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판적 사고'가 갖는 철학적 함의

        홍병선(Hong Byung-Sun)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이 글의 목적은 기존 비판적 사고를 둘러싼 담론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살펴 본 후, 비판적 사고에 대한 철학적 근거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우리가 지향해야할 비판적 사고의 대안적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기존 비판적 사고에 대한 논의는 그 형식과 기술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이 점은 비판적 사고가 갖는 본성을 전혀 드러내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왜냐하면, 형식적 사고는 비판적 사고의 핵심적인 측면인 비형식적 요소에 해당하는 감정 요인을 비롯하여 '반성', '성향', '상황' 등을 적절하게 반영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비판적 사고는 추론적 사고이기는 하지만 논리적 사고와는 다르다. 논리적 사고가 비판적 사고의 부분 집합이라는 점에서 비판적 사고의 상당 부분은 '비논리적 사고'로 이루어져 있다. 비판적 사고의 비논리적 사고가 논리적 사고로 대치될 수는 없지만, 얼마든지 그 정당성이 확보될 수 있다. 왜냐하면 비논리적 사고는 말의 힘을 이용해 상대를 설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형식을 넘어 정당화가 필요한 사고이기 때문이다. 결국 비판적 사고는 주관적 판단을 '객관적 판단'에 수렴하는 사고라는 측면을 반영한다. Primarily, this article reviews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discourses about critical thinking. The ultimat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an ideal model of critical thinking that we need to achieve based on the discourses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ritical thinking. The conventional discussion of critical thinking have merely focused on its form and technique. This results in the failure of revealing its essential aspects: 'reflection', 'disposition', 'context' and emotional character of thinking as informal. Critical thinking can be counted for inferential thinking but not logical thinking itself. Rather, critical thinking embraces logical thinking, thus it requires 'illogical thinking' as its meaningful parts. In critical thinking, it is possible to justify illogical thinking though not to be replaced by logical thinking. Critical thinking focuses on how to persuade others using the power of argumentation regardless of its formalization. With this, I argue that critical thinking reflects the aspects of reducing subjective judgement to 'objective judgement'.

      • KCI등재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과 시사점

        방선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1 평생학습사회 Vol.7 No.1

        비판적 사고 능력의 중요성은 교육에서 오랫동안 강조되어온 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하여 지금까지 이루어진 국내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비판적 사고 교육의 현황과 미래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2000년부터 2011년까지 12년간 이루어진 비판적 사고 교육 관련 논문 114편이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가 이루어진 환경, 연구가 적용된 전공영역의 5가지 기준에 따라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 결과와 함께 비판적 사고 교육에 관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주로 초등교육과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령에서 비판적 사고 교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연령별 학제별 특징을 반영한 비판적 사고 교육 연구가 확충될 필요가 있다. 둘째, 비판적 사고 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수업모형과 정의 및 개념 정립에 대한 연구의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비판적 사고 능력 신장을 위한 특정 교수방법의 제안에 관한 연구가 많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양적, 질적 검증 연구가 확충될 필요가 있으며 교수 방법 제시에 앞서 적용되는 영역의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비판적 사고 성향 또는 비판적 사고 교육의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도구에 대한 연구가 확충될 필 요가 있다. 넷째, 현재까지의 비판적 사고 교육은 주로 오프라인 교육을 중심으로 연구 되었으며 따라서 온라인을 통한 비판적 사고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확충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다양한 교과목에서 비판적 사고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따라서 각 교과목별 비판적 사고 교육의 목적을 재고하고 비판적 사고 교육 방법에서 영역의 특수성 반영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inking has long been emphasized in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trends in Korean research so far on this subject and to present the current state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proposals. For this, 114 papers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published for 12 years from 2000 to 2011 were analyzed an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according to five standards such as the research subjects, research theme, research methodology, the environment in which research took place and the fields on which research was carried out. The study presents the results together with the future direction for research o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This study has found out, first, that research o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for various age groups from primary school to universities is being carried out. Accordingly, more research o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ge group and school system is necessary. Second, studies organizing the definition and concepts, teaching methodologies and class models for critical thinking education were most prevalent. In particular, much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proposing special teaching methodologies to foster the ability to critically think. As such, more research verifying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studies so far carried out on critical thinking is necessary. Before presenting teaching methodologies, a consideration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s is necessary. Third, more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on evaluation tools to measure the achievements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and the critical thinking trends. Fourth, research so far o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has mostly been focused on off-line education and as such, more research needs to be carried out on on-line education for critical thinking. Fifth, various subjects have shown the need for critical thinking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by subject should be surveyed an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should be reflected when discussing teaching methodologies for critical thinking.

      • KCI등재후보

        비판적 사고와 사회과 탐구방법

        황갑진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9 사회과교육연구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rograms?contents in the research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for improving the methods in social studies inquiry. The data for this research are collected and compiled from the published research papers concerning the critical thinking and the social studies inquiry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outh Korea. Most pieces of the critical thinking research are found to have been done not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but for the primary/middle school students. Only a few factors of critical thinking have been used in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students in primary schools, where the teaching methods are usually the forms of explaining the issues, solving the problems, and playing the games. But many factors of critical thinking have been used in the education programs for the students in middle schools, where small groups are often organized in the class for the controversial debate. Critical thinking can occur whenever one judges, decides, or solves a problem; in general, whenever one must figure out what to believe or what to do in a reasonable and reflective way. Because critical thinking employs not only logic but broad intellectual criteria such as clarity, credibility, accuracy, precision, relevance, significance and fairness, the critical thinking methods are found to be most widely used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is research, it is suggested that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can be improved with the controversial debate in the class and that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can be well applied in the social inquiry method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본 연구는 사회과 탐구방법의 개선을 위해 비판적 사고의 구성요소와 사회과학방법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과 비판적 사고 교육연구들을 내용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방법은 내용분석이며, 내용분석 자료들은 도서관 논문검색기와 RISS의 검색기를 통해 수집된 인문사회계 비판적 사고 교육 관련 20편의 논문들 중 사회과의 프로그램개발 연구와 실험설계의 연구들이다. 기존 연구들의 분석 결과를 보면, 사회과 교육 관련 비판적 사고 교육은 초등학교에서 많이 이루어졌고 프로그램 개발도 많았으며, 다음으로 중학교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비판적 사고 구성요소의 적용을 보면, 초등학교에서 저학년은 비판적 사고 구성요소의 일부를 사용하여 단순한 개념학습을 하거나, 철학놀이게임이나 문답식 수업을 행하였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 구성요소들을 사용한 소 모둠의 논쟁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과 중학교에서 행해졌다. 이는 학생의 인지발달과 학생의 지적 수준에 따라 비판적 사고요소의 적용과 수업방식이 달라져야함을 의미한다. 비판적 사고연구는 사회와 도덕과목에서 많이 행하여졌다. 이는 사회와 도덕이 사실과 가치를 교육대상으로 함은 물론 사회현상에 대한 철학이나 과학적 연구방법을 강조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의 구성요소와 사회과학방법들과의 관련성과 비판적 사고 교육프로그램의 내용분석에 의하면, 사회과학방법들에 기초한 논쟁수업 형태의 사회과 탐구방법에 의한 교육은 비판적 사고력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사회과 가치탐구방법은 현상학적 접근과 비판이론적 접근의 영역으로 구분하되, 비판이론에 입각한 사회과 탐구방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문학교육을 통한 비판적 사고의 재구조화 연구

        최홍원(Choi Hong-won) 국어문학회 2016 국어문학 Vol.62 No.-

        이 연구는 비판적 사고에 대한 높은 교육적 관심과 요구에도 불구하고, 한편으로 회의적인 시각 또한 대두되는 현실에 주목하여, 국어교육의 시각에서 비판적 사고의 개념과 의미를 새롭게 탐색하고 재구조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학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 사고의 재구조화를 시도함으로써 비판적 사고를 새롭게 인식하고 관점을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비판적 사고에 대한 인식이 ‘논증, 분석 중심의 논리적 성격’, 그리고 ‘전략, 형식 중심의 기술적 접근’으로 편향됨에 따라 가치와 내용이 배제되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이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비판적 사고의 질료로서 문학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문학 활동과 비판적 사고의 활성화를 통해 사고와 비판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시도하였다. 이로써 비판적 사고에 대해 해석과 평가를 동반하는 인간의 의미 구성 행위로서, 건전하고 생산적인 회의를 통해 문제를 평가하고 해결하는 사고의 의미로 재개념화할 수 있었다. 나아가 문학교육을 중심항에 두고서 비판적 사고의 성격과 요소에 대한 재구조화를 시도하였다. 문학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 사고에 접근하게 되면, 가치 중심의 통합적 사고, 상호교섭의 관계적 사고, 문제해결을 위한 창의적 사고의 국면으로 비판적 사고가 확대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는 문학이 비판적 사고의 교육적 본질을 탐색하는 유효한 경로가 된다는 점을 입증하면서, 동시에 비판적 사고가 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외현화하는 통로가 될 수 있음을 밝혀준다.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for and restructuring concepts and meanings of critical thinking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education. In reality, skeptical view about it comes to the fore although there are great educational interests and demands about critical thinking. From the viewpoint of literature education, I would like to pave the way to appreciate critical thinking and shift the viewpoint by trying to restructure critical thinking. For this, I drew the problems including those that were existing, which included awareness about critical thinking and was biased toward analytical characters, focused demonstration and analysis, and technical approach focused on strategy and formality, so value and contents were excluded. In order to overcome such problems, I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literature as substance of critical thinking and tried to gain a new understanding about thinking and criticism through the invigoration of literature activities and critical thinking. Through this process, I restructured critical thinking as thinking to evaluate and solve problems through sound and productive doubts. Also, I thought of it as meaning-constructive acts of humans accompanied by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Furthermore, as I put literature education at the center, I tried to also restructure characters and 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From the point of view of literature education, it can be extended to the phase of contents, value evaluation, relation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This discussion proves that literature can be a valid channel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essence of critical thinking. At the same time, it shows that critical thinking can be an effective route to externalize the educational value of literature.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간호재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관 비교연구

        이향련 ( H Y Lee ),김윤희 ( Y H Kim ),강현숙 ( H S Kim ),이지아 ( J Lee ),( Fan X ),( Ling M ),YuanQ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간호교육성과 평가를 위해 한국간호평가원에서 정한 5개의 영역인 비판적 사고력,전문직관, 지도력,의사소통능력, 간호수행능력 중 비판적 사고 성향과 전문직관에 대하여 한국과 중국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 비교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간호학 생의 교육성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유학생의 기준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미래 간호인력 활용에 있어 서도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고자 하였다.본 연구결과 한국의 간호교육과정이 주로 3년제와 4년제로 구분되어있는 것에 비하여 중국의 경우 4년 제와 5년제로 구분되었고 입학자격이 일반적으로 중 학교 졸업 이상임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중국의 간호대학은5년제 과정이었으며 교과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나 전문직관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한국의 간호대학의 경우 2학년 교과과정에 ‘비판적 사 고와 간호,가 전공 선택으로 포함되었다. 따라서 관련 교과목의 선수경험을 조사한 결과 비판적 사고가 전문직관보다 양국기간에 더 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양국기간의 비판적 사고성향 비교에서 한국은 97. 06점 (l35점 만점) 이었고, 중국은 88. 61점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以286, p<.001).이는 한국학생들의 43. 3% 가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반면 중국의 경우 8. 7% 안이 관련과목을 수강하였다고 보고하였음을 감안할 때 국가 간의 차이보다는 교육의 효과가 좀 더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실제로 본 연구에서 한국 측 대학과정에서 비판적 사고의 과목이 2학년의 선택 과목으로 개설되고 있었다. 선행연구인 Yoon (2004) 의 95. 55와 비교하면 본 연구의 한국학생 대상자 군의 점 수가 더 높았다. 한편, Yoon (2004) 의 연구에서는 대상 자들의 비판적 사고관련 과목의 선수경험여부를 보고 하지 않았지만 교과과정에 비판적 사고라는 교과목이 개설되지 않은 상태이며 l학년과 4학년의 점수가 95. 09과 974로 235의 차이가 있는 반면 한국의 경 우 1학년과 4학년의 점수가 94. 10점과 103. 22정으로 좀 더 큰 점수차이인 9.12점 이였음을 고려할 때 비판 적 사고를 주제로 한 교과과목의 수강경험이 비판적 사고성향 함양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급 속히 변화하는 임상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위해 본 연구의 한국측 간호대학에서는 학 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함양에 관심을 갖게 되어 ‘비판적 사고와 간호· 라는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실제로 임상현장은 끊임없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요구하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 없이 이루 어지는 간호행위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 서 비판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목 혹은 관련 교과목을 교과과정에 포함시켜 간호학생들이 임상현장을 접하기 전에 비판적 사고성향을 기르도록 하여 임상현장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또 하나의 교육성과 측정영역인 전문직관을 분석한 결과 한국학생은 65. 44점 (95점 만점) 이었고 중국학생 은 72. 14점으로 중국학생이 한국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논 - 4. 876, P<, o이). 이는 Kim등신999) 의 연구에서 간호전문대학을 졸업한 현직 간 호사를 위한 2년의 편입과정 (RN- BㄴN)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입학 시 점수인 91. 2叩33점 만점)을 95점 만점으로 환산한 점수인 입학시 65. 14점보다 높았고 졸업 시 점수인 70. 83보다는 한국학생은 낮은 점수를 중국학생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본 연 구에서 저학년학생들과 고학년학생들을 비교했을 때 한국 의 경우 l학년은 61. % 점이었고 4학년은 70. 17점으로 4학년이 l학년보다 821점이 더 높았다. 이는 교육과 함께 병용된 체계화된 임상실습경험이 학부생인 l학 년과 4학년의 점수차이에 크게 좌우된 것으로 보인 다. 중국의 경우에서도 임상실습경험이 없는 1학년에 서 4학년까지의 점수 범위가 67. 10점에서 71. 50점인 반면 임상실습을 경험한 5학년의 경우 77.7점로 4학 년보다 α 27점이 더 높았다. 그러나 전문직관과 관련된 선수과목의 경험여부는 점수에 별로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즉, 관련과목 경험학생들의 전문직관이 70. 03점이었고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은 68. 2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 1. 033, p=272). 본 연구에서 한국과 중국 양 대학에 전문직 관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과목이 없었고, 간호전문직 관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가 간호수행과 관련 된 전문성, 직업윤리 및 감정이입의 수준을 파악하였기 때문에 간호수행을 실습하는 현장실습인 임상실습 의 경험여부가 긍정적인 전문직관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Jeong (2007) 의 연구에서도 임상에서 간호전문직관에 따라 간호수행능력이 달라지므로 간호전문직관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계속 교육 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교육성과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국제연구교류를 위해 일차적으로 중국 의 간호교육 환경을 중국의 간호역사와 함께 이해하며 교과과정을 분석하는 선행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성과 평가를 위해 한국 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5개 영역 중 먼저 2개 영역을 평가하며 중국과 한국학생들을 비교할 뿐만 아니라 중국과의 지속적인 연구교류의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여전히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부터 오는 상대방을 이 해하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본 대학으로서는 처음으로 중국 현지 연구팀과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시도한 공동연구로서 앞으로 지속적인 국제연구교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연구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and professionalism between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professionalism were a part of five domains to evaluate nursing education: critical thinking, professionalism, leadership, communication, and nursing practice from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07 college nursing students: 104 students from the 4-year degree program in Korea and 103 from the 5-year degree program in China from September 2006 to September 2007. The instruments for Chinese students were translated in Chinese and re-translated to check accurac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PC+ Win 12.0 Version. The x2-test to compar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study variables were conducted. Results: Korean nursing stud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critical thinking than did Chinese students while Chinese stud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professionalism. Students took previous courses associated with critical thinking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did those without previous courses tak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of professionalism whether students had previous experience of related courses or not. Rather than,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reported higher scores of professionalism than did those without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Levels of critical thinking were influenced by course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while professionalism was improved by combination of associated courses and clinical practice. For follow-up study, there is needed to examine nursing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China.

      • KCI등재

        비판적 사고의 성향

        최훈(Hoon Choi)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8 철학탐구 Vol.24 No.-

        많은 비판적 사고 정의는 비판적 사고의 기술에만 초점을 맞춘다. 그러다보니 비판적 사고의 기술은 가지고 있지만 비판적 사고의 성향이나 태도는 가지고 있지 못한 사람들이 생기게 된다. 그들은 비판적 사고의 기술은 가지고 있어도 그 기술을 실제 상황에서 활용하지 못한다. 이 글에서는 비판적 사고의 기술과 성향을 구분해야 하고 비판적 사고는 기술뿐만 아니라 성향까지 갖추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의 의견을 검토해 보아, 비판적 사고의 기술과 성향은 구분되고 비판적 사고의 성향을 꼭 필요함을 주장한다. 그러기 위해서 에니스, 폴, 시걸의 비판적 사고 개념들에서 비판적 사고의 기술과 성향이 각각 어떻게 강조되고 있는가 살펴본다. 그리고 그런 주장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비판적 사고의 성향을 구현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소개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uggestion that the skill of critical thinking is not sufficient for critical thinker. It is claimed that the disposition or attitude of critical thinking is needed to actualized the critical thinking skill. The concepts of critical thinking proposed by Ennis, Paul and Siegel are considered. This paper also introduces how to implement the disposition of critical thinking in school classes.

      • KCI등재

        기획 주제 : 비판적 사고와 독서 ; 비판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읽기 평가의 방향

        윤준채 ( Jun Chae Yoon ) 한국독서학회 2008 독서연구 Vol.0 No.20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평가를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 발달과 관련된 정보를 모으고 판단하는 일련의 탐구 과정으로 바라보면서,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 평가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비판적 사고력은 사물의 옳고 그름을 가리어 판단하거나 밝힐 수 있는 비판적 사고 기능과 기꺼이 비판적으로 생각하여 판단하려는 마음가짐, 즉 비판적 사고 성향으로 구성된 사고 능력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비판적 사고력은 인지적 측면인 비판적 사고 기능과 정의적 측면인 비판적 사고 성향으로 분류되어 환원주의적인 방법으로 평가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선다형 중심의 전통적인 비판적 사고력 평가는 평가 상황이 학생들의 실제적인 생활과 동떨어져 있고 교실의 수업 및 학습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전통적인 비판적 사고력 평가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비판적 사고력 평가를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력발달 과정과 결과를 탐구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간주하고, 그것을 구체화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제안하였다. 탐구 과정으로서의 포트폴리오 평가는 평가에서의 균형을 온전히 담을 수 있는 그릇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alternative assessment way of facilitat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considering critical thinking assessment as the inquiry process that collects and judges information with related to students` critical thinking in order to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consisted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cluding the processes of reflecting upon a tangible or intangible item in order to form a solid judgment and thinking disposition that is the willingness to critically participate in such a critical thinking process.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 assessment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have been divided into critical thinking skills indicating the cognitive aspect of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dicating the affective aspect of thinking, then each of them were reductively assessed. But this standardized multiple tests have not reflected students` real life in and out of school as well as have exerted a bad effect upo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in their classroom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traditional critical thinking assessment, therefore, the investigator views critical thinking assessment as the inquiry process that collects and judges information with related to students` critical thinking in order to improve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proposes portfolio assessment as a way of embodying it. Portfolio assessment as an inquiry process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ritical thinking may become a bowl that is able to maintain the proper balance in the context of critical thinking assessment.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교사 효능감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노수남(Noh, Su-Nam)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0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교사변인인 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교사 효능감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상하집단간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교사 125명과 유아 62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질문지와 면접법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 t-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은 보통수준이었고, 교사 효능감은 보통이상 수준이었으며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을수록, 교사의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비판적 사고력은 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교사 효능감과 유의한 정적관계를 가졌다. The research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s critical thinking skill and teacher’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eacher efficacy, known as teacher’s variances. Also, the research tri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of child’s critical thinking skill between the groups of teachers who have high and low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o provide data for child’s critical thinking skill improvement in early childhood teaching institutions. The subjects were 125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nd 625 children, the students of those teachers. In order to collect the research data, questionaires and interviews were performed. As for analysis, statistic technique, t-verific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average, teacher efficacy was above average, and child’s critical thinking skill varied with age. Furthermore, as the teacher’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eacher efficacy increased, the child’s critical thinking skill had the same effect. Overall, the research displayed that child’s critical thinking skill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eacher’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teacher efficacy.

      • KCI등재

        비판적 사고론

        김광수(Kwang Su Kim) 철학연구회 2002 哲學硏究 Vol.58 No.-

        미국을 비롯한 선진 외국에 비해 그동안 비판적 사고 교육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많이 뒤떨어졌는데, 최근의 동향은 더 이상 이를 미룰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비판적 사고가 무엇이며, 우리의 삶 속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그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논한다. 비판적 사고를 `비난하는 사고`로 여기는 것은 잘못이다. 비판적 사고는 주장, 논증 등의 텍스트를, 그 논리적 구조, 의미, 논거, 맥락 등을 고려함으로써, 받아들일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추론적 사고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비판적 사고는 논리적 사고나 과학적 사고와 동의어가 아니다. 비판적 사고 교육은 능력 교육과 성향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비판적 사고 능력 교육은 일상언어로 된 논증의 의미와 논리적 구조를 분석하는 능력과, 그 건전성을 평가하고, 창의적으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는 종합 능력으로 이루어진다. 비판적 사고 성향 교육은 반성적 사고 성향, 진리·정의 추구 성향, 열린 마음 성향의 교육으로서, 인성 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비판적 사고는 세 층위에서 이루어진다. 생활인은 문제를 해결하고, 자아를 실현하고, 민주시민으로서의 성공적인 삶을 살기 위하여 수 없이 많은 원리, 원칙, 법칙, 법, 제도, 도덕률 등을 적절하게 적용한 생활인의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가 하면 학자들은 현존하는 원칙 등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새로운 원리와 원칙등을 정립하기 위한 탐구자의 비판적 사고를 하게 되는데 이는 학문의 방법론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모든 원리와 원칙 등의 궁극적 정당성에 대한 성찰과 숙고가 구도자의 비판적 사고를 통해 이루어진다.

      • 비판적 사고의 논리적 근거

        홍병선(Hong, Byung-Sun)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12 교양논총 Vol.- No.6

        이 글의 목적은 기존 비판적 사고를 둘러싼 담론에 대한 문제점에 대해 살펴본 후, 비판적 사고에 대한 철학적 근거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우리가 지향해야할 비판적 사고의 대안적 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기존 비판적 사고에 대한 논의는 그 형식과 기술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다. 이 점은 비판적 사고가 갖는 본성을 전혀 드러내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왜냐하면, 형식적 사고는 비판적 사고의 핵심적인 측면인 비형식적 요소에 해당하는 감정 요인을 비롯하여 ‘반성’, ‘성향’, ‘상황’ 등을 적절하게 반영해 낼 수 없기 때문이다. 비판적 사고는 추론적 사고이기는 하지만 논리적 사고와는 다르다. 논리적 사고가 비판적 사고의 부분 집합이라는 점에서 비판적 사고의 상당 부분은 ‘비논리적 사고’로 이루어져 있다. 비판적 사고의 비논리적 사고가 논리적 사고로 대치될 수는 없지만, 얼마든지 그 정당성이 확보될 수 있다. 왜냐하면 비논리적 사고는 말의 힘을 이용해 상대를 설득하는데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형식을 넘어 정당화가 필요한 사고이기 때문이다. 결국 비판적 사고는 주관적 판단을 ‘객관적 판단’에 수렴하는 사고라는 측면을 반영한다. Primarily, this article reviews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discourses about critical thinking. The ultimat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an ideal model of critical thinking that we need to achieve based on the discourses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ritical thinking. The conventional discussion of critical thinking have merely focused on its form and technique. This results in the failure of revealing its essential aspects: "reflection", "disposition", "context" and emotional character of thinking as informal. Critical thinking can be counted for inferential thinking but not logical thinking itself. Rather, critical thinking embraces logical thinking, thus it requires "illogical thinking" as its meaningful parts. In critical thinking, it is possible to justify illogical thinking though not to be replaced by logical thinking. Critical thinking focuses on how to persuade others using the power of argumentation regardless of its formalization. With this, I argue that critical thinking reflects the aspects of reducing subjective judgement to "objective jud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