰였으며, <윌리엄 텔>에서는 오스트리아의 압제에 전설의 명사수 텔과 스위스 민중이 함께 대항하는 내용이 등장인물들의 노래 가사로 표현되었고, <광주여 영원히!>는 한국의 5·18 민주화운동을 음악으로 형상화한 교향시로 저항, 애도, 재행진의 세 부분 구성 속에 항쟁의 여정이 묘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음악과 사회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가 더욱 촉발되고, 이와 관련된 작품의 이해와 해석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연구가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Various phenomena and activities in society in which humans are involved have been described in different ways in musical works. This paper examines how the appearance of the resistance against the oppression of power was expressed in musical works of different genres. First of all,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society and related theories are examined and Rzewski’s piano variation < The people united will never be defeated! >, Rossini’s opera < William Tell >, and Isang Yun’s symphonic poem < Exemplum in memoriam Kwangju > a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 and composer of each work, the social history related to each work, and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on resistance described in each work a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 The people united will never be defeated! > is composed on the theme of resistance song related to the Chilean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he meaning of unity is symbolically expressed, and imitation of the sound from resistance scene and terms and words which could be related to the resistance are used in the work. In < William Tell >, the story in which the legendary archer Tell and the Swiss people resist against Austria's oppression are expressed through the lyrics sung by characters. < Exemplum in memoriam Kwangju > is a symphonic poem that embodies musically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in Korea, and journey of resistance consisting of uprising, mourning and a re-marching is described in the work.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society will be more stimulated and multilateral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works related to this matter will be further expanded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

        음악교수법연구 : 리스트의 스페인 랩소디(Rhapsodie Espanole)와 파야의 스페인 소곡집(Piezas Espanolas)에서 나타나는 민속음악요소 분석

        김도희 ( Dohee Kim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4 음악교수법연구 Vol.14 No.-

        본 논문은 19세기 후반에 대두된 민족주의 음악 중 스페인 민속음악 요소의 영향을 받아 작곡된 리스트의 스페인 랩소디(Rhapsodie Espanole, 1863)와 스페인 민족주의 음악의 대표적 작곡가인 파야의 스페인 소곡집(Piezas Espanolas, 1906)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다. 리스트의 스페인 랩소디는 그의 헝가리 랩소디와 형식적인 부분을 공유하고 있지만 부제 ‘폴리아 데스파뉴와 호타 아라고네사(Folies d``Espagne et Jota aragonesa)’ 에서 볼 수 있듯이 주된 음악적 재료를 스페인 음악에서 가져왔다. ‘폴리아 데스파뉴’ 부분은 폴리아 주제와 6개의 변주로 구성되었으며 ‘호타 아라고네사’는 스페인 북부 아라곤 지방의 빠르고 강한 호타리듬이 지배적으로 나타나며 박자 조성 템포 등에 있어 대조를 이루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야의 스페인 소곡집(Piezas Espanolas)은 아라고네사(Aragonesa), 쿠바나(Cubana), 몬타네사(Montanesa), 안달루자(Adaluza)의 네곡으로 구성되었고 아라곤 지방의 호타리듬, 스페인 식민지였던 쿠바의 과히라(Guajira) 춤리듬, 북부 스페인의 눈 덮인 산의 풍경 묘사, 스페인 남부 안달루시아 지방의 집시음악의 요소가 표현되고 있다. 리스트와 파야의 작품은 작곡시기에 차이는 있지만 두 곡 모두 스페인 음악요소가 작곡의 주요 요소로서 사용되었다는 유사성이 있다. 차이점으로는 리스트의 스페인 랩소디는 형식과 내용이 자유로운 랩소디의 특징을 보여주며, 파야의 스페인 소곡집은 바로크 시대에 성행했던 무곡 모음곡 형식을 모델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This thesis focuses on the study of Liszt``s Rhapsodie Espanole and Falla``s Piezas Espanolas who was a leading Spanish composer being influenced on Spanish Music elements from Nationalism on Music rising in late nineteenth centry. Rhapsodie Espanole by Liszt hold form in common with his Hungarian Rhapsody``s, however, it brought main elements of music from Spainish music as seen its subtitle ‘Folies d``Espagne et Jota aragonesa’. Folies d``espagne is formed with Folia theme and six variations and Jota aragonesa is based on fast and rhythmic Jota rhythm from Aragon of northern Spain and consists of two parts which are contrary in meter, key and tempo. Piezas Espanolas by Falla consist of four movements which are Aragonesa, Cubana, Montanesa, Andaluza and expresses impression and Jota rhythm from Aragon, Guajira rhythm of Cuba which used to be colony of Spain, a paysage of mountain covered with snow in northen Spain and Andalusia Gypsy music elements in southern Spain are expressed. Thoses works by Liszt and Falla were composed in different time, however, they share similarity of using Spain music elements as a main compositional factor. A major difference between two pieces are that Rhapsodie Espanole by Liszt shows unrestricted form and character of rhapsody and Piezas Espanolas by Falla follows form of suite which became popular in Baroque period.

      • KCI등재

        미취업 신체 장애인의 장애 정도, 직무기술 효능감, 진로행동의 관계: 사회인지진로이론의 적용

        김도희(Kim, Dohee),정주리(Joeng, Juri) 한국재활심리학회 2021 재활심리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인지진로이론을 바탕으로 신체적 장애를 가진 미취업자의 진로 준비 과정을 탐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장애의 정도가 직무기술에 대한 효능감을 거쳐 진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인고용 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PSED) 참여자 중에서 지체장애나 뇌병변장애를 가진 만 19세부터 49세 이하의 미취업자 중에서 취업을 희망한다고 응답한 32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의 정도가 심할수록 직무기술 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장애의 정도가 진로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의 정도가 직무기술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신체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진로행동을 촉진하고자 할 때, 이들의 직업적 효능감의 영향을 고려하여 개입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여겨진다.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tion of social-cognitive career theory(SCCT) to investigate the career preparation proces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pecificall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gree of dis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analyzed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data set gathered from 320 unemployed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ged 19 to 49 years, who were currently looking for a job.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results indicated that degree of disability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levels of job self-efficacy, but had no direc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egree of disab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fully mediated by job self-efficacy.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levels of job self-efficacy in facilitat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 KCI등재

        영도( 影島)의 문화유산을 활용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김도희(Kim Dohee),안장혁(An Janghy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3

        최근 들어 국가 차원에서 ‘인문도시’ 사업을 추진하는 배경에는 역사문화 자산 활용도를 극대화하려는 의지가 담겨 있다. 한 지역의 시공간적 ‘문화 기억’을 상징화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역사적 정체성과 상징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형태로 문화자산을 재코드화(recodification)한 뒤, 후세대들의 공감과 공명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스토리의 주된 구성 요소라 할 수 있는 역사적 인물과 사건, 그리고 자연문화자산이 갖는 고유의 메시지를 포괄하고, 이를 후대들을 위한 교육 콘텐츠로 재구성하는 작업이 필요해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는 부산 영도(影島)의 문화유산을 후세대들의 ‘인성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적극적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방법론으로는 인성교육의 주요 핵심 덕목들과 스토리텔링 전문가 스티븐 데닝이 제시한 네러티브 패턴을 유기적으로 접목시키는 방식을 택했다. 인성 덕목과 네러티브 패턴을 통해 영도의 문화유산을 유의미한 교육모델로 재탄생시키려는 접근 방식은 선례 가 없는 독창적인 시도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영도의 문화유산과 인성교육 간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프랑스 사회학자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제시한 ‘아비투스(habitus)’ 개념을 활용하고자 한다. 아비투스란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후천적으로 길들여진 집단적 성향 또는 시대정신을 의미한다. 개인의 경험들이 하나하나 쌓여 집단적 문화코드를 형성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한 집단의 문화적 정체성을 대변하게 되는 것이 아비투스이다. 본 연구는 독일의 문화학자 아스만(Jan Assmann)이 제시한 ‘소통적 기억’과 ‘문화적 기억’의 토대 위에서 영도의 문화유산에 내재된 상징적·심미적·감성적인 가치를 인성교육의 틀로 재조명함으로써 문화유산을 후세대들과 공유하고 공감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입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study aimed to find ways to activate character education using the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 in Busan. The latest push for the humanistic city project at the national level has meant the willingness to maximize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To symbolize a region s cultural memory, we need to actively recompose its historical identity and symbolism into a form, and then re-codication of cultural assets. This requires the inclusion of unique messages from historical figures, events and natural cultural assets, the main components of the story, and reconfiguration of these into educational content for future generations. With such a sense of problem,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cultural heritage of Yeongdo in Busan can be utilized as an active tool to promote character education of future generations. Specific methodologies were designed to provide the 8 key virtues of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motion Act(e.g., hyo, honesty, responsibility, respect, consideration,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the 8 behaviors patterns presented by storytelling experts Stephen Denning. An approach to re-generating Yeongdo s cultural heritage into a meaningful model of education through personality virtue and a negative pattern would be an unprecedented and original attempt. The study aims to utilize the concept of Habitus by French sociologists Bourdieu to maximize synergy effects between Yeongdo s cultural heritage and character education. Habitus refers to collective inclination or zeitgeist that has been domesticated according to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As individual experiences accumulate, they form a collective cultural code, and eventually Habitus represents a group s cultural identity.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symbolic, aesthetic and emotional value of cultural heritage embedded in Yeongdo, Busan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memory and cultural memories proposed by German cultural scholar Assmann.

      • KCI등재
      • KCI등재

        류재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연구

        김도희 ( Kim Dohee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6 음악교수법연구 Vol.17 No.2

        류재준은 현대음악의 거장 펜데레츠키와 강석희를 사사하고 해외를 중심으로 활발히 작곡활동을 하며 주목받는 한국 작곡가이다. 본 논문은 류재준의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Suite per pianoforte)에 대한 최초의 연구로 이 작품의 근간이 되는 작곡의 구성요소와 음악적 기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은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장르 중 하나인 모음곡(Suite)을 모델로 하여 작곡가 본인이 고안한 음계를 바탕으로 작곡된 작품으로 세 개의 푸가(Fugue), 코랄(Corale), 로맨스(Romance), 토카타(Toccata), 피날레(Finale) 등 일곱 악장으로 구성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류재준의 프로필과 그의 전체 작품을 검토하고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의 전체적 특징, 초판의 2쇄본과 제 2판의 차이점 비교, 각 악장에 사용된 음계 및 구조, 그리고 악장들 사이의 연관성 및 공통 요소를 분석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21세기에 활동하는 한국 작곡가와 피아노 음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이에 대한 연구와 연주가 확산될 것을 기대한다. Jeajoon Ryu is a Korean composer who studied with Penderecki in Poland who is a great master in contemporary music and Sukhi Kang in Korea. Jeajoon Ryu has earned his worldwide reputation for his work. This thesis is the first study about < Suite per pianoforte > by Jeajoon Ryu.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basic compositional elements and musical techniques of the work. < Suite per pianoforte > is built on the frame of Suite, one of the representative genres of Baroque period and the scales created by Jeajoon Ryu himself. It is comprised of seven movements including three Fugues, Corale, Romance, Toccata, and Finale. In this thesis, Jeajoon Ryu’s profile and his works were reviewed. Furthermore, the general character of < Suite per pianoforte >, differences between the second printing of first and second edition, the scales and the structure used in each movement and connection and common elements shown in movements were analyzed. It is hoped that further research about Korean composers in the twenty-first century and more performance of their works will be led through this thesis.

      • KCI등재

        국내 진로교육학 연구동향(1993-2017): 초‧중‧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김도희(Kim Dohee),박주령(Park Joor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국내 진로교육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1993년부터 2017년 사이에 “진로교육연구”에 게재된 논문 649편을 검토한 후 연구목적에 맞게 초 중 고 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224편의 논문을 선별하였으며, NetMiner 4.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에서 나타난 주요 텍스트는 진로에 대한 흥미와 포부, 학습, 자아개념, 성 역할, 부모양육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에서 나타난 주요 텍스트는 진로에 대한 정보탐색, 체험과 경험, 의사결정, 자아개념, 진로준비 행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에서 나타난 주요 텍스트는 진로 결정, 진학과 취업준비 행동, 진로성숙, 정체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에서 추출된 텍스트의 네트워크 구조는 적절한 분화와 응집을 이루는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나 연구 분야가 체 계적으로 축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에서 추출된 텍스트의 경우에는 단일 네트워크의 형태로 나타나 연구 분야가 체계화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진로교육의 발전 방향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career education research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field. The final 224 papers o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to analysis from the 649 papers published in Career Education Research from 1993 to 2017. The researchers conducted a text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 4.3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aper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texts about career interest, aspiration, learning, self concept, gender role, and parenting attitude was mainly dealt with. And in the papers on middle school students, the texts about information search, experience and experience, decision making, self-concep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mainly dealt with. In the papers on high school students, the texts about career decision, career advancement, job preparation behavior, career maturity, and identity were mainly dealt with. Second,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text extracted from the papers on high school students is composed of appropriate differentiation and cohesion, so that the research fields are accumulating systematically. However, in the cas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research literature, it has not been systemized in the form of a single network.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utur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of career educ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뇌병변장애를 가진 아동과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도희(Dohee Kim)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3

        본 현상학적 연구는 뇌병변장애를 가진 아이들과 함께 작업한 미술치료사의 경험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뇌병변장애가 있는 아동과의 치료 경험이 갖는 의미를 이해하고, 미술치료사 교육과 임상적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5명의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일대일로 인터뷰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총 312개의 의미 단위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70개의 주제, 21개의 하위 구성 요소 및 7개의 상위 구성 요소가 결정되었다. 참여자들은 미술치료 회기 경험을 통해 아동이 가진 장애 및 개별적인 성향과 함께 그들을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게 되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술작품을 완성하는 것보다 아동과 함께하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게 되면서 미술치료와 장애 아동에 대한 관점이 변화하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경험은 치료사로서의 자기효능감을 발견하게 되는 과정으로 요약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 재활에 중점을 둔 미술치료사 훈련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phenomenological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art therapists who have worked with children with brain lesion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treating children with brain lesions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art therapists’ education and clinical practice. To this end, five art therapists were interviewed one-on-one,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Follow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 total of 312 semantic units were derived, based upon which 70 topics, 23 subcomponents, and eight parent components were determined. Participants were found capable of understanding not only children s disabilities and individual dispositions, but als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out the art therapy experie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erspective of art therapy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changed as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process of being with the children was more important than completing art works. Finally, these experiences were summarized as the process of discovering self-efficacy as a therapist. Based on participants’ experiences, this study makes recommendations for the training of art therapists, and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cusing on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