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중심으로 -

        최영란 ( Choi Yeong Ran ),송진영 ( Song Jin Yeo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5

        본 연구는 고등학생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그들의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자아정체감은 이들 간을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의 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 남학생 279명과 여학생 355명 등 총 634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에 대한 부모지지는 남학생의 경우는 사회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부모지지가 높을수록 사회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에 대한 교사지지는 남학생의 경우, 심리적 안녕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사회적 안녕감에는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반면, 여학생의 경우 교사지지는 사회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친구지지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사회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정체감은 남녀 고등학생의 친구지지와 사회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을 매개함을 검증하였다. 여학생의 경우 자아정체감은 부모지지와 사회적 안녕감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을 매개함을 밝혔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적 지지와 자아정체감의 향상을 통해 청소년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a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dolescent’s well-bei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a total of 634 first-and-second year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including 279 males and 355 females.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dolescent’s parental support showed no effect on soci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ale students. Whereas females’s parent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dolescent’s teacher support did not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but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well-be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teacher support was found to be low. As adolescent’s peer support was found to affect soci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both male and female, peer support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well-being of adolescent high school students. (2) Ego-identi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er support and soci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e case of female students whose parent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ego-identity was found to be a factor that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soci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om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well-being of adolescent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s well as the follow-up study.

      •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이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연구

        정윤주 ( Jung Yoon Ju ),채경아 ( Chea Kyoung Ah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19 사회복지경영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유아 교육기관 교사의 일터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검증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교사의 사회적지지를 통해 심리적인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증적· 이론적· 정책적인 함의를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두 가지 문제를 연구주제로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둘째,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이 사회적지지를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근무하는 교사 502명이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터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검증에 대한 분석결과, 일터영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터영성이 사회적지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검증결과, 일터영성은 사회적지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결과, 사회적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터영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일터영성은 사회적지지를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에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의 의의는 유아교사의 일터영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내재 적동기와 사회적지지를 통하여 규명해 보았다는 것이다. 또한 제언점으로는 연구방법에 있어서 표집 집단이 넓지 못하고 연구의 설문이 객관적이고 정확한지에 대한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더욱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유아교사의 직무에 맞는 척도를 개발하여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rive empirical,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workplace spirituality of infant teachers and to recognize the impa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ocial support of teachers by analyzing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f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is purpose, two issues were set as research subjects. First, check the effect of infant teacher workplace spiritua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check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f infant teachers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medium of social support. Subject to the study are 502 teachers working at child education institutes bas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hypothesis verification on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has shown that workplace spiritua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hypothesis test on the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social support showed that workplace spirit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upport. Third,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h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found that workplace spiritu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mediating social support. As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show, social support for workplace spirituality of infant teachers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as that the workplace nature of the infant teacher was identified through social support as a variable affecting the psychological euphoria. Also, as a suggestion, the collection group is not broad in the research method and there is a limit to the objective and correctness of the investigation. Thus, in further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evaluate measures suitable for the job of an infant teacher for further analysis.

      • KCI등재후보

        중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왕만(Man Wang),이용남(Yongnam Lee)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38 No.-

        이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완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고,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았다. 셋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부분매개모형을 채택하였다. 둘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아지면 사회적지지 수준이 낮아졌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수준이 높아지면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낮아졌다,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아지면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아졌다. 넷째,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성향을 지닌 중국 유학생들이 사회적 지지를 경험할 때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성향을 지닌 중국 유학생들이 사회적 지지를 경험할 때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리적 안녕감을 높지 않은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성향자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어떻게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하는지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Between of 40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August to November in 2014 at B University of A city, a total of 330 respondents were used in the analysis. Spss 20.0 and AMOS 20.0 conducted to text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ess coping strategy and social support significant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Proactive coping strategy posi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assive coping strategy negatively affected psychological well-being. That is, proactive coping strategy used as a way of adapting to stress improves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passive stress coping strategy lowers it. Finally,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implied that higher social support helps to improve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stress coping strategy affect social support. Proactive coping strategy positively affected social support, while passive coping strategy have not an effect on social support.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support had a mediated effect. The result showe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t means that those who used proactive coping strategy become more capable of recognizing social support that is available around them through emotional reinforcement and they are also more capable of utilizing them. However,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passive coping strateg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shoed that social suppor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ssive coping strateg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ere should be more programs that could help stress coping strategy in college counseling centers, which will greatly help Chinese students in Korea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adjust to their college life better.

      • KCI등재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검증 -

        최영란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8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27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들 간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성별에 따라 검증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에 있는 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생 634명을 대상으로 유의표집방법을 사용하여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부모지지는 남학생의 경우는 정서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모두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여학생의 경우에는 부모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교사지지는 남녀 학생 모두에서 정서적 안녕감과 심리적 안녕감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남학생의 경우는 사회적 안녕감에는 정적인 영향을 보였으며, 여학생의 경우는 나타나지 않았다. 청소년의 친구지지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서 정서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은 남녀 고등학생의 친구지지와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부모지지가 정서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던 여학생의 경우, 자아정체감은 부모지지와 정서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간을 매개하는 요인임을 밝혔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몇 가지 논의와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노년기 사회적 지지제공 및 지지받기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기본 심리 욕구의 매개효과

        이현서,정영숙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between giving social support(GSS) and receiving social support(RSS)and subjective well-being(SWB) of the elderly in close relationships.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30 participants aged over 60 from Busan and Gyeongsangnam-do in South Korea including measuring degrees in GSS and RSS, BPN(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SWB. Results from mediating analyses showed that competence and relatedness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SS and SWB.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RSS and SWB. The effect of GSS differed slightly depending on the type of relationship. In the case of the family, there was partial mediation of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SS and SWB, and direct effect between GSS and SWB. In the case of non-family, there was complete mediation of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SS and SWB. This study’s results indicate the need to study psychological functions of GSS by showing the positive effect of GSS in the elderly. 본 연구는 노년기 친밀한 타인과 사회적 지지를 주고받는 것이 기본 심리 욕구를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 증진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부산·경남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330명을 대상으로 가족 또는 비 가족으로부터 노인이 받는 사회적 지지와 그들을 향한 사회적 지지제공, 기본 심리 욕구(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충족 정도, 그리고 주관적 안녕감을 측정하였다. 매개 분석 결과, 가족이나 비 가족과 관계없이 사회적 지지제공은 유능성과 관계성을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가족이나 비 가족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기본 심리 욕구를 매개로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제공의 효과가 대상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가족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사회적 지지제공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능성 및 관계성의 부분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제공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직접 효과가 나타났으나 비 가족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은 유능성 및 관계성의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사회적 지지받기와 지지제공의 차별적 효과와 노년기 사회적 지지제공의 긍정적 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사회적 지지제공에 관한 심리적 기능의 연구 필요성을 보여준다.

      • KCI등재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집단괴롭힘 피해경험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역량의 매개효과

        이기수,원성준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3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and their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we evaluated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as mediators. The survey responses of 2,246 multicultural adolescents' from the first wave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2019 data were analyzed. The path analysis results suggested that multicultural adolescents' perceptions of social support were negatively related to their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posi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Specifically, perceived social support positively predicted self-esteem and social competence. In turn, although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predictive of psychological well-being, it was not predictive of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comparison, social compet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both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s of social support were evaluated using a bootstrapping approach.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urthermore, social competenc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both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부모, 친구, 교사)와 집단괴롭힘 피해경험, 심리적 안녕감의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역량이 사회적 지지와 집단괴롭힘 피해경험 및 심리적 안녕감의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 2기(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2기)의 1차년도(2019년) 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 학생 2,246명(남학생 1,144명, 여학생 1,102명)의 설문응답을 분석하였다. 경로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집단괴롭힘 피해경험과 심리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예측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역량을 통해 간접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사회적지지는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역량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자아존중감은 심리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지만,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은 예측하지 못하였다. 반면 사회적 역량은 집단괴롭힘 피해경험과 심리적 안녕감 모두를 유의하게예측하였다.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역량은 사회적 지지와 집단괴롭힘 피해경험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모두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후속연구 방향 등을 논의하였다.

      •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를 매개 변인으로

        김민정,이희경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9 社會科學硏究 Vol.25 No.-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 소재 대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낙관성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사회적 지지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관성과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낙관성 수준이 높은 학생은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더 잘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를 높이 지각하며, 가깝게 지내며 의지가 되는 친구의 수가 많았고 심리적 안녕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과정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 효과가 있는지 위계적 중다 회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낙관성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더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여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셋째,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가 있는 지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 즉 지각된 부모의 지지, 지각된 친구의 지지, 친구의 수는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낙관성 수준이 높은 학생은 부모 및 친구의 지지를 높이 지각하고 가깝게 지내며 의지가 되는 친구관계를 더 넓게 형성하고 있기에 심리적 안녕감이 높았다. 넷째, 심리적 안녕감을 예측하는 변인을 찾기 위해 단계적 회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낙관성이 심리적 안녕감을 가장 잘 예언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낙관성,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대학생들의 안녕감을 높이고 심리적인 문제의 예방적인 측면에서 특히 낙관성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346 Korean undergraduates in Seoul and Gyeonggi completed the optimism scale,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 the number of friend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tandard regression showed that optimi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a hierarchical strategy in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partially mediates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refocus on planning, catastrophizing, and positive reappraisal in th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 hierarchical strategy in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timi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social support, that is, perceived parent support, perceived friend support, the number of friends partially mediate the e딴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a stepwise strategy in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in order to predict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follow certain procedure: optimism, refocus on planning, catastrophizing, perceived friend support, positive refocusing, blaming others, and self blame.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to understandings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offered.

      • KCI등재

        은퇴를 앞둔 공무원·공기업 중년기 남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연구

        김만기,채경선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8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of retiring and social support on the psychological well - being of middle - aged male, aimed public official and construction employee. The study aimed to minimize the personal and social problems, significant changes in lives related to result of retirement that experienced by middle-aged men, particularly who were professionally stab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aged men, aged 49 years to 60 years, who were public official (government offices, city hall) and 236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Within the findings of study of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retirement anxie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 are significan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with social support and retirement anxiety. It seems to be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 - being, whereas the higher the retirement anxiety, the lower the psychological well - being. Especially, the effect of psychological well - being on positive life was found to be higher as positive support, which is a sub - factor of social support. Mediation effec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retirement anxiety had a negative impact on social support whereas positive impa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Moreover, social suppor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retirement anxiety on psychological well-being, retirement anxiety itself has to be reduce and for that it seems to be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support for continuous education, preparation and economic self-reliance after retirement. 본 연구는 은퇴를 앞둔 공무원 및 공사 직원을 대상으로 “사회적 은퇴불안과 사회적지지가 중년남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중년남성 특히 직업적으로 안정적이었던 공무원과 공사 직원들이 삶의중요한 변화를 겪게 되는 은퇴와 관련하여 경험하게 될 개인 및 사회적인 문제를 최소화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년기 남성 50세(만49세)부터 61세(만60세)의, 공무원(시청. 구청. 동사무소 등 관공서), 공사(교통공사, 시설관리공단, 환경관리공단 등)직원을 대상으로 총 236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 은퇴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결과를 보면 사회적 지지와 은퇴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게 나타나는 반면, 은퇴불안이 증가할 때 심리적안녕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심리적 안녕감이 긍정적 삶에 미치는 영향은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평가적 지지가 높을수록 긍정적 삶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왔다.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은퇴불안은 사회적 지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으며, 사회적 지지는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은퇴 불안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는 은퇴불안 자체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은퇴 이후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준비, 경제적인 자립을 위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 거부민감성,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임미지,김종운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9 청소년상담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s there a direct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on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are high school students'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directly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are high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in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Fourth, are there any indirect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appearance satisfaction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For this purpose, 380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D, K, S, and Y high schools in Busan were surveyed. The survey consisted of appearance satisfaction,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final 350 data were used for analysi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high school student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were the major predictors and prote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indirect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verified and a new triple mediation model was suggested as a mediator. It is meaningful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fessional and specific programs for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of high school students in each counseling centers and high schools for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ffecting appearanc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알아보고, 직․간접적인 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는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의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가? 셋째,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는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는가? 넷째,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는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순차적으로 간접적인 효과가 있는가?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D, K, S, Y 인문계 고등학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외모만족도,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척도로 이루어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35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확인하여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예측변인과 보호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고, 매개변인으로써의 새로운 삼중매개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는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력을 미치는 심리내적 변인을 위해 각 학교의 상담 및 교육기관에서 고등학생의 심리․사회 지원을 위해 전문적이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령 후기 아동이 지각한 친구 및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통합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학교풍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손환희(Son, Hwan-Hee),이동형(Lee, Dong-Hyung),김지연(Kim, Ji-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학령 후기 아동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통합적 관점의 안녕감의 관계에서 학교풍토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산광역시, 울산광역시, 경기도 소재 6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아동 734명을 대상으로 친구 및 교사의 사회적지지, 통합적 안녕감 및 학교풍토에 대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 및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아동이 인식한 사회적 지지, 학교풍토, 통합점 관점의 안녕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구와 교사로부터의 사회적 지지는 통합적 관점의 안녕감 및 그 하위요인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설명력은 통합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안녕감, 정서적 안녕감 순이었다. 또한 교사보다 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안녕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령 후기 아동의 친구 및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통합적 관점의 안녕감 사이에서 학교풍토가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교육공동체의 주체로서 아동의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해 따뜻한 돌봄과 배움의 교육공동체를 구현하는 학교풍토 조성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clim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omprehensive well-being of late school age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734 children in the 5th and 6th grades attending 6 elementary schools in Busan, Ulsan, and Gyeonggi-do. They answered questions from three rating scale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examined through Pearson 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dditionally, medi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bootstrapping techniques for testing multiple mediators by Hayes’s Process macro for SPSS 25.0.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ocial support, school climate, and comprehensive well-being of late school age childre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xplanatory power that social support influences on integrated well-being and its sub-factors, it was found in the order of integrated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well-being, and emotional well-being. Third, school climat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from friends/teacher and the well-being of children. As a result of conducting mediation analysis,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hildren s comprehensive well-being through school climat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suggestions for increasing social support and building an educational community to form a positive school clim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