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익의 사단칠정론에서 도덕가치의 형이상학적 구조

        유군(Jun Liu)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22 철학과 문화 Vol.47 No.-

        사단칠정의 문제에 있어 이익은 감정 발현[已發]의 단초 단계와 감정 발현이후의 지속 단계를 구분하고, 이 두 가지의 상이한 단계에 대해 정밀한 정의와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는 이발의 단초 단계에서 사단과 칠정의 본래적 상태를 규정하고 양자의 상이한 본질적 의미(本質義)를 정의하였다. 또한 그는 이발의 지속 단계에서 사단칠정의 변질 상태를 규정하고 이 두 감정이 서로 전환되고 서로 구별되는 현실적 의미(現實義)를 해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그는 사단칠정 문제에서 도덕 가치에 대한 정합적인 형이상학적 구조를 건립하였다. 그가 감정의 본질적 의미를 밝힌 목적은 형이상학적 의의를 활용하여 인간의 마음에서 선한 본성이 감정으로 전개되는 합리적 과정을 해명하고, 일상의 수양 공부 실천 중에 감정의 선악의 변화 방향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감정의 선악의 변화 방향을 유도한다는 것은 오직 현실적 의미의 범위 안에서만, 다시 말해 감정이 발현하여 지속되는 단계에서만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익의 사유에 따르면, 그는 사단칠정이 공사(公私) 관념에 배정되는 문제를 준거로 삼고 이기(理氣) 구조의 상호관련성을 결합하여 사단칠정의 선악의 결과를 설명하였고, 이로써 부중절한 사단과 중절한 칠정의 문제를 해석하였다. 그리고 그는 한 걸음 더 나아가 감정이 전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한 사단과 선한 칠정에 관한 이론적 구조 문제도 해결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는 근본적으로 퇴계의 형이상학적 기본 이념, 즉 ‘사단은 리에 속해서 순선하고 칠정은 기에 속해서 쉽게 악에 빠진다”는 주장을 기초로 사단칠정의 선악 문제를 새롭게 해결하였던 것이다. 이렇게 보자면, 그는 실제로는 퇴계 철학의 본의를 계승하고 발전시켰다고 할 수 있다. On the theory of Four-Seven emotions, Yi Yik distinguished between the original stage and the continuing stage after arousal of emotions, and precisely defined and analyzed about the meanings of these two different stages. He defined the original state of Four and Seven, and discriminated the different essential meanings on the original stage of the two. In addition, he defined transformation of Four and Seven and elucidated actual meanings which differentiated and transformed between the two mutually on the continuing stage. And based on this, he established a metaphysical structure for moral values on the theory of Four-Seven emotions. The purpose that he explained the essential meanings was to determine the goodness of nature and emotions in human mind and the moral-rational process of emotions on the ground of metaphysics, and to induce direction of reforming evil emotions through selfcultivation in daily life. However, inducing reformation of emotions can only be carried out within the realm of daily life, that is, in the actual stage where emotions are aroused and continued. According to his ideas, he treated the problems with respect to morality of emotions as public-private matter, and then combined with methodology of metaphysics. Thereby he tried to solve the problems of “Inappropriate Four Sprouts” and “Appropriate Seven Emotions”, in addition, attempted to solve the contradiction of “Evil Four Sprouts and Good Seven Emotions”. He fundamentally solved the problem of good and evil of emotions based on Toegye's dualistic metaphysics that " Four Sprouts are good because they belong to Li, and Seven Emotions falls easily into evil because they belong to Qi." In this way, it can be asserted that he actually inherited and developed the essence of Toegye’s philosophy. 李瀷對於四端七情论的問題,分別從情感的已發之初端階段和已發之後續階段,這兩種不同的發展階段進行精细地定義和分析。從情感已發之初端階段出發,規定了四七的本質狀態,定義出兩者不同特性的本質義;從情感已發之後續階段出發,規定了四七的變質狀態,解明了兩者在變異過程中既相互互通又相互區別的現實義,以此試圖建立對四七問題中道德價値的形而上學領域的完整構建。其本質義證明的目標是爲了運用其形而上學的意義,確定人心善性情感發展的合理性,對人生修養工夫在實踐中,對情感善惡的變異發展方向進行現實義的指導。而對情感善惡發展方向的指導,只能實行在現實義的範圍內,也就是在情感的已發之後續階段。按照李瀷的邏輯思路,以四端和七情對於“公”與“私”的問題上作爲標準,結合理氣構造的相互關聯,將會得出善惡不同的結果屬性,李瀷以此解釋了四端不中節和七情中節的問題。 而且他進一步试图通過說明情感在後續發展階段下的表現差異,解决四端之惡和七情之善的理論構建問題。 他根據退溪的“四端發於理而無不善, 七情發於氣而有善惡”的形而上学基本理念, 重新解决了四端七情的善惡問題。由此可說, 他實際上繼承和發展了退溪哲學的精髓。

      • KCI등재

        南溪 朴世采의 ‘四端理發 七情氣發’ 이해

        김현수 동양고전학회 2008 東洋古典硏究 Vol.30 No.-

        朴世采의 四端理發七情氣發說은 16세기 사단칠정논쟁이나, 이황의 호발설 인식에 있어 중요한 단초를 제공해준다. 朱子 이후 남송원대 성리학의 흐름과 이황의 호발설의 관련성을 문제 삼기 때문이다. 우선 박세채가 사단리발칠정기발설에서 중요하게 파악한 것은 朱子語類의 ‘四端理之發, 七情氣之發’이 주자의 중요한 사상이라는 점이다. 이를 밝히기 위해 주자 이후 陳淳, 黃과 원대 성리학자인 許謙, 程復心에게서 사단칠정을 리기로 분속시켜 설명하는 경향을 지적했다. 하지만 이는 이황의 호발설 및 16세기 사단칠정논쟁에까지 연관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남송원대 성리학뿐만 아니라 權近의 入學圖說, 鄭之雲의 天命圖처럼 16세기 사단칠정논쟁 전의 조선 성리학에서 이미 사단칠정을 리기로 분속시켜 설명하는 경향이 보이며, 이황 또한 이기호발설을 주장하면서 그 근거로 주자어류의 ‘사단리지발, 칠정기지발’을 내세웠기 때문이다.하지만 박세채는 사단리발칠정기발설에서 사단칠정을 리기로 구분시켜 보는 인식과 호발설을 차별시켜 보고자 했다. 그는 이발/기발에 대해 重한 곳으로 나아가 말한 것이라고 했듯이, 이발을 形狀이나 造化의 일과 같은 ‘사실적실재적’인 측면이 아니라, ‘인식적논리적’ 차원에서 접근했다. 이는 곧 주자 이후 남송원대 성리학의 사단칠정을 리기로 구분시켜 보는 인식은 도덕 실천의 가능 근거를 확보하려는 측면으로 이해해야 하며, 理의 능동성 및 理發의 실재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없다는 뜻이다. 이 점이 남송원대의 성리학과 이황의 호발설의 同異라는 것이 박세채의 주장이다.

      • KCI등재

        『讀書劄錄-孟子』에 보이는 창계 임영의 『맹자』 解釋

        박연우 한국공자학회 2023 공자학 Vol.51 No.-

        본고의 목적은 창계 임영의 『독서차록-맹자』에서 창계의 『맹자』에 대한 독창적인 해석과 ‘退栗 절충’적 해석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독서차록-맹자』는 「양혜왕」 장구, 「공손추」 장구, 「진심」 장구 上만을 텍스트로 삼아, 먼저 의문 사항을 작성한 뒤에 해석을 달아 놓았다. 본고는 창계의 의문 사항을 30개의 논제로 추출하였고, 그것을 분석하여 창계의 독창적 해석의 특징을 독창적인 재해석과 평가, 주자 주석에 대한 의견, 다른 관점을 통한 해석으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사단칠정’에 대한 창계의 맹자해석은 곧 창계의 철학사상이므로, ‘심과 리와 기’를 강조한 철학적 해석’을 탐구하였다. 창계의 『맹자』 해석 양상은 17세기 후반이라는 사회환경에서 주자학보다는 독창적인 해석을 중시할 수 있었고, 註疏의 오류분석 현상은 율곡이 명나라 『大全』 본의 小註 개정작업을 맡게 된 학맥의 영향이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동심’과 ‘호연장’에 대한 주석에서 ‘사단칠정’에 대한 해석은 스승인 ‘박세채’의 영향을 받아 절충적인 철학사상을 주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단칠정에 대한 주석에서 창계가 氣에 집중한 것, 사람이 배워야 할 것은 ‘心과 理뿐’이라고 한 것, 마음이 하는 대로 두지 말라고 한 해석은, 인심을 형기로 구분하여 심이 리에 말미암아 발할 때만 선이 된다고 여겨서, 사단의 선한 도심은 리에 근거해서 발한다고 주장한 것이었다. 창계가 기를 강조한 이유는 기가 부족하면 道義를 기르지 못하고 형기에 동요된다고 보아서였다. 또한 창계가 氣에 집중한 이유는 율곡학파가 氣를 중시했던 영향과 氣를 善과 연결하여 ‘덕성 윤리의 실천’을 강조한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창계의 ‘사단칠정’을 통한 맹자해석은 인간이 心을 제어하고 경계해야 도심, 즉 인간의 도덕성이 발휘된다고 여긴 것이다. 이에 따라 心을 절제대상으로 삼아 당위성을 부여했다. 이러한 창계의 철학사상은 인간의 선과 도심, 덕성 윤리를 강조한 것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계의 『독서차록-맹자』는 주자학에 얽매이지 않고 독창적 해석을 시도하였는데 이것은 17세기의 시대 상황이 반영된 것이었다. 또한 율곡학파이면서 퇴계 이황의 ‘리기호발설’을 수용하여 절충적 해석을 가미한 『맹자』 해석으로 창계의 철학사상이 담겨있는 기록물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Changgye interprets 『Mencius』 in 『Dokseocharok-Mencius』. This paper takes the perspective that 『Dokseocharok-Mencius』 is a 17th century hermeneutics of 『Mencius』. I added a comment after writing the problem here. In this paper, the questions written by Changgye were extracted into 30 problems. By analyzing it ‘Original re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Independent opinion on Juja(朱子)'s commentary see i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e interpretation was reorganized like this. Changgye’s interpretation of Mencius’ ‘four-seven(四端七情)’ is Changgye’s philosophical thought. therefore it was explored by dividing it into two paragraphs. Changgye’s interpretation of 『Mencius』, in the social environment of the late 17th century. he was able to freely focus on my own interpretation beyond Juja(朱子). This wa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Yulgok study of thought. In a commentary on unchanging mind(不動心) and hoyeonjang Chang-gye’s philosophical thoughts on the ‘four-seven(四端七情)’ are eclectic interpretation was made along with the influence of Park Se-chae(朴世采). In Changgye’s interpretation of Mencius on the Four and Seven Jeongs, Changgye focused on energy, All one has to learn is the mind and reason. He interpreted it as saying not to let your heart do what it does, The human heart was divided into 形氣 and energies. It is said that goodness becomes good only when the mind is guided by ri. The mind becomes good only when it is guided by ri. It was believed that path and heart of the (四端) was guided based on Li. Also, the reason why Changgye emphasized energy is If you lack energy, Unable to cultivate morality and It is believed that it is shake by 形氣. Like this Mencius’ interpretation of Changgye’s ‘four-seven(四端七情)’ is the human heart that comes 形氣. Humans must control their minds and be alert, I realized that the 道心 comes out. He believe that human morality is exercised By making the mind an object of ablation, justification was given. It was thought that justification could be achieved by making the mind the object of self-control. he thought her had to control my mind. It was confirmed that Changgye's philosophical thought was a Neo-Confucian interpretation that pursued universality by emphasizing Li in Confucianism, emphasizing human goodness, the heart, and virtuous ethics. Changgye's 『Dokseocharok-Mencius』 was Changgye's hermeneutics of Mencius that contained the situation of the 17th century, free from Confucianism, and the philosophical thoughts of the Yulgok school and eclectic school.

      • KCI등재

        율곡의「인심도심도설」- 人心道心과 四端七情의 통합적 설명

        손희욱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49 No.-

        This paper analyzes in detail about 「Illustrated Description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which contains Yulgok’s later year key opinions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nd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and tries to focus on logical accuracy of integrated explanations and its meanings. For Yulgok,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are inclusion relation and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re independent relation, so his project is integrating and explaining the difference and make it same emotions(情). Accordingly, this paper first debates how Yulgok defines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and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and How sets up logical inclusion relation in integrated explanations. And this paper investigates intention(意) which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debates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than debates of Four Beginnings and Seven Emotions. Finally, This paper examines how well coincides with illustrations and explanations. In 「Illustrated Description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one sentence explains Four Beginnings are the Moral Mind and Heavenly Principle of the Human Mind, however, other sentence explains Four Beginnings are only the Moral Mind. According to the debate of sage man(聖人) also has the Human Mind, Four Beginnings also should include not only the Moral Mind but also Heavenly Principle(天理) of the Human Mind, so later sentence looks like wrong because of incorrect of Four Beginnings’ scope of concept. We may be able to get easy concept frame if this point is corrected. But more important thing is to do our best to practice preserving the Heavenly Principle and subduing Human Desires(人欲), and logical relation of concepts is considered means for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this. Yulgok considered the Human Mind as only Human Desires in 『Outline of the Learning of the Sages(聖學輯要)』, and later in 「Illustrated Description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he changed his perspective of the Human Mind into it containing the Heavenly Principle(天理). This perspective is that whole the Human Mind which occur for body should be considered not it need to be removed or blocked, but something need to be preserved, so Yulgok includes it in Four Beginnings which is important point in building character in 「Illustrated Description of the Human Mind and the Moral Mind」. 본 논문은 인심도심에 관한 율곡 만년(晩年)의 종지(宗旨)가 담긴 「인심도심도설(人心道心圖說)」전체를 세밀히 분석하여, 율곡이 이 도설에서 논한 인심도심(人心道心)과 사단칠정(四端七情)을 통합한 설명이 논리적으로 정합성을 갖추고 있는지를 주로 논하고자 한다. 율곡에게 사단과 칠정은 포함 관계이고 인심과 도심은 상대적인 관계이어서, 이 차이를 같은 정(情)으로 통합하여 설명하는 것이 율곡이 하고자 한 과제였다. 그래서 율곡이 이 도설에서 사단과 칠정 그리고 인심과 도심의 개념을 어떠한 정의와 범위로 설정하였고, 그 개념들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면서 논리적 포함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였는지를 먼저 논의 내용으로 삼을 것이다. 그리고 사단칠정 논의에서는 잘 언급되지 않지만 심(心) 논의에서 중요한 의(意)에 대해 「인심도심도설」에서 어떻게 논의되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글의 내용과 도설의 그림이 잘 부합되는지 살펴볼 것이다. 율곡은「인심도심도설」내에서 한 문장에서는 사단을 도심과 인심의 선한 부분이라고 하는데, 다른 문장에서는 사단과 칠정을 도심과 인심에 대거(對擧)하여 설명하며 사단을 진실로 도심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한다. 율곡의 「인심도심도설」에서의 성인(聖人)도 인심(人心)이 있다는 논의에 따르면, 사단 역시도 도심만이 아니라 인심의 선한 천리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보기 때문에, 사단은 진실로 도심이라고 한 문장은 사단의 개념 정의 범위가 부정확해 보인다. 이 부분을 바로잡으면 두 개념 쌍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용이한 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실천적으로 존천리거인욕(存天理去人欲)을 하는 것이고, 개념 간의 논리적 관계는 이를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한 방편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율곡은 이전 글인 『성학집요(聖學輯要)』에서는 인심을 오로지 인욕으로만 봤다가 「인심도심도설」에서는 인심에도 천리가 있다는 입장으로 바꾸었다. 이는 몸을 위해 생겨난 정(情)인 인심을 무조건 없애거나 막아야 할 것이 아니라 긍정할 수 있는 부분도 있어서 이를 사단에도 포함한 것으로, 이는 「인심도심도설」의 중요한 실천적 내용일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이이 초전문인(初傳門人)들의 성리학(性理學)(1) -사단칠정, 인심도심에 관한 김장생, 정엽, 변이중의 계승을 중심으로-

        정대환 ( Dae Hwan Jeong ),유지웅 ( Ji Woong Y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5 儒學硏究 Vol.32 No.-

        이 논문은 이이 성리학의 사상사적 맥락에서 사단칠정, 인심도심에 관한 初傳門人들의 계승을 살펴보고 있다. 사단칠정, 인심도심에 관한 논의는 자신들의 학파 정통성과도 매우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이이 초전문인들 역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김장생, 정엽, 변이중은 스승인 이이의 사단칠정, 인심도심론을 계승하되, 특히 이황의 理氣互發에 대한 비판, 그리고 氣發理乘의 철저한 신념아래 자신들의 이론을 형성해 나갔다. 하지만 그대로의 묵수가 아니었다. 인심도심론의 경우 인심도심종시설에 대한 김장생의 의문이나, 이이가 인심도심을 설명하면서 사용한 理氣, 특히 氣개념을 명료하게 사용하지 않은 점에 대한 정엽의 지적은 단순 의문을 넘어서 이이의 인심도심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변이중의 경우에는 도심은 仁, 인심은 非仁이라고 하여 인심은 貪하지도, 집착하지도 말아야 할 대상이며, 마땅히 사람이라면 반드시 도심을 따라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한다. 이를 통해 본다면 스승의 이론이라 하여 무조건적인 수용이 아닌 비판적 고찰을 통한 계승이라 할 수 있다. 이이 성리학이 조선 후기까지 계승, 발전 할 수 있었던 것은 초전문인들의 역할이 있었기에 가능하였다. 초전문인들은 율곡학파의 전개과정에서 볼 때 선구자적 인물들일 뿐 아니라, 再傳門人들에게 이이의 성리학이 전승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인물들로 평가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이이 초전문인들에 대한 학계의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기에 사상사적 맥락에서 초기 율곡학파의 계승적 측면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을 통해 이이 초전문인들의 성리학, 특히 사단칠정, 인심도심론을 살펴봄으로써 초기 율곡학파의 계승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This paper discusses how SaDan-ChilJeong(四端七情) and InSim-DoSim(人心道心) are discussed by Lee Yi(李珥)`s early disciples in a context of the ideas of Lee Yi(李珥)`s Neo-confucianism. The reason a discussion about SaDan-ChilJeong(四端七情) and InSim-DoSim(人心道心) has an important philosophical meaning is that they clarify how human`s mind and mental process work with Li(理) and Qi(氣) which are important concepts in the Neo-confucianism and also they are related to a discussion of human`s self-cultivation. It is, therefore, obvious that study on human`s mind should be discussed above all else in the Neo-confucian view of human being aims to be a saint with self-cultivation. This trend of study also can be found from Lee Yi(李珥)`s disciples. Kim Jang-Saeng(金長生), Jeong Yeop(鄭曄) and Byun Yi-Joong(邊以中) continued their teacher`s theory but developed it critically. By studying on the Neo-confucianism of Lee Yi(李珥)`s early disciples, especially theory of SaDan-Chiljeong(四端七情) and InSim-Dosim(人心道心), we can find the extension which Lee Yi(李珥)`s Neo-confucianism is discussed on by his disciples after his death. We can also get a subsidiary result to see how Lee Yi(李珥)`s theoretical relation is discussed by his disciples.

      • KCI등재

        退溪와 高峯 四端七情論辨에 있어 ‘四端無不善’과 ‘四端有善惡’의 衝突

        조첨첨(Zhao, Tian-Tian),최영진(Choi, Young-Jin) 한국양명학회 2014 陽明學 Vol.0 No.38

        退/高四端七情論辨의 초기에 退溪는 물론 高峯도 四端은 ‘無不善’하고 七情은 ‘有善惡’하다는 입장에 서 있었다. 그런데 『高峯答退溪論四端七情書』의 <후론>에서 ‘四端도 부중절할 경우가 있기 때문에 모두 선한다고 말할 수 없다’라고 주장하고 그 이기론적 근거로서 ‘理弱氣强論’을 제시하면서 문제가 제기된다. 고봉의 이 주장은, 四端은 성과 동일하게 순선하다는 맹자의 입장과 어긋나며, 四端은 理의 발현체이기 때문에 순선무악하다는 退溪의 이론도 치명상을 입게 된다. 그러므로 퇴계는 四端이 不中節할 수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으나 그 근본적인 요인은 四端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氣가 혼탁함’에 있는데, 高峯은 맹자 사단론의 본지를 곡해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한다. 하지만 고봉은 주자가 『어류』에서 ‘四端이 중절할 경우와 중절하지 못할 경우가 있다’고 말한 구절을 전거로 ‘四端不中節’을 계속해서 주장한다. 퇴계는『聖學十圖』의 제6도『心統性情圖』에서 “四端의 情은 理가 발현함에 氣가 그것을 따르니 본래 純善하여 악이 없고 반드시 理의 발현이 아직 온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氣에 가리어진 후에 不善으로 흘러가게 되는 것입니다.” 라고 하여 사단 그 자체는 순선무악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진술은 사단의 기가 사단의 리를 엄폐하는 것으로 해석되기 때문에 퇴계의 입장을 논리적으로 입증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고봉의 주장은 명확한 전거와 이론적 정합성을 갖추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퇴계가 논리적인 無理數를 두면서, 사단을 리에 영역에 소속시켜 절대가치성을 확보하려는 근본적인 이유는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그 이유는 유교적 이상사회를 이루기 위해서 현실세계에 至善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 근거를 이론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퇴계가 논변의 처음부터 끝까지 사단이라는 현실적 정감을 ‘리의 발현’으로 규정해야 한다고 일관되게 주장한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지 않을까. 그러나 주자학의 이론체계에 있어, 필연적으로 제기될 수밖에 없는 ‘사단불선’의 문제에 직면했을 때 퇴계의 주장이 논리적으로 정합성을 결여하는 부분이 없지 않다는 사실을 부정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퇴계사단칠정론의 윤리적 의의와 한국유학사적 위상이 훼손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는 사단의 선 불선 문제에 대한 퇴계의 변론에서, 신념과 논리의 사이에서 고뇌하는 지식인의 모습을 볼 수 있다. In the beginning of the Four-Seven Debate between T’oegye and Kobong, both T’oegye and Kobong take it for the granted that the Four Beginnings is nothing but Good and the Seven Feelings involves both Good and Evil. But on its late argument, Kobong insists that all the Four Beginnings cannot be Good, since it can also attain its improper condition[不中節]. In addition, he suggested the theory of ‘weak Principle and strong Material Force’. However, his suggestion doesn’t match up with Mencius’ Saying that the Four Beginnings is pure like Nature, and is lethal to T’oegye’s assertion that the issuance of the Four Beginnings is purely a matter of principle and therefore nothing but Good. Despite T’oegye’s assertion that the fact that the Four Beginnings can be improper condition lies in not the Four Beginnings itself but the corrupt material force. Kobong strongly criticized in T’oegye’s assertion now that T’oegye distorted the principal object of Mencius’ Four Beginnings theory. But Kobong keeps insisting the improper condition of the Four Beginnings on the authority of Master’s Chu’s words of Yu-Lei, that is, the Four Beginnings can be not only a proper condition but also an improper condition. T’oegye adhered to hie assertion that the Four Beginnings itself ispurely good without evil.[純善無惡] in that at the sixth Diagram of “the Mind Combines and Governs the Nature and the Feelings[心統性情圖]” of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聖學十圖], the Feeling of the Four Beginnings as “Principle[理] issues and Material Force[氣] follows it” is originally purely goodness without evil but, with the issuance of Principle not completed, after hidden by Material Force, falls into evil. But it seems to be impossible to logically prove his assertion in that the Material Force of the Four Beginnings hides the Principle of the Four Beginnings. In contrast with Kobong’s logical and coherent assertion, how can we explain the basic reason that T’oegye lets the Four Beginnings belong to the purview of Principle to extreme value too much for himself. The reason can be said to explain the clue of the possibility to realize the pure Goodness toward the Confucius Great Society[大同社會] in the real world. Probably this may be the reason that T’oegye consistently provided the practical Feeling as the issuance of Principle. But when viewed at the theory of Master Chu’s Learning, it is difficulty to deny the fact that T’oegye’s assertion is lack of logical consistency, when confronted with the Problem of the Four Beginnings’ evil unavoidably. However, the ethical meaning of T’oegye’s Four-Seven Dabate and the status in the Confucian history of Korea must not be derogative. We can see an anguish scholar between belief and logic through T’oegye’s assertion about the Good and Eevil of the Four Beginnings.

      • KCI등재

        김창협의 사단칠정 논의 고찰: 퇴·율절충론 평가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지은 ( Kim Jieun ) 한국공자학회 2024 공자학 Vol.52 No.-

        학계에서 주목하는 대표적인 퇴(退) 율(栗) 절충론자로는 조성기(趙聖期), 임영(林泳), 김창협(金昌協)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서인(西人)에 속한 학자들이었음에도 이이(李珥)의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무비판적으로 묵수하지도 않았고, 이황(李滉)의 ‘호발설(互發說)’을 무조건적으로 배척하지도 않았다. 이들은 이황과 이이의 학설을 참고자료로 활용하며 주희의 이론적 입장에 부합하는 사단칠정 논의를 개진하고자 했다. 이이가 이황의 호발명제를 하나의 마음에 대해 존재론적으로 상이한 감정의 발로 기제를 상정한 명제로 단언하며 비판하였던것과 달리, 이들은 호발설이 리기불상리(理氣不相離) 원칙에 위배되는 듯한 ‘표현상’의 문제를 지닌다는 정도로만 이해하며,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을 구분한 이황의 시도를 긍정하였다. 그럼에도 이들은 호발설이 갖는 오해의 소지를 없애고자, 이이가 리기불상리 원칙에 따라 마음의 발로 기제가 하나일 뿐임을 역설하였던 것을 논의의 논리적 기반으로 삼았다. 하지만 이들은 이이의 기발리승일도설이 리의 위상을 약화하는 난점을 지닌다고 보며 ‘리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단을 설명하였는데, 바로 이 지점에서 조성기 및 임영과 구분되는 김창협의 입장이 확인된다. 조성기와 임영은 이황의 호발설에 착안하여 리의 역할을 중심으로 사단을 해석함으로써, 이이의 학설이 갖는 약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반면에 김창협은 이황이 사단과 칠정을 의미상 주리와 주기로 구분한 취지는 긍정하였으나, 호발설을 통해 리의 역할을 드러내려 한 이황의 의도에는 주목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황의 사단 해석을 이이의 사단 이해와 유사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학문적 차원에서 의리(義理)를 실현하려는 문제의식을 지니며 의리의 내용을 담지한 ‘리(理)’를 적극적으로 해석하고자 했던 김창협은 사단을 이루는 리의 역할을 사유할 수 있었고, 이에 입각하여 이이 학설이 갖는 논리적 난점을 극복하려 하였다. 김창협이 리의 역할을 강조한 이황의 사단 해석에 근거하여 이이 학설의 논리적 약점을 보완하지 않은 데에는 그가 처했던 실존적 상황이 있었다. 당시 김창협은 서인의 학문적 정치적 입지를 회복하는 작업에 매진하였기에 이이의 학설이 갖는 논리적 약점을 이황의 설에 의거하여 보완하기란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다. 그것은 남인에게 이론적 공격의 빌미를 제공하는 동시에 이이 학설의 학문적 정통성을 위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김창협의 사칠 논의는 이황과 이이의 이론적 장점을 종합한 퇴 율 절충론이라기보다, 서인의 학문적 정체성인 이이의 ‘기발리승일도설’의 내적 완결성을 추구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둔 것이라 평가할 수 있다. Prominent figures in the academic community who supported the eclecticism of Toegye and Yulgok were Cho Sung-gi, Lim Young and Kim Chang-hyeop. Although these scholars belonged to the Seo-in(西人) group, they did not unconditionally accept Lee Yi’s theory or reject Lee Hwang’s theory outright. They took Lee Hwang and Lee Yi's theories as a reference and tried to develop a discussion in line with Zhu's theoretical position. Unlike Lee Yi, who criticized and refuted the assertions of Lee Hwang, they approached the issue by understanding the problem at an expressive level within the Lee Hwang’s theory. They also acknowledged Lee Hwang’s attempt to distinguish between the Four Beginnings(四端) and the Seven Emotions(七情). Nevertheless, they wanted to clarify possible misunderstandings within Lee Hwang’s theory. They used Lee Yi’s theory as the basis for their discussions. From this point of view they were in line with the eclecticism of Toegye and Yulgok. However, they found a flaw in Lee Yi’s theory that weakened the status of Li(理). This is why they have focused their interpretation of the Four Beginnings on the role of Li(理). Kim Chang-hyeop’s perspective differed from that of Cho Sung-gi and Lim Young. Cho Sung-gi and Lim Young interpreted the Four Beginnings as emotions arising from Li(理) and drew inspiration from Lee Hwang’s interpretation. Kim Chang-hyeop, however,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Lee Hwang’s differentiation of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Emotions, but did not emphasize Lee Hwang’s consideration of revealing the role of Li(理). Rather, he considered Lee Hwang's interpretation to be similar to Lee Yi's understanding. However, Kim Chang-hyeop, who had the problem of realizing righteousness at the academic level and actively sought to interpret the 'Li' that contained the content of righteousness, was able to think about the role of Li in the formation of the Four Beginnings and, on this basis, tried to overcome the logical difficulties of Lee Yi's theories. The reason why Kim Chang-hyeop did not compensate for the logical weaknesses of Lee Yi's thesis, which was based on Lee Hwang's interpretation of the Four Beginnings and emphasized Li's role, was the existential situation in which he found himself. Kim Chang-hyeop was engaged in important work directly related to the restoration of Seo-in's academic and political position, so it was a burden for him to overcome the logical weaknesses of Lee Yi's thesis based on Yi Hwang's theory. It would have provided an opening for a theoretical attack and threatened the academic orthodoxy of Lee Yi’s thesis. Kim Chang-hyeop's discussion can be seen a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pursuit of the internal completeness of Lee Yi's thesis, rather than a compromise between Lee Hwang and Lee Yi's theoretical merits.

      • KCI등재

        퇴계와 고봉: 사단칠정(四端七情)의 현대적 해석 -윤리학적·심리학적 해석에서 철학치료의 지평으로-

        양선진 ( Yang Sunjin ) 동양철학연구회 2016 東洋哲學硏究 Vol.87 No.-

        인간은 순수한 리에서 발한 로고스적 부분과 인간의 기에서 연원되는 파토스적 요소가 공존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퇴계는 리란 본질적 으로 지극히 선하기 때문에 기와 함께 공존할 수 없다고 본다. 하늘의 원리인 리가 인간 안에서 감성적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며 하늘의 원리와 인간의 심리적 원리가 떨어진 것이 아니라 근원적으로 하나라 는 것이다. 퇴계는 선이란 절대로 기와 공존할 수 없다는 입장이며 고봉은 주희의 철학적 체계 속에 집중하면서 리가 기 속에 있음을 강조한다. 퇴계는 인간이 형기(몸)를 지니는 순간 인간의 몸에서 기원하는 본능이 지배적일 것이라는 걱정 속에서 인간의 기를 상당히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고봉은 기 자체만으로 부정적일 수 없다고 보고 인간의 형기에 대한 평가를 유보한다. 그리고 고봉에게 중요한 것은 인간 몸(형기)에서 나온 칠정으로 말미암는 행위가 발한 결과가 상황에 부합하느냐 아니냐에 따라서 선악이 결정된다는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퇴계가 주장하는 도덕은 잡스러운 기가 섞이지 않은 절대선이 인간 도덕으로 작용해야 함을 강조하기 때문에 절대적인 선인 리의 주재성을 강조한다. 퇴계는 절대적 선은 리에서 나와야하기 때문에 절대로 일반적 경향성인 기와 섞일 수 없다는 입장에서 사단과 칠정을 대립적 관점인 대설의 입장을 유지한다는 사실이다. 사단은 인의예지의 성에서 기원하며 이것이 인간의 기와 혼합된다면 참다운 도덕이 될 수 없다는 이상주의적 윤리설을 주장한다. 반면에 고봉의 윤리란 사단과 칠정의 기원(소종래)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고붕에 의하면,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 중요한 것은 행위의 결과가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를 중요시하는 현실주의자라고 할 수 있다. 행위의 결과적 맥락에서 본다면 기원이 리만의 작용에서 기원하지 않고 악으로 흐를 경향성이 강한 기와 겸한 기원(兼理氣)을 지닌 행위에서 나온 행위라면 사회적 상황 속에서 적절한 행위라고 판단된다고 할지라도 퇴계의 입장에서 보면 기원이 악한 기와 함께 공존하기 때문에 악이 라는 것이다. 퇴계는 칸트식의 동기설이 아니라 기원설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고봉은 기원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 속에서 결과 가 어떠냐는 결과 중심의 윤리설인 결과주의라고 할 수 있다. 사단과 칠정, 리와 기를 대립적으로 설명하는 퇴계식의 대설에 대해서 자신의 설은 因說이라고 주장한다.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s to have some new interpretations when contemporary Neo?confucian scholars understand T`oegye and Gobong`s moral?psychological proposition of Li?Gi.Those understandings include at least three different interpretations as shown below. This paper discusses how SaDan-ChilJeong(四端七情) are understood by T`oegye and Go-bong in the contemporary context. The reason a discussion about SaDan-ChilJeong(四端七情) has an important philosophical meaning is that they clarify how human`s mind and mental process work with Li(理) and Qi(氣) which are important concepts in the Neo-confucianism and also they are related to a discussion of human`s self-cultivation. Firstly, T`oegye conceived that Li can be realized or manifested by itself without the vehicle of qi which is the ontological and ethical base of li. because Gi is derived from physical desires. On the other hand, Gobong thought that Li can not exist alone without the vehicle of Gi. T`oegye conceived that Li is a Psychological product of human unconsciousness. T`oegye conceived that Li not only precedes Gi, but also moves prior to Gi. Secondly, T`oegye considered la moral as the ideal reality, On the contrary, Gobong thought it moral as the real thing. Thirdly, T`oegye`s proposition of “issuance of li”(li?fa) is nothing but a independent existence that deviates from the ontological origin without Gi. Contemporary scholars asserted that “T`oegye`s moral is based on the originism-theory, On the contrary, Gobong moral is based on the result-theory.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d to show the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shown in T’ogye and Gobong`s own writings and documents.

      • KCI등재

        退溪 性理說의 體系的 理解

        운용남(尹 用 男) 한국동양철학회 2014 동양철학 Vol.0 No.41

        退溪는 理와 氣는 서로 의지하고 도우며 항상 공존한다는 理氣相須說을 주장한다. 이에 理와 氣가 합해진 물건은 항상 理氣合의 단위로 움직인다. 여기서 理는 形而上的 所以然, 氣는 形而下的 所然의 역할을 한다. 心性論에서는 理氣說에서와 마찬가지로 性氣質相須說을 주장한다. 心은 性과 氣質의 合으로 존재하며, 항상 이것을 기본 단위로 하여 主宰ㆍ運用한다. 性은 氣質之性이 우선하고, 그후 거기서 理만 지적해낸 것이 本然之性이다. 心의 理는 率性, 즉 所當然의 도리이다. 人心은 자기 육체와 관련된 욕구를 지각한 마음이고, 道心은 인간의 도리를 지각한 마음이다. 그런데 자기 욕구는 도리에 맞게 충족되어야 하므로 人心은 道心으로 수렴된다. 子思는 情 전체인 七情이 中和에 이르도록 노력하였고, 孟子는 四端이 仁義禮智의 단서임을 밝혀 이를 확충하려고 하였으나, 전체 情中에서 半은 설명하지 않았다. 孟子 이후 千餘年 동안 아무도 이를 주목하지 않았는데, 퇴계가 四七分別說을 주장하여 이를 보충하였다. 四七分別說은 情을 인심에서 나오는 칠정과 도심에서 나오는 사단으로 兩分한다. 이는 인간의 모든 행동을 두 부류로 나눠보는 시각에 근거하는데, 하나는 자신의 육체를 관리하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의 도리를 실천하는 일이다. 예를 들면 자기의 굶주린 배를 채우려는 마음은 인심이고, 이에 음식을 보고 기뻐하는 마음은 칠정이다. 굶주린 사람의 배를 채워주어야 한다는 마음은 도심이고, 이에 음식을 주려는 마음은 사단이다. 마음이 이런 생각을 하게 된 이유를 생각해 보면, 칠정은 자신의 육체 때문이고, 사단은 인간의 도리 때문이다. 칠정은 내 육체가 마음을 움직인 것이고, 사단은 도리가 내 마음을 움직인 것이다. 즉, 그들이 내 마음을 움직인 것이다. 퇴계는 그 근원을 밝혀서 氣之發과 理之發로 표현하였다가, 나중에 理氣相須說의 입장에서 ‘四端은 理가 發함에 氣가 따르고[理發而氣隨之], 七情은 氣가 發함에 理가 탄다[氣發而理乘之]’로 보충하였다. 자기의 주린 배를 채우는 것도 도리이고, 남의 주린 배를 채워주는 것도 도리이다. 이는 모두 仁한 性에서 나온다. 사단은 善하고 칠정도 善할 수 있지만, 그 가치는 서로 다르다. 즉 사단은 貴하고 칠정은 賤하니, 이것이 理貴氣賤說이다. 사단은 항상 선하지만 미묘한 도리를 알기도 어렵고, 발현하기도 어려우므로 잘 확충해야 하고, 칠정은 악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으므로 항상 정신 차려서[居敬] 잘 단속해야 한다. 退溪(李滉: 1501~1570)主張‘理氣相須說’, 這是‘理’與‘氣’爲共生共存, 互相依靠的關系的看法. 根據這個理論, 由‘理’與‘氣’合成的一切事物都以‘理氣合’爲基本單位而活動. 這裏的‘理’可以說是‘形而上的所以然’, ‘氣’則是‘形而下的所然’. 朱子以‘形氣之私’與‘性命之正’爲知覺判斷標準, 區分出‘人心’與‘道心’, 而退溪以‘形氣’與‘性命’視爲知覺判斷的原因. 可見朱子重視‘私’與‘正’, 而退溪重視‘形氣’與‘性命’. 子思以七情渾淪說爲思想基礎, 主張‘七情’要遷至‘中和’的領域; 孟子闡明‘四端’即是‘仁義禮智’的端緖, 並主張‘擴而充之’, 但同時忽視了其餘的‘情’. 這‘四端’概念孟子以後千餘年來沒受過重視, 只有退溪以‘四七分別說’補充了這個理論的未備.‘四七分別說’是把‘情’分爲出自‘人心’的‘七情’與來自‘道心’的‘四端’的理論. 這種分類與對於‘行爲’的分類有著密切的關系. ‘行爲’可分爲管理身體的、實踐道義的兩方面. 比方說, 要塡飽自己餓肚, 可以說是‘人心’, 然後看到食物喜歡的, 可謂是‘七情’; 要填飽別人餓肚, 即是‘道心’, 爲此給予別人食物, 是‘四端’. 退溪最初用‘氣之發’與‘理之發’來描述了‘四端七情’, 後來又改成了‘四端’是‘理發而氣隨之’的,‘七情’是‘氣發而理乘之’的概念. 填飽自己餓肚的是‘道理’, 填飽別人餓肚的也是‘道理’, 而這些‘道理’全部出於‘仁’的‘性’. ‘四端’的本質是‘善’, ‘七情’的本質也可以是‘善’, 但兩者的價値卻不同. 四端是貴的, 七情是賤的, 這就是所謂‘理貴氣賤說’.‘四端’總是‘善’, 但不容易明白他隱微的道理, 也不容易發, 所以一定要好好‘擴而充之’, 而‘七情’有走向‘惡’的可能性, 一定要常常以‘居敬’的態度來管理.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