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ntrepreneurial Ecosystems(기업가적 생태계) 개념과 시사점

        구양미 한국경제지리학회 2022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ey concepts of Entrepreneurial Ecosystem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economic geographical studies.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s well as changes of its research trends were examined. By combining entrepreneurship and geography, Entrepreneurial Ecosystems, which have recently emerged as important concepts and theories, were examined with the focus on the key concepts such as ‘actors and factors’, ‘productive’ and ‘territory’. It is important that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components such as entrepreneurs, start-ups, existing companies, institutions and cultural elements are interconnected to build communities through ‘entrepreneurial recycling’. Entrepreneurial Ecosystems support to create innovative high-growth start-ups based on entrepreneurial culture in the local region. Despite conceptual limitations,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es should be conducted from economic geographical perspectives in order to reveal the geographical and spatial processes of productive entrepreneurship and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region-based start-up ecosystems. 본 연구의 목적은 Entrepreneurial Ecosystems의 핵심 개념을 분석하고 경제지리학 연구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것이다. 기업가정신과 지리를 결합한 Entrepreneurial Ecosystems이 중요한 개념과 이론으로 부상하였는데, ‘행위자와요인’, ‘생산적’, ‘영역’이라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Entrepreneurial Ecosystems에서는 개인적⋅조직적⋅ 제도적 구성요소인 기업가, 스타트업, 기존 기업, 제도와 문화적 요소들이 상호연결되어 ‘기업가적 재순환’을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로컬 지역에서 기업가적 문화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고성장 신생기업을창출하는데 기여한다. 개념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생산적 기업가정신(혁신창업)의 지리적⋅공간적 프로세스를 밝히고지역기반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경제지리학 관점에서 이론적,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우수등재

        베트남 해외주재원의 아내로 살기: ‘따라가는 아내’에서 SNS를 통한 공동체 네트워크 매개자로서의 역할 변화

        구양미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in the role of women as accompanying spouses who have been regarded primarily as passive tied migrants in international family migr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emale accompanying spouses living in Hanoi, Vietnam, and their online networks were analyzed as examples. The increase in economic cooperation with Vietnam has led to more Korean corporations and institutions dispatch expatriates to Vietnam. This has made more their families live in Hanoi including so-called ‘trailing wives’ who followed their husbands. Women as accompanying spouses who have taken a passive attitude initially have become an active role in the process of local adaptation with sharing various information, learning collectively, and working together to solve local problems. Real-time mobile-based Social Network Services (SNS) have contributed greatly to this. It is also affected by gender role and identity as a ‘mother’ as well as hiring a maid with the help of wage gap between Korea and Vietnam. It can be said that women as accompanying spouses have changed into pivotal roles in mediating and activating the local community networks of Koreans in Vietnam.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 가족 이주에서 주로 수동적으로 간주되어 온 여성 동반이주자들의 현지 정착에 있어서의 특성과 역할 변화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베트남 하노이에 거주하는 여성 동반이주자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들의 온라인 네트워크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베트남과의 경제협력이 증가하면서 기업 및 기관들의 해외주재원 파견이 많아졌고, 남편을 따라 하노이로 이주한 이른바 ‘따라가는 아내’로서의 여성 동반이주자들과 가족들이 많아졌다. 여성 동반이주자들은 현지 적응 과정에서 여러 가지 정보를 공유하고 공동학습을 하며 함께 로컬지역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등 적극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실시간 모바일 기반의 소셜네트 워크서비스(SNS) 활성화가 큰 기여를 했다. 또한 ‘엄마’로서의 젠더 역할과 정체성, 베트남과 한국의 임금격차로 인한 가정부 고용 역시 영향을 주었다. 여성 동반이주자들은 이주 초기 수동적 역할에서 변화하여 한국인 로컬 공동체 네트워크를 매개하고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교육용 콘텐츠 통합 서비스를 위한 품질관리지침 개발

        구양미,김용 이러닝학회 2019 이러닝학회 논문지 Vol.4 No.1

        본 연구는 교육용 콘텐츠 통합 서비스를 위해 공공과 민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교육용 콘텐츠에 적용될 수 있는 평가 영역과 요인을 도출하여 보편적인 품질관리지침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중등교 육, 고등·평생교육, 산업 분야의 대표적인 6개 품질관리지침을 선정하여 평가 영역과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결과, 모든 기관의 품질관리지침에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요인은 6개로 나타났다. 비교분석 결과를 토대로 품질관리지 침의 영역 및 요인 구성, 필수/선택 요소의 적절성에 대해 1차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 여 품질관리지침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2차 전문가 검토는 교육용 콘텐츠 진흥육성협의회 소속기관 전문가 및 (사) 에듀테크산업협회 소속 회원사 전문가 22인을 대상으로 저작권, 윤리성, 무결성, 필수 및 선택 사항에 대해 의견을 수렴하고 최종적으로 품질관리지침에 반영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교육용 콘텐츠 품질관리지침은 윤리성, 저작권, 무결성, 콘텐츠 설계 및 구성, 콘텐츠 내용, 평가 접근성의 총 7개 평가 영역의 30개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quality assurance guidelines by deriving main categories and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provided by public and private for integrated educational contents servic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six representative quality assurance guidelines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higher and lifelong education, and industry training field were selected and the evaluation categories and elements were compared. As a result of comparison, there were 6 categories commonly presented in all organizations' quality assurance guidelin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we conducted the first expert review on the categories and elements of the quality assurance guideline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essentials/selection categories. The quality assurance guidelines developed in this study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opinions of experts. The second expert review is to collect opinions on copyright, ethics, integrity, mandatory and optional items for the experts of the educational contents promotion and promotion council and 22 experts of member companies belonging to Edutech Industry Association. Finally, the guideline for the quality assurance of educational contents consisted of 7 domains, such as ethics, copyright, integrity, contents design, organization contents, evaluation, accessibility, and 30 elements.

      • KCI등재

        코로나19와 한국의 글로벌가치사슬(GVC) 변화

        구양미 한국경제지리학회 2020 한국경제지리학회지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 in trade and industry of Korea and suggest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value chains following the spread of COVID-19. To this end, products for prevention of epidemics which is directly related to COVID-19 and IT industries with high GVC participation were analyzed.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the variation in import and export of products for prevention of epidemics was large. In the case of masks, import and export of final goods changed drastically, but the change in intermediate goods was not significant relatively. Korea’s IT industry has been differentiated according to major trading partners amid overall changes in GVCs which is summarized as higher forward participation and lower backward participation. While no particular change resulted from COVID-19 has yet been made directly, the need for diversification strategi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at a time when the production links with China and Vietnam are close and the dependence on trade with these countries is high. The COVID-19 is still in progress, requiring corporate strategies and policy efforts to respond to changes in GVCs in the post-COVID-19 era.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한국의 무역 및 산업의 변화를 글로벌가치사슬 관점에서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코로나19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방역용품과 GVC 참여도가 높은IT산업을 분석하였다. 방역용품은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라 수출입 변동 폭이 컸다. 마스크의 경우 최종재는 수출입이 급격히 변화했지만 중간재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았다. 한국의 IT산업은 GVC에서 전방참여도가 높아지고 후방참여도가 낮아지는 전반적인 변화 속에서 주요 무역대상국별로 차별화된 특성을 보였다. 아직까지코로나19로 인한 변화가 직접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중국, 베트남과의 생산 연계와 무역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다변화 전략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코로나19는 여전히 진행 중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GVC 변화에대응하기 위한 기업의 전략과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 프라임칼리지 학위과정 학습자 실태조사 및 학습분석

        구양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20 정책과제 Vol.2020 No.-

        프라임칼리지 학사 운영 현황, 재학생 학업 현황 및 학습활동, 신.편입생 실태 및 재학생 만족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학생자원 확대, 학사 운영 효율화, 재학생 만족도 향상을 위한 교육의 질 향상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구조화된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촉진하기 위한 육색사고모자 온라인 실시간 토론 도구 개발

        구양미,서정희 한국정보교육학회 2012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6 No.1

        본 연구는 상호작용을 구조화하고 의사소통을 촉진하기 위한 토론 전략의 하나로 육색사고모자 기법을 적용한 온라인 실시간 토론 도구를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육색사고모자 온라인 실시간 토론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온라인 실시간 토론과 육색사고모자 기법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3C 모델의 의사소통, 조율, 협력의 개념에 따라 설계 전략을 수립하였다. 설계 전략에 의거하여 개발된 온라인 실시간 토론 도구는 베타테스트를 거쳐 A 대학교 컴퓨터응용과학부 ‘컴퓨터기초’ 교과목에서 팀 과제를 수행하는데 5주간 4회의 토론에 적용하였다. 학생 대상의 자유기술형 설문, 학생들의 성찰일기, 연구자들의 현장노트를 통해 수집된 질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육색사고모자 온라인 실시간 토론 도구가 의사소통, 조율, 협력의 측면에서 학생들의 토론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문자 기반 의사소통의 한계를 극복하고 육색사고모자 온라인 실시간 토론 도구를 구조화된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촉진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tool based on De Bono's six thinking hats and to investigate availability and improvements of the tool.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bout 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and six thinking hats and development of design strategies from 3C model, communication, coordination, cooperation, were done. Six thinking hats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tool was developed and applied four times for 5 weeks in the fundamentals of computer science course of college students majored in computer science. Qualitative data from open-ended survey and reflection paper of students, and field note of participant researchers were analyzed. As a result, six thinking hats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tool facilitated student's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aspect of communication,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of 3C model. However, some improvements are needed to overcome the limits of text-based online communication and to use six thinking hats online synchronous discussion tool as a tool to promote structured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튜터 역할에 대한 필요성 인식 비교

        구양미,정미강,정영숙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utor roles by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adult learners attending an open university, and also to suggest effective tutoring strategies. Based on the related studies and the tutoring system of "A" open university, this study categorized tutor roles into learning support, administrative support, social support, and management support. A survey was distributed to the learners attending "A" open university, who belonged to a specialized bachelor program termed "employed first, studying later". Among the survey respondents, 256 valid response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t-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to compare perceptions of tutor role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earner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level of education, admission type, major, and grade level, the learners recognized a relatively greater need for learning support and administrative support among tutor role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the learning support as tutor role by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admission type. The learners with only high school education and those who were newly admitted perceived a greater need for learning support as tutor role than the learners with more than a college degree and college transfers. Third, perceptions of the management support as tutor role by major and grade lev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The learners who were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s and freshmen perceived higher need for the management support as tutor role than the learners who were engineering majors and junior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in perceptions of administrative support and social support as tutor roles. This study suggests utilizing tutoring strategies to emphasize learning and management supports for those learners who are high school graduates, newly admitted, and freshmen and especially, to provide tailored tutoring for freshmen to enhance the preparation of e-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튜터 역할에 대한 필요성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튜터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A국립원격대학에서 운영하는 튜터 제도 현황을 토대로 튜터의 역할을 학습지원, 학사지원, 사회적 지원, 관리적 지원으로 범주화하고, 서울에 소재하는 A국립원격대학의 선취업 후진학 학위과정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유효한 256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튜터 역할에 대한 필요성 인식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력, 입학유형, 전공, 학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튜터의 역할 중 학습지원과 학사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력과 입학유형에 따라 튜터의 학습지원 역할에 대한 필요성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고졸학력의 학생과 신입학 학생이 대졸이상 학력의 학생과 편입학 학생보다 학습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전공과 학년에 따라 튜터의 관리적 지원의 역할에 대한 필요성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경영학 계열 전공과 1학년 학생이 공학계열 전공과 3학년 학생보다 관리적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였다. 반면, 학사지원과 사회적 지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고졸학력, 신입학,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튜터의 학습지원과 관리적 지원을 강조하였으며, 특히 1학년 학생의 이러닝 준비도 제고를 위하여 맞춤형 튜터링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에서 SNS를 활용한 협력적 성찰이대학생의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구양미,서정희 한국교육방법학회 2014 교육방법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문제해결에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활용한 협력적 성찰이 대학생의 학습동기, 문제해결능력,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협력적 성찰을 지원하는 환경과 도구로써 SNS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A 대학의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을 수강하는 2개 반 학생 총 51명으로 1개 반(26명)은 실험집단, 다른 1개 반(25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중간고사 이후 6주간 창의적 문제해결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에서는 페이스북을 활용한 협력적 성찰을 실시하였다. 학습동기와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창의적 문제해결을 시작하기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동기와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창의적 문제해결을 마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교과지식 및 교과기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측정하기 위한 기말고사를 실시하고, 창의적 문제해결 결과보고서와 함께 학업성취를 평가하는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자료 분석에 있어서 학습동기와 문제해결능력은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창의적 문제해결 보고서와 기말고사의 평가 점수를 토대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학습동기 하위영역과 문제해결능력 하위요소, 학습성취도 측면에서 페이스북의 협력적 성찰 기록을 분석하여 협력적 성찰 내용 측면에서 통계 분석 결과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SNS를 활용한 협력적 성찰이 학습동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문제해결능력과 학업성취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SNS가 창의적 문제해결에서 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학업성취를 촉진시키기 위한 협력적 성찰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reflections using SNS(Social Network Services) on college student’ learning motivation,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Creative Problem Solving activities. 51 college students who were taking a course ‘Instruc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Technology’ in a university in Seoul were participated for this research. These students were allocated two groups, one was an experimental group of 26 students, the other was a control group of 25 students. After mid-term examination, all students of these two group performed Creative Problem Solving activities in the course for six weeks, but only experimental group’s students did collaborative reflection by using facebook, a kind of SNS. Pre- and post-test on motivation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were conducted for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tudents before and after creative problem solving activities respectively. To verify th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final exam result which was designed to measure subject knowledge and student-based creative solving skills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ask report score was used.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in which pre-test scores on motivation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respectively were covariates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with final exam scores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task report scores of participants student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addition,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ollaborative reflection activities on facebook is performed to strengthen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n the learning motivation,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collaborative reflections using SNS don’t affect on motivation, but have an effect significantly on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academic achievement(p<.05). This research shows that SNS can provide college course with an effective environment of collaborative reflection, which is to improve colleg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competency.

      • 교육협력을 위한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 개발 및 운영 방안 연구

        구양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6 정책과제 Vol.15 No.-

        본 연구에서는 후진학 및 재직자 평생학습 관련 기관들과의 교육협력의 형태를 다양화하고 그 성과를 내실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를 개발하고 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 내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NCS 직업기초능력의 개념과 정의, 영역과 하위요소, 이러닝 콘텐츠의 교수설계전략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둘째, 특성화고, 전문대학, 기업교육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직업기초능력 교육프로그램과 직업기초능력에 관련된 교육자원을 제공하는 HIFIVE(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관련 정부 포털 사이트)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온라인 평생교육원의 이러닝 콘텐츠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셋째, 문헌 및 사례 분석, 설문 및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특성화고, 전문대학, 대학 및 기업의 요구를 반영한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의 설계 원칙과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된 설계 원칙과 전략에 따라 개발된 이러닝 콘텐츠를 평가하여 설계 원칙과 전략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넷째, 다양한 교육기관과의 교육협력을 위한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 활용 및 운영 방안을 수립하고 운영 모델을 구축하였다. 문헌 및 사례 분석, 설문 및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 설계 원칙은 다음과 같다.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는 성취수준은 입직자 수준을 고려하여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의 5개 영역의 경우 전문대학 졸업자 수준인 ‘중’, 문제해결능력, 자원관리능력, 대인관계능력, 조직이해능력의 경우는 고등학교 졸업자 수준의 ‘하’ 수준에 맞추고 영역별 일반목표를 토대로 각 영역의 학습목표를 수립하도록 하였다. 학습내용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의 NCS 공통 직업기초능력프로그램을 준용하되 연구에서 도출된 성취수준과 그에 따른 학습목표를 고려하여 수정 및 보완하도록 하였다. 특히, 사례는 사회적 트랜드와 이슈를 반영하도록 하였다.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에는 현장 사례, 전문가의 설명, 연습문제, 학습정리,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등의 구성 요소가 포함되도록 하였다.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의 주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 전략은 다음과 같다. 현장 사례는 학습주제 및 학습 목표와 함께 제시하고 사례의 핵심적인 내용과 학습주네, 학습목표를 연관 지어 설명한다. 전문가 설명은 맥락이 없는 이론적 지식을 전달하는 강의가 되지 않도록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여 학습자의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연습문제는 학습한 내용을 학습자가 자신의 상황에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는 학습활동과 학습과정이나 학습종료 후 습득한 지식을 확인해 보도록 하는 퀴즈와 평가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 설계 원칙과 전략에 대한 타당성 검증 결과, 개발된 이러닝 콘텐츠의 구성요소들이 학습목표 달성, 학습주제와 학습내용의 이해, 직장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에 대한 이해, 학습동기 부여, 학습한 내용의 적용 기회 제공, 자가 학습의 측면에서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관기관과의 교육협력을 기반으로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활용 및 운영하기 위한 방안은 세 가지 모델로 유형화 하였다. 첫 번째 모델은 현재와 같이 방송대 프라임칼리지의 허브대학 학습관리시스템(LMS)에서 무료로 운영하는 방안이다. 두 번째 모델은 교육기관이나 기업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위탁운영이다. 즉, 고교, 대학, 기업 등의 요구에 맞추어 수강 등록부터 학습관리, 평가, 학점까지 모든 학사 과정을 방송대 프라임칼리지 허브대학의 학습관리시스템을 이용해 위탁운영 해 주는 것이다. 세 번째 모델은 협력기관에 이러닝 운영을 위한 환경과 노하우 등 역량을 갖추었을 때 가능한 방안으로 방송대 프라임칼리지가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를 제공하여 협력기관에서 자체적으로 개설하고 운영하는 것이다. ‘NCS 기반 직무능력 중심채용’을 비롯하여 NCS 직업기초능력 함양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가하는 사회적 추세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교육협력을 기반으로 한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 개발 및 운영 방안은 입직자 및 재직자의 직무능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는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발간한 프로그램을 준용함으로써 표준화된 교육과정과 내용을 교육현장에 보급한다는 의의가 있다. 특히, 특성화고, 전문대학, 대학, 기업 등 다양한 기관의 직업기초능력 교육 현황과 요구를 반영함으로써 교육협력을 위한 NCS 직업기초능력 이러닝 콘텐츠의 개발 및 운영 방안의 현장 활용성을 제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한 운영 방안을 현장에 정착 및 확대하기 위해서는 각 모델을 제도화하고 구체적인 운영 지침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시범운영을 통한 모델의 개선, 교사 협의체 구성, 교육청 단위의 홍보, 교사연수 프로그램, N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