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이버수업 운영유형과 자기규제학습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강숙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교육에서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 중 어느 유형이 더 효과적인지, 또 그들의 자기규제학습 수준이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자기규제학습 수준과 사이버교육 운영유형 간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자기규제학습 수준을 상, 하 두 수준으로 구분하고 각 수준에서 실시간 수업과 비실시간 수업에 학생들을 무선 배치한 후 과학 사이버수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실시간 집단이 비실시간 집단에 비해 더 높은 학업성취를 보였으며, 자기규제학습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더 우월한 성취를 나타내었다. 사이버수업 운영유형과 자기규제학습 수준과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기규제학습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실시간과 비실시간 수업에서 일관되게 높은 점수를 보인데 반해, 자기규제학습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실시간 수업에 비해 비실시간 수업에서 현저하게 낮은 학업성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의 자기규제학습 변인이 비실시간 사이버교육에서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시켜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ype of cyber class, self-regulated learning, and learning achievement. More specifically, it explored whether different ways of running cyber class(realtime and non-realtime) and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SRLS) affect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34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levels: high and low SRLS and then were randomly assigned into one of the two treatment conditions: realtime and non-realtime class.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middle school in Incheon City. Pre- and post-test on student achievement were administered. To analyze the data, ANOVA design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students participating in realtime class performed better than those in the non-realtime class. Also, students with high SRLS showed higher performance than those with low SRLS and this difference was greater in case of non-realtime class. This finding suggests that SRLS need to be taught in order for low SRLS students to succeed in non-realtime cyber class.

      • KCI등재

        사이버가정학습 관련 연구에 대한 분석

        서정희,구양미 한국교육개발원 2010 한국교육 Vol.37 No.4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outcomes and accomplishments of existing research on Cyber Home Learning (CHL)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existing CHL related research trends and outcomes. For this purpose, 46 CHL-related research journal articles, either those in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dexed list or candidates for inclusion in the list,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rticles were analyzed from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publication year, publishing agency, study subjects, topics, and research methods employed. Based on the analysis, the number of the CHL services-related articles have increased over the years and more than ten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yearly since 2007. Research on pedagogy and evaluation-related subject areas has been active. The study on the research outcomes by subject area firstly revealed that CHL services were effective in terms of in-depth and supplementary learning materials when used to augment regular education. Secondly, it was essential for CHL to include level-differentiated contents to satisfactorily fill its role of augmenting public education. Thirdly, it was necessary for the learner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learning to generate the expected outcomes from the use of the CHL services. To promote learning, it was crucial to consider learners’ motivations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Fourthly, it was also necessary to utilize the cyber teachers, parents, and tutors to effectively manage CHL. Based on these research outcomes, directions for the advancement of future CHL services and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과 관련한 연구 동향과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그 결과와 성과를 확인하고 향후 사이버가정학습 서비스의 발전과 관련 연구의 방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술진흥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에 게재된 논문 총 46편을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이 46편의 논문에 대해 연도별, 학회지별, 연구방법별, 연구대상별, 연구영역별로 빈도 분석과 연구영역별 주요 연구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이버가정학습 관련 연구는 해마다 증가는 추세이며 2007년 이후 매년 10편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고 있었다. 연구영역별로는 교수와 평가 영역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연구영역별 주요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 첫째, 사이버가정학습 서비스는 공교육 보완의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심화 및 보충 학습의 측면에서 효과적이었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이 공교육 보완의 역할을 충실히 해내기 위해서는 수준별 콘텐츠가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학습 참여가 전제되며, 이를 촉진하기 위하여 학습자의 학습동기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었다. 넷째, 사이버가정학습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사이버교사, 학부모, 튜터의 활용이 필수적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사이버가정학습 서비스와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촉진을 위한 강의교안 가이드라인 개발

        강수민(Soo-Min Kang), 이지은(Ji-Eun Lee), 서희정(Hee-Jeong Se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사이버대학이 평생학습의 주요 교육기관으로 성장함에 따라 사이버대학 수업의 맥락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의 지원 요소 개발에 대한 현장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수학습의 지원 요소 중 강의교안에 주목하였고,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실용적 방안을 가이드라인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다. 방법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개발은 총 7단계의 절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첫째, 문헌 분석을 통해 오프라인 대학과 다른 사이버대학의 맥락을 이해하고, 사이버대학 학습자를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에 대한 정의에 기반 한 연구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어서 분석과 개발, 검증의 단계로 나누어 가이드라인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A사이버대학교 직원과 심층면담을 통해 강의교안 개발과 활용, 핵심 요소 등을 점검하고, 그 분석 결과를 통해 3가지 설계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가이드라인의 지침으로 삼았다. 가이드라인은 수업의 서론과 본론, 결론에 필요한 요소와 작성 방법, 자기주도적 학습의 기대효과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실무진과 A 사이버대학 교수자의 검증을 통해 최종 도출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 첫째, 실무진 심층면담을 통해 A 사이버대학의 강의교안 개발 현황과 제공의 필요성, 교수자의 강의 스타일과 교수학습요소의 관련성,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를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A 사이버대학의 우수 강의교안 사례 분석을 통해 강의교안 설계가 도입-본론-결론의 큰 프레임을 기초로 과목별 특성과 내용, 강사 및 교수 설계자의 의도, 구현 전략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강의교안 개발 가이드라인의 교수학습요소와 프레임 도출의 근거가 될 수 있도록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촉진을 위한 강의교안의 설계 전략 3가지를 도출했다. 셋째, 수업의 도입과 본론, 결론의 각 영역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와 그 정의, 작성 방법, 자기주도적 학습 측면에서의 기대효과를 중심으로 최종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에 대하여 사이버대학과 온라인 강의를 주로 활용하는 평생교육기관에 주는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As cyber university grow into a major educational institution for lifelong learning, there is a growing demand in the field for the development of support elem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that considers the context of cyber university clas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course content among the supporting elem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ried to reveal practical ways to promote self-directed learning for cyber university’s adult learner through guidelines. Methods The development of specific guidelines was carried out in seven steps. First,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offline universities and other cyber universities, and a research pla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for cyber university students. Next, the guideline content was organized into stages of analysis, development, and validation. In-depth interviews with A Cyber University staff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eaching plans and key elements. From the analysis results, three design strategies were established and used as the basis for the guidelines. The guidelines consisted of the introduction and main body of the class, the necessary elements and writing methods for the conclusion, and the expected outcomes of self-directed learning. These guidelines were ultimately validated by the staff and instructors at A Cyber Universit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several findings emerged. First,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aff, it was discovered that the current status of course plan development and the need for provision at A Cyber University were related to the instructors' teaching styles, teaching-learning elements, and the necessity for guideline development strategies for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Additionally, an analysis of exemplary lecture plans from A Cyber University revealed that the lecture plan design could be compo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of each subject, the intentions of the lecturer and instructional designer, and the implementation strategy based on the overall structure of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Second, three strategies for designing lecture plans aimed at promoting self-directed learning for cyber university students were derived, which served as the basis for determin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elements and framework for the lecture plan development guidelines. Third, the final guideline were derived focusing on the elements to be included in each area of the introduction, main body, and conclusion of the class, their definitions, writing methods, and expected effects in terms of self-directed learning. Conclusion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mainly utilize cyber universities and online lectur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사이버대학 학습경험 요소 도출을 위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이은택,차정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학습경험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로써 사이버대학교 학습자 관련 선행연구를 키워드 네트워크 방법으로분석하여 학습경험을 이루는 주요 요소와 관계를 구조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국내 학술지에 등재된 ‘사이버대학’, ‘원격대학’, ‘학습(자)’ 관련 논문 75개의 주제어를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하였으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가중 연결성, 위세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을 중심으로 보았으며 주요 키워드인 사이버대학, 사이버대학학습자, 온라인교육에 관해서는 에고 네트워크 분석하였다. 결과 사이버대학+학습자 관련 연구의 전체 네트워크 구조를 살펴본 결과 가중 연결성 부분에서는 학습성과, 실재감, 자기주도성, 만족도, 학업지속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분석되었다. 가중 연결성, 위세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의 상위 3개 키워드인사이버대학, 사이버대학습자, 온라인교육을 대상으로 에고 네트워크 분석 결과 사이버대학 에고 네트워크는 학습성과, 학업지속, 실재감 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사이버대학이 20살을 맞이하면서 성숙기로 돌입하고 있다. 그동안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양상도 다변화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다양한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다양성과 그에 대한 맥락을 이해하여 그들이 겪고 있는 학습 곤란함을 처방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이버대학 연구에 있어서 온라인교육의 특성과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As a basic research for studying cyber university learning experience, this study aims to structurally identify the main elements and relationships that make up the learning experience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yber university learners using the keyword network method. Methods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75 keywords related to 'cyber university', 'distance university', and 'learning'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focused on weighted connectivity, dominance centrality, proximity centrality, and mediation centrality, and the ego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main keywords cyber university, cyber university learners, and online education. Resul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overall network structure of cyber university + learner-related research, the keywords learning performance, sense of presence, self-direction, satisfaction, and academic continuation were analyzed as major keywords in the weighted connectivity section. As a result of ego network analysis targeting the top three keywords of weighted connectivity, power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cyber university, cyber university learner, and online education, the cyber university ego network was analyzed in the order of learning performance, academic continuation, and sense of presence. Conclusions Cyber University is entering its maturity stage as it turns 20. The reality is that the patterns of cyber university learners have also diversified. Therefore, by understanding the diversity and context of various cyber university learners,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prescribe the learning difficulties they are experienc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hen studying cyber universities,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education and the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must be kept in mind.

      • KCI등재

        초등학생의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정혜윤,신재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가정학습에서 배운 내용을 학교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학습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D시에 소재한 7개 초등학교 4, 5, 6학년 795명을 대상으로 연구 취지와 실시 방법을 사전에 설명한 후 학습자 배경 변인, 학습자 내적 특성, 교육내용 및 설계, 학습 수행 환경, 학습 전이 등의 관련 검사를 실시하여 786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한 설문지 6부를 제외한 78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 내적 특성, 교육 내용 및 설계, 튜터 지원, 사이버가정학습 수행 환경, 학습만족도가 학습 전이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 전이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성적 향상에 대한 기대와 사이버가정학습을 학습할 수 있는 준비 자세 등 학습자 내적 특성을 사전에 잘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학습동기 유발 전략을 제공해 주어야 한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가 효과적으로 학습하도록 지원하는 튜터의 역할과 사이버 상에서 안정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시스템 환경이 중요하므로 무엇보다도 효율적으로 사이버가정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 주어야 한다. 셋째, 학교 수업과 연계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은 물론, 학습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이버가정학습 설계해야 한다.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CHLS) is the nationwide online learning initiative of the South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which share a number of similarities with well-developed e-learning environment. Most of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effectiveness of CHLS such a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hile few studies addressed the leanring transfer in CH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key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arning transfer in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s. Self-completio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even hundred ninety five elementary students from seven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and data were obtained from seven hundred eighty of them. Th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nd findings indicated that factors such as learning contents and instructional design, learner's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environment affect the learning in CHLS. In particular, key factors that enhance the learning transfer were readiness of learners, relevance of learning contents, design of contents,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

        심미자 한국교육컨설팅학회 2016 교육컨설팅연구 Vol.4 No.1

        사이버대학과 일반 오프라인 대학은 수업운영 방식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특성에서도 많은 차이점이 있다. 즉, 사이버대학의 수업은 콘텐츠 기반의 온라인 중심으로 운영되며 학습자들은 연령층과 직업분 야, 입학동기 등이 다양하다. 따라서 학습자들에게는 자기주도적인 학습역량이 요구되며, 대학 차원에서 는 성인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교수-학습지원을 해야 한다. 특히 사이버대학은 학습자들의 상황적 요인에 의한 중도탈락율이 일반대학에 비해 높은 편으로 입학에서 졸업까지의 지속적인 학습지 도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요구분석에 기초한 맞춤형 학습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를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B 사이버대학 재학생으로 학습실태 조사를 기반으로 한 요구조사 분석을 토대로 1) 디지털 리터러시 강 화, 2)상호작용 강화, 3) 대학생활 안정화, 4) 실무능력 강화, 그리고 5) 학습자 맞춤형 콘텐츠 개발과 운영 등 다섯 가지 영역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의 학습역량 강화를 위해서 는 사이버대학의 특성과 학습자들의 요구를 적극 반영하여 학습동기와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사 이버대학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온라인 수업의 한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교수-학습지원이 이루 어져한다.

      • KCI등재

        사이버가정학습의 이용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과학을 중심으로 -

        정용란 ( Yong Ran Chung ),우애자 ( Ae Ja Woo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과학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사이버가정학습 사이트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4개 시·도의 중학교 1학년 학생과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 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교사의 긍정적인 인식 및 이용 지도가 학생들의 사이버가정학습 이용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사이버가정학습이 과학 과목에 대한 흥미 유발과 자기 주도적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사이버가정학습을 사교육의 대안이 아닌 일반적인 학습 도구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사이버가정학습이 학생들의 과학 과목에 대한 흥미 유발, 학업 성취도 향상 및 자기 주도적 학습 유발 가능성에 대하여 긍정적이었으나, 공교육 보완 가능성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넷째, 교사들은 사이버 가정학습이 사교육을 대체하고 공교육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학교 수업과 밀접하게 연계된 내용과 방식으로 진행되고, 심화-보충학습 부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사이버가정학습의 사이버 교사 참여율을 높이려면 교사들의 과도한 업무와 수업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rospective directions of Cyber Home Study Sites, the web-based education service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ail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for the first year students and their science teachers of the middle schools located at 4 cities/provin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ctive public relations and teachers` positive attitude and guidance about Cyber Home Study Sites have a good influence on the students` use of Cyber Home Study. Cyber Home Study services should be closely connected with formal schooling, so that the students` school record could be improved. To reduce private education expenses, it is necessary to implant the perception that Cyber Home Study services are no less effective than the private education.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the teachers as cyber teachers of Cyber Home Study service, their excessive duties and classes should be reduced. In addition, most teachers answered that the deepening-supplementing learning in the science courses should be supplemented and developed for the effective operations of the Cyber Home Study service.

      • KCI등재

        사이버 가정학습 컨텐츠 활용 교실 수업이 농촌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준(Kim Dong jun),이영주(Lee Young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2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lassroom instruction using Cyber Home Learning contents on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toward Cyber Home Learners of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total number of 45 r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eonggi-do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In the experiment group, students watched Cyber Home Learning contents during the classroom instruction and after school. However, in the control group, students took normal classroom lessons and used Cyber Home Learning after school only. As a result, first, even though it is hard to fi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more than comparative group on areal comparison, confidence.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otal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gained higher grades than the comparative group on calculation domain of natural number.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Cyber Home Learning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is study showed that Cyber Home Learning in the rural elementary school could be successfully conducted if appropriate instructional designs and environments were provided. 이 연구는 사이버 가정학습 컨텐츠 활용 교실 수업이 농촌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성취도,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경기도 면소재 농촌지역 초등학교 학생 45명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은 사이버 가정학습 컨텐츠 활용 교실 수업을 진행하였고, 비교 집단은 일반 교실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사이버 가정학습 태도에 관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t검증하였고, 학업성취도는 수학과 기초학력검사를 진단검사로 사용하여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를 공변량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전체 점수의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영역별 비교에서 실험집단 학생들의 자신감이 비교 집단 학생들보다 높게 향상되었다. 둘째, 기초학력검사 진단검사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여 학업성취도의 집단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전체학업 성취도의 집단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영역별 학업성취도 중 자연수의 연산 영역에서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에 대한 학습자 태도에 관해 실험 집단 학생들이 비교 집단 학생들보다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농촌 학교 학생들에게 학교 정규 수업에서 사이버 가정학습이 가능한 활용 여건을 조성하고 효과적인 수업설계를 제공하여 사이버 가정학습 질적 향상에 기여하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사이버 교육환경에서 학습성취도 증진 방법 연구

        오은주(Eun-Joo Oh)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1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에 대한 인식도를 알아보고 사이버강좌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오프라인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습역량검사와 사이버 강좌에 대한 인식도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학습역량 검사는 사이버학습에서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자기주도적 학습역량과 성취목표지향성,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이버 학습 환경에서 학업성취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역량 강화 방법이 제안되었다. 연구에는 현재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4개의 학습역량 검사도구가 사용되었다. 검사는 총 2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공학계열, 인문사회계열, 예술계열 등 다양한 전공계열의 학생이었다. 연구 참여자 총 250명 중 여학생이 67명, 남학생이 183명이었으며, 이중 사이버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 115명이었고 오프라인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 68명이었다. 연구결과 수강형태와 관련 없이 연구 참여자들의 학습역량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들은 사이버 강좌를 이용하는 것은 편리하지만 사이버 강좌를 통하여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있다고 느끼지는 못하고 있었고 사이버 학습 공간에서 교수자의 지도 없이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역량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학습의 목표가 성적을 잘 받거나 수업내용을 이해하기 위함도 아니어서 전체적으로 학습에 대한 성취 목표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역량을 증진시키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was to find the way to improve students’ achievement by analyzing their learning competencie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students’ competencies and achievements in cyber learning environm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s, students’ perceptions of the classroom about the Cyber classes and their learning competencies were examined. Total 250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study areas included engineering, humanities, and arts. Among the total 250 students, there were 67 female and 183 male students, and 115 students were taking cyber classes and 68 students were taking offline courses. A survey method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Three Learning competency Test such as self-regulated learning tes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est were conducted and the survey to find the perceptions of cyber classes was conducted as well. SPSS 19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Study result showed that participants had low levels of learning competencies regardless of the types of course delivery mode. They did not think that they are improving their academic performance through cyber courses. results of the study, effective ways of teaching were proposed to enhance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사이버 가정학습에 대한 태도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병주,백현기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08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3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 학습 동기는 사이버가정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의 사용 용이성은 사이버가정학습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의 유용성은 사이버가정학습 태도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의 품질은 사이버가정학습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사이버가정학습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학습 성과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sult of analys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yber home study moti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yber home study attitude. Secondly, the cyber home study Content of Ease use has no positive effect on the cyber home study attitude. Thirdly, the cyber home study Content of Usefulness has negative effect on the cyber home study attitude. Fourth, the cyber home study Content of qu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yber home study attitude. Fifth, the cyber home study the attitude a positive effect on has result that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effectiv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