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성적 신과 직관의 신

        양선진(Sunjin Ya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22 생명연구 Vol.66 No.-

        베르그손은 신을 이해하려는 방법으로 이성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다. 그의 신비적 체험이란 바로 지성이 제공하는 언어를 통한 개념적 이해가 아니라 모든 해석과 이론적 틀인 간접적인 방식을 떠나 직관이라는 직접적 방식을 의미한다. 신을 직관적 방식으로 접근하는 방법은 바로 인간의 정서적 감성이다. 인간이 신을 경험한 종교적 체험의 결과는 정서적 차원이며 인간의 정서는 바로 신의 사랑을 체험하는 것이다. 사랑의 대상으로서의 신이란 신을 개념적 차원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신을 사랑의 대상으로 체험하는 것이다. 베르그손은 신이 지닌 다양한 속성 중에서 사랑의 방식을 통해서만 인간은 신을 만날 수 있으며 접근할 것을 주장한다. 닫힌 사회와 열린 사회는 단순히 정도의 차이가 아니라 본질적 차이이다. 닫힌 사회에서 열린 사회로 이행되기 위해서는 자기애, 조국애 그리고 인류애라는 단순한 양적 확장을 통해서 가능한 것이 아니다. 닫힌 사회는 근본적으로 생명의 존속이 중심 과제라고 한다면, 열린 사회는 근본적으로 생명의 본질, 생명의 인격성인 약동과 창조에 핵심을 두고 있다. 베르그손의 종교철학의 특징은 이론적 설명이나 관념적 논리가 아니라 인류를 변혁시키고 인간 사회를 진보시킨 사랑의 실천가들을 객관적인 관찰 자료에 근거해서 평가하고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신비주의자들의 사랑은 감성과 이성의 뿌리에서 나온 것이다. 기하학적 사유처럼 절대적 존재가 절대적 신이라고 정의상 가능할 수 있겠다. 그러나 이러한 신의 본성은 사랑이 될 수 없을 것이며 신비주의자들이 추구할 사랑의 대상도 될 수 없다. 베르그손은 신을 이해하려는 방법으로 이성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성적 신이란 추상적이며 관념적 인간의 구성물에 불과하다고 보았기 때문에 그는 종교적 경험에 기초해서 신을 이해하려고 시도를 한다. 인간이 신을 경험한 종교적 체험의 결과는 정서적 차원이며 인간의 정서는 바로 신의 사랑을 체험하는 것이다. 이것은 신을 사랑이라는 정서적 차원에서 만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Bergson does not use the tools of reason as a way to understand God. He attempts to understand God based on religious experience because he saw that rational God was only an abstract and ideological human composition. His mystical experience means not a conceptual understanding through the language provided by intelligence, but a direct method of intuition, regardless of all interpretation and theoretical frameworks, médiate. The way to approach God in an intuitive way is human emotional sensibility. The result of human experience experiencing God is an emotional dimension, and human emotions are experiencing God's love. This means meeting God on the emotional level of love. Bergson suggests an intuitive way, not human reason, as a way for humans to approach God. This is because understanding of God through human reason understands God as a conceptual and abstract system and eventually overlooks God's personality. Through reason, the moment you understand God, you can be reduced to an idealistic position that understands God, a personal being, as an abstract principle or system. Bergson's intuition does not mean animal instincts, only claims recovery, the essence of intelligence, because intellectual thinking distorts the essence of life. Bergson does not use the tools of reason as a way to understand God. He attempts to understand God based on religious experience because he saw that rational God was only an abstract and ideological human composition. The result of human experience experiencing God is an emotional dimension, and human emotions are experiencing God's love. This means meeting God on the emotional level of love.

      • KCI등재

        퇴계와 고봉: 사단칠정(四端七情)의 현대적 해석 -윤리학적·심리학적 해석에서 철학치료의 지평으로-

        양선진 ( Yang Sunjin ) 동양철학연구회 2016 東洋哲學硏究 Vol.87 No.-

        인간은 순수한 리에서 발한 로고스적 부분과 인간의 기에서 연원되는 파토스적 요소가 공존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퇴계는 리란 본질적 으로 지극히 선하기 때문에 기와 함께 공존할 수 없다고 본다. 하늘의 원리인 리가 인간 안에서 감성적 양상으로 나타난다는 것이며 하늘의 원리와 인간의 심리적 원리가 떨어진 것이 아니라 근원적으로 하나라 는 것이다. 퇴계는 선이란 절대로 기와 공존할 수 없다는 입장이며 고봉은 주희의 철학적 체계 속에 집중하면서 리가 기 속에 있음을 강조한다. 퇴계는 인간이 형기(몸)를 지니는 순간 인간의 몸에서 기원하는 본능이 지배적일 것이라는 걱정 속에서 인간의 기를 상당히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반면에 고봉은 기 자체만으로 부정적일 수 없다고 보고 인간의 형기에 대한 평가를 유보한다. 그리고 고봉에게 중요한 것은 인간 몸(형기)에서 나온 칠정으로 말미암는 행위가 발한 결과가 상황에 부합하느냐 아니냐에 따라서 선악이 결정된다는 시각을 유지하고 있다. 퇴계가 주장하는 도덕은 잡스러운 기가 섞이지 않은 절대선이 인간 도덕으로 작용해야 함을 강조하기 때문에 절대적인 선인 리의 주재성을 강조한다. 퇴계는 절대적 선은 리에서 나와야하기 때문에 절대로 일반적 경향성인 기와 섞일 수 없다는 입장에서 사단과 칠정을 대립적 관점인 대설의 입장을 유지한다는 사실이다. 사단은 인의예지의 성에서 기원하며 이것이 인간의 기와 혼합된다면 참다운 도덕이 될 수 없다는 이상주의적 윤리설을 주장한다. 반면에 고봉의 윤리란 사단과 칠정의 기원(소종래)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고붕에 의하면,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 중요한 것은 행위의 결과가 어떤 결과를 초래했는지를 중요시하는 현실주의자라고 할 수 있다. 행위의 결과적 맥락에서 본다면 기원이 리만의 작용에서 기원하지 않고 악으로 흐를 경향성이 강한 기와 겸한 기원(兼理氣)을 지닌 행위에서 나온 행위라면 사회적 상황 속에서 적절한 행위라고 판단된다고 할지라도 퇴계의 입장에서 보면 기원이 악한 기와 함께 공존하기 때문에 악이 라는 것이다. 퇴계는 칸트식의 동기설이 아니라 기원설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고봉은 기원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 속에서 결과 가 어떠냐는 결과 중심의 윤리설인 결과주의라고 할 수 있다. 사단과 칠정, 리와 기를 대립적으로 설명하는 퇴계식의 대설에 대해서 자신의 설은 因說이라고 주장한다.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s to have some new interpretations when contemporary Neo?confucian scholars understand T`oegye and Gobong`s moral?psychological proposition of Li?Gi.Those understandings include at least three different interpretations as shown below. This paper discusses how SaDan-ChilJeong(四端七情) are understood by T`oegye and Go-bong in the contemporary context. The reason a discussion about SaDan-ChilJeong(四端七情) has an important philosophical meaning is that they clarify how human`s mind and mental process work with Li(理) and Qi(氣) which are important concepts in the Neo-confucianism and also they are related to a discussion of human`s self-cultivation. Firstly, T`oegye conceived that Li can be realized or manifested by itself without the vehicle of qi which is the ontological and ethical base of li. because Gi is derived from physical desires. On the other hand, Gobong thought that Li can not exist alone without the vehicle of Gi. T`oegye conceived that Li is a Psychological product of human unconsciousness. T`oegye conceived that Li not only precedes Gi, but also moves prior to Gi. Secondly, T`oegye considered la moral as the ideal reality, On the contrary, Gobong thought it moral as the real thing. Thirdly, T`oegye`s proposition of “issuance of li”(li?fa) is nothing but a independent existence that deviates from the ontological origin without Gi. Contemporary scholars asserted that “T`oegye`s moral is based on the originism-theory, On the contrary, Gobong moral is based on the result-theory. In this paper, the author tried to show the contemporary interpretations shown in T’ogye and Gobong`s own writings and doc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